KR102189947B1 -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Google Patents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9947B1 KR102189947B1 KR1020200079175A KR20200079175A KR102189947B1 KR 102189947 B1 KR102189947 B1 KR 102189947B1 KR 1020200079175 A KR1020200079175 A KR 1020200079175A KR 20200079175 A KR20200079175 A KR 20200079175A KR 102189947 B1 KR102189947 B1 KR 1021899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ire
- partition
- partition wall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9/00—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 F23M9/06—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in fire-box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1—Details arrangements for discharging combustion gases
- F24C15/002—Details arrangements for discharging combustion gases for stoves of the closed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화기(fire)에 의하여 상기 연료에 대한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몸체는, 상기 화기의 체류를 위한 다수의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하우징 및 상기 몸체 하우징의 다수의 구획 공간 중 제1 구획 공간과 제2 구획 공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1 홀과, 상기 화기 중 바깥 방향으로 흩어진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2 홀을 구비하는 제1 구획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획벽은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구획벽의 중앙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획 구조로 인해서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장과 같은 장소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과 같은 곳에서는 드럼통 등을 이용하여 폐자재 목재를 원료로 하는 난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폐목재가 연소하며 발생되는 환경 오염물질로 인해 그 사용이 제재되었고, 따라서 전기난로 또는 기름난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전기난로는 소비되는 전력량에 비해 열효율이 떨어져 작업장을 충분히 따뜻하게 하지 못하였고, 기름난로의 경우에는 전기난로에 비해 열효율은 좋으나 열악한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한 물질들로 인해 쉽게 고장이 날 우려가 있었다.
이에,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 단가를 낮추고 열효율이 우수하며 손쉽게 정비가 가능한 작업장용 난로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작업장용 난로에 있어서는, 난로의 단순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 블로워 및 연료분사펌프가 습기에 의해 쉽게 부식될 수 있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연료분사펌프의 오작동으로 인해 일정한 유압에 따른 연료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바닥에 쌓인 연료가 일시에 폭발이 일어날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연소실 내부에서의 화기의 체류 시간이 짧아 미처 연소되지 못하고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킴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작업장용 난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59138호(발명의 명칭: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한 구획 구조로 인해서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장과 같은 장소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화기(fire)에 의하여 상기 연료에 대한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몸체는, 상기 화기의 체류를 위한 다수의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하우징 및 상기 몸체 하우징의 다수의 구획 공간 중 제1 구획 공간과 제2 구획 공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1 홀과, 상기 화기 중 바깥 방향으로 흩어진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2 홀을 구비하는 제1 구획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획벽은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구획벽의 중앙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구획벽은, 상기 제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 부분 및 상기 볼록 부분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부분을 따라 상기 제2 홀이 규칙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록 부분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반구부재 및 상기 반구부재의 외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 부분에서 상기 화기의 체류 시간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홀 또는 상기 제2 홀에는 상기 화기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홀 크기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홀 또는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구획 공간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 하우징의 타측의 상단부에는 상기 화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벽과 상기 제1 구획벽 사이에는 제2 구획벽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구획 공간과 배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구획벽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구획 공간에 체류된 화기를 상기 배출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은 복수 개의 배출홀이며,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은 상기 제2 구획벽의 하단부에서 복수 개의 열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에는 상기 화기의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한 홀 크기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연소몸체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화기의 세기 및 상기 구획 공간에서의 상기 화기의 체류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연소몸체로부터 제공되는 열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획 구조로 인해서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장과 같은 장소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한 곳에서 화기가 머무르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구성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장용 난로의 연소몸체의 내부 구성을 투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장용 난로의 연소몸체의 내부 구성을 투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장용 난로의 연소몸체의 내부 구성을 투영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100)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 탱크(101)와, 연료 탱크(101)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아 연료에 대한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몸체(110)와, 연료 탱크(101) 및 연소몸체(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 탱크(101)의 하부에는 이동의 편리성을 위한 바퀴(102)들이 구비될 수 있고, 상단부에는 연료 탱크(101)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미도시)와,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뚜껑(10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소몸체(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부재(107)가 연료 탱크(101) 및 연소몸체(1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연소몸체(110)의 하단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103)들이 구비되어 연료 탱크(101)에 대한 연소몸체(110)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05)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연소몸체(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동 버튼들이 마련되어 연소몸체(110) 내에서의 작동 및 연료 탱크(101)의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서 연소몸체(110) 내로 유입되는 화기의 세기 및 화기의 체류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작업장용 난로(100)로부터 제공되는 열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연소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화기(F)의 체류를 위한 다수의 구획 공간(110a, 110b, 110c)을 구비한 몸체 하우징(111)과, 다수의 구획 공간(110a, 110b, 110c) 중 제1 구획 공간(110a)과 제2 구획 공간(110b)을 구획하기 위한 제1 구획벽(120)과, 제2 구획 공간(110b)과 배출 공간(110c)을 구획하기 위한 제2 구획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소몸체(110)의 구성에 의해서, 몸체 하우징(111) 내로 유입된 화기는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작업장에 충분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몸체 하우징(111)은,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화기가 머무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몸체 하우징(1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단부가 평평하게 마련됨으로써 상단부에 주전자와 같은 물체를 올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 하우징(111)은, 중공의 원통 부분(112)과, 그리고 일측을 이루는 제1 벽(113a)과, 타측을 이루는 제2 벽(113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벽(113a)에는 화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5)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벽(113b)과 인접합 원통 부분(112)의 상단부에는 화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유입구(115)에는 버너(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버너(140)로부터 몸체 하우징(111) 내로 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유입구(115)의 단부에는 차단벽(113c)이 구비되고, 차단벽(113c)과 제1 벽(113a) 사이에는 단열재(150)가 구비됨으로써 고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벽(113b)의 절곡된 단부와, 원통 부분(112)의 단부는 맞닿을 수 있는데, 접면되는 부분의 끝단만을 용접부재(119)로 용접함으로써 원통 부분(112)과 제2 벽(113b)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벽(113a) 및 원통 부분(112)의 결합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벽(113a, 113b)들과 원통 부분(112)이 간단한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내부 압력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몸체 하우징(111)의 외부에는 몸체 하우징(111)을 감싸는 보호망이 구비될 수 있다. 보호망은 사람이 직접 몸체 하우징(1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열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몸체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은 2개의 구획벽(120, 130)에 의해서, 제1 구획 공간(110a), 제2 구획 공간(110b) 및 배출 공간(110c)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중 제1 구획벽(12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구획 공간(110a)과 제2 구획 공간(110b) 사이에 구비되며, 몸체 하우징(111)의 유입구(115)를 통해 직진으로 유입되는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1 홀(121h)과, 화기 중 상방 또는 하방으로 흩어진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2 홀(125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벽(120)은 유입구(115) 방향, 즉 몸체 하우징(111)의 제1 벽(113a)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1 홀(121h)은 몸체 하우징(111)의 제1 벽(113a)에 형성된 유입구(115)와 같은 위치를 가지도록 제1 구획벽(120)의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제1 구획벽(1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홀(121h)이 형성되며 유입구(115)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 부분(121)과, 볼록 부분(12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1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부분(125)은 몸체 하우징(111)의 제1 벽(113a)과 평행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획벽(120)의 구성을 통해, 제2 구획 공간(110b)이 곡면으로 형성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 내에서 홀(121h, 125h)들을 통해 유입된 화기들이 도 2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면서 충분한 체류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 구획벽(120)의 볼록 부분(121)에 의해서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볼록 부분(121)은 그 구성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는데, 볼록 부분(121)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홀(121h)이 중앙에 형성되는 반구부재(122)와, 반구부재(122)의 외연으로부터 연장되며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의 볼록 부분(121)은 제1 구획 공간(110a) 방향으로 깊게 형성된 곡면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화기의 충분한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구획벽(120)의 볼록 부분(121)에서 특히 안쪽으로 흐르는 화기는 볼록 부분의 형상에 의해서 오래 머무를 수 있어 볼록 부분(121)을 부분적으로 부식시킬 우려가 있는데, 전술한 것처럼, 볼록 부분(121)의 중앙에 제1 홀(121h)이 형성되고 제1 홀(121h)을 통해서 계속적으로 화기가 유입됨으로써 볼록 부분(121)의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벽(120)의 연장 부분(125)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제2 홀(125h)들이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구획 공간(110a) 내로 유입된 화기는 제1 홀(121h)을 통해 제2 구획 공간(110b)으로 바로 이동하거나 또는 볼록 부분에 부딪혀 외연으로 퍼져 나갈 수 있는데, 이 때 볼록 부분(121)을 따라 흩어진 화기가 제2 홀(125h)들을 통해 제2 구획 공간(110b)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홀(121h)을 통해 유입되는 화기와 제2 홀(125h)을 통해 유입되는 화기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중첩되고 상쇄되는 현상을 통해서 제2 구획 공간(110b) 내에서의 화기 체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제1 홀(121h) 및 제 2 홀(125h)에는 홀의 개방된 크기를 조절하는 홀 크기 조절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홀 크기 조절부재가 각각의 제1 홀(121h) 및 제 2 홀(125h)의 개방 영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121h, 125h) 들을 통해 제2 구획 공간(110b)으로 이동하는 화기의 이동량 또는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홀(121h) 및 제2 홀(125h)은 제2 구획 공간(110b)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홀(121h) 및 제2 홀(125h)을 통한 화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 구획벽(13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구획 공간(110b)과 배출 공간(110c) 사이에 구비되어 제2 구획 공간(110b)과 배출 공간(110c)이 각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획벽(130)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배출홀(130h)이 구비됨으로써 제2 구획 공간(110b)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화기가 배출홀(130h)들을 통해 배출 공간(110c)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배출홀(130h)은 제2 구획벽(130)의 하단부에서 복수 개의 열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30h)은 원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사각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배출홀(130h)에도 역시 홀의 개방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홀 크기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구획 공간(110b)에서 배출 공간(110c)으로의 화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출 공간(110c)에서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에서 상방으로 흐르는 화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배출구(116)를 통해서 화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획 구조로 인해서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장과 같은 장소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화기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한 곳에서 화기가 머무르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구성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작업장용 난로
101: 연료 탱크
102: 바퀴
103: 지지부재
104: 개폐뚜껑
105: 제어부
107: 열차단부재
110: 연소몸체
110a: 제1 구획 공간
110b: 제2 구획 공간
110c: 배출 공간
111: 몸체 하우징
112: 원통 부분
113a: 제1 벽
113b: 제2 벽
113c: 차단벽
115: 유입구
116: 배출구
119: 용접부재
120: 제1 구획벽
121: 볼록 부분
121h: 제1 홀
122: 반구부재
123: 원통부재
125: 연장 부분
125h: 제1 홀
130: 제2 구획벽
130h: 배출홀
140: 버너
150: 단열재
101: 연료 탱크
102: 바퀴
103: 지지부재
104: 개폐뚜껑
105: 제어부
107: 열차단부재
110: 연소몸체
110a: 제1 구획 공간
110b: 제2 구획 공간
110c: 배출 공간
111: 몸체 하우징
112: 원통 부분
113a: 제1 벽
113b: 제2 벽
113c: 차단벽
115: 유입구
116: 배출구
119: 용접부재
120: 제1 구획벽
121: 볼록 부분
121h: 제1 홀
122: 반구부재
123: 원통부재
125: 연장 부분
125h: 제1 홀
130: 제2 구획벽
130h: 배출홀
140: 버너
150: 단열재
Claims (10)
-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화기(fire)에 의하여 상기 연료에 대한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몸체는,
상기 화기의 체류를 위한 다수의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하우징; 및
상기 몸체 하우징의 다수의 구획 공간 중 제1 구획 공간과 제2 구획 공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1 홀과, 상기 화기 중 바깥 방향으로 흩어진 화기를 통과시키는 제2 홀을 구비하는 제1 구획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획벽은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구획벽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홀 또는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구획 공간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벽은,
상기 제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 부분; 및
상기 볼록 부분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부분을 따라 상기 제2 홀이 규칙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부분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반구부재; 및
상기 반구부재의 외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 부분에서 상기 화기의 체류 시간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또는 상기 제2 홀에는 상기 화기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홀 크기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우징의 타측의 상단부에는 상기 화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벽과 상기 제1 구획벽 사이에는 제2 구획벽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구획 공간과 배출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벽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구획 공간에 체류된 화기를 상기 배출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은 복수 개의 배출홀이며,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은 상기 제2 구획벽의 하단부에서 복수 개의 열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에는 상기 화기의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한 홀 크기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연소몸체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화기의 세기 및 상기 구획 공간에서의 상기 화기의 체류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연소몸체로부터 제공되는 열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175A KR102189947B1 (ko) | 2020-06-29 | 2020-06-29 |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175A KR102189947B1 (ko) | 2020-06-29 | 2020-06-29 |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9947B1 true KR102189947B1 (ko) | 2020-12-11 |
Family
ID=7378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9175A KR102189947B1 (ko) | 2020-06-29 | 2020-06-29 |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994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0327A (ko) * | 1987-06-22 | 1989-03-13 | 카도오 미끼오 | 분립체의 고농도 기력수송방법 및 그의장치 |
KR20100137897A (ko) * | 2009-06-23 | 2010-12-31 | 강훈이 | 연기 발생이 없는 화목 연소장치 |
KR101968446B1 (ko) * | 2018-06-01 | 2019-04-11 | 김용호 | 작업장용 난로 |
JP2020041763A (ja) * | 2018-09-11 | 2020-03-19 | 元 金子 | 炎熱滞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トーブ |
-
2020
- 2020-06-29 KR KR1020200079175A patent/KR1021899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0327A (ko) * | 1987-06-22 | 1989-03-13 | 카도오 미끼오 | 분립체의 고농도 기력수송방법 및 그의장치 |
KR20100137897A (ko) * | 2009-06-23 | 2010-12-31 | 강훈이 | 연기 발생이 없는 화목 연소장치 |
KR101968446B1 (ko) * | 2018-06-01 | 2019-04-11 | 김용호 | 작업장용 난로 |
JP2020041763A (ja) * | 2018-09-11 | 2020-03-19 | 元 金子 | 炎熱滞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トーブ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98157C2 (ru) | Система горелок бытовой газовой плиты | |
KR100752761B1 (ko)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 |
KR101847726B1 (ko) |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 |
KR102189947B1 (ko) | 화기 체류 증대를 위한 작업장용 난로 | |
KR101622275B1 (ko) |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 |
CA1194776A (en) |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of the type of radiating heat rays | |
KR100921720B1 (ko) |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 |
KR200400023Y1 (ko) | 화목 보일러 | |
KR101968446B1 (ko) | 작업장용 난로 | |
CA1198979A (en) |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 |
US6418884B1 (en) | Fuel-fired heating appliance having flame arrestor plate with associated scale deflector shield | |
KR101312963B1 (ko) | 화목연소장치 | |
CN107726315A (zh) | 加热器及用于加热器的控制系统 | |
KR102291476B1 (ko) | 펠릿 난로용 연소기 | |
KR101577813B1 (ko) |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 |
US868753A (en) | Gas-broiler. | |
KR101861205B1 (ko) | 고형연료 난로 | |
KR20100067899A (ko) | 난방 시스템 | |
KR102190363B1 (ko) | 하이브리드 난로 | |
KR20160106931A (ko) |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 |
KR20080039632A (ko) | 난로의 공기 공급관 | |
KR102447699B1 (ko) | 캠핑용 스토브 | |
KR101613869B1 (ko) | 화목보일러 | |
KR20090000730U (ko) | 가스 숯불 겸용 로스터 | |
CN209484626U (zh) | 自冷式模块化燃烧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