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92B1 - 복약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복약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692B1
KR102189692B1 KR1020130167238A KR20130167238A KR102189692B1 KR 102189692 B1 KR102189692 B1 KR 102189692B1 KR 1020130167238 A KR1020130167238 A KR 1020130167238A KR 20130167238 A KR20130167238 A KR 20130167238A KR 102189692 B1 KR102189692 B1 KR 10218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dispensing
storage box
me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126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16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692B1/ko
Priority to CN201410143727.5A priority patent/CN104512641A/zh
Publication of KR2015007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제1 약제가 보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약제 불출 입력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에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약 관리 장치{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본 발명은 복약 관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이 필요한 약제를 정확하게 불출시키도록 하는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기간 약제을 복약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조제된 약제를 처방에 따라 제시간에 맞추어 정량을 복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장기 복약자의 경우, 약제를 복약해야 하는 시간 또는 복약해야 할 양을 잊어버리기 쉬우며, 또한, 복약 시기가 지난 후 이미 복약을 했어야 하는 약제를 의사나 약사와의 상의 없이 일시에 과다 복약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성질환자와 같이, 장기간의 약제 복약에 따른 부작용을 두려워하는 심리에서 약제의 복약을 일부러 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규칙적인 약제 복약은 환자의 약복약 순응도를 저하시키고, 질병의 치료 기간을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치료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환자의 약제 복약을 관리하기 위한 복약 관리 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종래의 복약 관리 시스템은 봉지 형태로 포장된 약제(약포)에 대한 복약을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환자가 한번에 복약해야 될 약제는 포장을 위한 봉지에 밀봉될 수 없는 약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약제는 환자가 임의적으로 복약 시기에 맞추어 일일이 챙길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1회 복약분의 약제가 약포형 약제 이외에 앰퓰(ampoule)형 약제 또는 바이알(vial)형 약제 등이 포함된 경우, 상기 약포형 약제는 종래의 복약 관리 시스템에 의해 복약을 관리할 수 있으나, 앰퓰(ampoule)형 약제 또는 바이알(vial)형 약제 등의 경우에는 환자의 임의적인 복약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정확한 복약을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환자가 복약해야만 하는 약제 속에 포장을 위한 봉지에 밀봉될 수 없는 약제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환자가 정확한 복약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봉지 형태로 포장된 약에 대한 복약을 지원하기 위한 복약 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것으로, 약포형 약제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52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 및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이 필요한 약제를 정확하게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 및 종류에 상관없이 복약 관리가 구현되도록 하는 복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제1 약제가 보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약제 불출 입력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에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는 경우라도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2 약제 및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및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오차 범위 내와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제1 약제가 보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약제 불출 입력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약제를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는 경우라도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2 약제 및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및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오차 범위 내와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에 의하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 및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이 필요한 약제를 정확하게 불출시켜 환자의 체계적인 복약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복약해야 할 약제의 종류 및 형태에 상관없이 복약 관리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복약해야 할 약제가 변경되는 경우라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복약 여부를 가정, 병원 또는 요양 기관 등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복약 대상 환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지속적이고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는, 장기간 주기적으로 약제를 복약해야 하는 환자를 위해 제공되는 일종의 복약 도우미 기능을 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제1 약제가 보관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약제 불출 입력부(112),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114) 및 약제의 불출을 제어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는 환자가 복약해야 할 제1 약제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1 약제는, 예를 들어, 포장지에 다양한 약제가 밀봉된 약포형 약제일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에 해당하는 한포의 약제가 약제 불출 입력부(112)에 의한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 및 약제 불출 정보 등에 따라 불출되어 환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약제 불출 정보는, 환자 등이 복약해야 할 약제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환자 등의 처방전일 수 있다.
상기 처방전 정보에는 환자의 인적 정보, 복용하여야 할 약제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정보, 복약 일수에 관한 정보 및 질병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키도록 하는 내부구성은, 약포형 약제가 절취선을 구비한 채 서로 연결되어 롤의 형태로 감겨 있다가 제어부(116)에 의해 풀리면서 절취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절취선을 절취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약제의 종류 및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내부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 불출 입력부(112)는,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종의, 약제 불출 버튼일 수 있다.
즉, 상기 약제 불출 입력부(112)는 환자 등이 복약을 위한 약제를 취득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약 관리 장치 등으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버튼,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4)는 상기 본체부(110) 내에 배치되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보관 박스(2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제 보관 박스(2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114)는,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선의 경우, 유선 케이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의 경우,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4)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보관 박스(200)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보관 박스(200)는, 예를 들어, 약제 보관 박스 #1(220-1 내지 약제 보관 박스 #N(N은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보관 박스(200)는 복약 관리 장치(100)의 본체부(110) 내에 수용된 제1 약제와는 상이한 약제를 각각 보관 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각각의 약제 보관 박스(200)에는 환자 등이 복용하여야 할 약제 중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약제가 보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보관 박스(200)는, 환자 등이 1회 복용하여야 할 약제의 종류가 포장지에 밀봉 가능하도록 포장되는 약포형 약제, 상기 포장지에 밀봉 포장이 불가능한 앰퓰형 약제 및 바이알형 약제가 포함된 경우,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의 본체부(110)에는 약포형 약제를 보관하고, 약제 보관 박스 #1에는 앰퓰형 약제를 보관하는 동시에 약제 보관 박스 #2에는 바이알형 약제를 보관하여, 환자 등이 복약하여 할 약제가 누락되는 일 없이 정상적으로 복약되도록 하는 일종의 확장 개념의 약제 보관 박스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약포형 약제 밖에 제공할 수 없어 환자 등의 복약 관리를 정확히 지원할 수 없다는 종래의 복약 관리 장치의 문제점을 본 발명은 확장 개념의 약제 보관 박스 등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약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14)는 약제 보관 박스 #1 내지 약제 보관 박스 #N(N은 자연수)에 각각 포함되는 통신부 #1 내지 통신부 #N과 데이터 통신을 하여, 각각의 약제 보관 박스(200)가 보관하고 있는 약제의 정보, 즉, 약제의 종류, 수량 등에 관하여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4)와 상기 통신부 #1 내지 상기 통신부 #N과의 데이터 통신 결과는, 제어부(116)가 약제를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작을 실행하는데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제 불출 정보에 포함된 환자 등이 복약해야 할 약제의 모든 종류가 복약 관리 장치(100)에 보관된 제1 약제인 약포형 약제와 약제 보관 박스 #1에 보관된 앰퓰형 약제(이하 제2 약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약제가 불출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도 3은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 순서는,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및 약제 불출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미실행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통신부(114)는 병원, 병동 또는 약국 등에 구비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을 통해 일종의 환자의 처방전인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S100)할 수 있으며,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는 데이터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6)는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를 수신(S200)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를 불출시키거나 미불출시킬 수 있다(S300).
이하에서는, 제어부(116)에 의한 약제의 불출 또는 미불출되는 원리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S100 단계와 S200 단계는 작동 순서의 측면에서,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S200 단계가 S100 단계보다 이전에 진행되는 단계인 경우, 약제 불출 정보의 수신 단계는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상기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마다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6)는 S200 단계를 통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S300 단계에 포함된 각 단계를 통해 약제를 불출시키거나 미불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00 단계는 제어부(116)에 의해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 약제 보관 박스(200)로부터의 약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20), 제2 약제가 포함된 약제 보관 박스(20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 및 판단 여부에 따라 제2 약제를 불출시키는 단계(S340) 또는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300 단계에 포함되는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6)는,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S310)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의 발생은 환자 등이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동작시켜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환자 등이 아침에 복약해야 하는 약제가 있는 경우 복약할 약제를 불출시키기 위해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동작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는, 환자 등이 복약해야 할 약제의 정보가 포함된 처방전에 포함되어 있는 아침에 복약해야 할 약제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6)는 환자 등에 의해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통하여 아침에 복약할 약제의 불출을 위한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정보에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310)하게 된다.
판단 결과, 제어부(116)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2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11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에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 상기 통신부(114)를 통해 상기 약제 보관 박스(200)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수신(S320)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14)를 통한 상기 약제 보관 박스(200)로부터의 보관된 약제의 정보 수신 단계(S320)는, 제어부(116)가 S310 단계를 통해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된 경우에 진행되는 단계로,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되는 경우마다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통신부(114)를 통해 상기 약제 보관 박스(200)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2 약제가 포함된 약제 보관 박스(2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S3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제 보관 박스(200)가 서로 다른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 #1 내지 약제 보관 박스 #N(N은 자연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6)는, S320 단계를 통해 각각의 약제 보관 박스(200)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2 약제가 포함된 약제 보관 박스(2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S3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약제 보관 박스 #1 내지 상기 약제 보관 박스 #N(N은 자연수) 중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를 불출(S340)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약제 불출을 위한 단계를 환자 등이 아침에 복약해야 할 약제를 불출시키는 경우에 매칭시켜 다시 한번 설명한다.
이 경우, 약제 불출 정보(예: 처방전)에는 환자가 아침에 복약해야 할 약제가 제2 약제 만인 것으로 보며, 상기 약제 불출 정보는 통신부(114)를 통해 수신(S100)할 수 있으며,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는 데이터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약 관리 장치(100)의 본체부(110) 내에는 약포형 약제인 제1 약제가 보관되어 있으며,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14)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약제 보관 박스 #1 내지 약제 보관 박스 #N(N은 자연수) 중 약제 보관 박스 #1에 앰퓰형 약제가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환자 등은 아침에 복약을 위해 복약 관리 장치(100)의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통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116)는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를 수신(S200)하게 된다.
제어부(116)는,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제1 약제 이외에 제2 약제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S310)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약제 불출 정보에 포함된 아침에 복약할 약제의 정보이므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2 약제가 포함되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통신부(114)를 통해 약제 보관 박스 #1 내지 약제 보관 박스 #N(N은 자연수) 중에 제2 약제가 포함된 약제 보관 박스가 있는지 각각의 약제 보관 박스에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요청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약제 보관 박스 #1에 제2 약제가 보관되고 있다는 정보를 수신(S320, S330)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약제 보관 박스 #1로부터 제2 약제를 불출(S340)시킬 수 있으며, 환자 등은 불출된 상기 제2 약제를 복약할 수 있게 된다.
만약, S320 및 S330 단계에서, 약제 보관 박스 #1 내지 약제 보관 박스 #N(N은 자연수) 중 제2 약제가 보관된 것이 없거나, 있는 경우라도, 수량 측면에서 재고가 부족한 경우, 제어부(116)는, 제2 약제에 대한 불출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S350).
또한, 제어부(116)는 복약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14)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약제 보관 박스 자체가 없는 경우에도 제2 약제에 대한 불출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다만, 이경우, S350 단계에서 제어부(116)는 이에 대한 경고신호를 다양한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여 환자 등에게 알려주어 제2 약제가 포함된 새로운 약제 보관 박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제2 약제를 보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수단은 소리, 램프 등의 점등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경고신호는 환자 등에게 알려주는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병원 등의 서버 등에 전송되는 신호로 상기 환자의 복약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관리자가 제2 약제가 포함된 새로운 약제 보관 박스를 추가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약제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환자 등은 아침에 복약해야 할 약제가 있는 경우, 매일 정확한 시간에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통해 약제 불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16)는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오차 범위 내와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 불출 정보에 포함된 아침에 복약될 약제의 정보 중 시간에 대한 정보가 오전 9시인 경우, 오차범위가 1시간이고,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이 오전 8시부터 10시 이내인 경우, 제1 정보는 아침에 복약될 약제의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부(116)는 복약을 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에 대한 설명은 이미 기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S310 단계를 통해 제어부(116)가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312)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 불출 정보(예: 처방전)에는 환자가 아침에 복약해야 할 약제가 제1 약제 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116)는 S310 단계 및 S312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본체부(110)로부터의 제1 약제의 불출을 제어(S314)할 수 있다.
한편, S314 단계는, 제어부(116)가 본체부(110) 내에 보관된 제1 약제의 재고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재고가 부족한 경우, 제1 약제의 보충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16)에 의한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와는 달리, S310 단계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약제 불출 정보(예: 처방전)에 환자가 아침에 복약해야 할 약제가 제1 약제 및 제2 약제인 경우, 제어부(116)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및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및 상기 제2 약제의 불출 방법은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도 7은 상기 복약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 순서는,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00),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00),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00) 및 약제 불출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미실행시키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의 작동 순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의 작동 순서와 비교하여,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약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00)의 순서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S500 단계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S400 단계는 S100 단계와, S600 단계는 S200 단계와, S700 단계는 S320 단계를 제외한 S300 단계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하에서 언급하지 않은 단계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단계와 대응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통신부(114)를 통해 약제 불출 정보가 수신(S400)되면, 상기 통신부(11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에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 상기 통신부(114)를 통해 상기 약제 보관 박스(200)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수신(S500)한다.
여기서, 복약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1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약제 보관 박스(200)가 존재하는 경우, 약제 불출 입력부(112)를 통한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제어부(116)는 통신부(114)를 통하여 각각의 약제 보관 박스(200)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수신(S500)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6)는 도 8에 도시된 S710 단계 이후에 바로 제2 약제가 포함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100)에 의하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 및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이 필요한 약제를 정확하게 불출시켜 환자의 체계적인 복약 관리가 가능할 수 있으며, 통신부(11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약제 보관 박스로 인해 환자가 복약해야 할 약제의 종류 및 형태에 상관없이 복약 관리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복약해야 할 약제가 변경되는 경우라도 변경되는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를 추가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복약 관리 장치
110: 본체부
112: 약제 불출 입력부
114: 통신부
116: 제어부

Claims (14)

  1. 환자의 약제 복약을 관리하기 위한 복약 관리 장치에 있어서,
    약포형 약제인 제1 약제가 보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약제 불출 입력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에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포형 약제는,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에 밀봉되어 조제된 것이며,
    상기 제2 약제는,
    상기 포장지에 밀봉 포장이 불가능한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는 경우라도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2 약제 및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및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오차 범위 내와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8. 환자의 약제 복약을 관리하기 위한 복약 관리 장치에 있어서,
    약포형 약제인 제1 약제가 보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약제 불출 입력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약제를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보관된 약제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와 대응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정보에 제2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불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포형 약제는,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지에 밀봉되어 조제된 것이며,
    상기 제2 약제는,
    상기 포장지에 밀봉 포장이 불가능한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제의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는 경우라도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제1 약제 이외의 제2 약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2 약제 및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약제의 불출 및 상기 제2 약제가 보관된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상기 제2 약제의 불출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의 불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오차 범위 내와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보관 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약제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KR1020130167238A 2013-10-02 2013-12-30 복약 관리 장치 KR10218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38A KR102189692B1 (ko) 2013-12-30 2013-12-30 복약 관리 장치
CN201410143727.5A CN104512641A (zh) 2013-10-02 2014-04-10 用于服药的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38A KR102189692B1 (ko) 2013-12-30 2013-12-30 복약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26A KR20150078126A (ko) 2015-07-08
KR102189692B1 true KR102189692B1 (ko) 2020-12-11

Family

ID=5379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238A KR102189692B1 (ko) 2013-10-02 2013-12-30 복약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40B1 (ko) 2016-07-01 2018-04-25 박영세 활동감지 기반의 원격 복약 관리 시스템
KR101851942B1 (ko) 2017-11-09 2018-06-04 박영세 활동감지 기반의 원격 복약 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000A (ja) * 2003-02-18 2004-09-09 Tosho Inc 連結形薬剤分包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9228A1 (en) * 2004-04-24 2008-03-06 Christopher Bossi Operation Of A Remot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1342413B1 (ko) 2006-09-27 2013-12-17 신스케 모치즈키 세라믹스 피복금속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000A (ja) * 2003-02-18 2004-09-09 Tosho Inc 連結形薬剤分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26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10185A1 (en) In-home iot medication device
CN109119139B (zh) 可变剂量分配系统
JP7417134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AU2007351001B9 (en) Tablet dispenser system
JP5671045B2 (ja) 薬ディスペンサー
US6335907B1 (en) Package with integrated circuit chip embedded therein and system for using same
US20090299522A1 (en) Online smart pill box dispensing system
US9542533B2 (en) Medication dos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having customization and modification for medicine dispensing configurations
KR20140114218A (ko) 환자 관리 보조용 로봇 장치
KR101016438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TW200409621A (en) Pharmaceutical dispenser system
JPH0739573A (ja) 薬剤調合管理システム
KR102189692B1 (ko) 복약 관리 장치
JP7311747B2 (ja) 服薬指導支援システム、服薬指導支援プログラム
US20140006040A1 (en) Home healthcare system includ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of dispensing medicines
KR20170089623A (ko) 스마트 복약지도 케이스 및 그 관리방법
KR20160051534A (ko) 복약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시스템 및 방법
JP5072138B2 (ja) 薬歴管理システム
JP5967792B1 (ja) 薬袋服薬管理装置、薬袋服薬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60959A1 (en) Drug dispensing device, control program for drug dispen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control program
JP2017077258A (ja) 薬収納装置
KR100570463B1 (ko) 약제 분포기용 밀봉 장치
WO2016130109A1 (en) Drug dispenser
US11980591B1 (en) Smart pharmaceutical drug box
FI126336B (fi) Lääkejakelujärjestelm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