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434B1 - 세척 도구 - Google Patents

세척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434B1
KR102189434B1 KR1020200073601A KR20200073601A KR102189434B1 KR 102189434 B1 KR102189434 B1 KR 102189434B1 KR 1020200073601 A KR1020200073601 A KR 1020200073601A KR 20200073601 A KR20200073601 A KR 20200073601A KR 102189434 B1 KR102189434 B1 KR 10218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ol
waterproof layer
elastic body
waterproof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
Original Assignee
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민 filed Critical 홍민
Priority to KR102020007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33Household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in the house or di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제1 방수층;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방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방수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는 세척 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척 도구{A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세척 도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상의 표면에 생성된 물때 및 찌든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척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릇이나 컵과 같은 식기나,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된 세면대, 변기, 욕조 또는 타일 등은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재질의 질감으로부터 나오는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강도를 가지는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은 수분이 흡수되거나 표면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질의 소재로 된 유약을 얇게 피복하기 때문에 각종 세제나 청소 도구의 사용에 의해 부식되거나 표면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항상 수분에 노출되는 사용 환경적 특성상 수분이 건조하면서 표면에 물때가 쉽게 생성될 수 있다.
물때는 수돗물에 포함된 미량의 미네랄 성분이 각종 오염물질이나 세제와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한 침전물이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달라붙어 쌓이면서 생성되며, 일반적인 세제와 청소 도구로는 쉽게 제거할 수 없어 스크래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스크래퍼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블레이드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블레이드에 압력을 가하여 블레이드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통해 물때 등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도구로, 이러한 스크래퍼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1244호와 같이 블레이드가 형성된 스크래퍼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물때를 이루는 성분은 일반적인 세제로는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스크래퍼로는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생성된 물때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스크래퍼를 사용하여 물때 등을 제거하면 세라믹 재질의 마감 표면층 유약이 함께 제거되면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미세한 홈이 발생하게 되는데, 마감층 표면에 홈이 발생하면 홈에 물때가 쉽게 끼게 되고, 외관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2049702호는 스크래퍼, 스크래퍼가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와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그립으로 이루어지는 청소 도구의 스크래퍼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가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스크래퍼 끝단의 블레이드 양측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물때 제거 효과를 향상시킨 식기 또는 세면대 등 세라믹 재질 표면 물때 제거용 청소 도구를 개시한다.
다만, 이러한 청소 도구를 세제와 함께 적용하는 경우, 세제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크래퍼와 세척 대상의 계면에 세제 및 세제에서 유래한 거품을 균일하게 개재시키기 어렵고, 거품이 발생하기도 전에 세제가 스크래퍼에 의해 제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프래퍼 끝단의 블레이드의 양측면에 위치한 다수의 요철은 일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때 제거시 청소 도구를 특정 방향으로 적용할 수 밖에 없는, 즉, 청소 도구의 적용 방향이 상기 요철의 방향에 의해 제한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방향에 따른 제약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척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제1 방수층;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방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방수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는 세척 도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내부에 지지체가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각각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각각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의 두께는 각각 0.1~1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층의 표면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 돌기의 높이는 0.1~1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도구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통공의 단면적의 비율은 0.01~0.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도구는, 상기 세척 도구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척 도구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제1 방수층;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방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방수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그립없이 손으로 직접 쥐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감이 우수하고, 세제와 함께 적용 시 거품을 용이하게 발생시키는 등 세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세척 도구 중 방수층의 표면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방향에 따른 제약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돌기의 평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척 도구(100)는, 탄성체(110); 상기 탄성체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제1 방수층(120);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130)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방수층(14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방수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는 상기 세척 도구에 쿠셔닝, 형상복원 및 형상가변 특성을 제공하는 연질 소재, 바람직하게는, 다공질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의 다공질 소재는, 예를 들어, 스폰지, 고무, 부직포, 직물, 발포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폰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체(110)는 세척 대상의 표면 형상에 맞추어 세척 도구의 형태가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고, 세척 대상의 표면과 상기 제1 방수층(120)의 밀착력을 강화하여 물때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세척 도구(100)를 사용하여 식기 내부의 물때를 제거하는 경우 식기의 측면과 바닥면의 경계부에 작은 곡률 반경을 이루는 곡면이 형성되는데, 식기 내부의 곡면 세척시 상기 탄성체(110)는 식기 내부의 곡면 형상에 따라 변형되면서 상기 제1 방수층(120)이 식기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물때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체(110)의 내부에 지지체(150)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50)는 코일, 판, 막대, 구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지체(150)는, 필요에 따라, 상기 탄성체의 내부에 2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150)는, 상기 탄성체(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내장되거나, 상기 탄성체(110)의 면적 방향(또는 직경 방향)을 따라 내장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탄성체(110)의 두께 방향 및 면적 방향(또는 직경 방향)을 따라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체(150)는 상기 탄성체(110)에 의한 쿠셔닝, 형상복원 및 형상가변 특성을 더 강화시킬 수 있고, 특히, 연질의 다공질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탄성체(110)의 내구성을 보완, 강화시킬 수 있다.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 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는 유리질의 소재로 된 유약을 얇게 피복하여 수분이 흡수되거나 표면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인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된 스크래퍼 및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세라믹 재질로 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물때를 제거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유약 표면층이 손상되기 쉽고, 블레이드와의 접촉부에 마찰이 발생하여 세척 도구를 사용하는데 큰 힘이 들어가며, 블레이드가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물때를 쉽게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1 방수층(120)은 세척 대상의 표면에 밀착, 접촉하여 물때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층(120)은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비투습성"은 물, 수분, 습기가 실질적으로 통과, 투과하지 않도록 하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투습성 소재는 비다공질 및/또는 다공질일 수 있다. 상기 비투습성 소재가 다공질인 경우, 기공의 최소 크기는 세척, 청소 시 발생하는 물, 수분, 습기의 액적(droplet)의 최소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수층(120)은 에틸렌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스킨층을 포함하는 PBL(Plastic Barrier Lami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BL은 연질 소재로, 내식성이 강하여 상기 세척 도구(100)를 사용하여 물때를 제거할 때 물때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나 각종 오염물질이 상기 제1 방수층(120)의 표면에 쉽게 전이,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PBL은 주로 치약 또는 화장품 등의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데, 치약 또는 화장품을 소진한 후 폐기되는 용기를 그대로 재사용하거나, 적절한 후처리를 거쳐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세척 도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PBL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방수층(120)은 세척 대상과의 마찰력을 경감시킬 수 있고, 단단한 표면을 가지면서도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세척 도구를 사용하여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곡면에 밀착시켜 표면에 생성된 물때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수층(120)은 세척 대상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 후 손상된 표면에 물때가 재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도구(100)는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130)은 상기 탄성체(110)에 의한 상기 세척 도구의 쿠셔닝, 형상복원 및 형상가변 특성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은 상기 세척 도구(100)의 표면적을 전체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세척 후 상기 세척 도구(100)의 표면 및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이 더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도구(100)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통공(130)의 단면적의 비율은 0.01~0.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공(130)의 직경은 상기 세척 도구의 직경의 0.01~0.5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공의 직경이 상기 세척 도구의 직경의 0.01배 미만이면 세척 도구의 쿠셔닝, 형상복원 및 형상가변 특성을 강화시키기 어렵고, 0.5배 초과이면 세척 대상과 접촉하는 상기 제1 방수층(12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세척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통공(13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방수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층(140)은 상기 통공의 내벽을 통해 수분이 상기 탄성체(1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표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별도의 그립없이 손으로 직접 쥐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제와 함께 적용 시 거품을 용이하게 발생시키는 등 세제와의 상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층(140) 또한 상기 제1 방수층(120)과 같이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비투습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수층(140)은 에틸렌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스킨층을 포함하는 PBL(Plastic Barrier Lami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BL은 연질 소재로, 내식성이 강하여 상기 세척 도구(100)를 사용하여 물때를 제거할 때 물때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나 각종 오염물질이 상기 제2 방수층(140)의 표면에 쉽게 전이,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 방수층(140)은 상기 제1 방수층(12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방수층(120)과 상기 제2 방수층(140)은 동종 및/또는 동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사이에 임의의 이격없이 접착, 실링, 절곡과 같은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120, 140)의 두께는 각각 0.1~10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1 방수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PBL을 구성하는 코어층 및/또는 스킨층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mm 초과이면 사용감, 세제와의 상용성 및 그에 따른 세척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층(140)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상기 탄성체(110)에 의한 상기 세척 도구의 쿠셔닝, 형상복원 및 형상가변 특성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은 상기 세척 도구를 별도의 그립없이 손으로 직접 쥐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제와 함께 적용 시 거품을 용이하게 발생시키는 등 세제와의 상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은 2 이상의 단위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요철의 높이는 상기 통공(130)의 반경의 0.01~0.5배일 수 있고, 상기 단위 요철의 너비는 상기 통공(130)의 높이의 0.01~0.5배일 수 있다. 상기 단위 요철은 미리 정해진 높이 및 너비로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주름과 같은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제는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의 내부에 적절히 분산되어 있거나,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의 표면에 적절히 도포되거나,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무기계 항균제, 유기계 항균제, 금속계 항균제, 암모늄염계 항균제, 구아니딘계 항균제, 구리 화합물계 항균제, 서방성 고분자 항균제, 천연물계 항균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계 항균제는 주로 액상 상태로 되어 있고, 살균보다는 세균의 군락(colony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즉각적인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항균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다만, 항균력의 지속성이 일시적이고, 고온 조건에서는 상기 유기계 항균제가 열분해될 수 있어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내성균을 발생시킬 수 있고, 급성독성이 높기 때문에 인체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항균제는 치아벤다졸계, 이소치아졸계, 징크 피리치온계, 이미다졸계, 카벤다졸계, 트리콜론산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물계 항균제는 일상 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물질로,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유발함은 물론 인체 안전성이 가장 우수하나, 내열성 및 광 안정성이 낮아 적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이고, 사용량 대비 항균 효능이 떨어져, 항균제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천연물계 항균제의 종류가 목단피, 자몽종자, 대나무, 무화과, 쑥, 알로에, 단삼, 피톤치드, 녹차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초기 항균력이 낮으나 상기 유기계 항균제와 달리 인체 안전성 및 열 안정성이 높고, 내성균이 발생되지 않으며, 항균 지속성이 거의 반영구적이므로, 그 사용범위가 상기 유기계 항균제에 비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등과 같은 무기 담체에 은(Ag), 아연(Zn), 구리(Cu), 망간(Mn) 등과 같이 항균 활성이 우수한 금속 이온을 치환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미세한 기공을 가진 3차원의 골격 구조를 가지므로 비표면적이 크고 내열성이 우수하다. 특히, 제올라이트계 항균제는 상기 금속 이온의 담지율이 높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계 항균제는 기타 항균제에 비해 변색 문제가 없고, 높은 항균력, 높은 안전성, 낮은 입자 경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인산칼슘계 항균제는 치환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가 낮아 항균력이 상기 제올라이트계 항균제에 비해 치환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가 낮아 항균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 금속 이온은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은(Ag)일 수 있다. 상기 은(Ag)은 항균 활성이 뛰어나고 인체에 무독성, 무자극성이며 화학적으로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은 이온이 방출될 수 있어 항균 지속성이 우수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세척 도구(100)는, 탄성체(110); 상기 탄성체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구비된 제1 방수층(120);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130)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표면에 제2 방수층(14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방수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 상기 세척 도구(100)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된 제1 방수층(120) 및 측면에 구비된 제1 방수층(120)의 경계, 및/또는 (2) 상기 세척 도구(100)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된 제1 방수층(120) 및 상기 통공의 표면에 구비된 제2 방수층(140)의 경계는 연질의 부재로 이루어진 실링부(16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60)의 경도는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의 경도보다 작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1) 및/또는 (2)에 따른 경계에 집중된 응력에 의해 상기 세척 도구(100)의 쿠셔닝, 형상복원 및 형상가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보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을 수 있는 외상의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160)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링부의 경도를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의 경도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방수층(120)이 물때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실링부(160)가 세척 대상의 물기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60)는 상기 세척 도구(100)와 가변적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세척 도구(100)는, 탄성체(110); 상기 탄성체의 상면 중 일부에 구비된 제1 방수층(120);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130)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표면에 제2 방수층(14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방수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돌기의 평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방수층(120)의 표면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선형 돌기"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선형 패턴을 가지는 돌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형 패턴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종래의 세척 도구에서 이러한 요철은 일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때 제거시 세척 도구를 특정 방향으로 적용할 수 밖에 없는, 즉, 세척 도구의 적용 방향이 상기 요철의 방향에 의해 제한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상기 제1 방수층(120)의 표면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방향에 따른 제약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돌기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상이한 방향"은, (1) 2 이상의 직선형 돌기가 상호 평행이 아닌 경우(도 5(a) 및 5(b)), (2) 1 이상의 직선형 돌기가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경우(도 5(c)), (3) 1 이상의 곡선형 돌기의 임의의 2개의 지점에서의 접선이 상호 평행이 아닌 경우(도 5(d))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선형 돌기의 높이는 0.1~10mm일 수 있다. 상기 선형 돌기의 높이는, 예를 들어, PBL을 구성하는 코어층 및/또는 스킨층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선형 돌기의 높이가 0.1mm 미만이면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10mm 초과이면 상기 세척 도구를 별도의 그립없이 손으로 직접 쥐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돌기는 상기 제1 방수층(120)의 표면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방수층(14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세척 도구는, 상기 세척 도구를 고정하는 고정부(200),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손잡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도구(100)는 탈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200)와 분리형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러한 분리형 구조는 상기 고정부(20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상기 세척 도구(100)를 끼워 넣는 슬라이딩 방식, 상기 고정부(200)와 상기 세척 도구(100) 사이의 공차를 이용한 억지끼움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로부터 상기 세척 도구(100)를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방수층(120)이 마모됨에 따라 물때 제거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세척 도구(100) 부분만을 교체하여 물때 제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세척 대상의 종류에 따라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한 세척 도구(100)를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세트화하여 세척 도구(100)의 유지관리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300)는 막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도 6(a)), 필요에 따라, 미리 정해진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패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6(b)). 또한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고정부(2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호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세척 도구(100)는, 섬유 원단으로 이루어진 세척 패드(400)의 내부에 봉입될 수 있다.
상기 세척 패드(400)는 세척물, 즉, 식기에 적용하여 비비거나, 문지르면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세척 패드(400)는 단일 섬유 원단이 절첩 및 봉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원단을 접거나 포개어, 그 가장 자리를 봉제할 수 있고, 이 때, 세척 도구 투입부(410)를 제외하고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 원단은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는 외층 및 상기 외층 사이에 개재된 내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층이 상기 내층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호 평행한 외층 및 상기 외층 사이에 개재된 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층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내층의 원사는 느슨한 구조로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원사 사이에 공간, 즉, 공극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극에 의해 거품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일층으로 직조되었음에도 2개의 외층이 내층에 의해 연결된 입체 구조를 가지므로 원단을 3층 이상으로 적층한 경우와 같은 쿠션감을 부여하여 내구성 및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외층은 그물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척 패드는 세척 중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세척 후 오염 물질이 잔류할 수 있어 세균 번식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나아가, 세균 번식된 세척 패드로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 세균에 대한 노출 및 감염 위험이 높아지고, 특히, 노약자 및 어린이 등 면역력이 낮은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그물형 구조를 가지는 외층은 세척 패드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 패드가 위생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원단은 폴리에스터 원사, 폴리프로필렌 원사, 폴리에틸렌 원사, 저밀도 폴리에틸렌 원사, 고밀도 폴리에틸렌 원사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섬유 원단은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제는 상기 섬유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내부에 적절히 분산되어 있거나, 상기 원사의 표면에 적절히 도포되거나,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원단의 두께는 1~10mm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원단의 두께가 1mm 미만이면 세척력이 저하될 수 있고, 10mm 초과이면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져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원단의 공극률은 10~50부피%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원단의 공극률이 10부피% 미만이면 세척력이 저하될 수 있고, 50부피% 초과이면 세척 패드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세척 패드(4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세척 도구 투입부(410)를 통해 상기 세척 도구(100)를 상기 세척 패드(40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세척 패드(400)의 내부에 상기 세척 도구(100)를 봉입시키면, 상기 세척 도구(100)를 물때 제거뿐만 아니라 설거지, 세차, 물청소와 같은 일반적인 용도로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 패드(400)에 의해 거품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어, 세척 시 사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척 도구는 세제 또는 표백제 사용량을 줄이거나 세제 또는 표백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세척 대상에 생성된 물때 및 기타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세제 등의 사용에 따른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표백제 노출에 의한 피부 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세척 도구
110: 탄성체
120: 제1 방수층
130: 통공
140: 제2 방수층
150: 지지체
160: 실링부
200: 고정부
300: 손잡이
400: 세척 패드

Claims (10)

  1.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제1 방수층;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제1 방수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방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방수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세척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내부에 지지체가 내장된, 세척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일체로 이루어진, 세척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각각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진, 세척 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은 각각 항균제를 포함하는, 세척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수층의 두께는 각각 0.1~10mm인, 세척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층의 표면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하는, 세척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돌기의 높이는 0.1~10mm인, 세척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도구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통공의 단면적의 비율은 0.01~0.5인, 세척 도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도구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세척 도구.
KR1020200073601A 2020-06-17 2020-06-17 세척 도구 KR10218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01A KR102189434B1 (ko) 2020-06-17 2020-06-17 세척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01A KR102189434B1 (ko) 2020-06-17 2020-06-17 세척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434B1 true KR102189434B1 (ko) 2020-12-11

Family

ID=7378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601A KR102189434B1 (ko) 2020-06-17 2020-06-17 세척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4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059A (ja) * 2002-10-18 2004-05-13 Hidetoshi Fujimiya たわし
JP2004209107A (ja) * 2003-01-08 2004-07-29 Kao Corp 清掃用具
JP2017158821A (ja) * 2016-03-10 2017-09-14 小川 修 スポンジ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059A (ja) * 2002-10-18 2004-05-13 Hidetoshi Fujimiya たわし
JP2004209107A (ja) * 2003-01-08 2004-07-29 Kao Corp 清掃用具
JP2017158821A (ja) * 2016-03-10 2017-09-14 小川 修 スポンジホルダ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043B2 (en) Multi purpose cleaning product including a foam and a web
EP0066463B1 (en) Article carrying active material
JP4014214B2 (ja) 使い捨て食器ケア及び硬質表面洗浄ワイプ
EP1458501B1 (en) Dual sided disposable cleaning cloth
WO2006014202A1 (en) Kits of foam based cleaning elements
US20090276971A1 (en) Cleaning sponge
JP2005528945A (ja) メラミンフォームシート用品とその製造方法
FI92012B (fi) Hankaustyyny
KR20190055114A (ko) 질감 있는 세정 용품
MXPA06015101A (es) Producto de limpieza para almacenar y sujetar bloques de limpieza o panos limpiadores.
CA2508110A1 (en) Disposable scrubbing product
KR20150067213A (ko) 개인 위생 세정 용품
US5403642A (en) Flexible honeycomb article for scrubbing, bathing, washing and the like
WO2006124043A3 (en) Personal care and surface cleaning article
KR20150023347A (ko) 관통 공동을 갖는 스펀지
KR102189434B1 (ko) 세척 도구
WO2005113233A3 (en) Personal care and surface cleaning article
KR102339622B1 (ko) 세척 도구
JP2015221119A (ja) スポンジたわし
CN208676514U (zh) 清洁部件
CN108813909B (zh) 清洁部件
US20100229320A1 (en) Cleaning implement
KR102398287B1 (ko) 용기 일체형 세척 도구
TWI588254B (zh) Water soap
JP3151276U (ja) 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