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351B1 -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351B1
KR102189351B1 KR1020180170082A KR20180170082A KR102189351B1 KR 102189351 B1 KR102189351 B1 KR 102189351B1 KR 1020180170082 A KR1020180170082 A KR 1020180170082A KR 20180170082 A KR20180170082 A KR 20180170082A KR 102189351 B1 KR102189351 B1 KR 10218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lm paper
terminal
case
stor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537A (ko
Inventor
홍승현
전다경
Original Assignee
홍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현 filed Critical 홍승현
Priority to KR102018017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3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플래쉬가 노출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를 제외한 일면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의 바닥에 보관홀을 더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서 양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힌지회전하여 탈착되는 케이스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체, 및 상기 보관홀에 삽입보관되는 적색의 필름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지는 상기 보관홀에 삽설되어 그 상부를 상기 케이스 덮개부로 덮어 보관하고, 사용시는 상기 케이스 덮개부를 열고 상기 필름지를 상기 통공부에 삽설한 다음 사용하게 구성함으로써

Description

단말기 케이스{TERMINAL CASE}
본 발명은 몰카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몰래카메라 탐지용 필름을 내장하고 필요한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몰래카메라를 탐지하거나 또는 여러 종류의 필터로 구성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해당 필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 탐지기는 탐지기의 센서가 어떤 특정한 주파수에 대해서 반응하는 것으로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가 동작할 때 나오는 신호를 하울링(HOWLING)의 원리로 탐색해 낸다. 여기서 하울링이란, 보통 마이크를 스피커에 가까이 가져가면 미세한 소음이 마이크와 스피커를 순환하면서 점점 커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가 동작할 때 나오는 특정 주파수(100~780MHz)의 미세한 신호가 계속 반복되면서 증폭하게 되면, 탐지기의 센서가 이를 탐지하게 된다.
종래에는 탐지기를 따로 가지고 다니면서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를 탐지했다.
이러한 종래의 탐지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부와,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를 탐지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센서와,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를 탐지했을 때 벨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알리기 위한 경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가 의심되는 장소에서 탐지기의 전원부 스위치를 켠후, 센서부의 안테나를 뽑고 의심나는 장소근처로 안테나를 향하게 하면, 보통 2~3미터정도까지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경보음부에서 진동이나 벨소리 또는 램프를 통하여 알려주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초소형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화장실, 탈의실 또는 호텔 등과 같은 장소들에 설치해 놓고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장소들의 내부 상황을 엿보거나 청취하고, 이를 녹화 또는 녹취하여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태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몰래 카메라 전용 탐지기를 별도로 구매하여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652654호(2006.11.2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간단한 필름을 부착하여 몰래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 앞에 장착하여 카메라 렌즈 필터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스내의 몰래카메라용 필름과 필터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에 신용카드나 명함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플래쉬가 노출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를 제외한 일면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의 바닥에 보관홀을 더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서 양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힌지회전하여 탈착되는 케이스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체, 및 상기 보관홀에 삽입보관되는 적색의 필름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지는 상기 보관홀에 삽설되어 그 상부를 상기 케이스 덮개부로 덮어 보관하고, 사용시는 상기 케이스 덮개부를 열고 상기 필름지를 상기 통공부에 삽설한 다음 사용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필름지는 상기 보관홀의 양단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보관홀에 삽입보관되거나 또는 보관홀에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통공부를 감싸도록 동작하거나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구성하며, 상기 보관홀에 삽입보관되거나 또는 보관홀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통공부를 감싸도록 동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의 필름지는 적색의 셀로판지, 적색의 아크릴판, 또는 적색의 PV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고, 케이스 덮개부는 삽입홈과 대향하는 면에 하나 이상의 포켓이 형성되게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플래쉬가 노출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를 제외한 일면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의 바닥에 보관홀을 더 형성하고, 양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에서 양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힌지회전하여 탈착되는 케이스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체, 및 상기 보관홀의 양단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보관홀에 삽입보관되거나 또는 보관홀에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분리되어 상기 통공부를 감싸도록 동작하는 필터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지는 상기 보관홀에 삽설되어 그 상부를 상기 케이스 덮개부로 덮어 보관하고, 사용시는 상기 케이스 덮개부를 열고 상기 필터지를 회전시켜 상기 통공부에 삽설한 다음 사용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덮개부는 삽입홈과 대향하는 면에는 하나 이상의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홀은 상기 필터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에는 필터지가 삽설되는 소정 두께의 홈이 생성되고, 상방향으로는 상기 홈의 연장축이 상기 통공부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필터지가 회전되어 통공부에 삽설되는 경우 필터지의 힌지축부분을 연장축이 일부 지지하도록 동작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에 의하면, 스마트폰 케이스에 간단한 필름을 부착하여 몰래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몰카로 인한 두려움을 없애고, 간단한 장치로 몰카를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에 의하면, 스마트폰 케이스에 간단한 필터지를 부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한 필터를 간단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에 의하면, 몰래카메라용 필름과 필터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에 신용카드나 명함 등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의 단면도,
도 3은 필름지를 삽입홈에 장착한 상태의 케이스의 확대 도면,
도 4는 도 4의 필름지를 통공부에 삽설한 상태의 케이스의 확대 도면,
도 5는 필름지의 확대 도면,
그리고
도 6은 케이스 덮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폰과 같은 촬영장치가 구비된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케이스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렌즈(210)와 플래쉬(220)가 노출되는 통공부(120)가 형성되고 통공부(120)를 제외한 일면에 삽입홈(140)을 형성한다.
삽입홈(140)은 몸체(1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로 함몰부로 구성되고, 그 단부에는 양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힌지회전하여 탈착되는 케이스 덮개부(150)를 구비한다.
케이스 덮개부(150)는 신용카드 또는 명함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한다.
도 6의 케이스 덮개부의 확대 사시도를 참고하면, 덮개부(150)의 내측 즉 삼입홈의 대향면에 포켓(153)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덮개부(150)의 양단부에는 힌지축(154)이 구성되어, 삽입홈(140)의 힌지홀(114)에 삽설되어 회전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덮개부(150)는 삽입홈(140) 내에 보관중인 필름부(16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나, 회전 각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삽입홈(140)에는 몰래카메라를 적발하기 위한 필름지 또는 카메라 촬영시 보정 기능의 필터지를 보관하는 보관홀(130)이 형성된다.
보관홀(130)은 필름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에는 필름지가 삽설되는 소정 두께의 보관홈(131)을 형성하고, 상방향으로는 보관홈(131)의 연장면(122)이 통공부(120)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필름지가 회전되어 통공부(120)에 삽설되는 경우 필름지의 힌지부분을 연장면(122)이 일부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는 필름지의 재질과 두께를 감안할 때, 보관홀에서 끄집어내어 사용하고자 할 때 통공부(120)로 바로 회전시켜 안착시키면 필름지가 안착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이탈할 수가 있으므로, 연장면(122)이 필름지의 축 부분을 일부 지지하여 안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통공부(120)는 단말기의 카메라(220)와 플래쉬(210)가 노출되어야 하므로 통공된 것이나, 보관홈(131)과 연장면(122)은 삽입홈(140)의 표면에서 수정 뚜께로 홈을 형성하여 필름지(160)가 삽설되도록 구성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보관홀(130)의 홈 깊이(h2)는 필름지(160)의 두께(h1)보다 같거나 깊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삽입홈(140)은 몸체(110)의 표면으로부터 h3의 깊이만큼 홈을 형성한다.
필름지(160)는 보관홀(130)에 삽설되어 그 상부를 케이스 덮개부(150)로 덮어 보관하고, 사용시는 케이스 덮개부(150)를 열고 필름지를 통공부(120)에 삽설한 다음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즉 필름지는 보관홀(130)의 양단에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보관홀(130)에 삽입보관되거나 또는 보관홀(130)에서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통공부(120)를 감싸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도 3의 필름지를 삽입홈에 장착한 상태의 케이스의 확대 도면을 참고하면, 몸체의 일측에 힌지공(123)이 형성되고 힌지공(123)에 필름지의 힌지축(161)이 삽설되어 회전하는 것이다.
도 3은 케이스의 힌지공(123)에 필름지(160)의 힌지축(161)이 삽설되고 보관홀(130)에 필름지(160)가 보관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보관홈(131)의 연장면(122)이 통공부(120)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필름지가 회전되어 통공부(120)에 삽설되는 경우 필름지의 힌지부분을 연장면(122)이 일부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에 단말기를 끼운 상태에서 통공부(120)의 위치에 단말기의 카메라와 플래쉬가 위치하여야 하므로, 도면과 같은 형상의 단말기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케이스를 도면과 같이 구성하여 단말기에서 노출되는 면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재략 "T"자와 같은 형상의 필름지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과 같이 카메라도 하나 이상 직렬로 구성하거나 병렬로 구성하여 다양한 촬영기능을 부가하는 단말기가 생산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필름지(160)를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구성하며, 보관홀(130)에 삽입보관되거나 또는 보관홀(130)에서 슬라이딩되어 통공부(120)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때도 보관홀은 힌지방식의 보관홀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필름지(160)는 적색의 셀로판지, 적색의 아크릴판, 또는 적색의 PV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여, 적외선을 방출하는 몰래카메라를 적발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즉 필름지를 적색으로 사용하고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 부분을 동시에 가린 다음 플래쉬를 이용하여 촬영하면 적색으로 빛나는 물체가 확인되면 몰래카메라로 적발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도 4의 필름지를 통공부에 삽설한 상태의 케이스의 확대 도면을 참고하면, 필름지(160)를 힌지축(161)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단말기의 카메라(220)와 플래쉬(210)가 위치하고 있는 통공부(120)에 삽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는 몰래카메라를 적발하기 위한 용도외에 일반 카메라에 사용되는 필터지를 구성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한 필터를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기본적인 구성은 필름지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의 카메라렌즈(220)와 플래쉬(210)가 노출되는 통공부(120)가 형성되고, 통공부(120)를 제외한 일면에 삽입홈(140)을 형성하고, 삽입홈(140)의 바닥에 보관홀(130)을 더 형성하고, 양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삽입홈(140)에서 힌지회전하여 탈착되는 케이스 덮개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체(110)와 보관홀(130)의 양단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보관홀(130)에 삽입보관되거나 또는 보관홀에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분리되어 통공부(120)를 감싸도록 동작하는 필터지로 구성하고, 상기 필터지는 보관홀(130)에 삽설되어 그 상부를 케이스 덮개부(150)로 덮어 보관하고, 사용시는 케이스 덮개부(150)를 열고 필터지를 회전시켜 통공부(120)에 삽설한 다음 사용하면 된다.
이때도 케이스 덮개부(150)는 삽입홈과 대향하는 면에 하나 이상의 포켓(153)을 구성하여 신용카드 등을 삽입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보관홀은 상기 필터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에는 필터지가 삽설되는 소정 두께의 홈이 생성되고, 상방향으로는 상기 보관홈의 연장면이 상기 통공부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필터지가 회전되어 통공부에 삽설되는 경우 필터지의 힌지축부분을 연장면이 일부 지지하도록 동작하게 하여야 한다.
카메라 필터란, 렌즈 앞에 장착하여 부가적인 효과를 더해주는 액세서리이며 일반적으로 렌즈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진은 빛이 좋으면 어느 정도는 성공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불필요한 광선은 걸러줘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불필요한 빛을 필터링해주고 좋은 빛만 투과시키는 액세서리가 바로 렌즈 필터이다. 불필요한 빛은 필터링하고, 광량은 감소시키고 인위적으로 효과를 더해 촬영에 대한 쏠쏠한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 필터이다.
이러한 필터에는 태양광선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빛의 자외선을 흡수해주면서 가시광선만 투과시키는 필터로서, 렌즈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UV 필터와, 표면을 멀티 코팅 처리하여 빛의 투과율을 높인 필터로 필터링 능력을 향상시킨 필터인 MC UV 필터 그리고 일명 편광필터라고 하며 두 장의 필터로 구성되어 특정한 빛만 투과하여 빛의 반사를 차단하여 이미지를 맑고 푸르게 표현하도록 해주는 필터인 PL /CPL 필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단말기 케이스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단말기에 본 발명의 케이스를 장착하되, 단말기의 카메라와 플래쉬가 몸통의 통공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덮개부(150)를 열어 포켓(153)에 신용카드나 명함을 삽설하여 사용하다가, 몰래카메라가 있을 경우로 의심되는 경우에 덮개부(150)를 열어 보관홀(130)에 보관중인 필름부(160)를 회전시켜 통공부(12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플래쉬를 온(On)한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하여 의심스러운 곳을 영상으로 촬영한다. 그때 '반짝' 하면서 빛을 내는 물체가 확인된다면 그것이 바로 몰카다. 카메라에 붉은빛이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몰래카메라가 탐지되면 해당 몰래카메라를 제거하고, 또 의심스러운 곳을 촬영하면 된다. 몰래카메라 탐지가 완료된 경우에는 통공부(120)에 위치한 필름부(160)를 회전시켜 다시 보관홀(130)에 삽설되어 보관하고, 덮개부(150)를 덮어 보관하면 된다.
또한, 단말기의 카메라와 플래쉬가 몸체의 통공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를 장착하고, 덮개부(150)를 열어 포켓(153)에 신용카드나 명함을 삽설하여 사용하다가, 필터지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덮개부(150)를 열어 보관홀(130)에 보관중인 필터지를 회전시켜 통공부(12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촬영한 다음, 촬영이 완료된 경우에는 통공부(120)에 위치한 필터지를 회전시켜 다시 보관홀(130)에 삽설되어 보관하고, 덮개부(150)를 덮어 보관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몸체
120 : 통공홀
123 : 힌지공 130 : 보관홀
131 : 보관홈 140 : 삽입홈
150 : 덮개부 160 : 필름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말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플래쉬가 노출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를 제외한 일면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의 바닥에 보관홀을 더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서 양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힌지회전하여 탈착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체;및
    상기 보관홀에 삽입보관되는 적색의 필름지;
    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홀은
    상기 필름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에는 필름지가 삽설되는 소정 두께의 홈을 형성하고, 상방향으로는 상기 홈의 연장면이 상기 통공부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필름지가 회전되어 통공부에 삽설되는 경우 필름지의 힌지축부분을 연장면이 일부 지지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필름지는
    상기 보관홀의 양단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보관홀에 삽입보관되거나 또는 보관홀에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통공부를 감싸도록 동작하고, 상기 보관홀에 삽설되어 그 상부를 상기 덮개부로 덮어 보관하고, 사용시는 상기 덮개부를 열고 상기 필름지를 상기 통공부에 삽설한 다음 사용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의 필름지는
    적색의 셀로판지, 적색의 아크릴판, 또는 적색의 PV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삽입홈과 대향하는 면에는 하나 이상의 포켓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케이스.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70082A 2018-12-27 2018-12-27 단말기 케이스 KR10218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82A KR102189351B1 (ko) 2018-12-27 2018-12-27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82A KR102189351B1 (ko) 2018-12-27 2018-12-27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37A KR20200080537A (ko) 2020-07-07
KR102189351B1 true KR102189351B1 (ko) 2020-12-09

Family

ID=7160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082A KR102189351B1 (ko) 2018-12-27 2018-12-27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98B1 (ko) * 2020-06-22 2020-08-31 양현석 카메라가 장착된 기기용 카메라 커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20B1 (ko) 2006-12-09 2007-06-11 주식회사 휴민트 몰래카메라 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200466864Y1 (ko) 2013-02-01 2013-05-16 박근영 플래시 광량 조절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70276Y1 (ko) * 2012-06-29 2013-12-06 애플민트플랫폼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85658Y1 (ko) 2016-02-01 2018-03-22 이근성 망원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918855B1 (ko)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54B1 (ko) 2004-08-1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몰래카메라 검출 기능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86431A (ko) * 2012-12-28 2014-07-08 정준엽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필터 및 카메라 필터 장치
KR101468304B1 (ko) * 2013-05-07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1513356B1 (ko) * 2013-08-29 2015-04-21 김재욱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50127478A (ko) * 2014-05-07 2015-11-17 김봉기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60116559A (ko) * 2015-03-30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80076108A (ko) * 2016-12-27 2018-07-05 장춘환 슬라이드 방식 스마트폰 카메라 필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20B1 (ko) 2006-12-09 2007-06-11 주식회사 휴민트 몰래카메라 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200470276Y1 (ko) * 2012-06-29 2013-12-06 애플민트플랫폼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66864Y1 (ko) 2013-02-01 2013-05-16 박근영 플래시 광량 조절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85658Y1 (ko) 2016-02-01 2018-03-22 이근성 망원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918855B1 (ko)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37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1644T3 (es) Método de fotografía y terminal
KR102088843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US10114271B2 (en) Mobile device photography apparatus for even illumination
RU2437241C2 (ru)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складного типа с камерой
US20080304819A1 (en) Thin active camera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0844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3040252A1 (ko)
KR102189351B1 (ko) 단말기 케이스
US20190018305A1 (en) Case for smart phone & tablet with privacy capability to cover the front and back cameras (No Spy cover case/ No Snoop cover case)
FR3040847A1 (ko)
JP2008535315A (ja) 大きなセンサを備えるカメラ電話
ES2610787B1 (es) Dispositivo para evitar el uso remoto y efectivo de la cámara y micrófono de teléfonos móviles
JP2016023892A (ja) 冷蔵庫
US94955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bservation of password entry using face detection
US20200203972A1 (en) Privacy charg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20210089516A (ko) 클립형 몰카 탐지기
JP2002354082A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KR20160010778A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06238387A (ja) 電子機器のアダプタ取着用の取り付け具および撮像装置付き携帯電話機のアダプタ取着用の取り付け具
KR20040038021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JP3205916U (ja) 携帯情報機器用のレンズカバー兼用ケース
RU2007113953A (ru)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JP2007208858A (ja) 携帯型電子機器
US11006213B1 (en) Shower entertainment system
KR101410886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