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265B1 -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265B1
KR102189265B1 KR1020200053311A KR20200053311A KR102189265B1 KR 102189265 B1 KR102189265 B1 KR 102189265B1 KR 1020200053311 A KR1020200053311 A KR 1020200053311A KR 20200053311 A KR20200053311 A KR 20200053311A KR 102189265 B1 KR102189265 B1 KR 10218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sound
output
management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원
Original Assignee
강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원 filed Critical 강순원
Priority to KR102020005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5Commerc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au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관리되어 원격으로 사용자가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출력단말기 및 출력단말기를 제어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출력단말기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기록하여 상기 음파와 관련된 음파 정보를 출력하는 음파 기록부, 음파 기록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음파 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를 포함하고, 관리서버는 제2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음파 정보와 출력단말기로 송신한 음향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출력단말기의 문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Digital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network-based digital remote maintenanc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관리되어 원격으로 사용자가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아파트, 백화점, 사무공간 등의 각종 건물뿐만 아니라,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까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방송 시스템은 여러 공간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스피커는 하나의 송신장치에 의해 음향 데이터가 전송되고, 각각 별개로 관리되고 있다. 또한, 학교나 아파트 등에서 동시 방송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종래의 기술은 동일 회선상에 존재하는 스피커만 관리가 가능하므로, 원거리에 설치된 스피커를 동시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가 고장이 나거나 문제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수리할 수 없어 간단한 작업도 작업자를 불러야 해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출력단말기까지 복수의 음향 출력장치를 하나의 관리서버에서 유지보수 관리를 하고, 문제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보수 방법을 송신하여 사용자가 개인 출력단말기를 직접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관리서버에서 복수의 출력단말기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출력단말기에서 출력된 음파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단말기의 문제 여부를 실시간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출력단말기의 문제 해결방법을 사용자 단말기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직접 출력단말기의 유지보수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출력단말기 및 출력단말기를 제어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출력단말기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기록하여 상기 음파와 관련된 음파 정보를 출력하는 음파 기록부, 음파 기록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음파 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를 포함하고, 관리서버는 제2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음파 정보와 출력단말기로 송신한 음향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출력단말기의 문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관리서버로 복수의 출력단말기를 제어 및 관리함으로써 관리 인력이 줄어들어 인권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간 출력단말기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여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출력단말기의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불필요한 유지보수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종적으로, 일원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인력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단계별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자동 송신 데이터 코드 분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송신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출력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동시에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하나의 출력단말기로 전송된 경우, 출력되는 음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재난 상황 알림을 공유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은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출력단말기(200)와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를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하나의 관리서버(100)는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를 동시에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출력단말기(200) 및 관리서버(100)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장치들로 구비되어, 관리서버(100)의 관리 및 제어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들이 각각 관리 및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 및 출력단말기(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는 음향 입력부(110), 음파 분석부(120),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 출력단말 관리부(140), 관리자 설정부(150) 및 화면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단말기(200)는 음향 출력부(210), 음파 기록부(220),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 알림부(240) 및 감지부(25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0)는 송신하고자 하는 음향 데이터를 관리서버(100)로 입력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음향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는 관리서버(100)에 저장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후술될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에 의해 저장된 음향 데이터 중 선택하여 출력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음향 입력부(110)를 통해 저장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는 도 4를 통해 후술될 제1 실시예와 같이 각각 소정의 분류에 따라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음파 분석부(120)는 출력단말기(200)로 송신한 음향 데이터와 출력단말기(200)에서 수신하여 출력한 음파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음파 정보는 파장, 파형, 진폭, 주기, 진동수, RMS(Root Mean Square), 피크 출력값(Peak Valu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설명의 편의상 스펙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음파 분석부(120)에서 음향 데이터와 음파 정보의 스펙을 분석하여 출력된 음파 정보의 문제점을 통해 출력단말기(200)의 문제 원인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되는 도면들 및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출력단말기(200)로부터 음파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출력단말기(200)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출력단말기(200)의 사용자 개인 단말기로, 개인 모바일 폰,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의 개인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출력단말 관리부(140)는 출력단말기(200)를 관리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출력단말 관리부(140)는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출력단말기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서로 다른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는 각각 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으며, 부여된 아이디를 기준으로 출력단말 관리부(140)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아이디는 출력단말기(200)의 설치 지역 및 출력단말기(200)의 설치 목적, 특성 등에 따라 연관성이 있도록 부여될 수 있다. 출력단말 관리부(140)는 각 출력단말기(200)가 정상 작동을 하는지 실시간 감시를 통해 관리할 수도 있다.
관리자 설정부(150)는 관리서버(100)의 관리자가 관리서버(100) 및 출력단말기(200)의 관리를 위한 설정을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상술한 음향 데이터의 코드 및 출력단말기(200)의 아이디를 관리자 설정부(150)를 통해 입력하여 부여할 수도 있으며, 음향 데이터와 음파 정보의 스펙을 분석하여 비교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 방안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설정부(15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어 음파 정보의 문제 원인 및 해결 방안을 학습에 의해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화면 표시부(160)는 관리자가 실시간 관리를 위해 각 데이터 및 각 출력단말기(200)의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부(210)는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에서 송신된 음향 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출력단말기(2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음향 출력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음향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출력단말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음파 기록부(220)는 음향 출력부(210)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기록하여, 음파와 관련된 음파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음파 기록부(220)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여 출력된 음파를 기록함으로써 음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파 정보는 파장, 파형, 진폭, 주기, 진동수, RMS(Root Mean Square), 피크 출력값(Peak Valu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설명의 편의상 이하, 스펙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음파 기록부(220)에서 기록된 각종 음파 정보는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를 통해 관리서버(100)로 송신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는 출력단말기(200)에서 송신된 음향 데이터 및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음파 기록부(220)에 의해 출력된 음파 정보 및 출력단말기(200)에서 발생된 각종 데이터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알림부(240)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출력단말기(200)의 음파 정보 및 관리서버(100)에서 송신한 최초 음향 데이터의 스펙을 각각 비교하여 출력단말기(200)의 문제가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 알림부(240)에서 알림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알림부(240)는 시각, 청각, 촉각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을 통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LED, 스피커, 진동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250)는 재난 상황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화재 또는 지진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온도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기준값 이상인 경우 화재 또는 지진이 발생된 재난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는 각각 감지부(2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감지부(250) 중 어느 하나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된 경우, 재난 상황이 감지된 감지부(250)를 구비하는 출력단말기(200)의 아이디와 대응되는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출력단말기(200)에서 동시에 위험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위험신호는 재난경보 등일 수 있으며, 발생된 위험신호는 알림부(240)를 통해 알림 신호가 발생되거나, 사용자 단말기(300)로 경고음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단계별 알고리즘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단계별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100), 출력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호작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먼저, 관리서버(100)는 관리자 설정부(150)를 통해 각종 음향 데이터를 미리 보관할 수 있으며, 이때 보관된 각 음향 데이터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코드가 부여되어 저장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를 통해 코드가 부여되어 미리 보관된 음향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출력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음향 데이터는, 복수의 출력단말기(200) 중 해당 음향 데이터의 코드와 대응되는 아이디의 출력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음향 데이터가 송신된 출력단말기(200)에서는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 출력단말기의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에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향 데이터는 음향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를 음파 기록부(220)에서 기록하여, 상기 음파와 관련된 음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기록되는 음파 정보는 관리서버(100)에서 송신된 음향 데이터와 동일 스펙을 갖는 음파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출력단말기(200)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음향 데이터와 음파 정보의 스펙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음파 기록부(220)를 통해 출력된 음파 정보는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를 통해 관리서버(100)로 송신될 수 있다. 송신된 음파 정보는 관리서버(100)의 제1 데이터 송수신부(130)에서 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에서 출력되어 송신된 음파 정보를 수신하면, 제2데이터 송수신부(230)로부터 수신한 음파 정보 와 출력단말기(200)로 송신한 음향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출력단말기(200)의 문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관리서버(100)의 음파 분석부(120)를 통해 음향 데이터와 음파 정보의 스펙을 각각 분석하여, 해당 음파 정보를 송신한 출력단말기(200)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고, 문제가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단말기(200)의 문제 원인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00)는 검출된 문제 원인을 파악한 후, 문제 원인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송신되는 문제 원인과 관련된 정보는 문제 내용 및 문제 해결 방법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단말기(200)의 음파 정보가 문제가 있음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출력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문제 내용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문제 내용과 함께 수신된 해결 방법을 통해 문제를 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음파 정보의 파장, 파형, 진폭, 주기, 진동수, RMS(Root Mean Square), 피크 출력값(Peak Value) 등을 송신된 최초 음향 데이터와 각각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상의 차이가 발생된 스펙을 기준으로 문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통신문제, 전기적 단선, 불순물의 존재 등 다양한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 방안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때 출력단말기(20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되는 음파 정보의 문제 내용 및 해결 방법은 관리자 설정부(150)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문제 내용에 따른 맞춤 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단말기(200)의 음파 정보의 스펙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문제는 다양한 조건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 조건에 따라 관리자 설정부(150)는 관리자 및 기술자에 의한 반복적인 조치 및 조치 방안의 입력을 통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학습을 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학습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사용자 단말기(300)로 보다 적정한 문제 해결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한 자동 문제 해결 방안 전송으로 별도의 기술인력 없이도 사용자는 스스로 출력단말기(200)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수신한 문제 내용 및 맞춤 해결 방법에 따라 출력단말기(200)의 문제를 조치할 수 있으며, 조치가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관리서버(100)로 재점검 요청을 보낼 수 있다. 관리서버(100)에서 재점검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요청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300)와 대응되는 출력단말기(200)에서 음향을 출력한 후, 음파 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여 재점검이 진행될 수 있다. 재점검을 통해 음파 문제가 발견되지 않으면,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종료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음향 데이터에 코드를 부여하는 소정의 분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자동 송신 데이터 코드 분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관리서버(1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는 각각 소정의 분류에 따라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코드는 음향 데이터의 송신 지역에 따른 지역코드(X) 및 광고비용 결제여부에 따른 유료코드(Y)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모든 음향 데이터는 지역코드(X)가 부여될 수 있으며, 공공 데이터 또는 광고 데이터로 분류되어 광고비용의 결제가 진행된 음향 데이터에 한해서 유료코드(Y)가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복수의 지역코드 및 유료코드에 따라 각 음향 데이터는 코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는 각각 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아이디는 지역을 기반으로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 지역군으로 구분되는 위치에 설치된 출력단말기(200)는 각각 동일한 아이디를 포함하도록 부여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출력단말기(200)로 송신되어 출력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송신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출력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동시에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하나의 출력단말기로 전송된 경우, 출력되는 음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100)에서 송신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는 미리 부여된 코드와 대응되는 아이디의 출력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여 Data 1, Data 2, Data 3, Data 4의 음향 데이터들을 동시에 송신한 경우, 서로 다른 아이디를 갖는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이때, A1 아이디가 부여된 1 지역의 제1 출력단말기(201)는 1 지역의 지역코드(X)인 X1 코드를 포함하는 Data 1을 수신할 수 있으며, A2 아이디가 부여된 2 지역의 제2 출력단말기(202)는 2 지역의 지역코드(X)인 X2 코드를 포함하는 Data 3을 수신할 수 있으며, A3 아이디가 부여된 3 지역의 제3 출력단말기(203)는 3 지역의 지역코드(X)인 X3 코드를 포함하는 Data 2 및 Data 4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경우, 경우에 따라서 관리서버(100)로부터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고비용이 결제되어 유료코드(Y)가 부여된 음향 데이터가 송신되는 도중, 상술한 재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유료코드(Y)가 부여되지 않은 지역코드(X)만 부여된 음향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과 같이 동일 지역코드(X)인 1 지역의 X1 코드를 모두 포함하되, 유료코드(Y)를 포함하는 Data 2와 포함하지 않는 data 1이 동시에 송신되면, 해당 지역코드(X)와 대응되는 아이디 A1이 부여된 1 지역의 출력단말기(200)는 음향 출력부(210)에서 송신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는 유료코드(Y)를 포함하지 않는 음향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리서버(100)에서 출력단말기(200)로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된 경우, 출력단말기(200)는 유료코드(Y)가 포함된 음향 데이터를 일시 중단하고, 유료코드(Y)를 포함하지 않는 음향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재난 상황 알림과 관련하여 제4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재난 상황 알림을 공유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감지부(250)를 통해 제1 출력단말기(201)에서 재난 상황을 감지한 경우, 제1 출력단말기(210)는 관리서버(100)로 재난 상황 감지 EVENT를 송신하고, 관리서버(100)는 재난 상황이 감지된 상기 감지부(250)를 구비하는 제1 출력단말기(201)의 아이디와 대응되는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로 위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4 실시예에 따르면, A1 아이디가 부여된 제1 출력단말기(201)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된 경우, 복수의 출력단말기(200) 중 A1 아이디가 부여된 제2 출력단말기(202) 및 제3 출력단말기(203)로만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라 재난 상황이 감지된 출력단말기(200)와 동일 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로 재난 위험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된 위험신호는 각 출력단말기(200)의 알림부(240)에서 알림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재난 상황을 안내하고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시스템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한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제공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관리서버 200: 출력단말기
3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6)

  1.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출력단말기(200); 및
    상기 출력단말기(200)를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100);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말기(200)는,
    상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10);
    상기 음향 출력부(210)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기록하여, 상기 음파와 관련된 음파 정보를 출력하는 음파 기록부(220);
    상기 음파 기록부(220)에 의해 출력된 상기 음파 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수신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제2데이터 송수신부(23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파 정보와 상기 출력단말기(200)로 송신한 상기 음향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단말기(200)의 문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관리서버(100)에서 송신하는 복수의 음향 데이터는 각각 소정의 분류에 따라 코드가 부여되고,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출력단말기(200)는 각각 아이디가 부여되며,
    복수의 상기 음향 데이터는,
    부여된 코드와 대응되는 아이디의 출력단말기(200)로 송신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음향 데이터의 송신 지역에 따른 지역코드(X) 및 광고비용 결제여부에 따른 유료코드(Y)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100)에서 출력단말기(200)로 복수의 음향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된 경우,
    상기 출력단말기(200)는 유료코드(Y)를 포함하지 않는 음향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며,
    복수의 상기 출력단말기(200)는,
    각각 재난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250)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감지부(250) 중 어느 하나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된 경우,
    재난 상황이 감지된 상기 감지부(250)를 구비하는 출력단말기(200)의 아이디와 대응되는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출력단말기(200)로 위험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출력단말기(200)의 문제가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음향 데이터와 상기 음파 정보의 스펙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출력단말기(200)의 문제 원인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출력단말기(200)의 문제 원인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며,
    상기 출력단말기(200)의 알림부(240)에서 알림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3311A 2020-05-04 2020-05-04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KR10218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11A KR102189265B1 (ko) 2020-05-04 2020-05-04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11A KR102189265B1 (ko) 2020-05-04 2020-05-04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265B1 true KR102189265B1 (ko) 2020-12-09

Family

ID=7378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11A KR102189265B1 (ko) 2020-05-04 2020-05-04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2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008A (ja) * 2005-05-09 2006-11-16 Sony Corp スピーカのチェック装置およびチェック方法
KR20070113856A (ko) * 2006-05-26 200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KR101627213B1 (ko) * 2016-01-12 2016-06-03 (주)하이텍영상 개별 제어가 가능한 스피커 장치, 이를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장치 제어 방법
KR20170112932A (ko) * 2016-10-04 2017-10-12 주수양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점검 방법
KR20200001754A (ko) * 2018-06-28 2020-01-07 (주)제이원그린시스템 화재 안전용 네트워크 스피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008A (ja) * 2005-05-09 2006-11-16 Sony Corp スピーカのチェック装置およびチェック方法
KR20070113856A (ko) * 2006-05-26 200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KR101627213B1 (ko) * 2016-01-12 2016-06-03 (주)하이텍영상 개별 제어가 가능한 스피커 장치, 이를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장치 제어 방법
KR20170112932A (ko) * 2016-10-04 2017-10-12 주수양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점검 방법
KR20200001754A (ko) * 2018-06-28 2020-01-07 (주)제이원그린시스템 화재 안전용 네트워크 스피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8593A1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US20210049882A1 (en) Gunshot Detection System with Fire Alarm System Integration
KR102131722B1 (ko)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US20180027430A1 (en) Techniques for locating distributed antenna locations
US10616181B2 (en) Security panel gateway system and method
CN103093279A (zh) 紧急应变指挥系统及方法
KR10226298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원격 제어 가능한 전자 칠판 시스템
US20200251092A1 (en) Smart speaker system
KR20200080585A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컨택 센터 서비스 시스템
CA2946042C (en) Remote talk down to panel, camera and speaker
CN107948567A (zh) Usb有线传屏的方法及装置
US11282352B2 (en) Security system with distributed audio and video sources
KR102189265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JPH08273075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KR101895843B1 (ko) 알람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30152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盗聴器・隠しカメラの検知方法と装置
JP2017046188A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28265B1 (ko) 불법 송신기 탐지 시스템
KR102009108B1 (ko)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KR102534770B1 (ko) 구내 방송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1226B1 (ko)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이용한 cctv 시스템에서 써지보호 기능을 갖는 회선집중관리 시스템
KR102200080B1 (ko) 관제통신장비 통합 알람 시스템 및 관제통신장비 통합 알람 방법
WO2022185786A1 (ja) 警報システム、制御装置、感知器
US20230306828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dentifying acoustic events, in particular acoustic information and/or warning signals
US10999889B2 (en) System, instru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remi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