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642B1 - 접이식 비상 대피소 - Google Patents

접이식 비상 대피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642B1
KR102188642B1 KR1020200004910A KR20200004910A KR102188642B1 KR 102188642 B1 KR102188642 B1 KR 102188642B1 KR 1020200004910 A KR1020200004910 A KR 1020200004910A KR 20200004910 A KR20200004910 A KR 20200004910A KR 102188642 B1 KR102188642 B1 KR 10218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anel
fixing member
road
coupled
st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진 filed Critical 이동진
Priority to KR102020000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비상 대피소에 관한 것으로,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나거나 추돌사고가 발생시 가드레일, 펜스와 같은 구조물로부터 전개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로 사용할 수 있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도로에 방치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2차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는, 도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 또는 전도되는 슬래브패널, 양측이 상기 기둥부와 슬래브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슬래브패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비상 대피소{FOLDING SHELTER}
본 발명은 접이식 비상 대피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나거나 추돌사고가 발생 시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도로에 방치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2차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비상 대피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주행중 차량간 추돌사고나 고장 또는 타이어의 펑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갓길 또는 우측도로로 대피한 후, 뒷차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안전삼각대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전삼각대를 설치한 후 운전자나 탑승자는 도로상에 마땅히 대피할 공간이 없어, 갓길에 머물러 있거나 사고난 차량에 위치한 상태로 견인차를 기다리게 된다.
그러나,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차량 대부분이 고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견인차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주행하는 차량과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로에 설치된 전광판에 사고 발생 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드레일, 펜스와 같은 구조물을 넘어가 도로 밖에서 안전하게 대기하라는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여 인명사고를 줄이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 밖에는 대부분 풀, 잡초, 나무, 꽃 등의 식물이 심어져 있기 때문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도로 밖으로 대피할 시 식물을 훼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구조물을 넘을 시 식물에 긁히거나 부딪혀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구조물의 높이는 대부분 1m 이상이기 때문에 신장이 작은 어린이나 힘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 구조물을 넘어가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구조물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낙상 등의 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누구나 용이하게 구조물을 넘어 갈 수 있으며, 도로 밖에서 식물을 훼손하거나 또는, 식물에 의해 부상을 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635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나거나 추돌사고가 발생시 가드레일, 펜스와 같은 구조물로부터 도로 밖으로 전개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로 사용할 수 있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도로에 방치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2차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누구나 용이하게 구조물을 넘어가 대피장소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접이식 비상 대피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는, 도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 또는 전도되는 슬래브패널, 양측이 상기 기둥부와 슬래브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슬래브패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회동구동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도로의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승강경로를 제공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구조물 상에 승강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서로 대각선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계단유닛,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계단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구조물에 형성된 절개홀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회동축, 상기 계단유닛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구조물에 상기 제1고정부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계단유닛이 절개홀에 인입 시 상기 제1고정부재가 수용되는 포켓부재, 상기 포켓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접할 수 있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이 상기 기둥부와 슬래브패널에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양측이 상기 기둥부와 슬래브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양측이 상기 구조물과 슬래브패널에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양측이 상기 구조물과 슬래브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래브패널의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 또는 전도되는 지지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패널 중 구조물과 마주하는 면에는 전도된 지지난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는,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나거나 추돌사고가 발생시 가드레일, 펜스와 같은 구조물로부터 전개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로 사용할 수 있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도로에 방치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2차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누구나 용이하게 구조물을 넘어가 대피장소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에 적용된 승강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에 적용된 승강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는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90)에 설치되어 차량의 사고시 운전자나 탑승자가 도로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1)는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90)에 결합되는 기둥부(100), 기둥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래브패널(10), 슬래브패널(10)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회동구동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90)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이나 팬스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 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지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91), 지주(91)의 사이 공간을 막도록 설치되는 가드판(92)을 포함하는 가드레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기둥부(100)는 지주(91)에 볼팅 결합되거나 또는, 금속 재질이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밴드타입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지주(91)에 결합될 수 있다.
기둥부(100)는 슬래브패널(10)을 도로 바깥쪽에 설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기둥부(100)에는 슬래브패널(1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축(101)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래브패널(10)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대피할 때 발판 기능을 수행한다.
슬래브패널(10)은 사각의 패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래브패널(10)은 도로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시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하측이 지주(91)의 하측에 회동 결합되어 기둥부(100)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패널(10)의 하단에는 회동축(101)이 관통하는 힌지브라켓(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슬래브패널(10)은 회동축(101)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회동시 기립되어 가드레일과 마주하고, 하 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전도되어 도로 밖의 지면에 안착된다.
회동구동부(2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동구동부(20)에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21)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반대로 유압이 배출되면 피스톤(21)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회동구동부(20)는 슬래브패널(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작동시키도록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슬래브패널(10)의 양측에 배치된다.
회동구동부(20)는 각각 일단이 기둥부(100)에 축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고, 피스톤(21)의 끝단은 슬래브패널(10)의 상측면에 축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패널(10)이 기립된 상태에서 회동구동부(20)의 피스톤(21)이 확장되면, 슬래브패널(10)이 회동축(101)을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도되고, 이와 반대로 회동구동부(20)의 피스톤(21)이 수축되면 슬래브패널(10)이 회동축(101)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기립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1)는 탑승자나 운전자가 회동구동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버튼은 슬래브패널(10)이나 구조물(90) 자체 또는 구조물(90)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버튼을 한 번 누르면 유압탱크(미도시)로부터 회동구동부(20)에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21)이 확장된다. 그리고, 다시 제어버튼을 누르면 회동구동부(20)에 공급되었던 유압이 유압탱크로 회수되어 피스톤(21)이 수축된다.
한편, 슬래브패널(10)은 지형에 따라 지면과 안착되지 못하고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슬래브패널(10)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1)는 슬래브패널(10)을 지지하는 지지와이어(30) 및 지지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와이어(30)는 일단이 기둥부(100)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편(110a)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래브패널(10)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편(110b)에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와이어(30)는 슬래브패널(10)이 기립시 접히고, 슬래브패널(10)이 전도시 펼쳐진다.
이때, 지지와이어(30)는 펼쳐지게 되면 사선 형태가 되면서 슬래브패널(10)이 지주(91)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함으로써, 슬래브패널(10)이 공중에 띄워진 상태에서도 운전자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대(40)는 슬래브패널(10)이 회동작동 하는데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도록 구조물(90)과 슬래브패널(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기둥부(100)의 상측면과 슬래브패널(10)의 양 상측면에는 고정돌기(80a,80b)가 각각 결합되고, 지지대(40)의 상측과 하측에는 기둥부(100)와 슬래브패널(10)의 고정돌기(80a,80b)가 삽입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래브패널(10)을 전도시킨 다음, 지주(91)와 슬래브패널(10)에 지지대(40)를 결합하면 슬래브패널(10)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지 아니하고 수평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슬래브패널(10)은 대피한 운전자나 탑승자가 슬래브패널(10)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난간(5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패널(10) 중 탑승자나 운전자가 발로 밟게 되는 상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난간(50)은 수용홈(10a)과 대응되게 한 쌍의 다리유닛(51), 다리유닛(51)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드부(52)를 포함하여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난간(50)은 수용홈(10a)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난간(50)은 슬래브패널(10)을 전도 시켰을 경우에만 작용하도록 슬래브패널(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다리유닛(51)은 각각 하측 일부분이 수용홈(10a)의 끝 부분 즉, 슬래브패널(10)이 기립되었을 때 상측 부분에 축 고정되어 기립 또는 전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1)는 다리유닛(51)의 하부 양측에 회동축(미도시)을 일체로 형성하고 수용홈(10a)의 내벽면에는 회동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홈(미도시)이나 홀(미도시)을 형성하거나 또는, 독립된 구조의 회동축(미도시)을 슬래브패널(10)과 다리유닛(51)에 각각 관통설치함으로써, 지지난간(5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비상 대피소(1)로 대피하고자 할 경우, 슬래브패널(10)을 전도시킨 다음 수용홈(10a)에 수용된 지지난간(50)을 기립시키면 된다.
부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1)는 전술한 지지대(40)를 수납하기 위한 2개의 수납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통은 일면이 개방된 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둥부(100)나 슬래브패널(10) 또는 지주(91) 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에서 대피할 상황이 발생되면 슬래브패널(10)을 전도 시킨 후, 수납통에서 지지대(40)를 꺼내 지주(91)와 슬래브패널(10)에 결합하면 되고, 차량 수리가 완료되거나 도로 상황이 정리되는 이유 등으로 다시 차량에 탑승할 경우, 도로 관리자, 운전자, 탑승자 중 어느 한 명이 지주(91)와 슬래브패널(10)에서 지지대(40)를 분리한 후 수납통에 수납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상 대피소(1)는 도로의 운전자나 탑승자가 구조물(90)을 넘어 슬래브패널(10)로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승강부(60)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슬래브패널(10)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슬래브패널(1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승강부(60)는 계단유닛(61), 회동축(62), 락킹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승강부(60)가 더 적용될 경우 가드판(92)에는 계단유닛(61)이 인입될 수 있는 절개홀(921)이 다수 형성된다.
절개홀(921)은 가드판(92) 중 계단유닛(61)들을 적용하고자 하는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계단유닛(61)은 구조물(90) 상에 승강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드판(92)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된다. 따라서, 절개홀(921)들은 계단유닛(61)의 형성위치에 형성된다.
즉, 계단유닛(61)은 다수개로 적용되되 가드판(92)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배치되며, 운전자나 탑승자가 발로 딛고 점진적으로 전진하면서 올라갈 수 있도록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계단유닛(61)은 운전자나 탑승자가 발로 딛고 올라갈 때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내구성 및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한 높이와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구조물(90)의 최상단에 위치된 계단유닛(61)은 슬래브패널(1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운전자나 탑승자는 최상단에 위치된 계단유닛(61)에서 구조물(90)을 뛰어 넘어 슬래브패널(10)로 착지하면 된다.
회동축(62)은 계단유닛(61) 중 가드판(92)과 마주하는 전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드판(92)에는 회동축(62)이 수용되는 수용홈(922)이 형성된다.
따라서, 계단유닛(61)은 회동축(62)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계단유닛(61)은 상 방향으로 회동 시 절개홀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하 방향으로 회동 시에는 절개홀의 외측으로 인출되되, 그 저면이 굴곡형 가드판(92)에 지지되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발로 딛고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을 제공한다.
락킹부(63)는 계단유닛(61)의 후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631), 구조물(90)에 제1고정부재(631)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계단유닛(61)이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절개홀의 내측으로 인입 시 제1고정부재(631)가 수용되는 포켓부재(632), 포켓부재(632)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631)와 접할 수 있는 제2고정부재(633)를 포함한다.
이때, 제1고정부재(631)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제2고정부재(633)는 제1고정부재(631)와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계단유닛(61)은 절개홀의 내측으로 인입 시에는 제1고정부재(631)에 제2고정부재(633)가 자력으로 부착되어 가드판(92)에 대하여 접힌 형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고정부재(631)와 제2고정부재(633)의 재질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구현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승강부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승강부(70)는 구조물(90)의 상면에 수평설치되며, 도로와 마주하는 일면에 출입홀(7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발판(71),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회동식계단부(72),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며 피스톤(731)의 끝단에 회동식계단부(7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회동식계단부(72)를 수납공간의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또는, 수납공간에 인입시키는 인출입구동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입구동부(73)는 회동식계단부(72)를 안정적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도록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수납공간의 양측에 배치된다.
인출입구동부(73)의 피스톤(731) 끝단 측면에는 관통공을 갖는 연결부재(732)가 형성되고, 회동식계단부(72)의 양측에는 연결부재(732)의 관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축(721)을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구조물(90)에는 인출입구동부(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이 더 설치된다.
즉, 도로에서 차량의 사고가 발생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인출입구동부(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버튼을 조작하여 인출입구동부(73)를 구동시켜 회동식계단부(72)를 인출시키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식계단부(72)가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저면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전개됨으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회동식계단부(72)를 통해 구조물(90)의 상단으로 올라 간 다음 발판(71)을 따라 슬래브패널(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 구조물(90)을 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걸림이나 노약자 및 어린이가 넘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발판(71)의 상면에는 운전자 및 보행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보행탄성패드(미도시)가 더 부착될 수 있고, 보행탄성패드의 상면에는 마찰돌기(미도시)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판(71)의 저면과 구조물(90)의 하측에는 발판(71)이 탑승자나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구조물(9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가 지지대(40)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판(71)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난간(미도시)을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탑승자나 운전자가 이동 과정 중 난간을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접이식 비상 대피소 10 : 슬래브패널
10a,922 : 수용홈 20 : 회동구동부
21, 731 : 피스톤 30 : 지지와이어
40 : 지지대 41 : 삽입홈
50 : 지지난간 51 : 다리유닛
52 : 가드부 60,70 : 승강부
61 : 계단유닛 62, 101 : 회동축
63 : 락킹부 631 : 제1고정부재
632 : 포켓부재 633 : 제2고정부재
71 : 발판 71a : 출입홀
72 : 회동식계단부 73 : 인출입구동부
74 : 부가 지지대 80 : 고정돌기
90 : 구조물 91 : 지주
92 : 가드판

Claims (5)

  1. 도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 또는 전도되는 슬래브패널,
    양측이 상기 기둥부와 슬래브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슬래브패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회동구동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도로의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승강경로를 제공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구조물 상에 승강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서로 대각선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계단유닛,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계단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구조물에 형성된 절개홀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회동축,
    상기 계단유닛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구조물에 상기 제1고정부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계단유닛이 절개홀에 인입 시 상기 제1고정부재가 수용되는 포켓부재, 상기 포켓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접할 수 있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접이식 비상 대피소.
  2. 제1항에 있어서,
    양측이 상기 기둥부와 슬래브패널에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양측이 상기 기둥부와 슬래브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 대피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패널의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 또는 전도되는 지지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패널 중 구조물과 마주하는 면에는 전도된 지지난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접이식 비상 대피소.
  4. 삭제
  5. 삭제
KR1020200004910A 2020-01-14 2020-01-14 접이식 비상 대피소 KR102188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10A KR102188642B1 (ko) 2020-01-14 2020-01-14 접이식 비상 대피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10A KR102188642B1 (ko) 2020-01-14 2020-01-14 접이식 비상 대피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42B1 true KR102188642B1 (ko) 2020-12-08

Family

ID=7377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10A KR102188642B1 (ko) 2020-01-14 2020-01-14 접이식 비상 대피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082A (ko) * 2008-05-27 2009-12-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건설중장비용 및 산림장비용스텝장치
KR20100137129A (ko) *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06319A (ko) * 2009-07-14 2011-01-20 동원엔지니어링(주) 가드레일을 이용한 측면 보행로용 포스트 및 측면 보행로
KR20110057704A (ko) * 2009-11-24 2011-06-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20140084890A (ko) * 2012-12-27 2014-07-07 서울메트로 객실의자 겸용 승객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1563540B1 (ko) 2014-06-26 2015-10-27 박선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KR101692844B1 (ko) *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082A (ko) * 2008-05-27 2009-12-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건설중장비용 및 산림장비용스텝장치
KR20100137129A (ko) *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06319A (ko) * 2009-07-14 2011-01-20 동원엔지니어링(주) 가드레일을 이용한 측면 보행로용 포스트 및 측면 보행로
KR20110057704A (ko) * 2009-11-24 2011-06-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20140084890A (ko) * 2012-12-27 2014-07-07 서울메트로 객실의자 겸용 승객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1563540B1 (ko) 2014-06-26 2015-10-27 박선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KR101692844B1 (ko) *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426B1 (ko) 중앙분리대용 비상회차장치
CN207878346U (zh) 一种防撞折叠式护栏
EP3341524B1 (en) Security barrie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10008594A (ko)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188642B1 (ko) 접이식 비상 대피소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JP4105049B2 (ja) 昇降式移動足場
US11585057B2 (en) Transition barrier for connecting a permanent barrier to a temporary barrier
CN210529559U (zh) 一种升降式限高架
CN210289367U (zh) 一种工程安全管理用防护围栏
CN1940182A (zh) 一种机动立交桥的架设方法及机动立交桥
CN111560886A (zh) 高速公路中央分隔带梁柱式护栏过渡段
US4415066A (en) Manhole service vehicle
CN210459050U (zh) 一种可以拼接的护栏
KR20230124382A (ko)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CN210798492U (zh) 一种房建施工防护栏
GB2192218A (en) Collapsible barrier assembly
CN220301210U (zh) 一种新式框架门形限高架
CN217678788U (zh) 基于智慧城市交通的移动式智慧护栏
CN211735057U (zh) 移动式护栏模板操作平台
CN220451966U (zh) 一种地铁隧道接驳组件
CN216194293U (zh) 一种交通安全工程设施用快速拆装护栏
CN211772483U (zh) 一种城市建设用坡道缓冲装置
CN215801292U (zh) 一种新型中分带开口活动护栏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