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511B1 - 스퀴즈 용기 - Google Patents

스퀴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511B1
KR102188511B1 KR1020190178052A KR20190178052A KR102188511B1 KR 102188511 B1 KR102188511 B1 KR 102188511B1 KR 1020190178052 A KR1020190178052 A KR 1020190178052A KR 20190178052 A KR20190178052 A KR 20190178052A KR 102188511 B1 KR102188511 B1 KR 10218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trusion
discharge
content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
Original Assignee
황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 filed Critical 황의
Priority to KR102019017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25Flexible bung-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퀴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수용하되, 자외선 및 외부 열 등으로부터 수용되는 내용물의 노출을 억제하고,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내용물의 변질 및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스퀴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성 재질이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 측에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내용기, 탄성 재질이고,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용기가 수용되는 내측공간 및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외용기 및 상기 외용기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덮도록 돌출 구비되는 탄성돌부를 포함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퀴즈 용기{SQUEEZE CONTAINER}
본 발명은 스퀴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수용하되, 자외선 및 외부 열 등으로부터 수용되는 내용물의 노출을 억제하고,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내용물의 변질 및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스퀴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유해성분 논란이 잇따르면서 천연재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이며, 특히 화장품은 몸에 직접 바르는 제품인 만큼 피부에 유효한 성분은 갖추되 유해한 화학성분은 배제한 제품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천연재료로 개발된 제품들은 외부 공기 및 열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공개실용신안 제20-1991-0006065호(이하 종래기술)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몸체(2)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3)의 상면에 요입부(4)와 회동홈(5)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회동홈(5)의 양측면에는 구면돌기(6)를, 전면에는 걸림돌기(7)를 각각 마련하고, 요입부(4)의 전방에는 배출공(8)을 천공하는 한편, 상기 요입부(4)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폐판(9)을 형성하되 그 하면 후단에 회동부(10)를 마련하여 그 양측면에는 구면홈(11)을, 후면 하단에는 걸림홈(12)을 각각 형성하고, 개폐판(9)의 하면 전방에 돌출관(13)을 마련함으로써, 뚜껑(3)의 상면에 개폐판(9)을 간단한 결합구조에 의해 회동 자재토록 결합하여 배출공(8)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뚜껑(3)을 일일이 분해 결합하지 않고도 간단히 개폐판(9)만을 열고 닫으면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개폐판(9)이 구면홈(11)에 구면 접촉된 구면돌기(6)를 축으로 회동되며 또한 개폐판(9)의 열림각도를 제한해 줌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함은 물론이고 파손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용기 내의 내용물이 많이 토출 될수록 용기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고, 자외선 및 외부 열 등의 노출을 억제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변질 및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 자외선, 외부 열 등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변질 및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스퀴즈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유지하는 동시에 가압을 하기 위한 움직임을 적게 하여도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토출하고, 수용되는 내용물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퀴즈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스퀴즈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의 토출을 억제할 수 있는 스퀴즈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소성 재질이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 측에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내용기, 탄성 재질이고,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용기가 수용되는 내측공간 및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외용기 및 상기 외용기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덮도록 돌출 구비되는 탄성돌부를 포함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외용기는 외부와 상기 내측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통공을 밀폐하는 탄성 재질의 개폐돌부를 구비한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는 내측벽에 형성된 제1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설치홈에 삽입되는 설치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용기는 외측벽에 형성된 제2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2설치홈에 삽입되는 설치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개폐돌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 간의 틈새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밀폐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소정 곡률을 따라 만곡된 제1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는 상기 제1라운드부에 상응하여 만곡된 제2라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돌부는 상기 제1라운드부 및 상기 제2라운드부 틈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는 상기 내측공간을 구비한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착탈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는 내측벽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벽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되도록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메인바디의 말단이 끼워지도록 함몰된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말단 상에 배치되는 안착턱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내면에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는 관 형상이고 상기 배출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되 외면에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의 후단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 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는 후단측에서 후단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외측벽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내측면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외측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되, 내측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토출밸브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가 외용기에 수용됨으로써, 자외선 및 외부 열 등에 내용물이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내용물의 변질 및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기가 소성재료로 형성되고, 토출밸브를 포함함으로써 내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여 내용물이 변질 및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용기가 탄성재료로 형성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통공이 형성된 외용기, 소성 재질로 형성되는 내용기 및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함으로써, 가압을 하기 위한 움직임을 적게 하여도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내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잔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와 탈착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오버캡을 포함함으로써 가압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퀴즈 용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퀴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외용기를 가압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스퀴즈 용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외용기를 가압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스퀴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외용기에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외용기에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퀴즈 용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퀴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퀴즈 용기(SC)를 설명의 편의상 '본 용기'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용기(스퀴즈 용기(SC))는 내용기(1), 외용기(2) 및 토출밸브(3)를 포함한다.
내용기(1)는 소성 재질이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1)를 포함한다. 수용부(11)는 예시적으로 파우치(pouch)일 수 있다. 수용부(11)는 내부의 내용물의 부피에 상응하도록 소성 변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예시적으로 핸드크림, 선크림 등과 같은 화장품일 수 있다.
또한 내용기(1)는 수용부(11)의 일 측에 구비된 배출부(1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배출부(1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파우트(spout)일 수 있는데, 상술하였듯이 수용부(11)가 파우치일 수 있다고 했으므로 내용기(1)는 스파우트 파우치일 수 있다. 배출부(12)는 변형이 억제되는 딱딱한 재질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용기(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기(1)가 수용되는 내측공간(S)을 포함한다. 또한 외용기(2)는 상기 배출부(12)와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토출구(OL)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1)가 외용기(2)의 내측공간(S)에 수용됨으로써, 내용물을 이중으로 보호하기 때문에 자외선 및 외부 열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용기(2)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외형이 원 형태로 복원이 용이하여 본 용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외용기를 가압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스퀴즈 용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외용기를 가압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스퀴즈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외용기에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외용기에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퀴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토출밸브(3)는 상기 외용기(2)에 결합되는 몸체부(31)를 포함한다. 몸체부(31)는 토출구(OL)를 형성하도록 배출부(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술하는 어플리케이터(23)의 삽입부재(231)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단의 일 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플리케이터(23)의 후술하는 보호부재(232)에 형성된 단턱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는 도 1을 기준으로 하부를 의미하고 상단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끝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방향이나 위치에 관한 용어 중 상측, 상부, 상단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상부 상단을 의미하며, 하측, 하부, 하단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측, 하부, 하단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 방향은 배출부(12) 및 토출구(OL)에서 내용물의 진행 방향을 따르는 중심선을 향하는 방향 또는 수용부(11)의 중심점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외측 방향은 상기 내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토출밸브(3)는 몸체부(31)에서 토출구(OL)를 덮도록 돌출 구비되는 탄성돌부(3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탄성돌부(32)는 몸체부(31)의 상단 일 측에서 상기 토출구(OL)를 덮도록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용기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외용기(2)를 가압하는 경우(예시적으로 후술하는 메인바디(21)를 가압하는 경우), 내용기(1)의 수용부(11)가 가압되어 수용부(11)의 부피가 감소하므로 내용물이 탄성돌부(32)를 밀어내어 토출구(OL)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용기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외용기(2)를 가압한 이후에 가압을 해제 하면, 탄성 재질의 외용기(2)는 형상을 복원하려 하고, 내용기(1)는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압 이후 부피가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는 수용부(11)는 내용물이 배출된 상태 이후, 내용물에 의한 수용부(11)의 내부 압력이 가압 이전과 동일 또는 비슷해지기 때문에 탄성돌부(32)가 토출구(OL)를 덮도록 원 상태로 탄성 복원되어 토출구(OL)를 다시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본 용기는 가압 여부에 따라 토출구(OL)를 개폐하는 토출밸브(3)를 포함함으로써, 수용부(11)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 및 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외용기(2)는 내측공간(S)을 구비한 메인바디(21) 및 메인바디(21)에 착탈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12)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을 구비한 덮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바디(21)의 내측공간(S)에 내용기(1)를 삽입한 상태에서, 덮개부(22)의 관통홀(미도시)에 배출부(12)를 관통시켜 덮개부(22)와 메인바디(21)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바디(21)와 덮개부(2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재질이 따른 외용기(2)와 내용기(1)를 따로 제작한 후에 조립이 용이하며, 이후에 외용기(2)의 내측공간(S)을 개방하여 외용기(2)와 내용기(1)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기(1)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내용기(1)에 내용물을 재주입할 때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외용기(2)는 외부와 내측공간(S)을 연통시키는 통공(H)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H)은 예시적으로 덮개부(22)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통공(H)은 덮개부(22)의 수평부재(22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용기는 내용기(1)와 외용기(2) 사이에 구비되고 통공(H)을 밀폐하는 탄성 재질의 개폐돌부(41)를 구비한 체크밸브(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폐돌부(41)는 덮개부(22)의 내측벽에서 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후술하는 설치돌부(42)에서 상기 덮개부(22)에 형성된 통공(H)을 밀폐하도록 돌출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외용기(2)는 통공(H) 이외에는 외부 공기가 내측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중요한데, 후술하는 설치돌부(42) 및 후술하는 밀폐돌부(43)에 의해 관통홀(미도시)과 배출부(12)의 사이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메인바디(21)는 내측벽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12)를 포함하고, 덮개부(22)는 외측벽에서 상기 걸림돌기(212)가 걸림 되도록 형성된 걸림홈(222) 및 메인바디(21)의 말단(상단)이 끼워지도록 상향 함몰된 끼움홈(2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바디(21) 및 덮개부(22)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통공(H)이 밀폐된 경우, 외부의 공기가 내측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가 통공(H)을 통해서만 내측공간(S)으로 유입되는데, 외용기(2)를 가압하는 경우(도 3 및 도 4 참조), 개폐돌부(41)가 통공(H)을 밀폐(폐쇄)한 상태이기 때문에 내측공간(S)의 부피가 감소하므로 내측공간(S)의 기압이 증가하여 내용기(1)의 수용부(11)는 기압에 의해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토출밸브(3)의 탄성돌부(32)를 밀어내어 토출구(OL)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용기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외용기(2)를 가압한 이후에, 가압을 해제 하는 경우(도 5 및 도 6 참조), 내용기(1)의 수용부(11)는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되, 외용기(2)는 원 형태로 탄성 복원됨으로써, 내측공간(S)의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내측공간(S)과 외부의 기압 차이에 의해 개폐돌부(41)가 내측으로 이동(도 1을 기준으로 하향 이동)하여 통공(H)이 개방될 수 있다. 개폐돌부(41)는 그 두께가 내용기(1)와 외용기(2)의 이격 거리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압을 해제 하는 경우 개폐돌부(41)가 통공(H)을 개방하기 때문에 내측공간(S)에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기(1)의 형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하여 내용기(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며, 외용기(2)를 보다 효과적으로 탄성 복원시킬 수 있다.
통공(H)을 통해 외부 공기가 내측공간(S)으로 유입되어 내측공간(S)과 외부 공기의 기압차이가 없어지는 경우, 개폐돌부(41)는 탄성 복원되어 통공(H)을 다시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외용기(2)는 형상을 복원하고 내용기(1)는 부피가 감소하여 내측공간(S)의 부피가 증가하였지만 내측공간(S)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용기(2)를 재가압 하는 경우에 본 장치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보다 적은 움직임만으로도 수용부(11)를 가압할 수 있어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고, 수용부(11)에서 내용물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하였듯이 체크밸브(4)는 설치돌부(42)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외용기(2)는 상기 설치돌부(4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벽에 형성된 제1설치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크밸브(4)의 설치돌부(42)는 상술한 개폐돌부(41)와 비교하여 두께가 보다 크도록 형성됨으로써, 체크밸브(4)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설치홈(211)의 외면은 상기 설치돌부(42) 전체 또는 삽입되는 일부의 외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용기는 제1설치홈(211)을 포함함으로써, 기압에 따라 개폐돌부(41)가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 되더라도 외용기(2)에 대하여 체크밸브(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내용기(1)는 상기 설치돌부(4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외측벽에 형성된 제2설치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설치돌부(42)의 일 측(도 1을 기준으로 상측)은 제1설치홈(211)에 삽입되고 설치돌부(42)의 일 측(도 1을 기준으로 하측)은 제2설치홈(111)에 삽입되는 것이다. 제2설치홈(111) 또한 제1설치홈(211)과 마찬가지로 외면이 설치돌부(42)의 일 측 외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용기(1) 및 외용기(2) 각각은 설치돌부(42)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설치홈(211) 및 제2설치홈(111)을 각각 포함함으로써, 기압 등 외력이 작용하여도 체크밸브(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데, 특히 본 용기를 뒤집거나 뉘어서 사용하여도 체크밸브(4)의 위치를 고정하여 개폐돌부(41)로 하여금 통공(H)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통공(H) 및 제1설치홈(211)은 덮개부(2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설치홈(211)은 통공(H)보다 관통홀(H)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설치홈(111)은 내용기(1)에서 제1설치홈(21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설치돌부(42)가 제1설치홈(211) 및 제2설치홈(111)에 삽입됨으로써 덮개부(22)와 내용기(1) 간의 이격공간을 밀폐하기 때문에 관통홀(미도시)과 배출부(12) 사이 공간을 통해 내측공간(S)으로 공기가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체크밸브(4)는 개폐돌부(41)의 일 측에 구비(연결)되고 외용기(2)와 내용기(1)의 틈새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밀폐돌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밀폐돌부(43)는 상기 설치돌부(42)에서 관통홀(미도시) 방향으로 연장되어 덮개부(22)와 내용기(1)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용기는 밀폐돌부(43)를 포함함으로써, 관통홀(미도시)과 배출부(12)의 사이 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광통홀(미도시)과 배출부(12)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출부(12)는 소정 곡률을 따라 만곡된 제1라운드부(121)를 포함하고, 외용기(2)는 제1라운드부(121)에 상응하여 만곡된 제2라운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돌부(43)는 제1라운드부(121) 및 제2라운드부(221) 틈새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라운드부(221)는 덮개부(22)에서 관통홀(미도시)에 인접한 부분이 소정 곡률을 따라 만곡된 것이고, 제1라운드부(121)는 상기 제2라운드부(221)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라운드부(121)에 상응하여 만곡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밀폐돌부(43) 또한 제1라운드부(121) 및 제2라운드부(221) 틈새에 상응하는 두께 및 곡률로 형성되어 제1라운드부(121) 및 제2라운드부(221) 틈새에 개재되고 상기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홀(미도시)과 배출부(12)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기압 등의 외력에 대하여 체크밸브(4)의 위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덮개부(22)는 메인바디(21)의 말단 상에 배치되는 안착턱(2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관통홀(미도시)의 테두리에서 관통홀(미도시)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되 메인바디(21)의 말단(도 1을 기준으로 상단)에 안착되는 부분이 안착턱(223)인 것이다. 이때 상술한 끼움홈(2231)은 안착턱(223)에 구비되어 안착턱(223)과 메인바디(21)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끼움홈(2231)은 안착턱(223)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홈일 수 있다.
덮개부(22)는 상기 제2라운드부(221)의 외측단(도 1을 기준으로 하단)에서 토출구(OL)에서 내용물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토출구(OL)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공(H)은 수평부재(224)에 형성되고, 제1설치홈(211) 또한 수평부재(224)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설치홈(211)은 수평부재(224)에서 통공(H)보다 관통홀(미도시)에 인접하도록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2)는 토출구(OL)에서 내용물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토출구(OL)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평부재(224)의 외측단에서 상기 메인바디(21)와 결합되는 단부(예시적으로 끼움홈(2231)이 형성되는 안착판(223))까지 연장되되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덮개부(22)는 어플리케이터(23) 및 오버캡(5) 등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본 용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외력은 메인바디(21)에 집중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2)는 메인바디(21)보다 변형이 억제되는 딱딱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용기는 계단형의 탄성부재(225)를 포함함으로써, 내용물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본 용기의 중심선을 향하는 외력이 메인바디(21)에 작용하여도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덮개부(22)는 메인바디(21)보다 외력에 대하여 변형(탄성 변형)되는 정도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통공(H)이 수평부재(224)에 형성되고 체크밸브(4)의 설치돌부(42)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211)이 수평부재(224)에 형성된다고 하였는데, 메인바디(21)가 내용물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본 용기의 중심선을 향하는 외력을 받아도 수평부재(224)의 길이 방향이 상기 외력의 방향과 대체적으로 평행하므로 수평부재(224)의 변형 정도가 억제되어 통공(H)과 체크밸브(4)의 위치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체크밸브(4)가 가압 여부에 따라 통공(H)을 효과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배출부(12)는 내면에 결합홈(122)을 포함할 수 있고, 외용기(2)는 관 형상이고 배출부(12)에 삽입되어 토출구(OL)를 형성하되 외면에 결합홈(12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311)가 구비되는 삽입부재(231) 및 상기 삽입부재(231)의 후단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223)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보호부재(232)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단이라 함은 토출구(OL)에서 내용물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삽입부재(231)의 후단은 삽입부재(231)의 상단일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토출밸브(3)의 몸체부(31)는 외용기(2)에 결합된다고 하였는데, 몸체부(31)는 토출구(OL)를 형성하도록 배출부(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23)의 삽입부재(231)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단의 일 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보호부재(232)에 형성된 단턱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용기는 외용기(2)가 어플리케이터(23)를 포함함으로써, 외용기(2)의 일부(예시적으로 덮개부(22))와 배출부(12)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보호부재(232)가 안착턱(223)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됨으로써, 통공(H)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배출부(12)는 후단측(도 1을 기준으로 상단측)에서 후단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토출구(OL)에서 내용물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중심선(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용기의 배출부(12)가 경사면(123)을 포함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23)의 삽입부재(231)를 배출부(12)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23)는 외측벽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용기는내측면이 어플리케이터(23)의 외측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되 내측면에 고정돌기(23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5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233)가 고정홈(51)에 삽입됨에 따라 토출밸브(3)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가압돌기(52)를 포함하는 오버캡(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용기가 오버캡(5)을 포함함으로써, 고정돌기(233)와 고정홈(5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오버캡(5) 및 외용기(2)가 결합되어 토출밸브(3)(예시적으로 탄성돌부(32))를 가압하기 때문에, 외용기(2)가 의도치 않게 가압되어도 토출구(OL)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스퀴즈 용기: SC
내용기: 1 제2설치홈: 111
배출부: 12 제1라운드부: 121
결합홈: 122 경사면: 123
외용기: 2 메인바디: 21
제1설치홈: 211 걸림돌기: 212
덮개부: 22 제2라운드부: 221
걸림홈: 222 안착턱: 223
끼움홈: 2231 수평부재: 224
탄성부재: 225 내측공간: S
토출구: OL 어플리케이터: 23
삽입부재: 231 결합돌기: 2311
보호부재: 232 고정돌기: 233
통공: H
토출밸브: 3 몸체부: 31
탄성돌부: 32
체크밸브: 4 개폐돌부: 41
설치돌부: 42 밀폐돌부: 43
오버캡: 5 고정홈: 51
가압돌기: 52

Claims (11)

  1. 소성 재질이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 측에 구비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내용기;
    탄성 재질이고,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용기가 수용되는 내측공간 및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외용기; 및
    상기 외용기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덮도록 돌출 구비되는 탄성돌부를 포함하는 토출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는 외부와 상기 내측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통공을 밀폐하는 탄성 재질의 개폐돌부를 구비한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는 내측벽에 형성된 제1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설치홈에 삽입되는 설치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기는 외측벽에 형성된 제2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2설치홈에 삽입되는 설치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개폐돌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용기와 상기 내용기 간의 틈새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밀폐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소정 곡률을 따라 만곡된 제1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는 상기 제1라운드부에 상응하여 만곡된 제2라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돌부는 상기 제1라운드부 및 상기 제2라운드부 틈새에 삽입되고,
    상기 외용기는 상기 내측공간을 구비한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착탈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내측벽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벽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되도록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메인바디의 말단이 끼워지도록 함몰된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말단 상에 배치되는 안착턱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내면에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는 관 형상이고 상기 배출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되 외면에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의 후단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후단측에서 후단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외측벽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내측면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외측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되, 내측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토출밸브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오버캡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라운드부의 외측단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외측단에서 계단형을 가지며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되는 단부까지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밸브는 상기 몸체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 구비되어 단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상에 지지되고,
    상기 개폐돌부는 상기 설치돌부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그 내측단이 소정 곡률 만큼 만곡 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돌기의 내측단 형상과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78052A 2019-12-30 2019-12-30 스퀴즈 용기 KR102188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52A KR102188511B1 (ko) 2019-12-30 2019-12-30 스퀴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52A KR102188511B1 (ko) 2019-12-30 2019-12-30 스퀴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511B1 true KR102188511B1 (ko) 2020-12-08

Family

ID=7377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052A KR102188511B1 (ko) 2019-12-30 2019-12-30 스퀴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6246B1 (en) 2022-12-07 2024-01-09 Jaquette Chardae Green Face and body scrub dispens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647A (en) * 1990-03-09 1991-07-23 Allergan, Inc. Valu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KR20160000629U (ko) * 2014-08-13 2016-02-24 (주)아모레퍼시픽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0483655Y1 (ko) * 2015-07-17 2017-06-0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스퀴즈 용기
KR20180127977A (ko) * 2016-02-12 2018-11-30 샤넬 파르퓜 보트 액체 제품, 특히 크림과 같은 화장용 액체 제품의 압축 가능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647A (en) * 1990-03-09 1991-07-23 Allergan, Inc. Valu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KR20160000629U (ko) * 2014-08-13 2016-02-24 (주)아모레퍼시픽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0483655Y1 (ko) * 2015-07-17 2017-06-0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스퀴즈 용기
KR20180127977A (ko) * 2016-02-12 2018-11-30 샤넬 파르퓜 보트 액체 제품, 특히 크림과 같은 화장용 액체 제품의 압축 가능한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6246B1 (en) 2022-12-07 2024-01-09 Jaquette Chardae Green Face and body scrub dispen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7455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롤러식 이중화장품용기
JP3674688B2 (ja) 分配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
EP1162155B1 (fr) Capsule à articulation du type à effet ressort,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équipé d'une telle capsule
JP3850355B2 (ja) 製品を収容し加圧下で分配するための装置
KR100963155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이중화장품용기
KR101171753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롤러식 이중화장품용기
KR20100009882U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크림화장품용기
US6536631B1 (en) Sealed fluid dispensing device
JP2018516662A (ja) ポンプの吐出口が出没する化粧品容器
TW366322B (en) Liquid dispensing pump having water seal
FR2968516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cosmetique
KR20100108901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CA2577886C (fr) Bouchon sans joint rapporte
WO2007027654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fluid dispensing systems
KR102188511B1 (ko) 스퀴즈 용기
JP5793807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CA2383277A1 (fr) Capsule de distribution avec ouverture securisee
KR20120002890U (ko) 캡 일체형 용기
TW200611656A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WO2007000536A3 (fr) Valv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KR200462502Y1 (ko) 화장품용기
EP2881334B1 (fr) Systè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fluide contenu dans un récipient
JP2006315745A (ja) ポンプ付チューブ容器
KR200367470Y1 (ko) 매니큐어 용기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