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14B1 -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314B1
KR102188314B1 KR1020190016631A KR20190016631A KR102188314B1 KR 102188314 B1 KR102188314 B1 KR 102188314B1 KR 1020190016631 A KR1020190016631 A KR 1020190016631A KR 20190016631 A KR20190016631 A KR 20190016631A KR 102188314 B1 KR102188314 B1 KR 10218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nector
augmented reality
identifier
cab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918A (ko
Inventor
이성경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배치정보를 포함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식별자 및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작업자에게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작업자가 보고 있는 환경에 상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가상 이미지를 겹쳐 나타내는 인식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어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가 인식유닛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작업자의 양 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로 인해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우주 분야의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첨단 전자장비의 증가와 더불어 항공기, 선박 및 차량 등에는 전자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케이블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있다. 특히, 항공분야에서는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라 불리는 전기배선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와이어 하네스는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마차 하나의 와이어처럼 모듈화하고, 입출력 선단에 접속단자를 부가 접속한 형태의 와이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5171호(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패스 검출 장치, 2004.03.24.)"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패스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에서는 패널 상에 핀 맵이라 불리는 인쇄물을 부착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때, 핀 맵에는 해당 와이어 하네스의 배치정보 및 제작정보가 출력된 상태이며, 이에 작업자는 핀 맵에 출력된 배치정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를 라우팅(Routing)시켜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은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배치정보 및 제작정보의 편집이 어려워 개선된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5171호(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패스 검출 장치, 2004.03.24.)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배치정보를 포함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식별자 및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작업자에게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작업자가 보고 있는 환경에 상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가상 이미지를 겹쳐 나타내는 인식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에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자가 구비되는 핀 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의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버전 식별자와,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커넥팅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커넥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정보는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 정보 및 상기 커넥터 연결에 필요한 공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에 포함된 라인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유닛이 상기 버전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방식에 대한 리비전(Revision)을 확인하고, 상기 인식유닛에서는 리비전된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 이후에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의 정보, 고정정보 및 교체에 요구되는 공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항공기 및/또는 항공기 구조물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처리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어,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작업자가 인식유닛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작업자의 양 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로 인해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유지보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 이하, 증강 현실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인식유닛(110), 저장유닛(120) 및 식별자(130)를 포함한다.
먼저, 인식유닛(110)은 작업자에게 착용되며,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증강 현실 시스템(10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인식유닛(110)은 작업자의 눈에 착용되어, 작업자가 보고 있는 환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하나의 영상을 보여주는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인식유닛(110)은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인식유닛(11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저장유닛(120)에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유닛(120)은 컴퓨터, 노트북(Laptop), 스마트폰, 휴대용 단말, 개인 정보 단말 또는 클라우드(Cloud)와 같이 인터넷 환경에 구축된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유닛(120)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유닛(120)에는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 및 유지보수를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이에, 저장유닛(120)은 인식유닛(110)으로부터 관련 신호의 요청이 전달될 때에 해당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하여 작업자의 시야에 해당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식별자(130)는 매칭된 정보가 설정된 위치에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한다.
일례로, 인식유닛(110)에서 식별자(130)를 촬영하고 작업자가 설정된 신호를 입력할 때에, 저장유닛(120)은 해당 신호를 기반으로 식별자(130)에 대응되는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인식유닛(110)은 해당 식별자(130)와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정보의 증강 현실 데이터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130)는 텍스트, 이미지 및 QR(Quick Response) 코드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식별자(130)의 종류 및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에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어셈블리의 종류를 와이어 하네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 어셈블리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앞서 밝혀둔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 이하, 증강 현실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와이어 하네스(10)는 복수 개의 케이블을 마치 하나의 케이블처럼 모듈화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에서는 복수 개로 케이블을 식별하여 해당 케이블에 매칭되는 커넥터를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에서는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라인과 커넥터의 연결부를 매칭시켜 매칭된 라인과 커넥터 연결부를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지연되고 제작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100)을 활용하여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작할 경우에 보다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오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증강 현실 시스템(100)을 활용한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을 살펴보면, 먼저 패널의 일면에는 핀 맵(200)이 지지될 수 있다(S310). 여기서, 핀 맵(200)은 작업자와 마주하도록 패널에 지지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핀 맵(200)의 배치형태 및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핀 맵(200) 상에는 복수 개의 식별자(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식별자(130)는 핀 맵(200) 상에 인쇄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식별자(130)의 구현 방식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핀 맵(200)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식별자(130)는 버전 식별자(131) 및 복수 개의 커넥터 식별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인식유닛(110)을 통해 버전 식별자(131)를 선택할 수 있다(S320). 여기서, 식별자(130)의 선택은 인식유닛(110)에 표현되는 마커를 식별자(130)에 위치시키고 인식유닛(110)에 마련된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식별자(130)의 선택은 인식유닛(110)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한편, 인식유닛(110)에 의해 버전 식별자(131)가 선택됨에 따라 저장유닛(120)은 버전 식별자(131)에 매칭되는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라우팅 정보, 즉 배치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저장유닛(120)은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에 요구되는 정보의 리비전(Revision)을 검토하여 현재 반영되고 있는 가장 최신의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별도로 리비전을 검토하지 않더라도 현재 반영되고 있는 최신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작업 오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경우 리비전의 확보가 지연되거나 리비전 검토에 오류에 발생될 경우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증강 현실 시스템(100)의 경우 와이어 하네스(10) 제작에 대한 배치정보를 사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버전 식별자(131)를 선택할 경우 올바른 배치정보가 인식유닛(110)에 나타난다. 그리고 작업자는 배치정보와 핀 맵(200)을 비교한다. 이에, 작업 이전에 배치정보와 핀 맵(200)의 정보, 예컨대 커넥터 식별자(132)의 위치가 상이할 경우에 작업자는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리비전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 제작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인식유닛(110)은 핀 맵(200) 상에 해당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작하기 위한 2D 배치도를 나타낸다(S330). 즉, 인식유닛(110)에서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배치 형태가 증강 현실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인식유닛(110)에서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배치도뿐만 아니라 올바른 배치를 위해 각각의 케이블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때, 2D 배치도의 획득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설계부터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을 고려하여 2D 배치도가 작성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저장유닛(120)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증강 현실로 구현된 배치정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케이블(11)을 핀 맵 상에 지지시킨다(S340). 이때, 각각의 케이블(11) 선단에 이웃하는 영역에는 커넥터 식별자(132)가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케이블(11) 선단에 커넥터(12)를 연결하기 위하여, 인식유닛(110)을 통해 커넥터 식별자(132)를 선택한다(S350). 여기서, 커넥터 식별자(132)는 케이블(11)에 장착될 커넥터(12)를 나타내는 고유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커넥터 식별자(132)는 커넥터(12)가 장착된 이후 해당 커넥터(12)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커넥터 식별자(132)를 선택함에 따라 저장유닛(120)은 해당 커넥터 식별자(132)에 매칭되는 커넥팅 정보를 제공한다(S360). 이때, 인식유닛(110)에서는 케이블(11) 선단에 이웃하도록 복수 개 커넥팅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고, 작업자는 인식유닛(110)을 통해 복수 개의 커넥팅 정보 중 필요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인식유닛(110)에서 증강 현실로 나타나는 복수 개의 커넥팅 정보는 자재정보 및 회로정보일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자재정보를 선택하면, 저장유닛(120)은 해당 케이블(11)에 연결되어야 하는 커넥터 정보, 커넥터 연결에 필요한 공구 등 케이블(11)과 커넥터(12)의 연결에 필요한 자재 리스트를 증강 현실로 나타낸다. 이에, 작업자는 자재정보를 확인하며 케이블(11)에 연결되어야 하는 커넥터(12)와 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회로정보를 선택하면, 케이블(11)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을 위한 정보가 증강 현실로 나타난다. 케이블(11)과 커넥터(12)의 연결에서는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의 연결부를 매칭시켜 연결해야 한다.
이는 공정시간의 지연을 유발하고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부가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오작동 및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가 회로정보를 선택할 경우 인식유닛(110)에서는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부를 올바르게 연결하기 위한 회로정보가 텍스트 형태의 증강현실로 나타난다. 그리고 작업자는 회로정보를 참고하며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부를 올바르게 연결하게 된다(S370).
또한, 작업자가 회로정보를 선택한 경우에, 인식유닛(110)에서는 커넥터(12) 연결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수 및 작업방법 등의 참고정보가 증강현실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참고정보를 확인하며 케이블(11)과 커넥터(12)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참고정보가 회로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참고정보는 별도의 항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를 연결할 때에 텍스트 형태의 회로정보를 참고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의 회로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출력 가능하다. 이때, 인식유닛(110)에서는 핀 맵(200) 상에 복수 개의 라인(11a)을 구별하기 위한 배치정보가 나타날 수 있고, 각각의 라인이 어느 커넥터(12) 연결부에 연결되어야 하는지가 이미지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증강 현실로 나타나는 정보를 참고하며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작하게 된다. 이에,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 공정 난이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숙련도와 무관하게 제작 오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케이블 어셈블리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도 케이블 어셈블리의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유지보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 이하, 증강 현실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와이어 하네스(10)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도 유지보수 및 시험 등의 목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와이어 하네스(10)가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작업자는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정보를 인식하며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교체 및 수리 등의 처리를 수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작업자는 인식유닛(1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커넥터(12)에 부착된 커넥터 식별자(132)를 선택한다(S410). 이에, 저장유닛(120)은 해당 커넥터(12)에 대한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인식유닛(110)은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등을 포함하는 커넥팅 정보를 증강 현실로 나타낼 수 있다(S420).
이때, 자재정보는 해당 커넥터(12)의 일반정보, 고장정보 및 교체에 요구되는 공구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회로정보는 커넥터(12)와 항공기 구조물의 연결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참고정보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처리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수 및 작업방법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정보에 포함되는 세부정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시스템(100)에서는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장착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S330). 이때, 인식유닛(110)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장착형태를 증강 현실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인식유닛(110)에서 나타나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장착 정보는 와이어 하네스(10)가 실제 항공기에 장착된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3D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3D 이미지의 획득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설계부터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실제 장착을 고려하여 3D 이미지를 작성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저장유닛(120)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3D 이미지는 실제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뿐 실제 와이어 하네스(10)와 교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증강 현실 시스템(100)에서는 커넥터 식별자(132)를 기준점으로 식별하여 실제 와이어 하네스(10)가 장착된 위치에도 3D 형태의 이미지가 교차되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S440).
이에, 실제 장착된 와이어 하네스(10)의 처리에서 작업자는 증강 현실로 나타나는 정보를 참고하게 된다. 따라서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와이어 하네스(10)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 난이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숙련도와 무관하게 처리 오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어,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작업자가 인식유닛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작업자의 양 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로 인해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와이어 하네스
11 : 케이블
12 : 커넥터
100 :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110 : 인식유닛
120 : 저장유닛
130 : 식별자
200 : 핀 맵

Claims (5)

  1.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식별자;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작업자에게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작업자가 보고 있는 환경에 상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가상 이미지를 겹쳐 나타내는 인식유닛; 및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에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자가 구비되는 핀 맵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의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버전 식별자와,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커넥팅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커넥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정보는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 정보 및 상기 커넥터 연결에 필요한 공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에 포함된 라인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유닛이 상기 버전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방식에 대한 리비전(Revision)을 확인하고,
    상기 인식유닛에서는 리비전된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 이후에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의 정보, 고정정보 및 교체에 요구되는 공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항공기 및/또는 항공기 구조물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처리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KR1020190016631A 2019-02-13 2019-02-13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KR10218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631A KR102188314B1 (ko) 2019-02-13 2019-02-13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631A KR102188314B1 (ko) 2019-02-13 2019-02-13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18A KR20200098918A (ko) 2020-08-21
KR102188314B1 true KR102188314B1 (ko) 2020-12-08

Family

ID=7223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631A KR102188314B1 (ko) 2019-02-13 2019-02-13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5135B2 (en) 2020-05-29 2022-04-0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sset tracking of communication equipment via mixed reality based labeling
US11374808B2 (en) 2020-05-29 2022-06-2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utomated logging of patching operations via mixed reality based labe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000B (zh) * 2021-12-17 2023-06-0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线缆ar引导装配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1093A (ja) * 2016-11-07 2018-05-24 リンカーン グローバ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溶接訓練機を校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171A (ko) 2002-09-18 2004-03-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패스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1093A (ja) * 2016-11-07 2018-05-24 リンカーン グローバ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溶接訓練機を校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5135B2 (en) 2020-05-29 2022-04-0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sset tracking of communication equipment via mixed reality based labeling
US11374808B2 (en) 2020-05-29 2022-06-2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utomated logging of patching operations via mixed reality based labe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18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309B1 (ko) 전기 스위칭 시스템을 탑재하기 위한 방법 및 그러한 스위칭 시스템의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한 조립 지원 디바이스
KR102188314B1 (ko)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JP4996138B2 (ja) ワイヤハーネス組立支援装置、ワイヤハーネス組立支援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組立支援方法
US9589390B2 (en) Wire harness assembly
JP2016526255A (ja) ケーブルハーネス生産支持体
US20240029581A1 (en) Method for assembling or repairing a connectorized electrical equipment in an environment
US202001363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omated support of a connection process, in particular of components arranged in a control cabinet or on a mounting system
US20170090436A1 (en) Numerical control system
JP5586325B2 (ja) ワイヤハーネス導通検査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導通検査プログラム
KR20150063703A (ko) 증강현실 기반 선박의 블록 검사 방법
US11325258B2 (en)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failure recovery
CN112214961A (zh) 自动布线及线束制作的方法及系统
JP5190481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5001488A (ja) 導通確認方法及び導通確認装置
EP4241142A1 (en) Method for inspecting a correct execution of a processing step of components, in particular a wiring harness, data structure and system
CN111582274B (zh) 一种基于标识物的导线布线虚拟引导方法
JP7374908B2 (ja) 製造支援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2016133410A (ja) 配線検査システムおよび配線検査方法
JP2018067104A (ja) ジョイント位置決定支援方法
KR102408508B1 (ko) 퓨즈 대비 선경 매칭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N221058354U (zh) 工业控制系统
JP7149354B2 (ja) 保守作業支援システム、保守作業支援方法、および、保守作業支援プログラム
KR102421225B1 (ko) 커넥터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221226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283569A (zh) 一种复杂电子产品增强现实装配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