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254B1 -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254B1
KR102187254B1 KR1020190088423A KR20190088423A KR102187254B1 KR 102187254 B1 KR102187254 B1 KR 102187254B1 KR 1020190088423 A KR1020190088423 A KR 1020190088423A KR 20190088423 A KR20190088423 A KR 20190088423A KR 102187254 B1 KR102187254 B1 KR 10218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vr
terminal
module
data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모스
Priority to KR102019008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통신사의 데이터통신망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해당 통신사로부터 저렴한 요금제 혜택이 적용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와, DVR 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용 중계단말기에서 공급되는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식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DVR 단말기가 관리서버로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DVR 단말기에 장착된 유심-칩을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할 때와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DVR 단말기의 설계 및 구조 변경 없이, 이동식 접속장치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사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data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 DVR}
본 발명은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차량 DVR에 저장된 영상 및 데이터 통신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영상 및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비용소모 및 네트워크 부하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카메라별로 입력되는 다수의 영상신호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다중화 하여 저장 가능함으로써 동시 저장 및 장시간 저장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0791523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에 개시된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차량의 운행 중 위반사항이 발생하면 위반시간 및 위반사항에 대한 이벤트 항목을 발생하여 영상신호와 함께 저장함과 동시에 이벤트 항목을 위한 항목별 또는 시간별로 리스트를 만들어 저장하는 차량용 DVR 장치(200)와,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차량용 DVR 장치(200)로부터 이벤트 항목을 수신 받아 리스트별로 저장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차량용 DVR 장치(200)로부터 이벤트 항목을 수신 받아 리스트별로 저장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차량용 DVR 장치(200)에 저장된 자료만 수신 받아 관리하는 서버(1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용 DVR 장치(200)는 차량에 설치되는 센서부(191), 카메라(192) 및 마이크(193)와 연결된다.
또한 차량용 DVR 장치(200)는 카메라(192) 및 마이크(193)로부터 입력된 영상 및 음향신호와 차량속도를 이벤트 항목과 함께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메모리(205)와, 이벤트 항목을 리스트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부(206)와, 센서부(191)로부터 수신 받은 신호에 의해 차량 운행 중 위반사항을 판단하는 속도보드(211)와, 속도 보드(211)로부터 차량의 위반사항이 판단되면 위반시간 및 위반사항에 대한 이벤트 항목을 발생하여 영상 신호와 함께 저장하고 이와 별도로 이벤트 항목을 위반 항목별로 또는 시간별로 리스트를 만들어 저장하고 리스트의 이벤트 항목 선택 시 저장된 해당 동영상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8)와, 마이크로 프로세서(218)의 제어에 의해 이벤트 항목을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모듈(2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차량이 운행하면서 과속이나 급정지, 급발진, 개문주행 등의 위반사항이 발생될 때마다 사고일시, 위반사항이 포함된 이벤트 항목 및 영상데이터를 DVR 장치(200)에 저장함과 동시에 DVR 장치(200)에서 저장된 이벤트 항목 및 영상데이터를 무선을 통해 서버(130)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버(130)에서 일일이 모든 차량의 저장된 자료를 일일이 회수할 필요 없이 이벤트가 발생한 차량의 자료만 회수하여 열람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자료 및 영상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100)의 DVR 장치(200)와 같은 단말기를 외부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통신사와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유심(USIM)-칩을 단말기에 설치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통신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영상데이터는 용량이 큰 특성을 갖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시, 통신사의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비용소모 및 네트워크 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기술(100)은 무선통신망(140)에 접속하여 서버(130)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식과 같이 DVR 장치(200)에 특정 통신사의 유심-칩을 장착하여 영상을 전송한다고 가정할 때, 전술하였던 문제점이 그대로 지속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특정 통신사의 데이터통신망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해당 통신사로부터 저렴한 요금제 혜택이 적용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와, DVR 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용 중계단말기에서 공급되는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식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DVR 단말기가 관리서버로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DVR 단말기에 장착된 유심-칩을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할 때와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DVR 단말기의 설계 및 구조 변경 없이, 이동식 접속장치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사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센싱값이 모두 숫자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감안하여 DVR 어플리케이션이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할 때, 카테고리별 데이터(센싱값)가 이전 주기의 해당 카테고리 데이터와 임계범위 이내일 때, 해당 카테고리 데이터를 제외시켜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전송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비용소모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DVR 어플리케이션이 이동식 접속장치가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지를 탐색하며, 만약 차량이 정차한 상태이면서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될 때, 전체 영상을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방대한 용량의 전체영상의 전송으로 인한 비용소모 및 네트워크 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센싱값을 측정하는 센서들;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하우징의 외면에 커넥터가 설치되는 DVR 단말기; 상기 DVR 단말기에 설치되는 DVR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신사의 데이터통신망과의 접속을 지원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망을 공급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 상기 DVR 단말기의 커넥터에 탈부착되어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에서 공급되는 근거리 통신망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이동식 접속장치;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 및 모니터링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DVR 단말기는 입력된 영상을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의 지원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는 상기 DVR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상기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DVR 단말기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입력된 센싱값을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영상인 이벤트영상을 추출함과 동시에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인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며, 추출된 이벤트영상 및 생성된 이벤트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된 상기 중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DV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DVR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카테고리별 센싱값들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동작되며,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카테고리별 센싱값들을 분석하여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카테고리별 센싱값들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시키는 분류모듈; 상기 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현재 카테고리 데이터와 이전 주기의 해당 카테고리 데이터의 차이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모듈; 상기 차이값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카테고리별 차이값들 각각을 기 설정된 임계범위와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카테고리별 차이값들 중 임계범위 보다 작은 카테고리별 차이값을 갖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전송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판별모듈; 상기 판별모듈에서 필터링 된 카테고리 데이터를 제외한 카테고리별 데이터들로 이루어지는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상세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DV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행상세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주행상세정보가 상기 중계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DVR 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계단말기를 통해 상기 DVR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주행상세정보에서 제외된 카테고리 데이터는 이전에 수신 받은 카테고리 데이터로 대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는 USB 타입이고,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에서 공급되는 근거리 통신망은 와이파이망이고,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는 와이파이 동글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DVR 어플리케이션은 전체영상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체영상 관리모듈은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가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지를 탐색하는 탐색모듈; 상기 탐색모듈에 의해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되었다고 판단될 때 동작하며, 현재 차량이 정차된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정차여부 판단모듈; 상기 정차여부 판단모듈에 의해 차량이 정차된 상태라고 판단될 때 동작하며, 차량 주행 이후 저장된 전체영상을 접속된 공개형 와이파이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체영상 전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통신사의 데이터통신망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해당 통신사로부터 저렴한 요금제 혜택이 적용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와, DVR 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용 중계단말기에서 공급되는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식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DVR 단말기가 관리서버로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DVR 단말기에 장착된 유심-칩을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할 때와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VR 단말기의 설계 및 구조 변경 없이, 이동식 접속장치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사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싱값이 모두 숫자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감안하여 DVR 어플리케이션이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할 때, 카테고리별 데이터(센싱값)가 이전 주기의 해당 카테고리 데이터와 임계범위 이내일 때, 해당 카테고리 데이터를 제외시켜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전송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비용소모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VR 어플리케이션이 이동식 접속장치가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지를 탐색하며, 만약 차량이 정차한 상태이면서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될 때, 전체 영상을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방대한 용량의 전체영상의 전송으로 인한 비용소모 및 네트워크 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0791523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에 개시된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2의 DVR 단말기에 설치되는 DVR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체영상 관리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1)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영상 음향 주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획득 및 수집하는 부속장비(8)들과,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부속장비(8)들로부터 수집된 영상 및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과속이나 급정지, 급발진, 개문주행 등의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별하는 DVR 단말기(3)와, DVR 단말기(3)에 탈부착 되어 후술되는 DVR 단말기(3)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7)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이동식 접속장치(5)와, 근거리 통신망(20)을 제공하여 이동식 접속장치(5)를 통해 DVR 단말기(3)와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특정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후술되는 관리서버(9)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7)와, 휴대용 중계단말기(7)를 통해 DVR 단말기(3)로부터 이벤트정보 및 이벤트영상을 전송받아 이를 관리 및 모니터링 하는 관리서버(9)와, 관리서버(9)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7)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10)과, 휴대용 중계단말기(7) 및 이동식 접속장치(5)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20)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통신망(10)은 관리서버(9)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7)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망이며, 상세하게로는 특정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3G, 4G, 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20)은 휴대용 중계단말기(7)가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이며, 상세하게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속장비(8)들은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81)들과,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82)들과,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감지대상을 측정하는 각종 센서(83)들과, 차량의 GPS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GPS모듈(84)로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83)들은 차체 충격, 진동, 기울기 등의 감지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속장비(8)가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 및 차상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부속장비(8)는 차량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장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부속장비(8)들은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데이터 또는 측정데이터를 DVR 단말기(3)로 입력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DVR 단말기(3)는 통상의 캔(CAN) 통신망을 통해 부속장비(8)들과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DVR 단말기(3)는 부속장비(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DVR 단말기(3)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인 이벤트영상을 추출함과 동시에 이벤트의 내용, 시간 및 위치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DVR 단말기(3)는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가 추출 및 생성되면, 이동식 접속장치(5)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용 중계단말기(7)로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휴대용 중계단말기(7)는 DVR 단말기(3)로부터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수신 받으면,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9)로 수신 받은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서버(9)는 휴대용 중계단말기(7)를 통해 DVR 단말기(3)로부터 전송받은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저장 및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이벤트에 대응되는 후속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DVR 단말기(3)는 이동식 접속장치(5)가 탈부착 될 수 있는 커넥터가 함체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때 커넥터는 상세하게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USB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DVR 단말기(3)는 커넥터를 통해 이동식 접속장치(5)가 접속되면, 이동식 접속장치(5)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용 중계단말기(7)로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동식 접속장치(5)는 이동식 USB 타입으로 제작되어 DVR 단말기(3)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또한 이동식 접속장치(5)는 휴대용 중계단말기(7)에서 근거리 통신망(20)과의 접속을 지원함으로써 DVR 단말기(3)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7)가 근거리 통신망(2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이동식 접속장치(5)는 근거리 통신망(20)이 와이파이 망이라고 할 때, 와이파이 망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동글(dongle)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식 접속장치(5)는 DVR 단말기(3)에 설치되어 DVR 단말기(3)가 휴대용 중계단말기(7)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되도록 지원함으로써 DVR 단말기(3)가 근거리 통신망(20)을 통해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휴대용 중계단말기(7)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휴대용 중계단말기(7)는 특정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여 관리서버(9)와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망(20)을 공급하여 DVR 단말기(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휴대용 중계단말기(7)로는 특정 통신사의 데이터통신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에그(Egg)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중계단말기(7)는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이동식 접속장치(5)를 통해 DVR 단말기(3)로부터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수신 받으면, 수신 받은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9)로 전송한다.
관리서버(9)는 휴대용 중계단말기(7)를 통해 DVR 단말기(3)로부터 전송받은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모니터링 하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후속절차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관리서버(9)에는 DVR 단말기(3)로부터 전송받은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열람 및 모니터링 하기 위한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1)의 동작 과정(S1)은 통신망 접속준비단계(S10)와, 차량주행단계(S20), 영상획득 및 데이터 수집단계(S30)와, 이벤트발생여부 판별단계(S40), 이벤트영상 추출단계(S50), 이벤트정보 생성단계(S60), 제1 전송단계(S70), 제2 전송단계(S80), 데이터 저장 및 모니터링 단계(S90)로 이루어진다.
통신망 접속준비단계(S10)는 차량주행단계(S20) 이전에 진행되며, 휴대용 중계단말기(7)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DVR 단말기(3)의 커넥터에 이동식 접속장치(5)를 접속시켜 휴대용 중계단말기(7) 및 이동식 접속장치(5)가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되었는지를 준비하며, 휴대용 중계단말기(7)가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되었는지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차량주행단계(S20)는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영상획득 및 데이터 수집단계(S30)는 차량주행단계(S20)에 의해 차량 주행이 시작되면 진행되며, DVR 단말기(3)가 부속장비들로부터 획득 및 수집된 영상 및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이벤트발생여부 판별단계(S40)는 DVR 단말기(3)가 영상획득 및 데이터수집단계(S3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한다.
또한 이벤트발생여부 판별단계(S40)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벤트영상 추출단계(S50) 및 이벤트정보 생성단계(S60)를 진행한다.
이벤트영상 추출단계(S50)는 이벤트발생여부 판별단계(S40)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진행되며, DVR 단말기(3)가 저장된 영상으로부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인 이벤트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벤트정보 생성단계(S60)는 이벤트발생여부 판별단계(S40)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진행되며, DVR 단말기(3)가 발생된 이벤트의 내용, 시간, 위치, 차량속도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한다.
제1 전송단계(S70)는 DVR 단말기(3)가 이벤트영상 추출단계(S50)에 의해 추출된 이벤트영상과, 이벤트정보 생성단계(S60)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정보를 이동식 접속장치(5)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용 중계단말기(7)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2 전송단계(S80)는 휴대용 중계단말기(7)가 제1 전송단계(S70)를 통해 수신 받은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9)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저장 및 모니터링 단계(S90)는 관리서버(9)가 제2 전송단계(S80)를 통해 수신 받은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저장 및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후속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1)은 특정 통신사의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해당 통신사로부터 저렴한 요금제 혜택이 적용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7)를 이용하여 DVR 단말기(3)가 관리서버(9)로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DVR 단말기(3)에 장착된 유심-칩을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전송할 때와 비교하여 과도한 비용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1)은 DVR 단말기(3)의 설계 및 구조 변경 없이, 이동식 접속장치(5) 및 휴대용 중계단말기(7)를 이용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관리서버(9)로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사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해외에서 운영된다고 가정할 때, DVR 단말기(3)의 구조 및 설계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해당 국가의 특정 통신사에 연동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만을 구매할 경우, 운영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5는 도 2의 DVR 단말기에 설치되는 DVR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DVR 어플리케이션(30)은 전술하였던 도 5의 DVD 단말기(3)에 설치되어 DVR 단말기(3)를 관리 및 제어하는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DVR 어플리케이션(30)은 1)이벤트가 발생될 때,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이벤트정보 및 이벤트영상이 관리서버(9)로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함과 동시에 2)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부속장비(8)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들을 가공하여 생성된 주행상세정보가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관리서버(9)로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하되, 3)주행상세정보의 카테고리별 데이터들 중 이전 동일 카테고리의 데이터와 차이값이 임계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경우, 해당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제외하여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시켜 비용소모를 더욱 절감시키며, 4)이동식 접속장치(5)가 공개형 와이파이에 접속될 때, 관리서버(9)로 저장된 영상이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함으로써 관리서버(9)에서 전체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용량 영상 전송으로 인한 비용소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술하였던 도 2 내지 4의 DVR 단말기(3)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를 관리서버(9)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관리서버(9)가 이벤트에 대해서만 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이외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나, 도 5의 DVR 어플리케이션(30)은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때에도 주행상세정보가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함과 동시에 차후 공개형 와이파이망을 통해 관리서버(9)로 전체 영상이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함으로써 관리서버(9)가 이벤트뿐만 아니라 주행상세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VR 어플리케이션(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31)과, 입력모듈(32), 이벤트 관리모듈(33),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35), 전체영상 관리모듈(37)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31)은 DVR 어플리케이션(30)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2), (33), (35), (3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입력모듈(32)은 부속장비(8)들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데이터들을 입력받는다.
이벤트 관리모듈(33)은 입력모듈(32)을 통해 입력된 카테고리별 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이때 카테고리들은 음향신호의 데시벨 및 센서들 각각의 센싱값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관리모듈(33)은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별될 때,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인 이벤트영상을 추출함과 동시에 이벤트 내용, 시간, 위치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모듈(31)은 이벤트 관리모듈(33)에 의해 추출된 이벤트영상 및 이벤트정보가 이동식 접속장치(5)를 통해 휴대용 중계단말기(7)로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한다.
도 6은 도 5의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35)은 제어모듈(31)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T)에 따라 동작된다.
또한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3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32)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분류모듈(351)과, 분류모듈(351)에 의해 분류된 각 카테고리별 데이터 및 이전 해당 카테고리 데이터와의 차이값들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모듈(352)과, 차이값 산출모듈(352)에 의해 산출된 카테고리별 차이값들 각각을 기 설정된 임계범위와 비교하는 비교모듈(353)과, 카테고리별 차이값들 중 임계범위 보다 작은 카테고리별 차이값을 갖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전송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판별모듈(354)과, 판별모듈(354)에 의해 필터링 된 카테고리 데이터를 제외한 카테고리별 데이터들로 이루어지는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상세정보 생성모듈(355)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모듈(31)은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35)에 의해 주행상세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주행상세정보가 이동식 접속장치(5)를 통해 휴대용 중계단말기(7)로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한다.
즉 마이크 및 각종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센싱값이기 때문에 ‘숫자’로 표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DVR 어플리케이션(30)이 센싱값의 변동이 임계범위 미만으로 작은 경우, 전송 대상에서 제외시켜 주행상세정보를 관리서버(9)로 전송하고, 관리서버(9)는 전송받은 주행상세정보에서 제외된 카테고리 데이터는 이전에 수신 받은 카테고리 데이터로 대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용량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데이터누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의 이전 주기 및 현재 주기의 센싱값이 ‘0.3’ 및 ‘0.5’이고, 임계범위가 ‘0.6’이라고 가정할 때, DVR 어플리케이션(30)은 센싱값의 차이값(0.2)이 임계범위(0.6) 보다 작기 때문에 주행상세정보 생성 시, 진동센서의 센싱값을 제외시켜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한다.
도 7은 도 5의 전체영상 관리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체영상 관리모듈(37)은 이동식 접속장치(5)가 공개형 와이파이 망에 접속되는지를 탐색하는 탐색모듈(371)과, 탐색모듈(371)에 의해 공개형 와이파이 망에 접속될 때 동작하며 현재 차량이 정차된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정차여부 판단모듈(372)과, 정차여부 판단모듈(372)에 의해 차량이 정차된 상태라고 판단될 때 동작하며 차량 주행 이후 저장된 전체영상을 관리서버(9)로 전송되도록 DVR 단말기(3)를 제어하는 하는 전체영상 전송모듈(373)로 이루어진다.
즉 전체영상 관리모듈(37)은 DVR 어플리케이션(30)이 차량이 정차한 상태이면서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 경우, 해당 공개형 와이파이망을 통해 전체 영상이 관리서버(9)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용량이 매우 방대한 전체 영상의 전송으로 인한 사용자의 비용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1: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3:DVR 단말기
5:이동식 접속장치 7:휴대용 중계단말기 8:부속장비들
9:관리서버 10:데이터통신망 20:근거리 통신망
30:DVR 어플리케이션 31:제어모듈 32:입력모듈
33:이벤트 관리모듈 35: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
37:전체영상 관리모듈 81:카메라 82:마이크
83:센서 84:GPS모듈
S1: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동작 과정
S10:통신망 접속준비단계 S20:차량주행단계
S30:영상획득 및 데이터 수집단계 S40:이벤트발생여부 판별단계
S50:이벤트영상 추출단계 S60:이벤트정보 생성단계
S70:제1 전송단계 S80:제2 전송단계(S80)
S90:데이터 저장 및 모니터링 단계

Claims (6)

  1.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센싱값을 측정하는 센서들;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하우징의 외면에 커넥터가 설치되는 DVR 단말기;
    상기 DVR 단말기에 설치되는 DVR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신사의 데이터통신망과의 접속을 지원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망을 공급하는 휴대용 중계단말기;
    상기 DVR 단말기의 커넥터에 탈부착되어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에서 공급되는 근거리 통신망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이동식 접속장치;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저장 및 모니터링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DVR 단말기는 입력된 영상을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의 지원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는 상기 DVR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상기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DVR 단말기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입력된 센싱값을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영상인 이벤트영상을 추출함과 동시에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인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며, 추출된 이벤트영상 및 생성된 이벤트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된 상기 중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DV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DVR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카테고리별 센싱값들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동작되며,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카테고리별 센싱값들을 분석하여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상세정보 관리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카테고리별 센싱값들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시키는 분류모듈;
    상기 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현재 카테고리 데이터와 이전 주기의 해당 카테고리 데이터의 차이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모듈;
    상기 차이값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카테고리별 차이값들 각각을 기 설정된 임계범위와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카테고리별 차이값들 중 임계범위 보다 작은 카테고리별 차이값을 갖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전송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판별모듈;
    상기 판별모듈에서 필터링 된 카테고리 데이터를 제외한 카테고리별 데이터들로 이루어지는 주행상세정보를 생성하는 주행상세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DV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행상세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주행상세정보가 상기 중계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DVR 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계단말기를 통해 상기 DVR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주행상세정보에서 제외된 카테고리 데이터는 이전에 수신 받은 카테고리 데이터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는 USB 타입이고,
    상기 휴대용 중계단말기에서 공급되는 근거리 통신망은 와이파이망이고,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는 와이파이 동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VR 어플리케이션은 전체영상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체영상 관리모듈은
    상기 이동식 접속장치가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지를 탐색하는 탐색모듈;
    상기 탐색모듈에 의해 공개형 와이파이망에 접속되었다고 판단될 때 동작하며, 현재 차량이 정차된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정차여부 판단모듈;
    상기 정차여부 판단모듈에 의해 차량이 정차된 상태라고 판단될 때 동작하며, 차량 주행 이후 저장된 전체영상을 접속된 공개형 와이파이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체영상 전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DVR 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20190088423A 2019-07-22 2019-07-22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218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23A KR102187254B1 (ko) 2019-07-22 2019-07-22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23A KR102187254B1 (ko) 2019-07-22 2019-07-22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254B1 true KR102187254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423A KR102187254B1 (ko) 2019-07-22 2019-07-22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673B1 (ko) * 2023-02-14 2024-01-23 주식회사 지앤케이솔루션즈 안전성을 높인 긴급-정지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산업 설비 및 현장 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23B1 (ko) * 2007-08-20 2008-01-04 고려웍스(주)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
JP2012147376A (ja) * 2011-01-14 201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伝送装置
KR20140105881A (ko) * 2013-02-24 2014-09-03 최재덕 자동차 블랙박스 영상물 실시간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9430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90067949A (ko) * 2017-12-07 2019-06-18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Rtos기반 무선랜 장치가 연결된 영상기록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23B1 (ko) * 2007-08-20 2008-01-04 고려웍스(주)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
JP2012147376A (ja) * 2011-01-14 201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伝送装置
KR20140105881A (ko) * 2013-02-24 2014-09-03 최재덕 자동차 블랙박스 영상물 실시간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9430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90067949A (ko) * 2017-12-07 2019-06-18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Rtos기반 무선랜 장치가 연결된 영상기록저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673B1 (ko) * 2023-02-14 2024-01-23 주식회사 지앤케이솔루션즈 안전성을 높인 긴급-정지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산업 설비 및 현장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0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data, terminal, and server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216244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
EP1439511A1 (en) METHOD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 PROGRAM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 RECORD MEDIUM WITH RECORDED PROGRAM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 APPARATUS FOR MANAGING SENSOR NETWORK SYSTEM, METHOD FOR MANAGING RELAY NETWORK, PROGRAM FOR MANAGING RELAY NET
US8339469B2 (en) Proces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probability of image capture with a terminal using contextual data
CN101874417A (zh) 使用元数据字段的运动模糊检测
CN113535207B (zh) 车辆及其车载软件的更新方法、移动终端
US20040246123A1 (en) Chang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ethod or apparatus
US20180232968A1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US108675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location of a parked vehicle
KR20080079454A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KR102187254B1 (ko) 차량 dvr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1747215B1 (ko)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52157A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 상태 감시 방법
KR20120103352A (ko) 차량 주행기록장치와 이를 이용한 운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05721834A (zh) 控制平衡车停靠的方法及装置
CN101494770B (zh) 用于控制监控照相机的屏蔽的颜色的装置和方法
KR20030042528A (ko) 원격지 백업기능을 갖는 디브이알 시스템
CN104950727A (zh) 平衡车管理方法及装置
JP200216521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に防犯監視システムの基本機能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KR20200000297A (ko) 영상 감시시스템및 드론을 이용한 영상감시방법
KR20130125641A (ko) 블랙박스 장치
KR20130057265A (ko) 스마트폰용 블랙박스 영상 제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984070B1 (ko) 지능형 스테레오 영상 기반 시설물 진동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