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507B1 - 배관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배관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507B1
KR102186507B1 KR1020190065324A KR20190065324A KR102186507B1 KR 102186507 B1 KR102186507 B1 KR 102186507B1 KR 1020190065324 A KR1020190065324 A KR 1020190065324A KR 20190065324 A KR20190065324 A KR 20190065324A KR 102186507 B1 KR102186507 B1 KR 10218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coupling
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균
김철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기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기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기건
Priority to KR102019006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507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10 priority patent/WO20202466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2Locking by means of a pawl or pawl-lik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과;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120)과;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상기 제1배관(10) 또는 상기 제2배관(20)에 고정시키는 결합판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고정부재{PIP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이웃하는 배관을 서로 결합시킨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배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일정 길이로 제작된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이 때, 각 배관의 단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이웃하는 배관의 플랜지는 서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배관을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이웃하는 배관을 고정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를 흐르는 기체 또는 유체의 흐름 또는 외력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볼트와 너트가 풀리게 되면 이웃하는 배관 사이로 기체가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1459호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웃하는 배관을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배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는,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과;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120)과;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상기 제1배관(10) 또는 상기 제2배관(20)에 고정시키는 결합판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은 상기 제1배관(10) 및 제2배관(20)의 단면 형상의 절반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111)이 구비되며, 상기 역회전방지링(120)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삽입되는 외부링(121)과; 상기 외부링(1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링(123)과; 상기 내부링(123)이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링(123)을 지지하는 역회전방지부재(125)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링(12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모서리에 맞물리는 내부이빨(123b)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링(1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역회전방지부재(125)와 맞물리는 외부이빨(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판고정부재(130)는, 상기 배관결합공(111)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질 수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된 배관결합링(13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배관결합링(131)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결합링(131)을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배관결합링(131)이 벌어지며 상기 제1배관(10) 또는 상기 제2배관(20)에 끼움결합되게 하는 결합링가압축(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배관의 결합상태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함께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결합구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에 의해 이웃하는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가 배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100)에 의해 이웃하게 배치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관고정부재(100)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은 각각 양단에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가 구비된다.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각각의 배관플랜지(11,21) 표면에 관통형성된 볼트삽입공(13,23)으로 볼트(30)가 삽입되고, 너트(40)가 외부로 노출된 볼트축(31)에 체결되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결합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100)는 서로 결합된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30)와 너트(40)가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배관고정부재(100)는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의 단면형상의 절반에 대응되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포함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에 상하로 배치되고,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은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상하로 배치된다.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은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제1플랜지결합판(11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서로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을 덮게 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중심영역에는 제1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배관결합공(111)이 형성된다. 배관결합공(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10)을 외주연의 절반영역을 감싸 제1플랜지결합판(110)이 제1배관플랜지(11)에 배치되게 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링결합공(113)이 형성되고, 각 링결합공(113)에는 역회전방지링(120)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내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가압축삽입공(115)이 형성되고, 결합판고정부재(130)의 결합링가압축(133)이 가압축삽입공(115)에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플랜지결합판(110)에는 두 개의 링결합공(113)이 구비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제1배관플랜지(11)에 결합되었을 때, 총 4개의 링결합공(113)은 각각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역회전방지링(120)은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링결합공(113)에 결합되어 볼트(30) 또는 너트(40)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1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방지링(120)은 링결합공(1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외부링(121)과, 외부링(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링(123)과, 내부링(123)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지지하는 역회전방지부재(125)를 포함한다.
외부링(121)은 링결합공(113)에 용접되어 고정결합된다. 외부링(121)은 내부링(123)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한다.
내부링(123)은 외부링(12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링(121)과 내부링(123)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미도시)이 구비되어 내부링(12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링(123)의 외주연에는 외부이빨(123a)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내부이빨(123b)이 형성된다. 외부이빨(123a)은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내부이빨(123b)은 내부링(123)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된다. 내부이빨(123b)에는 육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볼트(30) 또는 너트(40)의 모서리가 끼워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볼트(30) 또는 너트(40)가 회전될 때 내부링(123)도 함께 회전된다.
역회전방지부재(125)는 외부링(121)의 내측에서 내부링(123)의 외부이빨(123a)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역회전방지부재(125)는 지지축(125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역회전방지부재(125)는 내부링(123)이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외부이빨(123a)을 타고 넘으며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며 내부링(123)이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 역회전방지부재(125)는 내부링(123)이 볼트(30)와 너트(40)가 풀리는 방향(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외부이빨(123a) 사이에 끼워져 내부링(123)이 회전되지 못하게 막는다.
이 때, 역회전방지부재(125)는 탄성부재(125b)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링(123)의 회전에 의해 지지축(125a)을 중심으로 회동된 후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결합판고정부재(130)는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에 결합된 제1플랜지결합판(110)을 제1배관(10)에 고정시킨다. 결합판고정부재(130)는 제1배관플랜지(11)를 제1배관(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판고정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결합공(111)에 배치되는 반원형상의 배관결합링(131)과, 제1플랜지결합판(110)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배관결합링(131)에 삽입되어 배관결합링(131)이 제1배관(10)의 외부를 감싸도록 배관결합링(131)을 가압하는 결합링가압축(133)을 포함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으로 끼워진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제1플랜지결합판(1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1플랜지결합판(110)은 제1배관플랜지(11)로부터 이격된다. 결합판고정부재(130)는 제1플랜지결합판(110)이 제1배관플랜지(11)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플랜지결합판(110)을 제1배관(10)에 고정시킨다.
배관결합링(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태를 갖는 얇은 금속밴드로 구비된다. 배관결합링(131)의 직경은 제1배관(10)의 외경보다 일정 길이 작게 형성된다. 배관결합링(131)은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게 구비된다. 배관결합링(131)의 중심영역에는 결합링가압축(133)이 삽입되는 축삽입공(131a)이 구비된다.
배관결합링(131)의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면적 연장형성된 수평가압판(131b)이 구비된다. 수평가압판(131b)은 마주보는 결합판고정부재(130)의 수평가압판(131b)과 접촉되며 배관결합링(131)이 제1배관(10)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지지한다.
결합링가압축(133)은 배관결합링(131)이 벌어지며 제1배관(10)의 외면을 감싸 배관결합링(131)이 제1배관(10)을 가압하며 고정되게 한다.
결합링가압축(133)은 일정길이를 갖는 축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합링가압축(133)은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가압축삽입공(115)에 나사결합된다.
결합링가압축(133)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핸들(133a)이 구비된다. 작업자가 핸들(133a)을 정역회전시키면 결합링가압축(133)이 가압축삽입공(115)을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결합링가압축(133)의 하단에는 링삽입단(133b)이 구비된다. 링삽입단(133b)은 배관결합링(131)의 축삽입공(131a)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링가압축(133)과 배관링결합링(131)이 고정되게 한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결합판(110)이 제1배관플랜지(11)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133a)을 조작하여 결합링가압축(133)을 하강시키면 배관결합링(131)이 제1배관(10)을 향해 가압되면서 배관결합링(131)이 제1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게 벌어진다. 배관결합링(131)은 탄성적으로 벌어지며 제1배관(10)의 외면에 끼움결합되어 제1플랜지결합판(110)이 제1배관(10)에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100)를 이용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한다. 이 때,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60)을 삽입한다.
제1배관플랜지(11)에는 서로 마주보게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배치되고, 제2배관플랜지(21)에는 서로 마주보게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이 구비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제1볼트삽입공(13)에 역회전방지링(120)이 삽입되게 위치되고,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은 제2배관플랜지(21)의 제2볼트삽입공(23)에 역회전방지링(120)이 삽입되게 배치된다.
제2볼트삽입공(23)을 통해 볼트(30)의 볼트축(31)이 삽입되고, 제1볼트삽입공(13)을 통해 볼트축(31)이 외부로 노출된다. 작업자는 제1볼트삽입공(13)을 통해 노출된 볼트축(31)에 와셔(50)와 너트(40)를 삽입한다. 그리고, 너트(40)를 볼트(30)와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너트(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링(123)이 외부링(121)의 내부에서 너트(40)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40)가 볼트축(31)에 체결되게 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에 형성된 3개의 너트(40)를 모두 체결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0)는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의 역회전방지부재(125)에 끼워지고, 너트(40)는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의 역회전방지부재(125)에 끼워진다.
볼트(30)와 너트(40)는 각각 역회전방지부재(125)의 내부링(123)의 내부이빨(123b)에 외접되게 결합된다. 내부링(123)은 역회전방지부재(125)에 의해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므로, 볼트(30)와 너트(40)는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풀려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볼트(30)와 너트(40)의 체결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1플랜지결합판(110), 제2플랜지결합판(110a), 제3플랜지결합판(110b) 및 제4플랜지결합판(110c)의 결합판고정부재(130)를 고정시킨다.
각각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에 배치할 때, 결합판고정부재(130)의 배관결합링(131)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감싸게 배치된다. 이 때, 배관결합링(131)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완전히 끼워지지 않고 살짝 거치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133a)을 회전시켜 결합링가압축(133)을 하강시키면 결합링가압축(133)의 가압에 의해 배관결합링(131)은 제1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게 벌어지며 제1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배관결합링(131)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기 위해 내측으로 오무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므로 배관결합링(131)은 제1배관(10)에 끼움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배관결합링(131)의 결합력에 의해 제1플랜지결합판(110)이 제1배관(10)에 위치가 고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플랜지결합판(110a)과 제3플랜지결합판(110b) 및 제4플랜지결합판(110c)도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함께 고정되며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를 결합시킨 볼트(30)와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분리할 경우, 앞서 설명한 내용의 역순으로 결합링가압축(133)을 상승시켜 배관결합링(131)과 배관(10,20)의 결합력을 해지하고,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으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를 위해 역회전방지링(120)이 볼트(30) 또는 너트(40)의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들어올린다.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분해한 후, 너트(4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관고정부재는 모든 종류의 금속소재와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배관의 결합상태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함께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결합구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제1배관 11 : 제1배관플랜지
13 : 제1볼트삽입공 20 : 제2배관
21 : 제2배관플랜지 23 : 제2볼트삽입공
30 : 볼트 31 : 볼트축
40 : 너트 50 : 와셔
60 : 가스켓 100 : 배관고정부재
110,110a,110b,110c : 플랜지결합판 111 : 배관결합공
113 : 링결합공 115 : 가압축삽입공
120 : 역회전방지링 121 : 외부링
123 : 내부링 123a : 외부이빨
123b : 내부이빨 125 : 역회전방지부재
125a : 지지축 125b : 탄성부재
130 : 결합판고정부재 131 : 배관결합링
131a : 축삽입공 131b : 수평가압판
133 : 결합링가압축 133a : 핸들
133b : 링삽입단

Claims (3)

  1.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반원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과;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120)과;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상기 제1배관(10) 또는 상기 제2배관(20)에 고정시키는 결합판고정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은 상기 제1배관(10) 및 제2배관(20)의 단면 형상의 절반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제1배관(10) 및 제2배관(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111)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판고정부재(130)는,
    상기 배관결합공(111)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질 수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된 배관결합링(13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배관결합링(131)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결합링(131)을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배관결합링(131)이 벌어지며 상기 제1배관(10) 또는 상기 제2배관(20)에 끼움결합되게 하는 결합링가압축(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링(120)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삽입되는 외부링(121)과;
    상기 외부링(1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링(123)과;
    상기 내부링(123)이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링(123)을 지지하는 역회전방지부재(125)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링(12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모서리에 맞물리는 내부이빨(123b)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링(1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역회전방지부재(125)와 맞물리는 외부이빨(12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부재.
  3. 삭제
KR1020190065324A 2019-06-03 2019-06-03 배관고정부재 KR10218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24A KR102186507B1 (ko) 2019-06-03 2019-06-03 배관고정부재
PCT/KR2019/008310 WO2020246656A1 (ko) 2019-06-03 2019-07-05 배관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24A KR102186507B1 (ko) 2019-06-03 2019-06-03 배관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507B1 true KR102186507B1 (ko) 2020-12-03

Family

ID=7377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24A KR102186507B1 (ko) 2019-06-03 2019-06-03 배관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5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267Y2 (ja) * 1978-07-19 1985-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ツチ
KR20020055799A (ko) * 2000-12-29 2002-07-10 한형환 일방향 잠금 나사
KR20090095221A (ko) * 2008-03-05 2009-09-09 경 환 정 콘크리트 몰탈을 압송하는 이송배관라인의 조인트부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배관라인 설치방법
KR20180091459A (ko) 2017-02-07 2018-08-16 (주)시스템배관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267Y2 (ja) * 1978-07-19 1985-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ツチ
KR20020055799A (ko) * 2000-12-29 2002-07-10 한형환 일방향 잠금 나사
KR20090095221A (ko) * 2008-03-05 2009-09-09 경 환 정 콘크리트 몰탈을 압송하는 이송배관라인의 조인트부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배관라인 설치방법
KR20180091459A (ko) 2017-02-07 2018-08-16 (주)시스템배관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059B1 (ko) 배관고정부재
US8408606B2 (en) Pipe clamp assembly with tightening element keeper
MXPA05002329A (es) Ensamble de cierre para un recipiente.
US20120222753A1 (en) Device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and method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KR101974317B1 (ko) 가스관의 간편 조작 가스필터커버
US20030080518A1 (en) Reduced area gaskets
KR102186507B1 (ko) 배관고정부재
US7527299B1 (en) Container discharge and fill port fitting
JP6962729B2 (ja) 漏洩防止装置
KR102186509B1 (ko) 배관고정부재
JP4842023B2 (ja) 鋸歯形ガスケット
TW201608792A (zh) 地下通用箱總成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JP3217571U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7114111B2 (ja) 筐体装置及び筐体装置の装着方法
JP6490451B2 (ja) フランジ継手部の漏出防止装置
JP6833328B2 (ja) ガスケットとこれを用いた配管機材のフランジ接合構造
JP3187036U (ja) クランプリング
CN110886915A (zh) 一种给排水管道连接结构及连接方法
WO2000045936A1 (en) Housing assembly for mounting an industrial oil filter assembly
JPH09257131A (ja) 配管接続用oリング装置
KR200336025Y1 (ko) 관 연결구
JP6242681B2 (ja) 漏洩補修装置及び漏洩補修装置の装着方法
CN205716117U (zh) 一种双密封管接头
CN220470810U (zh) 便于装卸的墙阀安装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