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439B1 -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439B1
KR102186439B1 KR1020130088568A KR20130088568A KR102186439B1 KR 102186439 B1 KR102186439 B1 KR 102186439B1 KR 1020130088568 A KR1020130088568 A KR 1020130088568A KR 20130088568 A KR20130088568 A KR 20130088568A KR 102186439 B1 KR102186439 B1 KR 10218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oling devic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713A (ko
Inventor
신진철
김윤중
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4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 조작 축적정보를 기초로 파악된 운전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를 기초로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신된 운전 제어 정보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운전패턴 정보 또는 운전조건 정보를 비롯하여 냉난방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AIR CONDITION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IR CONDITIONER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냉난방 기기를 비롯한 가전기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기술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을 비롯한 냉난방 기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내리는 조작을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무선 리모트 콘트롤 이외에도 댁내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휴대폰을 통해 조작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이에, 관련 운영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댁내 냉난방 기기 제어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의 일 측면은 냉난방 기기측에서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 제어를 요청하여 기기 제어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난방 기기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 조작 축적정보를 기초로 파악된 운전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를 기초로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신된 운전 제어 정보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전패턴 정보 또는 상기 운전조건 정보를 비롯하여 냉난방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 조작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패턴 정보를 파악하는 운전 패턴 파악부; 상기 냉난방 기기의 운전패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는 알림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신되는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운전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운전 제어부는, 최초로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이후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의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존 운전 제어 상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냉난방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원격지 이동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운전 제어부를 통해 상기 냉난방 기기의 운전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냉난방 기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냉난방 기기 오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 및 관리하는 운전 조건 설정부; 상기 운전조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는 알림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신되는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인증된 냉난방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비롯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인증된 냉난방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운전 제어 정보를 냉난방 기기로 회신하며, 상기 냉난방 기기와의 이격정도를 파악하여 냉난방 기기로 통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냉난방 기기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냉난방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알림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운전 제어 정보를 상기 냉난방 기기로 전송하는 운전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난방 기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점차 멀어져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냉난방 기기로 원격지 이동 알림을 통보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냉난방 기기로 점차 접근하여 기 설정된 이격 거리 이하로 접근한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냉난방 기기로 인접 이동 알림을 통보하는 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가 냉난방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화면 상에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을 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이 선택되어 실행 모션이 인식됨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통해 냉난방 운전 제어 화면을 실행하는 모션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냉난방 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인증 절차를 비롯하여 초기 연결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처리부; 냉난방 기기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냉난방 기기 정보 관리부; 및 냉난방 기기의 제어 정보, 냉난방 기기별 이동통신 단말기 매칭 정보를 비롯하여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가 평소 냉난방 기기를 조작하는 운전조작 패턴을 파악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냉난방 기기측에서 사용자측으로 제어를 요청하기 때문에 냉난방 기기의 제어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를 위한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냉난방 기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냉난방 기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냉난방 기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운전 제어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3은 냉난방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냉난방 기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난방 기기(100)는 댁내 또는 사무실과 같은 일정 공간 내에 구비되어 있어 댁내 또는 댁외 위치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운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난방 기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300)을 통해 초기 인증 절차 및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300)은 냉난방 기기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냉난방 기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난방 기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초기 제품 출시 당시 냉난방 기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댁내에서는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냉난방 기기(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댁외에서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냉난방 기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운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냉난방 기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냉난방 기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운전 제어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7 내지 도 10 및 냉난방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난방 기기(100)는 통신부(110), 표시부(130), 저장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비롯한 무선 통신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냉난방 기기(110)의 현재 온도, 습도, 희망 온도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저장부(150)는 운전패턴 정보 또는 운전조건 정보를 비롯하여 냉난방 기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운전패턴 정보는 사용자의 평소 냉난방 기기(100) 조작 정보를 기초로 파악된 조작패턴을 의미하는 것이고, 운전조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운전패턴 정보 또는 운전조건 정보는 실내 온도 또는 습도에 따른 냉방 온도 변경 조건, 실내 온도 또는 습도에 따른 난방 온도 변경 조건, 냉난방 기기 온 조건 및 냉난방 기기 오프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용자에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100) 조작 축적정보를 기초로 파악된 운전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를 기초로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신된 운전 제어 정보에 따라 냉난방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인증 처리부(171), 운전 패턴 파악부(172), 운전 조건 설정부(173), 알림부(174) 및 운전 제어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100) 조작 패턴에 따라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200) 측으로 전송하는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에 따라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200) 측으로 전송하는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첫 번째, 운전패턴 정보에 따라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경우,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171),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100) 조작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패턴 정보를 파악하는 운전 패턴 파악부(172), 상기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패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는 알림부(174),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회신되는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 패턴 파악부(172)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냉난방 운전 패턴을 평균화시켜 운전패턴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운전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운전 제어부(175)는 최초로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을 제어하고, 이후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의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기존 운전 제어 상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 상에서 사용자가 특정 온도로 운전 제어를 설정하고자 할 때(도 10의 (a)), 이전 사용자에 의해 이미 운전 제어 상태인 경우, 해당 운전 제어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아빠"가 설정한 운전(냉방 28℃)을 취소하겠습니까? (네/아니오))를 출력(도 10의 (b))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난방 기기(100)는 현재 운전 제어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원격지 이동 알림을 수신한 경우, 알림부(174)는 운전 제어부(175)를 통해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냉난방 기기(100)가 운전 중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냉난방 기기 오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난방 기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중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엄마 이동통신 단말기(200a), 아들 이동통신 단말기(200b), 아빠 이동통신 단말기(200c) 중 적어도 하나 이상)로부터 원격지 이동 알림을 수신한 경우,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냉난방 기기 오프 요청 메시지(에어컨을 켜둔채 외출하셨습니다. 에어컨을 끌까요? (네/아니오))를 전송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냉난방 기기(100)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정보에 따라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을 오프하거나, 또는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원격지 이동 알림을 수신한 경우, 알림부(174)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 전송을 중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두 번째,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에 따라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경우,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171),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부(150)에 저장 및 관리하는 운전 조건 설정부(173), 운전조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통보하는 알림부(174) 및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회신되는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운전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운전 제어부(175)는, 최초로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을 제어하고, 이후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의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기존 운전 제어 상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운전 제어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7 내지 도 10 및 냉난방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표시부(230), 저장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인증된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비롯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 상에서의 동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을 비롯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인증된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운전 제어 정보를 냉난방 기기(100)로 회신하며, 냉난방 기기(100)와의 이격정도를 파악하여 냉난방 기기(100)로 통보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70)는 인증 처리부(271), 알림부(272), 운전 요청부(273), 위치 파악부(274), 모션 인식부(275) 및 관리 정보 제공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271)는 냉난방 기기(100)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알림부(272)는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272)는 위치 파악부(274)에 의해서 원격지 이동 알림이 전달된 이후,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운전 요청부(273)는 표시부(230)에 출력된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운전 제어 정보를 냉난방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파악부(274)는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점차 멀어져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알림부(272)를 통해 냉난방 기기(100)로 원격지 이동 알림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파악부(274)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냉난방 기기(100)로 점차 접근하여 기 설정된 이격 거리 이하로 접근한 경우, 알림부(272)를 통해 냉난방 기기(100)로 인접 이동 알림을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위치 파악부(274)는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냉난방 기기(11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또는 이하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절대 좌표를 기초로 원거리 이동, 인접 이동 등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냉난방 기기(110)로부터 점차 멀어지거나 또는 점차 가까워지는 거리 이동을 통해 원거리 이동 또는 인접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냉난방 기기(100)로 점차 접근하여 기 설정된 이격 거리 이하로 접근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이를 냉난방 기기(100)로 통보한 경우, 냉난방 기기(100)는 냉난방 기기(100)를 미리 켜거나 하는 등의 운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냉난방 기기(100)를 켜시겠습니까?)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275)는 사용자에 의해서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이 선택되어 실행 모션이 인식됨에 따라 알림부(272)를 통해 냉난방 운전 제어 화면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알림부(272)는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표시부(23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메인 화면 상에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 운전 제어 화면은, 상기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운전 제어 요청된 해당 기능만을 제어할 수 있도록 표시된 간략 운전 제어 화면(도 7 참고)이거나, 또는 냉난방 기기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표시된 세부 운전 제어 화면(도 8의 (b) 참고)일 수 있다.
상술한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을 이동통신 단말기(200)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냉난방 기기(100)의 운전 제어를 위한 운전 제어 화면 표시를 보다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관리 정보 제공부(276)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냉난방 기기의 운전조건을 냉난방 기기(10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250)에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운전조건을 추출하여 표시부(2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부(272)는 냉난방 기기(100)로부터 냉난방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230)를 통해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A)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아래로 드래그되는 경우 간략 운전 제어 화면(도 7)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로 드래그된 냉난방 운전 제어 아이콘(도 8의 (a))이 사용자에 의해서 터치되면 세부 운전 제어 화면(도 8의 (b))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부 운전 제어 화면은 아열대쾌적, 냉방, 제습, 청정, 난방 등과 같은 온도 설정과 관련된 각종 기능 메뉴를 표시하거나, 운전의 온 또는 오프 기능 메뉴를 표시하거나, 부가기능, 예약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림부(272)는 냉난방 기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이전 운전 제어 상태("아빠"가 냉방 28℃를 설정했습니다)를 수신 및 표시하여 사용자가 운전을 제어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300)은 통신부(310), 중계 처리부(320), 냉난방 기기 정보 관리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처리부(320)는 냉난방 기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인증 절차를 비롯하여 초기 연결을 중계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냉난방 기기 정보 관리부(330)는 냉난방 기기(100)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0)는 냉난방 기기(100)의 제어 정보, 냉난방 기기별 이동통신 단말기(200) 매칭 정보를 비롯하여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300)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냉난방 기기 110, 210, 310 : 통신부
130, 230 : 표시부 150, 250 : 저장부
170, 270 : 제어부 171, 271 : 인증 처리부
172 : 운전 패턴 파악부 173 : 운전 조건 설정부
174, 272 : 알림부 175 : 운전 제어부
200 : 이동통신 단말기 273 : 운전 요청부
274 : 위치 파악부 275 : 모션 인식부
276 : 관리 정보 제공부 300 :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320 : 중계 처리부 330 : 냉난방 기기 정보 관리부
3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 조작 축적정보를 기초로 파악된 운전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를 기초로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신된 복수의 운전 제어 정보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전패턴 정보 또는 상기 운전조건 정보를 비롯하여 냉난방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최초로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이후에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의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존 운전 제어 상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냉난방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사용자의 냉난방 기기 조작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패턴 정보를 파악하는 운전 패턴 파악부;
    상기 냉난방 기기의 운전패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는 알림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신되는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냉난방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운전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운전 제어부는,
    최초로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이후 수신된 운전 제어 정보의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존 운전 제어 상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냉난방 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냉난방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원격지 이동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운전 제어부를 통해 상기 냉난방 기기의 운전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냉난방 기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냉난방 기기 오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냉난방 기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냉난방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원격지 이동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는 냉난방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운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조건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 및 관리하는 운전 조건 설정부;
    상기 운전조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냉난방 기기의 운전 제어 요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는 알림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신되는 운전 제어 정보를 기초로 냉난방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냉난방 기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턴 정보 또는 운전조건 정보는,
    실내 온도 또는 습도에 따른 냉방 온도 변경 조건, 실내 온도 또는 습도에 따른 난방 온도 변경 조건, 냉난방 기기 온 조건 및 냉난방 기기 오프 조건을 포함하는 냉난방 기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88568A 2013-07-26 2013-07-26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KR10218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68A KR102186439B1 (ko) 2013-07-26 2013-07-26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68A KR102186439B1 (ko) 2013-07-26 2013-07-26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13A KR20150012713A (ko) 2015-02-04
KR102186439B1 true KR102186439B1 (ko) 2020-12-03

Family

ID=5248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568A KR102186439B1 (ko) 2013-07-26 2013-07-26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283B1 (ko) * 2015-02-25 2016-07-08 강승희 사용자 이용 패턴 기반 지역난방 2차측 난방수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839A (ja) * 2000-08-04 2002-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表示制御装置
KR101208212B1 (ko) 2010-12-16 2012-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659A (ko) * 2010-12-13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120080872A (ko) * 2011-01-10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839A (ja) * 2000-08-04 2002-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表示制御装置
KR101208212B1 (ko) 2010-12-16 2012-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13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013B2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using same
US10764157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34208B2 (en) Control apparatus
KR10225225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6416333B (zh) 房间控制设备
US201502614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25408B1 (ko) 구성 접속 디바이스
CN104885406A (zh) 用于在家庭网络系统中远程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设备
CN105652675A (zh)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系统
CN102984039A (zh)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智能控制方法
JP201401609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中央管理装置、遠隔制御器、及びプログラム
CN104363179A (zh) 智能路由器、智能控制装置以及智能家居控制系统
CN104880955A (zh) 一种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和智能家居设备
US20150058253A1 (en) 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11985574B2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building
KR102186439B1 (ko) 냉난방 기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냉난방 기기 관리 시스템
CN104320479A (zh) 受控设备的控制方法和受控设备的控制系统
JP6049494B2 (ja) 携帯端末
KR102118482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EP3209026B1 (en) Control processing method, electric device, and control processing program
JP6198612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50963A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CN104853318A (zh) 移动装置、显示装置及使用其的多媒体输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