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398B1 - 음식물 감량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감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398B1
KR102186398B1 KR1020200061432A KR20200061432A KR102186398B1 KR 102186398 B1 KR102186398 B1 KR 102186398B1 KR 1020200061432 A KR1020200061432 A KR 1020200061432A KR 20200061432 A KR20200061432 A KR 20200061432A KR 102186398 B1 KR102186398 B1 KR 10218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food waste
hopper
so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민
Original Assignee
성도메카텍(주)
최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도메카텍(주), 최동민 filed Critical 성도메카텍(주)
Priority to KR102020006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7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및 2차의 절단, 분쇄, 탈수 등의 자동공정으로 음식쓰레기의 함수율을 최대한 낮추고 분말화된 형태의 압착형태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피 감소가 극대화되도록 개선된 음식물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소정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상부의 파쇄부재(10a)와 상기 파쇄부재(10a) 하부에 위치하여 파쇄부재(10a)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 및 탈수하는 압착부재(10b)로 구성되며, 상기 파쇄부재(10a)는, 원통형의 파쇄호퍼(100) 내부 상부에 위치하여 중앙에 투입구(111)가 형성되면서 하향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투입판(110)과, 상기 파쇄호퍼(100) 내부 하부를 밀폐하면서 중앙으로부터 외측 일면이 개방된 제1배출구(121)가 형성된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의 중앙을 통과하여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되면서 지지판(120) 하부로 노출된 단부에 제1동력부(210)가 연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200)과, 상기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된 제1회전축(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파쇄호퍼(100)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원호형의 제1배출공간(330)이 형성된 수평형의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상면에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수직형 삼각판재형의 절단편(32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파쇄부(300)와, 상기 파쇄부(300)의 회전판(310) 하부에 연결 및 배치되어 회전판(310) 하부에 위치한 제1회전축(200) 양측에 각각 이웃하는 수직 판재형의 파쇄날개(400)를 포함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감량장치{APPARATUS FOR REDUCING FOOD WASTE}
본 발명은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를 감량시키는 음식물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및 2차의 절단, 분쇄, 탈수 등의 자동공정으로 음식쓰레기의 함수율을 최대한 낮추고 분말화된 형태의 압착형태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피 감소가 극대화되도록 개선된 음식물 감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쓰레기 매립에 의한 환경오염이 초래되므로 음식쓰레기를 가축사료나 농산물 비료와 같은 것으로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추진되고 있으나, 이러한 음식쓰레기 재활용은 한계가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음식쓰레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음식쓰레기를 최대한 감량시킴에 따라 폐기 및 소각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단순한 스크류와 타공망을 이용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탈수 및 부피감량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그로 인해 음식쓰레기 감량효율 저하에 의한 폐기 및 소각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
특히, 음식업소에서 대량으로 발생 되는 음식쓰레기에는 부주의에 의해 수저가 들어갈 수 있는데 선행기술들은 음식쓰레기 속에 있는 수저를 걸러내지 못함으로써 수저가 스크류에 걸려서 가동이 중지되고 고장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수리를 수시로 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야기 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7084호(발명의 명칭 :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9907호(발명의 명칭 : 음식물 폐기물 감량장치)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감량 효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처리비용 절감이 도모되도록 개선된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1차로 파쇄부재에 의해 절단 및 파쇄하면서 회전력에 의해 탈수시킨 후, 1차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자동적으로 2차로 압착부재에 의해 분말화하면서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로 탈수공정을 거침으로서 중량과 부피가 크게 감소된 상태의 건조된 분말화된 음식쓰레기를 배출되도록 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소정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상부의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 하부에 위치하여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 및 탈수하는 압착부재로 구성되는 음식물 감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는, 원통형의 파쇄호퍼 내부 상부에 위치하여 중앙에 투입구가 형성되면서 하향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투입판과,
상기 파쇄호퍼 내부 하부를 밀폐하면서 중앙으로부터 외측 일면이 개방된 제1배출구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중앙을 통과하여 파쇄호퍼 내부로 수직 돌출되면서 지지판 하부로 노출된 단부에 제2동력부가 연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파쇄호퍼 내부로 수직 돌출된 제1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되어 파쇄호퍼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원호형의 제1배출공간이 형성된 수평형의 원판형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수직형 삼각판재형의 절단편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의 회전판 하부에 연결 및 배치되어 회전판 하부에 위치한 제1회전축 양측에 각각 이웃하는 수직 판재형의 파쇄날개를 포함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의 제1배출구는 가로면과 세로면이 상호 직교된 형태로 절개된 홈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가 위치한 파쇄호퍼 내주 상측에 외부로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하되, 상기 제1배출구가 위치한 절단된 지지판의 원주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배출공이 형성하며,
상기 파쇄호퍼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판의 제1배출구에 연결 및 연통하면서 배출공을 커버하도록 상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된 연결구를 형성하면서 하부가 개방된 연결소켓이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연결소켓의 하부가 압착부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파쇄날개의 상단 전체면이 파쇄부의 회전판 하면에 면접 또는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파쇄날개의 하단 전체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정삼각형의 요부가 등간격의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쇄날개의 하단과 지지판의 상면 사이가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제1배출구에 이웃하도록 내부로 관통된 유입구가 상부에 형성되면서 양측이 개방된 압축호퍼와,
상기 압축호퍼의 내부에 배치된 압축스크류와,
상기 압축스크류의 일단이 위치하도록 중앙에 제2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면서 압축호퍼 일측면을 커버하는 배출지지부와,
상기 지지판의 제1배출구에 노출되지 않은 압축스크류의 외주 일면에서 압축스크류의 일단까지 커버하여 압축스크류 외주면이 내주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면서 테이퍼형태 및 타공망의 가압커버부와,
상기 압축스크류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압축스크류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압축호퍼의 타측면을 커버하면서 제2회전축의 타단을 결속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회전축 단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압축스크류는 외경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수평의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회전날개가 고정되되, 상기 가압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형의 회전날개는 가압커버부의 내부 형태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지게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배출지지부의 제2배출구에 연결 및 내통되어 제1배출구 내경과 내부 내경이 동일한 내경을 가지면서 외측으로 수평 돌출된 배출봉이 형성되되, 상기 압축스크류의 일단에 연결되어 배출봉 내측에 끝단이 위치하면서 배출봉 내주면에 간섭없이 배치되며, 상기 끝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배출유도부를 더 포함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동력부는 서포터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회전축 단부에 결합된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2구동모터에 연결된 제3풀리와 제2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압커버부가 위치한 압축호퍼의 하부 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면서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 침출수배출관이 더 포함되는 음식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감량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1차로 파쇄부재에 의해 절단 및 파쇄하면서 회전력에 의해 탈수효율을 증대시키며, 1차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자동적으로 2차로 압착부재에 의해 분말화하면서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로 탈수공정을 거침으로서 중량과 부피가 크게 감소된 상태의 건조된 분말화된 음식쓰레기를 버리게 되므로 처리비용 절감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의 제품 사시도면(a)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b).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 내부의 파쇄부재와 압착부재가 구성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면(a) 및 배면도면(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 내부의 파쇄부재와 압착부재가 구성되는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면.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파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A-A의 절단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파쇄부재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파쇄부재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배면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제1회전축에 연결된 파쇄부, 지지판 및 파쇄날개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파쇄부의 사시도면(a) 및 지지판의 사시도면(b).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파쇄호퍼 내에 파쇄부의 위치를 나타낸 확대 단면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고정소켓에 연결된 파쇄날개의 연결형태 평면도면(a), 고정소켓에 연결된 파쇄날개의 다른 연결형태의 평면도면(b) 및 파쇄날개 오목면에 절단탭이 형성된 단면도면(c).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확산체 평면도면(a), 확산체의 저면도면(b) 및 고정소켓에 연결된 파쇄날개와 확산체가 결합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c).
도 12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압착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B-B의 절단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압착부재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감량장치에서 배출지지부와 배출유도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면.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음식물 감량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뚜껑(30)을 가진 하우징(20)의 내부로 상부에 위치한 파쇄부재(10a)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소정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된 후 하부에 위치한 압착부재(10b)로 유입되어 압축되면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탈수하여 수분이 거의 없는 압축된 쓰레기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 장치이다.
이하의 설명 및 이 명세서 전체에서 ‘원주방향’, ‘원호형’ 등의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파쇄호퍼(10a)의 제1회전축(200) 및 압축호퍼(600)의 압축스크류(700)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감량장치(10)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도 3, 도 4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소정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상부의 파쇄부재(10a)와 상기 파쇄부재(10a) 하부에 위치하여 파쇄부재(10a)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 및 탈수하는 압착부재(10b)로 구성되는 음식물 감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10a)는, 원통형의 파쇄호퍼(100) 내부 상부에 위치하여 중앙에 투입구(111)가 형성되면서 하향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투입판(110)과,
상기 파쇄호퍼(100) 내부 하부를 밀폐하면서 중앙으로부터 외측 일면이 개방된 제1배출구(121)가 형성된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의 중앙을 통과하여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되면서 지지판(120) 하부로 노출된 단부에 제1동력부(210)가 연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200)과,
상기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된 제1회전축(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파쇄호퍼(100)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원호형의 제1배출공간(330)이 형성된 수평형의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상면에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수직형 삼각판재형의 절단편(32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파쇄부(300)와,
상기 파쇄부(300)의 회전판(310) 하부에 연결 및 배치되어 회전판(310) 하부에 위치한 제1회전축(200) 양측에 각각 이웃하는 수직 판재형의 파쇄날개(400)를 포함하는 음식물 감량장치(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감량장치(10)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의 파쇄부재(10a)와 하부의 압착부재(10b)로 구분되면서 파쇄부재(10a)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파쇄 및 절단되어 1차 처리음식물로 배출되며, 이때 배출된 1차 처리음식물이 압착부재(10b)로 자동 투입되어 압착 및 탈수된 2차 처리음식물인 최종 배출물로 제공되는 구조를 가진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재(10a)는 원통형의 파쇄호퍼(100) 내부에 투입판(110), 지지판(120), 제1회전축(200), 파쇄부(300) 및 파쇄날개(400)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파쇄호퍼(100) 외측에 설치된 제1동력부(210)의 제1구동모터(214)가 제1회전축(200)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파쇄부(300)와 파쇄날개(400)를 가동하게 된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쇄호퍼(1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가지며, 상기 투입판(110)은 파쇄호퍼(100)의 수용공간(101) 상부에 장착되면서 파쇄호퍼(100) 상단에 투입판(110) 외주단이 결합되어 탈부착 구조를 가진다.
상기 투입판(110)의 중앙에 상하 관통된 투입구(111)가 형성되면서 투입구(111)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깔대기형태를 가진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20)은 파쇄호퍼(100)의 수용공간(101) 내부 하부 즉 파쇄호퍼(10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면서 외주 일부가 내측으로 요입된 제1배출구(121)가 형성된 원형의 판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121)는 지지판(120)의 외주 일부가 내측으로 요입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요입된 가로면(121-1)과 세로면(121-2)이 상호 직교된 홈형태로 형성한다.
도 4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200)은 지지판(120)의 중앙을 통과하여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되면서 지지판(120) 하부로 노출된 단부에 제1동력부(210)가 연계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120)의 중앙을 통과시 제1회전축(2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베어링부와 같은 회전지지수단(122)이 지지판(120)의 중앙에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축(200)은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20) 하부로 노출된 제1회전축(2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200)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제1동력부(210)가 마련되며, 상기 제1동력부(210)는 지지판(120) 하부로 노출된 제1회전축(200)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풀리(211)와 파쇄호퍼(100) 외측에 설치된 제1구동모터(214)에 결합된 제3풀리(212)에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213)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1구동모터(214)의 작동으로 제3풀리(212) 회전 구동되어 벨트(213)에 의해 제1풀리(211)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제1회전축(200)이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도 7 및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300)는 회전판(310)과 절단편(32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된 제1회전축(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파쇄호퍼(100)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원호형의 제1배출공간(330)이 형성된 수평형의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상면에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수직형 삼각판재형의 절단편(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200)의 고속회전으로 회전판이 고속회전되면서 회전판(310) 상면에 고정된 절단편(320)이 파쇄호퍼(100)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 및 절단하여 분산하게 되며, 이때 분산된 음식물쓰레기가 회전판(310)의 외주면과 파쇄호퍼(100) 내주면 사이에 링형태의 제1배출공간(330)을 통해 회전판(310)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절단편(320)은 회전판(310)의 상면에 다수 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정되며, 절단 및 파쇄력을 가지도록 직각삼각형의 판재형이 수직으로 회전판(310)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판(310)의 회전방향 쪽에는 절단편(320)의 경사면(321)이 위치하고, 상기 회전판(310)의 회전방향 반대쪽에는 절단편(320)의 직각면(322)이 위치하는 절단편(320)의 고정구조를 가진다.
또한, 절단편(320)의 형태가 직각삼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측 변(邊)이 경사진 삼각형, 양측 변(邊)에 톱니형 또는 칼날형을 가진 삼각형 등의 절단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쇄호퍼(100) 내주면과 회전판(3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된 제1배출공간(330)이 링형태로 통공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회전판(310)의 고속 회전으로 절단편(320)에 의해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제1배출공간(330)을 통해 하향 낙하되거나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회전판(310)의 고속 회전으로 파쇄호퍼(100) 내주면에 충돌하면서 파쇄호퍼(10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려 제1배출공간(33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날개(400)는 파쇄부(300)에 처리되어 지지판(120) 상부로 이동된 음식물쓰레기를 다시 절단 및 파쇄하여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 및 파쇄호퍼(100)의 배출공(102)으로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파쇄부(300)의 하부에 연결 배치되어 제1회전축(200) 양측에 각각 이웃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쇄날개(400)는 변형력이 없으면서 강성을 가진 수직형태의 판재형으로 형성되어 제1회전축(200) 양측에 각각 배치 또는 제1회전축(200)을 기준으로 사방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세한 구조에 있어 상기 회전판(310)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된 원통형의 고정소켓(41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파쇄날개(400) 일단이 고정되면서 곡선형으로 연장되면서 타단이 파쇄호퍼(100) 내주면에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고정소켓(410)은 회전판(310) 하부에 위치한 제1회전축(200)에 결속되되, 상기 고정소켓(41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소켓(410)을 결속한 제1회전축(200)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형태로 이격된 들뜬상태의 공간을 가지도록 결속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파쇄날개(400)의 하단은 전체면 즉, 하단 길이방향으로 내측인 상측으로 요입된 정삼각형의 요부(401)가 등간격의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즉 파쇄날개(400)의 하단이 요부(401)와 철부(402)의 반복적인 배열로 형성되어 제1회전축(200)의 고속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 및 충돌 파쇄되며, 이때 파쇄날개(400)의 회전방향 쪽에 오목면 그리고 반대방향 쪽에 볼록면을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서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 및 파쇄호퍼(100)의 배출공(102)으로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파쇄날개(400)의 하단과 지지판(120)의 상면 사이가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절단 및 파쇄력을 증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쇄날개(400)의 상단 전체면이 파쇄부(300)의 회전판(310) 하면에 면접 또는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시 회전판(310) 하면과 파쇄날개(400) 상단 사이에 이물질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 및 파쇄날개(400)의 회전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쇄날개(400)는 고정소켓(410)의 평면위치를 기준으로 고정소켓(410) 양측에 각각 곡선형의 파쇄날개(400)가 전측방향 및 후측방향으로 전개되거나 고정소켓(410)의 평면상태를 기준으로 고정소켓(410) 양측에 각각 곡선형의 파쇄날개(400)가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전개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제1회전축(2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파쇄날개(400)의 회전방향 쪽에 오목면 그리고 반대방향 쪽에 볼록면을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소켓(410)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전개된 형태를 가진 파쇄날개(400) 구조에 있어 고정소켓(410) 외측으로 결속 고정되는 원통형의 결합소켓(421)과 상기 파쇄날개(400)의 위치에 대응되는 결합소켓(421)의 양측에 각각 서로 좌우대칭으로 삼각형태의 확산부(422)가 연결되는 확산체(420)가 더 포함되되, 상기 확산부(422)는 서로 전후대칭 형태를 가진 2개의 밀착판(422-1)이 삼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판(422-1) 일단이 결합소켓(421) 외주면에 연결되면서 타단은 서로 면접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확산부(422) 각각의 밀착판(422-1) 타단과 마주하는 결합소켓(421)의 외주면에 파쇄날개(40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절개된 가이드홈(422-2)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체(420)의 결속소켓(421)을 고정소켓(410)에 결속시 결속소켓(421)의 가이드홈(422-2)으로 파쇄날개(400)가 인입되면서 확산부(422) 각각의 밀착판(422-1) 타단이 파쇄날개(40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파쇄날개(400)의 형태는 상기 고정소켓(410) 외주에서 연결된 파쇄날개(400) 단부에서 밀차판(422-1) 타단의 가압되는 위치까지의 파쇄날개(400) 일부는 곡면이 아닌 평면형태를 형성되면서 밀착판(422-1) 타단의 가압되는 파쇄날개(400)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까지는 상술한 오목면과 볼록면으로 형성되는 파쇄날개(400)의 곡면형태를 형성한다.
상기 확산체(420)는 원통형의 결속소켓(421)과 상기 결속소켓(421)의 양측에 각각 서로 좌우 대칭으로 연결되는 확산부(422)가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확산부(422)는 삼각형태로서 경사진 밀착판(422-1) 2개가 서로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어 삼각형의 구조를 가지며, 이때 밀착판(422-1) 일단은 결속소켓(421)의 외주면에 연결되면서 밀착판(422-1) 타단은 연결되지 않은 서로 면접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확산부(422) 일단이 결합소켓(421) 외주면에 연결되면서 확산부(422) 타단과 마주하는 결합소켓(421)의 외주면에 절개된 가이드홈(422-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422-2)의 길이는 파쇄날개(400)의 폭에 대응되어 결합소켓(421)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절개된 가이드홈(422-2)을 형성하면서 결합소켓(421)의 하단은 확산부(422)의 하부 하향으로 더 연장된 형태를 가지어 연장된 결합소켓(421)의 하부에 대응되는 고정소켓(410)의 하부를 체결수단 등에 의해 상호 결합 고정하게 되며, 상기 확산부(422)는 고정소켓(421)에 연결된 파쇄날개(400)의 일단으로부터 파쇄날개(400) 일부인 평면상태의 파쇄날개(400) 일부를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에, 상기 파쇄날개(400)의 일단 일부 양측을 가압하면서 고정소켓(410)에 고정된 확산체(420)가 파쇄날개(40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구심력에 의해 제1회전축(200) 방향으로 포집 및 집중되는 것을 확산체(420)의 확산부(422)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다시 바깥쪽으로 강제 이동시키게 되며, 즉 확산부(422)를 구성하는 경사진 밀착판(422-1)이 음식물쓰레기와 충돌하면서 다시 파쇄날개(400) 바깥쪽으로 강제 이동하게 되어 회전판(310) 하부에 음식물쓰레기의 체류시간을 더 가지도록 하면서 반복적인 순환적 이동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절단 및 파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쇄날개(400)의 오목면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가로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다수 개의 절단탭(403)이 형성되되, 상기 절단탭(403)의 상부는 수평면 그리고 하부는 경사지면서 돌출된 단부가 칼날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파쇄날개(400)의 오목면에 다수 개의 절단탭(403)이 형성됨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오목면에 충돌하면서 동시에 절단 및 파쇄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쇄호퍼(100) 내에서 처리된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부재(10b)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4, 도 5 및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는 가로면(121-1)과 세로면(121-2)이 상호 직교된 형태로 절개된 홈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121)가 위치한 파쇄호퍼(100) 내주 상측에 외부로 관통된 배출공(102)이 형성하되, 상기 제1배출구(121)가 위치한 절단된 지지판(120)의 원주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배출공(102)이 형성하며,
상기 파쇄호퍼(100)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에 연결 및 연통하면서 배출공(102)을 커버하도록 상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되면서 연결된 연결구(501)를 형성하면서 하부가 개방된 연결소켓(500)이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연결소켓(500)의 하부가 압착부재(10b)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음식물 감량장치(10)를 제공한다.
먼저, 상기 파쇄날개(400)에 의해 처리된 음식물쓰레기가 파쇄날개(400)의 휨형태 및 회전력으로 인해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 및 파쇄호퍼(100)의 배출공(102)으로 자연스럽게 통과되며, 상기 파쇄호퍼(100)에 형성된 배출공(102)은 제1배출구(121)가 위치한 파쇄호퍼(100) 내주 상측에 형성되며, 즉 파쇄날개(400) 타단의 위치 선상과 동일 선상의 파쇄호퍼(100) 내주 일면에 배출공(102)이 형성하며, 이때 배출공(102)의 통공 높이는 파쇄날개(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어 파쇄날개(400)의 회전으로 파쇄날개(400) 단부에 충돌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전부 또는 많은 양이 배출공(102)으로 즉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와 내통하도록 제1배출구(121)에 연결되면서 동시에 배출공(102) 외측을 이격되게 커버하도록 연결소켓(500)이 포함된다.
상기 연결소켓(500)은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가 개방 및 상부가 밀폐된 형태를 가지되, 상기 연결소켓(500)의 상부의 밀폐면(510)이 내측으로 요입 및 절개된 홈형태의 연결구(501)를 형성하면서 상기 연결구(501)의 밀폐면(510) 단부가 파쇄호퍼(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밀폐면(510)의 단부가 파쇄호퍼(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공(102)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상기 연결소켓(500)의 연결구(501)에 대응 및 연계되어 서로 직교되는 두 측면이 절개된 연결구(501)가 형성하면서 절개된 연결구(501)의 두 측면 단부가 서로 직교된 형태를 가지어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 직교면 단부와 연결됨으로서 제1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연결소켓(500)의 내부를 통과시 외부로 누수 및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재(10a)에 의해 처리된 음식물쓰레기가 연결소켓(500)을 통해 압착부재(10b)의 압축호퍼(600)로 이동되어 압축 및 탈수되는 공정을 이행하도록 압착부재(10b)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재(10b)는, 상기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에 이웃하도록 내부로 관통된 유입구(603)가 상부에 형성되면서 양측이 개방된 압축호퍼(600)와, 상기 압축호퍼(600)의 내부에 배치된 압축스크류(700)와, 상기 압축스크류(700)의 일단이 위치하도록 중앙에 제2배출구(611)가 관통 형성되면서 압축호퍼(600) 일측면을 커버하는 배출지지부(610)와, 상기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에 노출되지 않은 압축스크류(700)의 외주 일면에서 압축스크류(700)의 일단까지 커버하여 압축스크류(700) 외주면이 내주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면서 테이퍼형태 및 타공망의 가압커버부(800)와, 상기 압축스크류(700)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압축스크류(7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축(730)과, 상기 압축호퍼(600)의 타측면을 커버하면서 제2회전축(730)의 타단을 결속하여 제2회전축(7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터(620) 및, 상기 서포터(6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회전축(730) 단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부(740)를 포함하는 음식물 감량장치(10)를 제공한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재(10b)는 수평의 원통형태를 가진 압축호퍼(600), 압축스크류(700), 배출지지부(610), 가압커버부(800), 제2회전축(730), 서포터(620) 및 제2동력부(740)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압축호퍼(600)는 양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가진 원통의 형태로서, 상기 압축호퍼(600)는 연결소켓(500)이 위치한 압축호퍼(600)의 내부를 이동공간(601) 그리고 상기 이동공간(601)을 제외한 나머지 압축호퍼(600) 내부를 압축공간(602)으로 구분하며, 상기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 또는 연결소켓(500)의 하부에 이웃하도록 외주면 상부에 유입구(603)가 내부로 관통된 형태를 가지며, 즉 상기 유입구(603)의 위치는 압축호퍼(600)의 외주면 상부 중앙에서 좌/우측 중 어느 한쪽인 음식물쓰레기의 고형분이 배출되는 일측에 대면하는 타측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소켓(500)의 하부가 유입구(603)를 커버하여 연결소켓(500)의 내부가 유입구(603)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지지부(610)는 압축스크류(700)의 일단이 위치하도록 중앙에 제2배출구(611)가 관통 형성되면서 압축호퍼(600) 일측면을 커버하며, 상기 압축호퍼(600)의 일측면을 커버하면서 체결 고정되도록 상호 면접된 압축호퍼(600) 일측면 외주단과 배출지지부(610)의 외주단에 클램프(613)로 체결 고정하여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스크류(700)는 압축호퍼(6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경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수평의 스크류축(710)과, 상기 스크류축(710)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회전날개(720)가 고정되되, 상기 가압커버부(800)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형의 회전날개(720)는 가압커버부(800)의 내부 형태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지게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회전날개(720)는 일측으로 갈수록 회전날개(720)의 피치 즉,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피치를 가지어 외주형상이 테이퍼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스크류축(710)의 일측에 테이퍼진 회전날개(72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가압커버부(800)가 끼움 결합하게 된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커버부(800)는 압축호퍼(60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여 양측이 개방되면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 깔대기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가압커버부(800) 내주면에 면접 또는 밀착된 회전날개(720)의 회전으로 이동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가압 및 탈수시켜 가압커버부(800)의 일단 즉, 최소의 내경을 가진 일단 구멍으로 음식물쓰레기의 고형분만이 배출되게 되며, 그리고 상기 가압커버부(800)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망(미도시)으로 형성되어 압착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가 가압커버부(800)인 타공망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호퍼(600)는 연결소켓(500)이 위치한 압축호퍼(600)의 내부를 이동공간(601) 그리고 상기 이동공간(601)을 제외한 나머지 압축호퍼(600) 내부를 압축공간(602)으로 구분하며, 상기 압축공간(602)에 가압커버부(800)가 배치되며, 상기 가압커버부(8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유입구(603)에 연결 연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이동커버부(630)가 이동공간(601)에 배치되면서 압축스크류(700)의 회전날개(720)가 내주면에 면접 또는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동공간(601)에 배치된 이동커버부(630)는 가압커버부(610)와 연결된 일몸체로서, 상기 이동공간(601) 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압축스크류(700)의 회전날개(720) 외주형상에 대응되는 이동커버부(630)의 내부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730)은 압축호퍼(600)의 이동공간(601) 내에 배치된 압축스크류(700)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압축스크류(7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압축스크류(700)에 연결된 제2회전축(730) 타단이 압축호퍼(600)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620)는 압축호퍼(600)의 타측면을 커버 및 결합하면서 제2회전축(730)의 타단을 결속하여 제2회전축(730)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포터(620)는 회전되는 제2회전축(730)을 지지하면서 압축호퍼(600)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동력부(740)는 서포터(6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회전축(730) 단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2동력부(740)는 서포터(6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회전축(730) 단부에 결합된 제2풀리(741)와 상기 제2풀리(74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2구동모터(744)에 연결된 제4풀리(742)와 상기 제4풀리(742)와 제2풀리(741)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743)를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구동모터(744)의 작동으로 제4풀리(742)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벨트(743)로 연결된 제2풀리(741)로 동력을 전달하여 제2풀리(741)가 회전하며, 동시에 제2회전축(730)을 회전하면서 압축스크류(700)를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12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지지부(610)의 제2배출구(611)에 연결 및 내통되어 제2배출구(611) 내경과 내부 내경이 동일한 내경을 가지면서 외측으로 수평 돌출된 배출봉(612)이 형성되되, 상기 압축스크류(700)의 일단에 연결되어 배출봉(612) 내측에 끝단이 위치하면서 배출봉(612) 내주면에 간섭없이 배치되며, 상기 끝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배출유도부(711)가 포함된다.
상기 배출지지부(610)의 제2배출구(611)에 연결 및 연통되어 외부로 연장 돌출된 배출봉(612)이 형성되며, 이때 배출봉(612)은 내부로 관통된 형태로서 제2배출구(612)와 내통하게 된다.
상기 배출유도부(711)는 압축스크류(700)의 일단에 연결되어 배출봉(612) 내부에 위치하며, 이때 배출봉(612)의 내주면과 배출유도부(711)의 외주면이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압축스크류(700)의 회전날개(720)로 압축 이동된 고형물이 배출봉(612) 내주면과 배출유도부(711) 외주면 사이의 제2배출공간(612-1)을 통과하면서 압착된 덩어리가 아닌 얇은 피박형태의 고형물로 배출되어 건조가 쉬우면서 쉽게 부서지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도부(711)의 끝단이 반구형태를 가짐으로서 배출유도부(711) 외주면과 배출봉(612) 내주면 사이의 제2배출공간(612-1)을 통과하는 피박형태의 압축 고형분이 배출유도부(711) 끝단의 구형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쉽게 부서져 분말화하게 된다.
또한,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커버부(800)가 위치한 압축호퍼(600)의 하부 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면서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 침출수배출관(604)이 형성되며, 상기 침출수배출관(604)은 압축호퍼(600)의 압축공간(602)이 위치한 압축호퍼(600) 외주 하부에 연결되면서 압축호퍼(600) 내부로 연통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타공망형태의 가압커버부(80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가 압축호퍼(600)의 압축공간(602)의 하부에 연통 및 연결된 침출수배출관(604)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간(602)이 형성된 압축호퍼(600)의 외주 상부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고압세척부(605)가 구비되며, 상기 고압세척부(605)를 통해 세척수가 압축공간내로 분사되면서 가압커버부(800)를 세척하면서 타공망에 박힌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음식물 감량장치 10 파쇄부재 10a 압착부재 10b
파쇄호퍼 100 수용공간 101 배출공 102
투입판 110 투입구 111 지지판 120
제1배출구 121 제1회전축 200 제1동력부 210
파쇄부 300 회전판 310 절단편 320
제1배출공간 330 파쇄날개 400 고정소켓 410
확산체 420 결합소켓 421 확산부 422
밀착판 422-1 가이드홈 422-2 연결소켓 500
연결구 501 압출호퍼 600 이동공간 601
압축공간 602 유입구 603 침출수배출관 604
고압세척부 605 배출지지부 610 제2배출구 611
배출봉 612 서포터 620 이동커버부 630
압축스크류 700 스크류축 710 회전날개 720
제2회전축 730 제2동력부 740

Claims (8)

  1.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소정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상부의 파쇄부재(10a)와 상기 파쇄부재(10a) 하부에 위치하여 파쇄부재(10a)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 및 탈수하는 압착부재(10b)로 구성되는 음식물 감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10a)는, 원통형의 파쇄호퍼(100) 내부 상부에 위치하여 중앙에 투입구(111)가 형성되면서 하향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투입판(110);과,
    상기 파쇄호퍼(100) 내부 하부를 밀폐하면서 중앙으로부터 외측 일면이 개방된 제1배출구(121)가 형성된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의 중앙을 통과하여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되면서 지지판(120) 하부로 노출된 단부에 제1동력부(210)가 연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200);과,
    상기 파쇄호퍼(100) 내부로 수직 돌출된 제1회전축(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파쇄호퍼(100)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원호형의 제1배출공간(330)이 형성된 수평형의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상면에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수직형 삼각판재형의 절단편(32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파쇄부(300);와,
    상기 파쇄부(300)의 회전판(310) 하부에 연결 및 배치되어 회전판(310) 하부에 위치한 제1회전축(200) 양측에 각각 이웃하며, 하단 길이방향으로 요부(401)와 철부(402)의 반복적인 배열로 형성되면서 제1회전축(200) 양측에 각각 배치 또는 제1회전축(200)을 기준으로 사방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판(310)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된 원통형의 고정소켓(41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파쇄날개(400) 일단이 고정되면서 곡선형으로 연장되면서 타단이 파쇄호퍼(100) 내주면에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소켓(410)은 회전판(310) 하부에 위치한 제1회전축(200)에 결속되되, 상기 고정소켓(41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소켓(410)을 결속한 제1회전축(200)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형태로 이격된 들뜬상태의 공간을 가지도록 결속구조를 가지는 수직 판재형의 파쇄날개(4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날개(400)는 고정소켓(410)의 평면상태를 기준으로 고정소켓(410) 양측에 각각 곡선형의 파쇄날개(400)가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전개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제1회전축(2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파쇄날개(400)의 회전방향 쪽에 오목면 그리고 반대방향 쪽에 볼록면을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소켓(410) 외측으로 결속 고정되는 원통형의 결합소켓(421)과 상기 파쇄날개(400)의 위치에 대응되는 결합소켓(421)의 양측에 각각 서로 좌우대칭으로 삼각형태의 확산부(422)가 연결되는 확산체(420)가 포함되되,
    상기 확산부(422)는 서로 전후대칭 형태를 가진 2개의 밀착판(422-1)이 삼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판(422-1) 일단이 결합소켓(421) 외주면에 연결되면서 타단은 서로 면접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확산부(422) 각각의 밀착판(422-1) 타단과 마주하는 결합소켓(421)의 외주면에 파쇄날개(40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절개된 가이드홈(422-2)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체(420)의 결속소켓(421)을 고정소켓(410)에 결속시 결속소켓(421)의 가이드홈(422-2)으로 파쇄날개(400)가 인입되면서 확산부(422) 각각의 밀착판(422-1) 타단이 파쇄날개(40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감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개(400)의 오목면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가로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다수 개의 절단탭(403)이 형성되되, 상기 절단탭(403)의 상부는 수평면 그리고 하부는 경사지면서 돌출된 단부가 칼날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감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는 가로면(121-1)과 세로면(121-2)이 상호 직교된 형태로 절개된 홈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121)가 위치한 파쇄호퍼(100) 내주 상측에 외부로 관통된 배출공(102)이 형성하되, 상기 제1배출구(121)가 위치한 절단된 지지판(120)의 원주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배출공(102)이 형성하며,
    상기 파쇄호퍼(100)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판(120)의 제1배출구(121)에 연결 및 연통하면서 배출공(102)을 커버하도록 상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되면서 연결된 연결구(501)를 형성하면서 하부가 개방된 연결소켓(500)이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연결소켓(500)의 하부가 압착부재(10b)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감량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61432A 2020-05-22 2020-05-22 음식물 감량장치 KR102186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32A KR102186398B1 (ko) 2020-05-22 2020-05-22 음식물 감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32A KR102186398B1 (ko) 2020-05-22 2020-05-22 음식물 감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398B1 true KR102186398B1 (ko) 2020-12-07

Family

ID=7379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432A KR102186398B1 (ko) 2020-05-22 2020-05-22 음식물 감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3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074B1 (ko) * 2008-10-15 2010-07-29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류 폐기물 순간분쇄기
KR101209907B1 (ko) 2012-05-25 2012-12-11 (주) 대성이앤비 음식 폐기물 감량장치
KR20130118558A (ko) * 2012-04-20 2013-10-30 이성모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7084B1 (ko) 2016-10-14 2018-04-09 주식회사 경은 음식쓰레기 감량장치
KR101899425B1 (ko) * 2018-06-14 2018-10-29 (주)누마스타 음식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074B1 (ko) * 2008-10-15 2010-07-29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류 폐기물 순간분쇄기
KR20130118558A (ko) * 2012-04-20 2013-10-30 이성모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9907B1 (ko) 2012-05-25 2012-12-11 (주) 대성이앤비 음식 폐기물 감량장치
KR101847084B1 (ko) 2016-10-14 2018-04-09 주식회사 경은 음식쓰레기 감량장치
KR101899425B1 (ko) * 2018-06-14 2018-10-29 (주)누마스타 음식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7021B2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CN202590913U (zh) 卧式碎浆机
KR20100007089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JPH02501046A (ja) 廃棄物などの材料の粉砕装置
CN102698845A (zh) 卧式碎浆机
CN101502841A (zh) 固体垃圾粉碎机
CN109530412A (zh) 生活垃圾处理设备
CN209577713U (zh) 生活垃圾处理设备
KR102186398B1 (ko) 음식물 감량장치
CN212943324U (zh) 湿垃圾破碎制浆机
KR102593349B1 (ko)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1385038Y (zh) 固体垃圾粉碎机
KR10242343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210646712U (zh) 一种厨余垃圾处理机
KR200262463Y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분리장치
KR20140036486A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CN213854928U (zh) 一种垃圾热解预处理装置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102633476B1 (ko) 압축탈수기
KR20039678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0357633Y1 (ko) 압착력 증대장치를 구비한 문서세단기의 세절된 파지처리장치
KR102633605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압축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