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168B1 -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168B1
KR102186168B1 KR1020190018411A KR20190018411A KR102186168B1 KR 102186168 B1 KR102186168 B1 KR 102186168B1 KR 1020190018411 A KR1020190018411 A KR 1020190018411A KR 20190018411 A KR20190018411 A KR 20190018411A KR 102186168 B1 KR102186168 B1 KR 10218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selenium
purslane
mixing
mix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305A (ko
Inventor
한평희
Original Assignee
한평희
한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평희, 한재연 filed Critical 한평희
Priority to KR102019001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16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3Solu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된 상태의 셀레늄 및 아연을 현미 식초액에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알카리수를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셀레늄 및 아연을 이온화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된 혼합액에 실온에서 식혀 안정화하는 단계;상기 안정화된 혼합액을 물을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활성액을 액비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액비화된 활성액을 쇠비름에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을 제공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재배된 쇠비름은 셀레늄 및 아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제, 항암제, 면역강화제로서 기능성이 향상되어 쇠비름의 소비를 촉진하여 쇠비름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Growing method of Portulaca oleracea improved selenium and zinc content}
본 발명은 쇠비름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진 셀레늄과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1년생 식물로서 오행초,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도 불리며, 주로 길가·채소밭·빈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용 가능한 다육질의 식물이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서양에서는 샐러드에 쓰며, 한국에서는 연한 부분을 여름에 끓는 물에 데쳐 말렸다가 겨울철에 나물로 무쳐 먹는다.
민간요법에서는 해독제, 방부제, 항괴혈병제제, 진경제, 이뇨제, 구충제, 피부진정제로도 사용되어왔으며 (한국약용작물학회지, 8권 3호, p189, 2000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권 3호, p607, 1999년), 그 외 근육이완 활성과 항균, 항암 및항산화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있다(한국조리과학회지, 17권 6호, p565, 2001년).
쇠비름의 성분으로는 L-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도파와 여러 종류의 유기산, 아미노산, 테르펜 배당체(portuloside A)가 알려져 있고, 감마-리놀렌산과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생물공학회지, 18권 3호, p165, 2003년) 이러한 성분과 효능을 가진 쇠비름은 우리나라 텃밭 및 야산에 자생하고 있으나 이를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까지 미흡하여 쇠비름 자원을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공제품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쇠비름을 활용한 특허 문헌으로는 많은 것이 있으나, 특히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25609호의 “항암 및 항균효과를 가진 쇠비름 음료",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19384호의 “항암 기능을 가지는 쇠비름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00092호의 “항종양활성을 갖는 한약재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22668호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 활성을 갖는 쇠비름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등으로 항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알 수 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25609호의 “항암 및 항균효과를 가진 쇠비름 음료” 2.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19384호의 “항암 기능을 가지는 쇠비름 추출물” 3.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22668호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 활성을 갖는 쇠비름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그러나 쇠비름 내지 쇠비름 추출물이 항암제로서 상업화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항암 유효와 생리 활성이 뛰어난 미네랄 성분 함량, 특히 셀레늄과 아연의 함량이 증가된 쇠비름을 제공하여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쇄된 상태의 셀레늄 및 아연을 현미 식초액에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알카리수를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셀레늄 및 아연을 이온화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된 혼합액에 실온에서 식혀 안정화하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혼합액을 물을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활성액을 액비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액비화된 활성액을 쇠비름에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재배된 쇠비름은 셀레늄 및 아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제, 항암제, 면역강화제로서 기능성이 향상되어 쇠비름의 소비를 촉진하여 쇠비름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쇠비름은 한 해 동안 네 번의 세대교체가 가능할 만큼 재생력과 번식력이 뛰어나다. 환경이 여의치 않을 때는 닫힌 꽃가루 받이로 자가수정을 하며, 뿌리가 뽑혀도 달린 씨앗은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다육질의 특성상 건조에도 강해 한여름에 뽑아 두어도 며칠씩 살아남는다. 그만큼 번식이 왕성해서 농사에서는 골치 아픈 잡초로 간주된다. 특히 참깨에 대해 타감작용이 강하다.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하거나 씨로 한다. 주로 수분이 많고 거름 지며 산성에 가까운 토양에서 잘 자란다. 햇볕을 좋아해 그늘진 곳에서는 생육이 부진하다. 파종에서 수확까지는 대략 6~8주가 걸린다. 조기수확을 하려면 이른 봄 온상을 씌워 파종한다. 노지에서는 늦은 봄부터 여름까지 파종할 수 있다. 잎과 줄기를 잘라내도 계속해서 새 줄기가 나오므로 여름 내 수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쇠비름 재배 기간 동안에 쇠비름에 시비를 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분쇄된 상태의 셀레늄 및 아연을 현미 식초액에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알카리수를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셀레늄 및 아연을 이온화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된 혼합액에 실온에서 식혀 안정화하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혼합액을 물을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활성액을 액비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액비화된 활성액을 쇠비름에 시비하여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크게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함유된 활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활성액을 액비화하는 단계및 액비화된 활성액을 쇠비름에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분쇄된 상태의 셀레늄과 아연을 현미 식초액에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알카리수를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셀레늄과 아연을 이온화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된 혼합액에 알카리수를 더 혼합하고 실온에서 식혀 안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분쇄된 셀레늄과 아연을 현미 식초액에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로, 가루 상태로 분쇄된 셀레늄과 아연 각각 20g을 현미 식초액 500㎖에 넣어 혼합하고 100℃로 10분 이상 가열함으로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온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 500㎖에 알카리수 20ℓ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이고, 상기 안정화단계는 상기 이온화된 혼합액을 실온에서 식혀 이온 상태의 셀레늄 및 아연을 안정화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활성액을 액비화하는 단계는 활성액에 중성 pH의 물을 혼합하여 1000배로 희석함으로써 액비를 얻는 단계이다.
즉, 실온에서 안정화된 활성액을 물과 혼합함으로써 액비 상태로 쇠비름에 살포할 수 있으며, 쇠비름의 생육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잡초 피해, 병충해 및 기상재해에 대비해 제초제나 방충제 등을 살포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활성액과 제초제 및 방충제를 혼합하여 살포함으로써 종합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액비화된 활성액을 쇠비름에 시비하는 단계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쇠비름의 생육 과정 중에 3~5회 반복살포하여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쇠비름은 일정 기간의 영양생장기를 거친 다음 단일과 고온 조건을 갖추면 어린 이삭이 분화 및 생장하는 생식생장기로 접어드는데, 액화된 활성액을 생식 생장기 때부터 개화해 수정되고 수정된 씨방이 발달하면서 배젖에 저장물질이 축적되는 등숙단계까지 적어도 3~5회 엽면살포방식으로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재배된 쇠비름은 셀레늄 및 아연의 함량이 증가되어 다음과 같은 효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셀레늄은 원자번호 34인 산소 및 유황 족에 속하며 사람에게나 동물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미량원소이다. 2차 대전 이전까지는 셀레늄은 탁월한 효능을 가졌지만 독성도 강해 단지 독성물질로만 인식되다 1957년 슈바르쯔 박사가 ‘쥐를 대상으로 한 간경화방지를 위한 실험’에서 셀레늄이 사람과 동물의 성장과 번식에 필수 영양소란 사실을 밝혀내면서 셀레늄의 인식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왔다.
그 다음, 1973년 미국 위스컨신대학 훽스트라(Hoekstra) 교수 실험실과 독일
플로헤(Flohe) 박사팀의 연구에서 셀레늄이 항산화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셀레늄은두 번째의 전기를 맞게 된다.
근래엔 셀레늄을 사람에게 투여함으로 암 사망률이 50% 정도 감소하고 모든 암 질병을 막론하고 37%의 예방효과가 있다는 것, 특히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등의 예방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미국 아리조나 대학의 클라크 팀이 밝혀낸 것이 또 하나의 큰 계기가 되어 최근 들어 셀레늄은 학계나 일반인을 막론하고 범세계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셀레늄의 질병에 대한 예방역할로 셀레늄의 항산화 작용을 들 수 있다. 셀레늄은 다른 비타민 종류처럼 그 자체만으로는 항산화 작용을 할 수 없고 selenoprotein을 통해서 항산화 작용을 하거나 비타민 E와 함께 투여하였을 때 상호 보완, 상승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셀레늄은 셀레노시스테인(selenocysteine)의 형태로 항산화 작용을 하는데, 예로서 thioredoxin은 세포의 산화와 환원 작용에 중요할 뿐 아니라 thioredoxin reductase는 DNA 합성과정에서 nucleotides를 환원시켜 DNA를 합성하고 조절하는 또다른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다. 특히 selenoprotein 중의 P와 W의 경우를 예로보면, P는 혈장과 endothelial cell (혈관 내피세포) 내의 동맥경화 예방 및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W는 glutathione peroxidase (GPX)를 도와 근육에 대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 몸 안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 종(과산화 수소, superoxide anion, hydroxy radicals)은 대사과정, 특히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 항균작용, 항 바이러스, 염증 등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노화, 암, 관절염,당뇨, 치매, 세포 사멸 등의 원인을 제공하므로, 이러한 활성산소의 방어기전인 다양한 항산화 효소중의 하나인 GPX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973년 미국 위스컨신 대학 훽스트라교수팀과 독일 프로헤 박사팀은 GPX란 효소가 셀레늄을 함유하고 있고, 셀레늄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GPX의 생산과 활성도가 떨어지므로 셀레늄의 섭취정도가 이 효소의 활성과 비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셀레늄의 암예방 작용과 면역기능 증강작용을 들 수 있다. 셀레늄의 암예방 작용과 면역기능 증강작용은 앞서 말한 항산화 작용의 경우와는 사뭇 다르다. 즉 지금까지의 여러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암예방 작용을 할 경우, 셀레늄은암 세포에 직접 침투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작용을 하며, 면역기능 증강에도 직접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의 발생과 성장을 억제하는 역학적 연구와 전임상(preclinical) 연구 등에서는 영양학적 기준보다 높은 양의 셀레늄이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근래에 미국에서 Clark 등의 연구결과는 획기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실험은 셀레늄의 섭취가 암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계획된 최초의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된 실험으로 매일 200 g의 셀레늄을 먹은 사람들은 암 사망률이 50% 이상 더 낮아지고, 암 발생률은 37% 더 낮아졌으며, 전립선암의 발생률은 63%, 대장암의 발생률은 58%, 폐암의 발생률은 46% 더 낮아졌다. 즉, 200 g의 셀레늄을 4년 반 동안 섭취한 결과, 암과 관련된 사망률 및 발생률이 40%가 감소하였다.
또한 전립선암의발생과 셀레늄의 섭취에 대한 관계를 밝히는 실험이 Harvard-Based Health Professionals' Cohort Study로부터 34,00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행해졌는데, 셀레늄의 섭취가 더 낮은 사람은 전립선암의 발생률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zinc, Zn)은 1900년대 초부터 생명체의 필수 미량원소로 인식되어 왔으며, 결핍증은 1960년대 초 처음으로 인지되었다. 아연은 세포 성장, 생식 기능 성숙, 면역 등 체내의 여러 가지 작용에 필수적인 미량 무기질로서 우리 몸에 약 1.5∼2.5g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약 60%는 근육에, 나머지는 골격 등에 분포되어 있다.
아연은 지방세포로 포도당이 유입되는 것을 조절하는 인슐린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성장 호르몬, 성 호르몬, 갑상선호르몬, 프로락틴 등의 호르몬 활성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아연은 면역 기능에 관여한다.
아연은 효소의 구성 요소로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핵산의 합성과 분해에 관여한다. 특히 핵산 DNA와 RNA의 합성에 관여하여 세포의 분화, 증식 및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여 성장, 조직 및 골격 형성, 생식, 면역 기능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연은 세포막 단백질, 특정 호르몬, 유전자 전사 인자(gene transcription factor)의 구조를 안정화시킨다. 세포막 안정성은 수용체에 영향을 미치며, 이 수용체들이 세포 내 모든 종류의 반응들을 신호화하기 때문에 세포막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아연은 항산화 효소[copper(Cu), zinc-superoxide dismutase(Zn-SOD)]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당 대사, 인슐린의 작용에도 관련이 있다. 그러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아연 보충은 당내성을 악화시키며 LDL 콜레스테롤 산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었지만, 아연의 보충은 제1형 당뇨병에서 아연 결핍을 호전시켜 LDL 콜레스테롤 산화를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아연은 알부민 등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혈액을 순환하며 문맥혈로부터 30∼40%의 아연이 간에서 교환된다.
아연은 곡류 위주의 식사에서는 흡수율이 낮으나 육류를 중심으로 하는 식사에서는 흡수율이 높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아연의 이용률 추정과 관련하여 식사의 종류를 아연 이용률이 50∼55% 정도로 높은 식사, 보통 정도인 30∼35% 정도의 식사, 이용률이 15% 정도로 낮은 식사 등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의 일반적 식생활은 보통 이용률(30%)의 식사로 간주한다.
아연 이용률이 높은 식사란 육류 섭취량이 많고 도정된 곡류를 소량 섭취하는 정제된 식사를 말하며, 보통 정도의 이용률을 보이는 식사란 육류와 생선을 포함하며 도정하지 않은 곡류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혼합형 식사이다. 아연 이용률이 낮은 식사란 도정하지 않은 비(非)발효 곡류 식품에 주로 의존하는 식물성 식품 위주의 식사를 말한다.
아연은 소장에서 흡수될 때 페리틴이 철과 결합하는 똑같은 방식으로 아연과 결합하는 단백질인 메탈로싸이오네인(metallothionein)의 합성을 유도한다. 또한 옥살산(oxalate), 피틴산(pHytate) 등은 아연과 불용성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아연 흡수를 저해한다. 한편 히스티딘(histidine), 시스틴(cystine), 트립토판(tryptopHan) 등의 아미노산은 아연과 가용성 복합체를 형성하므로 아연의 흡수를 향상시킨다.
아연은 췌장을 경유하여 장관을 거쳐 대변으로 배설된다. 또한 소변과 땀으로 소량 배설된다.
일상의 식사에서 부족한 아연을 보충할 목적으로 섭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은 신체의 모든 조직에 존재하는 미량 원소이며 핵산과 아미노산의 대사에 관여한다.
체내 아연 상태 측정은 혈액, 머리카락 검사 등을 사용한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혈액 내 아연 측정이지만, 최근에는 머리카락 속 아연 측정이 비교적 쉬우며 정확한 편이어서 체내 아연의 지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아연은 식품에 널리 함유되어 있으므로 극심한 아연 결핍증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중등도 아연 결핍은 당뇨병 환자에게 흔히 관찰된다. 이는 환자의 소변에서 아연의 배설 증가와 관련이 있다.
아연 결핍증을 유발하는 요인에는 아연 함량이 낮은 식품을 섭취하여 섭취량 부족에 의한 것과 소화기능 저하에 따른 아연의 흡수 감소 및 수술, 화상, 임신, 수유, 악성종양 등으로 아연의 필요량이 증가한 경우 등이 있다.
아연이 결핍되면 위장관이나 폐조직 내막의 손상이 흔히 나타나며 다핵림프구, 자연살해세포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아연 결핍이 심하면 식욕 감퇴, 성장 지연, 피부 변화, 면역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나며, 심각한 아연 결핍 시에는 성선기능저하증(hypogonadism), 왜소증 등이 나타난다.
특히 영유아, 어린이는 빠른 성장에 따라 아연 요구량이 늘기 때문에 자칫하면 아연 결핍이 나타날 수 있다. 아연이 부족하면 만성 혹은 급성 설사를 유발하기 때문에 설사를 통해 체내 아연이 계속 결핍되면서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어린이들의 아연 결핍은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잦은 호흡기 감염과 숨쉴 때 쌕쌕거리는 '천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일부 국가에서는 어린이들의 식사에 아연을 보충해 준 결과 급 · 만성 설사와 하부 호흡기 감염의 발생 빈도를 낮출 수 있었다. 항생제와 아연을 함께 복용하면 심한 폐렴으로부터 회복을 빠르게 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아연은 호흡기 상피(上皮)세포를 보호하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면역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연이 결핍되면 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기 등 감염성 질환에 쉽게 노출된다. 아연 권장량의 20배 이상(1일 100∼300㎎)을 장기간 복용하면 구리 및 철 영양 상태 저하, 면역 능력 손상, HDL 콜레스테롤 저하 등을 유발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안한 아연의 상한섭취량은 성인 남자 45㎎, 성인여자 35㎎이다.
실험예 1: 쇠비름 함유 셀레늄 함량 분석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쇠비름 수확한 후에 셀레늄 함량을 분석하였는데 500g 정도 채취하여 증류수로 세척 건조하여 분석 시료를 준비하였다. 수득한 쇠비름 시료 0.2g에 혼합산(질산 5㎖ + 황산 5㎖)을 처리하여 가열(160℃/6hr) 냉방 후 젤 상태가 될 때까지 증발하고 증류수로 초기 부피만큼 채우고 난 후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광광도기(ICP- Mass spectrometer, ELAN6100, Perkin Elmer, USA; EPA Methods 2008, Rev 54)로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액을 시비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셀레늄 함량은 0.082-0.258㎎/㎏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활성액을 시비한 시험군에서의 셀레늄 함량은 0.467-0.816㎎/㎏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셀레늄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쇠비름 함유 아연 함량 분석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쇠비름 수확한 후에 아연 함량을 분석하였는데 500g 정도 채취하여 증류수로 세척 건조하여 분석 시료를 준비하였다.
아연 함량 시험은 비료의 품질검사방법 및 시료채취기준 일부개정(농촌진흥청 고시)에 따른 Dithizone법을 이용하여 수용성 아연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액을 시비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아연 함량은 1.012-1.052㎎/㎏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활성액을 시비한 시험군에서의 아연 함량은 3.127-3.816㎎/㎏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아연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일례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가루 상태로 분쇄된 셀레늄과 아연 각각 20g을 현미 식초액 500㎖에 넣어 혼합하고 100℃로 10분 이상 가열함으로써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알카리수 20ℓ를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셀레늄 및 아연을 이온화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된 혼합액에 실온에서 식혀 안정화하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혼합액에 중성 pH의 물을 혼합하여 1000배로 희석함으로써 활성액을 액비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액비화된 활성액을 쇠비름의 생육과정 중에 3~5회 반복 살포하여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2. 삭제
KR1020190018411A 2019-02-18 2019-02-18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KR10218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11A KR102186168B1 (ko) 2019-02-18 2019-02-18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11A KR102186168B1 (ko) 2019-02-18 2019-02-18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05A KR20200100305A (ko) 2020-08-26
KR102186168B1 true KR102186168B1 (ko) 2020-12-07

Family

ID=7224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11A KR102186168B1 (ko) 2019-02-18 2019-02-18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1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88B1 (ko) * 2008-09-03 2009-06-04 의성흑마늘 영농조합법인 셀레늄 및 아연이 강화된 숙성 흑마늘 및 이를 이용한 숙성흑마늘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9089457A (zh) 2018-07-20 2018-12-28 贵州大秦农旅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马齿笕的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84A (ko)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차량용 캠 샤프트
KR19990025609A (ko) 1997-09-13 1999-04-06 전주범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패스워드 관리 방법
JP2003086810A (ja) 2001-09-11 2003-03-20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9665B1 (ko) * 2004-04-28 2007-02-06 김형덕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셀레늄을함유하는 과수의 재배방법
KR20050109130A (ko) * 2004-05-14 2005-11-17 진용선 장명채 피클
KR20120124190A (ko) * 2011-05-03 2012-11-13 (주)한국바이오엔지니어링 쇠비름 유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과 들깨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KR101352628B1 (ko) * 2012-02-23 2014-01-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사이언팜 미네랄 양액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KR101630361B1 (ko) * 2014-11-27 2016-06-14 강곤태 아연성분이 함유된 활성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연성분이 함유된 작물의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88B1 (ko) * 2008-09-03 2009-06-04 의성흑마늘 영농조합법인 셀레늄 및 아연이 강화된 숙성 흑마늘 및 이를 이용한 숙성흑마늘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9089457A (zh) 2018-07-20 2018-12-28 贵州大秦农旅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马齿笕的栽培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05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8300B2 (en) High-energy composite peptide selenoprotein nutrient solutio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Akubugwo et al. Nutritional and chemical value of Amaranthus hybridus L. leaves from Afikpo, Nigeria
Tóth et al. The role of selenium in nutrition–A review
CA2379581C (en) Echinacea sup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0071086A (ko)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동시에 함유된 식용, 약용, 식물류의재배방법
Afifi et al. Prosopis cineraria as an unconventional legumes, nutrition and health benefits
Koné et al. Bambara groundnut [Vigna subterranea (L.) Verdc.(Fabaceae)] usage in human health
WenYing et al. Chicory seeds: a potential source of nutrition for food and feed
CN105475636A (zh) 一种水溶性大蒜素混合物、制备方法及用途
CN102349608B (zh) 一种清咽润喉的保健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360597B (zh) 一种提升甲鱼品质的功能性药饵及其制备方法和投喂方法
CN105433033A (zh) 含有刺梨提取物的肉鸡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Srivastava et al. Dynamic bioactive properties of nutritional superfood Moringa oleifera: A comprehensive review
KR101146814B1 (ko) 셀레늄이 함유된 사과를 생산하기 위한 사과나무재배방법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186168B1 (ko) 셀레늄 및 아연 성분이 강화된 쇠비름 재배방법
CN107494938A (zh) 一种提高肉牛免疫力的中草药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Nathaniel Efficacy of Moringa oleifera and Moringa stenopetala leaves on growth performance, haemato-biochemical profiles and gut microbiota in Broiler chicken
Keshri et al. Moringa and its medicinal properties: A review
KR20040052747A (ko) 셀레늄이 함유된 딸기의 재배, 및 효소의 제조방법
CN108740569A (zh) 一种具有饲料添加剂的混合鱼饲料及制备方法
Singh et al. A REVIEW ON BETA VULGARIS
Nwaogu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Siegesbeckia orientalis: A valuable, but less known ethnomedicinal plant.
Gosavi Chapter-13 Buck Wheat: An Ideal Crop for Humans, Animals and Soil Health in Natural Farming
KR20040004266A (ko) 셀레늄이 함유된 미나리 재배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