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047B1 -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047B1
KR102186047B1 KR1020190109229A KR20190109229A KR102186047B1 KR 102186047 B1 KR102186047 B1 KR 102186047B1 KR 1020190109229 A KR1020190109229 A KR 1020190109229A KR 20190109229 A KR20190109229 A KR 20190109229A KR 102186047 B1 KR102186047 B1 KR 10218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r
insertion rod
sink
main body
kitchen utens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조씽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to KR102019010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Abstract

본 발명은 설거지를 하거나 식기를 세척하는 싱크대의 싱크볼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볼의 내면에 레일바와, 레일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고리부재를 구비하여, 각종 주방용품들을 싱크볼에 거치, 사용, 보관할 수 있어 싱크볼의 실용성이 향상된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은 본체; 상기 본체의 개수부 내면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레일바; 상기 레일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Sink bowl equipped with rail bar}
본 발명은 설거지를 하거나 식기를 세척하는 싱크대의 싱크볼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볼의 내면에 레일바와, 레일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고리부재를 구비하여, 각종 주방용품들을 싱크볼에 거치, 사용, 보관할 수 있어 싱크볼의 실용성이 향상된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싱크볼이 형성되며, 이 싱크볼에서 설거지를 하고, 식기와 과일 등을 세척 한다.
그리고 싱크대 주변에는 요리를 위한 요리도구, 설거리를 위한 설거지 도구와 같은 각종 주방용품이 비치된다.
주방은 설거지를 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가족이 함께 모여 대화를 나누는 복합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싱크대는 기능은 물론 시각적인 깔끔함 또한 중요하다.
싱크대의 싱크볼에서 설거지, 식재료 세척, 음식 조리준비 등을 하는 과정에서 싱크대 주변에 비치된 주방용품을 가져와 사용하고, 사용하던 주방용품을 주변에 놓고 다른 일을 하다 다시 가져와 사용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고, 싱크대 주변에 비치된 주방용품과 조리준비 등의 작업 중에 싱크볼 주변에 놓인 주방용품은 미관이 좋지 않고, 주변에 놓인 주방용품은 하던 작업을 방해하는 상황이 발생되기도 한다.
참고로, 싱크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20-2019-0002139 "주방용품 수납대가 구비된 싱크볼", 등록실용신안 20-0466633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싱크대 주변에 비치된 주방용품의 보관, 사용 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싱크볼의 내면에 레일바를 구비하고, 레일바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고리부재를 구비하여, 싱크볼에서 주방일을 하는 실용성이 우수하고, 음식과 설거지를 하는 작업공간으로써의 씽크볼의 기능적인 편리함 뿐만 아니라 깔끔하고 깨끗한 관리가 가능하여 복합적인 부가가치를 갖는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레일바는 탈착수단을 통해 싱크볼 본체에 간편하게 탈부착되어서 관리와 유지보수가 효율적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은
본체;
상기 본체의 개수부 내면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레일바;
상기 레일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재의 일단에 결합되어서 주방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레일바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레일바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봉과,
상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탈착블럭과,
상기 삽입공의 바닥에서 상기 삽입봉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형성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에 치합되어 걸림결합되는 걸림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결되는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후진판과,
상기 톱니의 상부측으로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봉이 하강시 상기 전후진판을 밀어 후진시키는 푸시돌기와,
감긴 상태에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서서히 풀리며, 상기 전후진블럭을 탄성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태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은 본체의 내면에 레일바와 고리부재를 구비하여 자주 사용하는 주방용품을 고리부재에 거치하여 사용하고 보관할 수 있어서, 싱크볼에서 하는 주방 작업의 효율성과 실용성이 뛰어나고, 레일바를 싱크볼 본체의 개수부 후면에 구비하면 레일바와 이에 거치된 주방용품이 은폐되어 미관이 깔끔하고, 레일바는 탈착수단을 통해 본체에 간편하게 탈부착되어서 관리와 유지보수가 편리한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와 탈착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의 작동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은 본체(10), 레일바(20), 고리부재(30),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싱크볼 본체(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오목하게 들어가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설거지와 세척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수부(11)가 형성되고, 개수부(11)의 바닥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13)가 형성되고, 물을 공급하는 수전금구(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상기 탈착수단의 삽입봉(110)이 관통하는 관통공(1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7)는 밀폐링(19)이 끼워져서 삽입봉(110)과 관통공(17)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차단한다.
상기 레일바(20)는 상기 본체(10)의 개수부(11) 내면에서 상부측에 구비된다. 상기 레일바(20)는 개수부(11) 내면의 전방과 후방 중에서 후방에 구비되면 싱크볼 본체(10)에서 조금만 멀어져도 보이지 않게되므로,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부재(30)는 상기 레일바(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주방용품이 거치된다.
상기 고리부재는 양측 단부에 2단으로 꺽인 'ㄱ'자 모양의 고리(31)가 형성된다. 양측의 고리 중에서 일단의 고리는 상기 레일바(20)에 얹혀져서 레일바(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타단의 고리에는 주방용품(미도시)이 걸려 거치된다.
상기 고리부재(30) 중에는 일단에 고리(31)가 형성되고, 타단에 선반이 구비된 것이 있다. 도면에는 소형 선반(33)과 중형 선반(35)이 구비된 고리가 도시되어 있다. 소형 선반(33)에는 수세미, 티스푼과 같이 소형의 주방용품이 올려져 거치될 수 있고, 중형 선반(35)에는 수저, 칼, 접시 등과 같은 중형의 주방용품이 올려져 거치될 있고, 도면과 같이 중형 선반(35)에 도마(1)가 올려져 싱크볼 본체(10) 위에서 식재료 손질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레일바(20), 고리부재(30), 여기에 거치된 주방용품 등은 주방 작업을 하는 경우 방해가 될 수 있고, 레일바(20)는 본체(10)의 내면에 붙어서 세척 등의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본원발명은 탈착수단을 통해 레일바가 본체(10)에 간편하게 탈부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탈착수단은 탈착블럭(160), 삽입공(110), 삽입봉(120), 스프링(130), 전후진판(140), 푸시돌기(126), 태엽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탈착수단을 설명함에 있어서, 방향은 도3의 분해 사시도를 기준으로 상하를 정한다.
상기 탈착블럭(160)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봉(120)이 삽입되는 삽입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10)에는 상기 삽입봉(120)의 표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푸시돌기(126)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봉(120)은 상기 레일바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봉(120)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봉(120)의 상부에는 헤드(121)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돌기(126)는 삽입봉(120)의 표면에서 헤드(121)까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30)은 상기 삽입공(110)의 바닥에 배치되어서 상기 삽입봉(120)이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스프링(130)의 상부에는 지지판(131)이 결합되어서 상기 삽입봉(12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131)은 삽입공(110)에 형성된 걸림턱(111)에 걸려서 승강범위가 제한된다.
상기 전후진판(140)은 상기 삽입공(110)과 연결되는 베이스(11)의 내부로서 상기 삽입봉(120)의 외주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전면의 중앙부에 걸림톱니(143)가 형성되고, 후면의 중앙부에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봉(120)의 표면에는 상기 걸림톱니(143)와 치합되어 걸림결합되는 톱니(1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톱니(143)와 톱니(123)는 하단이 수평구조이고 그 위로는 경사진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하강하는 경우 톱니(123)가 걸림톱니(143)를 밀면서 삽입봉(120)이 삽입되고, 삽입된 이후에는 톱니(123)가 걸림톱니(143)에 치합되어 걸림결합됨으로써 삽입봉(120)이 승강되지 못하게 한다.
상기 푸시돌기(126)는 상기 톱니(123)의 상부측으로 상기 삽입봉(120)의 표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푸시돌기(126)는 삽입봉(12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전후진판(140)에 접촉되어서 전후진판(140)을 밀어 후진시킨다.
상기 푸시돌기(126)의 상부는 상기 헤드(121)까지 연장되고, 상기 삽입공(110)에는 상기 푸시돌기(126)의 상부가 삽입되는 안내홈(116)이 형성되어서, 톱니(123)와 대응톱니(123)가 정렬되는 방향으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엽부재(150)는 하우징(151)과, 상기 하우징(151)의 내부에 감긴 상태로 내장되고 단부는 하우징(151)의 외부로 노출되는 판스프링(153)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153)은 감기면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서서히 풀린다. 즉, 하우징(151)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판스프링(153)의 단부를 밀면, 노출된 판스프링(153)은 하우징(151)으로 들어가 감기게 되고, 감기면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밀던 판스프링(153)의 단부를 놓으면 판스프링(153)은 하우징(151)에서 나와 원상복귀된다. 이때, 판스프링(153)은 순간적으로 하우징(151)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서서히 나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수단을 통해 레일바가 싱크볼 본체(10)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일바를 싱크볼 본체(10)에 결합시킬 때에는 레일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삽입봉(120)을 본체(10)의 관통공(17)을 관통하여 탈착블럭(160)에 형성된 삽입공(110)으로 밀어넣어 삽입시킨다. 이때 푸시돌기(126)의 상부와 안내홈(116)을 일치시킨다.
도4의 [A]를 참조하면,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삽입되면 삽입봉(120)의 톱니(123)가 전후진판(140)의 걸림톱니(143)에 걸림결합되어서 삽입봉(120)은 후진할 수 없도록 결합되고, 스프링(130)이 삽입봉(120)을 탄성지지하여 톱니(123)와 걸림톱니(143)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레일바를 베이스(11)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레일바을 아래로 눌러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하강하도록 한다.
도4의 [B]를 참조하면, 삽입봉(120)이 하강하면 푸시돌기(126)가 전후진판(140)을 밀어 후진시킨다. 그러면 톱니(123)와 걸림톱니(143)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때 전후진판(140)이 후진하면서 태엽부재(150)의 판스프링(153)이 하우징(151)으로 감겨 들어간다.
도4의 [C]를 참조하면, 레일바을 누르던 힘이 소멸하면 스프링(130)이 복원력으로 삽입봉(120)은 원위치로 승강되는데, 태엽부재(150)의 판스프링(153)은 하우징(151)에서 서서히 나오게 되어서 전후진판(140)은 아직 전지하여 원위치로 복귀되지 못함으로써 톱니(123)와 걸림톱니(143)는 결합되기 전이다.
그래서 작업자가 레일바를 본체(10)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레일바를 아래로 눌렀다가 들어올리면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에서 쉽게 빠져나와 분리된다.
그러나 설거지 식재료 세척 등의 작업 중에 사용자가 비의도적으로 레일바를 건드림으로써 외력이 레일바에 가해져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일시적으로 하강하여 도4의 [C]와 같은 상태가 되더라도, 일정 시간(수 초 이내)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도4의 [A]와 같은 상태가 되어서 레일바가 본체(10)에서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레일바
30 : 고정부재 110 : 삽입공
120 : 삽입봉 130 : 스프링
140 : 전후진판 150 : 태엽부재
160 : 탈착블럭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개수부 내면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레일바;
    상기 레일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부재;
    상기 레일바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레일바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봉과,
    상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탈착블럭과,
    상기 삽입공의 바닥에서 상기 삽입봉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형성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에 치합되어 걸림결합되는 걸림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결되는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후진판과,
    상기 톱니의 상부측으로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봉이 하강시 상기 전후진판을 밀어 후진시키는 푸시돌기와,
    감긴 상태에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서서히 풀리며, 상기 전후진판을 탄성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태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의 일단에 결합되어서 주방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3. 삭제
KR1020190109229A 2019-09-04 2019-09-04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KR10218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29A KR102186047B1 (ko) 2019-09-04 2019-09-04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29A KR102186047B1 (ko) 2019-09-04 2019-09-04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047B1 true KR102186047B1 (ko) 2020-12-04

Family

ID=7377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229A KR102186047B1 (ko) 2019-09-04 2019-09-04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0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399A1 (en) * 2021-07-13 2023-01-19 Mila International Inc. Sink accessory railing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887U (ko) * 1998-12-16 1999-03-25 전재권 케이지상 선반과 가이드레일의 결합취부구조
KR200311287Y1 (ko) * 2003-02-03 2003-04-21 오청자 절수구조를 가진 싱크
JP4404009B2 (ja) * 2005-05-26 2010-01-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JP2014193253A (ja) * 2013-03-29 2014-10-09 Panasonic Corp 厨房装置
KR101477749B1 (ko) * 2013-12-20 2015-01-05 유은서 확장형 싱크대
JP2016013283A (ja) * 2014-07-02 2016-01-28 タカラスタンダード株式会社 シンクユニット及び仮置き部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887U (ko) * 1998-12-16 1999-03-25 전재권 케이지상 선반과 가이드레일의 결합취부구조
KR200311287Y1 (ko) * 2003-02-03 2003-04-21 오청자 절수구조를 가진 싱크
JP4404009B2 (ja) * 2005-05-26 2010-01-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JP2014193253A (ja) * 2013-03-29 2014-10-09 Panasonic Corp 厨房装置
KR101477749B1 (ko) * 2013-12-20 2015-01-05 유은서 확장형 싱크대
JP2016013283A (ja) * 2014-07-02 2016-01-28 タカラスタンダード株式会社 シンクユニット及び仮置き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399A1 (en) * 2021-07-13 2023-01-19 Mila International Inc. Sink accessory rail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047B1 (ko) 주방용품 거치를 위한 레일바를 구비한 싱크볼
KR102042558B1 (ko)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CN203328534U (zh) 磁吸式锅盖提手
CN213494422U (zh) 一种改进型高压清洗机的高压水枪
CN209669995U (zh) 弹压式厨房水槽排水开关
KR101245417B1 (ko) 다용도 수세미
CN212527812U (zh) 一种基于刀锋可换的永久式菜刀
CN215838918U (zh) 一种便于拆卸的洗碗机碗架
CN201419829Y (zh) 新式水桶
CN219183508U (zh) 一种斜插式餐厨工具盒
CN217853962U (zh) 一种便于取放餐具的厨房用消毒柜
CN215858032U (zh) 一种水槽、挂篮、水槽组件以及一体式厨房设备
CN209779779U (zh) 一种带有红外消毒功能的手术专用洗手池
CN220477226U (zh) 一种集成式厨房设备
CN216702399U (zh) 一种可折叠型不锈钢份盆架
CN215128228U (zh) 一种厨房洗碗机用炊具搁架
CN109594620A (zh) 台阶水槽
CN214341549U (zh) 一种可拆分易清洗带磁吸筷子筒刀座
CN211559759U (zh) 锅盖的清洗盖组件易拆结构
CN210643809U (zh) 一种厨房用具用放置架
CN211324835U (zh) 一种洗碗机的洗涤剂添加结构
CN212996328U (zh) 一种增加置物空间的洗碗机
CN210441509U (zh) 门体和冰箱
CN215348421U (zh) 一种锅盖便于存放的炒菜用养生锅
CN220631967U (zh) 一种马桶刷套装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