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038B1 -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 Google Patents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038B1
KR102186038B1 KR1020180161017A KR20180161017A KR102186038B1 KR 102186038 B1 KR102186038 B1 KR 102186038B1 KR 1020180161017 A KR1020180161017 A KR 1020180161017A KR 20180161017 A KR20180161017 A KR 20180161017A KR 102186038 B1 KR102186038 B1 KR 102186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earth
fastening
pl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2914A (en
Inventor
이관상
이종윤
신영섭
Original Assignee
금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038B1/en
Publication of KR2020007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배면토사를 임시로 지지하게 되는 흙막이 가시설에서, 공용 중 토류판에 과도한 응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부적절한 변위가 발생하여 토류판의 보강이 필요하게 되면, 토류판의 정면에서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평 보강재를 조립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사후적으로 토류판의 강성을 보강하여 흙막이 가시설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 내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 보강방법과, 이러한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이 이루어진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arth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s, and in a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y that temporarily supports the rear soil, when excessive stress acts on the earth plate or inappropriate displacement occurs during common use, reinforcement of the earth plate is required. In addition,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earth plate of the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y to improve or maintai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mporary installation by reinforcing the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afterwards by assembling and integrating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at the desired position in front of the earth plate quickly, easily and efficiently. , It relates to an earth plate reinforced by such a reinforcing method.

Description

수평 보강재의 부착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용 토류판의 보강방법 및 이에 의해 보강된 흙막이 가시설용 토류판{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본 발명은 배면토사를 지지하도록 임시로 설치되는 흙막이 가시설에 이용되는 토류판과, 이러한 토류판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배면토사를 임시로 지지하게 되는 흙막이 가시설에서, 공용 중 토류판에 과도한 응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부적절한 변위가 발생하게 되어 토류판의 보강이 필요하게 되면, 토류판의 정면에서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평 보강재를 조립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사후적으로 토류판의 강성을 보강하여 흙막이 가시설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 내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 보강방법과, 이러한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이 이루어진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 plate used in a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y that is temporarily installed to support the back soil, and a method of reinforcing the earth plate, and specifically,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arth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s, so that the rear soil is temporarily When reinforcing the earth plate is required due to excessive stress or improper displacement occurring on the earth plate during common use in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supported by the earth plate, the horizontal stiffener is quickly, easily and efficiently assembled at the desired position in front of the earth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inforcing a earth plate of a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y, which reinforces the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afterwards by integrating it to improve or maintai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mporary facility, and to a earth plate reinforced by such a reinforcement method.

터파기 공사 등과 같은 지반 굴착공사에서는 굴착 지반의 붕괴 방지 등을 위하여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흙막이 가시설(100)은 H형 단면을 가지는 빔으로 이루어진 엄지말뚝(9)을 지반 굴착예정선을 따라 사전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지반에 연직하게 관입 설치하고, 엄지말뚝(9)의 사이에는 토류판(8)을 삽입 배치하는 형태로 구축되며, 이렇게 설치된 토류판(8)과 엄지말뚝(9)이 후방의 배면토사로 인한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토류판(8)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는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판재가 엄지말뚝(9) 사이를 가로질러서 연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져 적층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큰 판재로 이루어져서 엄지말뚝(9) 사이에 연직하게 끼워져 배치될 수도 있다. In ground excavation work, such as excavation work,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to prevent collapse of the excavated ground.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y 100, respectively. In general, the tent temporary facility 100 is a thumb pile 9 made of a beam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nd vertically penetrated into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ground excavation line, and between the thumb piles 9 I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inserting and disposing the earth plate 8, and the earth plate 8 and the thumb pile 9 installed in this way have a structure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caused by the rear soil. The earth plate 8 is mad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plate materials may be sequentially inserted and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across the thumb piles 9, as shown in FIG. It may be made of a single large plate and placed vertically between the thumb stakes (9).

이러한 토류판(8)은 배면토압을 지지할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가질 필요가 있지만, 흙막이 가시설의 연직높이가 큰 경우 토류판의 일부분에는 설계된 강성을 초과하는 큰 배면토압이 작용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터파기의 굴착 깊이가 큰 경우에는 흙막이 가시설의 연직높이도 그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토류판의 하단 위치에서 국부적으로 큰 배면토압으로 인한 과다응력의 작용 및 그에 따른 구조적으로 불리한 이상변위(전방으로의 과도한 휨변위 등)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The earth plate 8 needs to have sufficient stiffness to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but when the vertical height of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is large, a situation in which a large back earth pressure exceeding the designed stiffness acts on a part of the earth plate may occur. For example, if the excavation depth of the excavation is large, the vertical height of the temporary facility increases in proportion to it, so the action of excessive stress due to the locally large back earth pressure at the bottom of the earth plate and the resulting structurally unfavorable abnormal displacement (Excessive bending displacement to the front, etc.) can occur.

흙막이 가시설에서 이와 같이 토류판에 과다응력 작용으로 인한 부적절한 변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현재로서는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만한 기술이 부재한 실정이다. 배면토압은 연직 아래로 갈수록 증가되므로, 토류판에 과도한 응력이 작용하여 이상변위가 발생하게 되는 위치는 주로 흙막이 가시설의 하단이 되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토류판이 연직하게 적층된 경우에는, 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토류판에서 이상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토류판이 적층된 경우, 문제가 발생한 토류판 즉, 불량 토류판을 교체하려면 그 위쪽의 토류판을 모두 빼내야 하는데, 이러한 토류판의 제거작업은 그 자체로도 쉽지 않은 작업이며, 토류판을 제거하였을 때는 배면토사의 붕괴 우려가 커지게 되므로 일시적으로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또다른 조치가 필요한 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유발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토류판이 하나의 판재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특정 부위에 발생한 이상변위를 해결하려면 전체 토류판을 완전히 제거하여 교체해야 하는데, 이는 비용이나 흙막이 가시설의 구조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흙막이 가시설이 완성된 상태에서 토류판에 과도한 응력발생으로 인한 국부적인 이상변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위치(국부적으로 이상변위가 발생한 위치)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When an improper displacement occurs due to the excessive stress action on the earth plate in this manner in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there is currently no technology to effectively cope with this. Since the rear earth pressure increases vertically downward, the position where abnormal displacement occurs due to excessive stress acting on the earth plate is mainly the lower end of the temporary facility, and as shown in FIG. 1, when a plurality of earth plates are vertically stacked, Abnormal displacement may occur in the earth plate located mainly below. However, when the earth plates are stacked in this way, to replace the earth plate with a problem, that is, the defective earth plate, all the earth plates above the earth plate must be removed. The removal of such earth plates itself is not easy. When the earth plate is removed, the rear surface Since there is a growing concern for the collapse of the soil, another measure to temporarily support the back soil pressure is required, which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considerable cost and time consuming. Even when the earth plate is made of one plate as shown in FIG. 2, the entire earth plate must be completely removed and replaced in order to solve the abnormal displacement occurring in a specific area, which is not 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cost or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y. . Therefore, when a local abnormal displacement occurs due to excessive stress generation in the earth plate while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is completed,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intensively reinforce only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location where the abnormal displacement occurred locally).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056호에는 "토목용 토류판의 보강구조"라는 제목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하기 전에 미리 토류판의 표면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것인 바, 이미 흙막이 가시설이 완성된 상태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9056 discloses a technology titled "Reinforcement structure of earth plate for civil engineering", but this is to install a reinforcing member on the surface of earth plate in advance before installing the earth plate between thumb piles. Ba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applied in the state that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is already complet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056호(2006.02.20.공고).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9056 (announced on February 20, 200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흙막이 가시설이 완성된 상태에서 일부 토류판 또는 토류판의 일부 지점에 이상변위가 발생하거나 기타 이유로 인하여 보강이 필요한 경우, 해당 지점만을 선별하여 효율적인 방법에 의해 토류판의 강성을 사후적으로 증가시켜서 보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an abnormal displacement occurs at some earth plate or some points of the earth plate when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is completed, or if reinforcement is required for other reasons, only the corresponding point is selec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reinforcing by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by an efficient method.

특히, 보강이 지점에 대한 보강작업을 토류판의 정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이 필요한 지점의 제약 없이 보강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강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a technology that allows reinforcement work to be performed on the reinforcement point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so that the reinforcement 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ithout the restriction of the point where reinforcement is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reinforcement. It aims to provid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가시설에서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토류판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토류판에는 타원형의 장축(長軸)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타원형의 체결관통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원형 볼트머리와 볼트본체로 이루어진 체결볼트를 토류판의 정면에서 배면방향으로 체결관통공에 관통 설치하되, 타원형 볼트머리를 체결관통공과 일치하게 만든 상태로 토류판의 정면에서부터 체결관통공에 삽입한 후 토류판의 정면에서 볼트본체를 돌림으로써, 토류판의 배면에 위치한 타원형 볼트머리의 타원형상 장축과 체결관통공의 타원형상 장축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도록 하고 볼트본체가 토류판의 정면에 돌출되어 존재하게 만드는 단계; 통과공이 형성된 평판으로 이루어진 수평 보강재를 토류판의 정면에 밀착시켜서, 토류판의 정면에 돌출되어 있던 볼트본체가 통과공을 관통하게 만드는 단계; 및 통과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본체에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너트부재가 수평 보강재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보강재를 토류판의 정면에 밀착 조립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평 보강재가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 정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어 토류판과 일체화되어 토류판의 휨강성이 증가되도록 보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의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earth plate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s in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the earth plate has a plurality of oval-shaped fastening through holes in which an elliptical long axis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s been; Install a fastening bolt consisting of an oval bolt head and a bolt body through the fastening through hole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to the rear, but insert the elliptical bolt head into the fastening through hole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in a state that matches the fastening through hole. By turning the bolt body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elliptical bolt hea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and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fastening through hole are in a position that is offset from each other, and making the bolt body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to exist; Making the bolt body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penetrate the through hole by intimately contact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made of a flat plate with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on; And fastening the nut member to the bolt body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nut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thereby assembl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inforcing a earth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th plate and integrated with the earth plate to reinforce the earth plate to increase its flexural stiffnes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이 이루어진 흙막이 가시설용 토류판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arth plate for temporary installations reinforced by such a reinforcing metho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방법 및 이에 의해 보강된 토류판에 있어서, 수평 보강재의 평판에서 단변측에는 정면방향으로 연장된 단변측 측벽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2개의 긴장 와이어가 수평방향으로 평판의 정면에 위치하고 있되, 긴장 와이어 각각의 고정단은 단변측 측벽판에 고정되어 있고, 2개의 긴장 와이어의 자유단 사이에는 턴버클이 배치되어 2개의 긴장 와이어가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너트부재를 체결볼트에 결합하여 수평 보강재를 토류판의 정면에 밀착 조립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에 후속하여, 턴버클을 회전시켜서, 양측 긴장 와이어의 자유단이 서로 근접해지도록 양측 긴장 와이어를 당겨서 수평 보강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긴장력 도입에 의해 수평 보강재에 평판을 배면 방향으로 휨변형시키려는 휨응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토류판에 더 가해지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arth plate reinforced thereby, the short side side wall plate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flat side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is integrally provided; Two tension wires are located in front of the flat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each fixing end of the tension wire is fixed to the side wall plate on the short side, and a turnbuckle is arrang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two tension wires, so that the two tension wires are horizontal. It is provided continuously while forming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Following the step of assembl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by coupling the nut member to the fastening bolt, by rotating the turnbuckle, pulling both tension wires so that the free ends of both tension wires come close to each other to apply tension 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y performing the step of introducing;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upport force capable of supporting the rear earth pressure is further applied to the earth plate by allowing a bending stress to bend the flat plate in the rear direction by introducing the tension force.

특히, 이 경우, 토류판의 정면에 돌출된 볼트본체의 정면방향 단부에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재가 조립 결합되고, 신축부재의 정면방향 단부는 긴장 와이어에 밀착되며; 수평 보강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신축부재의 길이를 신장시켜서, 서로 이어져 있는 상태의 긴장 와이어에 인장응력을 유발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신축부재에 작용하는 배면방향으로 힘이 체결볼트와 너트부재, 그리고 평판을 거쳐서 수평 보강재로 전달되어 토류판에 대해 배면방향으로 추가지지력이 가해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case, a front end of the bolt body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is assembled with a stretchable member capable of lengthening and contracting, and the front end of the stretchable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nsion wire; Following the step of introducing a tension force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is elongated to induce a tensile stress in the tension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acting on the elastic member.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dditional support force is applied to the earth plate in the rear direction by being transmitt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through the nut member and the flat plate.

본 발명에서는 수평 보강재가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 정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배면토압에 저항하는 토류판의 휨강성이 증가되며, 따라서 배면토압이 증가하더라도 토류판에 과도한 휨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류판이 이상(異常)변위되어 정면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th plate front of the temporary facility, thereby increasing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that resists the back earth pressure, and thus, even if the back earth pressure increases, excessive bending stress is prevented from acting on the earth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arth plate from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due to abnormal displacement, and accordingly, the effect of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mporary facility is exhibit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평 보강재의 일체 조립 작업을 토류판의 정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바, 흙막이 가시설의 구축이 완료되어 배면토사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그리고 어떤 위치에서든지 수평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되며, 토류판에서 보강이 필요한 국부적인 지점에 대해서만 필요한 정도의 보강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l assembly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can be carried out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and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can be installed at any time and at any position as necessary, even in a state where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is completed and the back soil is fill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and quickly perform reinforcement to a required degree only for local points requiring reinforcement in the earth plate.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수평 보강재를 토류판에 설치하여 보강하되, 긴장 와이어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수평 보강재에 배면방향으로의 휨응력을 유도할 수 있는 바, 동일한 정도의 토류판 휨강성 보강을 하더라도 수평 보강재의 크기나 강성 등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비용 절감 등의 유리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토류판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이 경우, 체결볼트와 신축부재를 이용하여 배면토사 방향으로 추가적인 지지력을 도입할 수도 있는 바, 이를 통해서 더욱 효율적으로 토류판을 보강할 수 있게 되며, 수평 보강재의 길이에서 일부 특정 위치 내지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배면방향으로의 추가지지력이 작용하게 만들 수 있게 되어, 배면토압에 대한 보강을 특정 위치 내지 영역에 집중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s installed on the earth plate to reinforce it, but by introducing a tension force to the tension wire,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can induce a bending stress in the rear direction. Even if the earth plate is reinforced with the same degree of bending stiffness, the size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iffness, etc., thereby exhibiting advantageous effects such as cost reduction, an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inforce the earth plate more efficientl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dditional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soil by using the fastening bolts and the elastic membe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earth plate more efficiently, and only for some specific positions or specific areas i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tiffener. The additional support force in the rear direction can be made to act, so that the reinforcement for the rear earth pressure can be concentrated in a specific location or area.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에 수평 보강재가 부착되어 보강이 이루어진 흙막이 가시설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보강구조를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체결볼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에 수평 보강재가 부착되어 보강이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도 3의 원 B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에 수평 보강재가 부착되어 보강이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도 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원 C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신축부재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화살표 F-F에 따른 연직방향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신축부재가 신장됨으로써, 추가적인 지지력이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 E-E에 따른 연직방향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temporary earth protection facility, respectively.
3 and 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different directions of fac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facility by attaching a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to an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FIGS. 3 and 4 is formed.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bol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circle A of FIG. 3.
8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of a circle D of FIG. 4.
9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circle B of FIG. 3 showing that reinforcement is made by attaching a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to an earth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9 showing that reinforcement is made by attaching a horizontal reinforcement material to an earth pl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C of FIG. 10.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n elastic member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rrow FF of FIG. 10.
FIG.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10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supporting force is generated by extending the elastic member following the state shown in FIG. 10.
FIG. 15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rrow EE of FIG. 14.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by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토류판(8)의 정면에 수평 보강재(1)가 부착되어 보강이 이루어진 흙막이 가시설(100)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은 토류판(8)의 정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토류판(8)의 배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5에는 도 3 및 도 4의 보강구조를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편의상 1개의 수평 보강재(1)에 대해서만 분해사시도를 도시하였고, 기타 수평 보강재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리고 편의상 흙막이 가시설(100)에서 토류판(8)의 폭방향을 "수평방향"이라고 기재하고, 토류판(8)의 두께 방향에서 토류판(8)의 정면을 향하는 방향을 "정면방향"이라고 기재하며, 배면토사를 향하는 방향을 "배면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즉, 도 3에서 화살표 X-X 방향이 수평방향이며, 평면에서 이와 직교하는 화살표 Y1 방향은 정면방향, 그리고 화살표 Y2 방향은 배면방향이다. 흙막이 가시설의 높이방향 즉, 도 3의 화살표 Z-Z방향은 연직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판재가 엄지말뚝(9) 사이를 가로질러서 연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져 적층되어 토류판(8)을 이루는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편의상 토류판(8)이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3 and 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in different directions to look a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facility 100 by attaching a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to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3 is shown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is visible, and FIG. 4 is a view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is visible.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FIGS. 3 and 4 is formed. In FIG. 5, for convenienc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for only one horizontal stiffener 1, and illustration of other horizontal stiffeners is omitted. And, for convenience, the width direction of the earth plate 8 in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100 is described as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arth plate 8 toward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is described as "front direc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back soil is described as "back direction". That is, in FIG. 3, the arrow X-X direction is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rrow Y1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n the plane is the front direction, and the arrow Y2 direction is the rear direc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taining facility, that is, the arrow Z-Z direction of FIG. 3 is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fact that a plurality of plates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across the thumb piles 9 to form the earth plate 8, but for convenience, the earth plate 8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exemplifying what is made of one plate.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토류판(8)의 정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평 보강재(1)가 조립 설치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토류판(8)의 휨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수평 보강재(1)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되는 평판(10)을 가지는 부재로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평판(1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평판(10)의 가장자리 4개 모두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측벽판(11, 12)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자형태의 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판(10)에는 후술하는 체결볼트(2)가 관통하게 되는 통과공(13)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a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earth plate 8 is reinforc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a member having a flat plate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flat plate 10 is made of a square shape, and the flat plate 10 The side wall plates 11 and 1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all four edges of) may be integrally provided to form a box-shaped beam memb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 through hole 13 through which a fastening bolt 2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is formed in the flat plate 10.

토류판(8)에는 체결관통공(80)이 형성되어 있는데, 체결관통공(80)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되 타원형의 장축(長軸)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타원형의 체결관통공(80)은 수평 보강재(1)가 설치될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토류판(8)의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관통공(80)은 복수개가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행(行)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체결관통공(80)의 행은, 연직방향으로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arth plate 8 is formed with a fastening through hole 80,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but the elliptical long axis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se oval-shaped fastening through holes 80 may be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earth plate 8 in plural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is installed. As such, a plurality of fastening through holes 80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one row, and furthermore, a plurality of rows of these fastening through holes 80 exist in a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체결관통공(80)은 보강이 필요할 때 사후적으로 토류판(8)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흙막이 가시설을 구축하기 전에 미리 토류판(8)에 형성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토류판(8)을 엄지말뚝(9)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배면토사를 채우기에 앞서 체결관통공(80)에 보호필름 등을 임시로 덮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may be formed in the earth plate 8 post-mortem when reinforcement is required, but may be formed in the earth plate 8 in advance before constructing the temporary facilit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temporarily cover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with a protective film or the like before installing the earth plate 8 between the thumb piles 9 or filling the rear soil.

토류판(8)의 보강이 필요하게 되면, 체결관통공(80)에 타원형 볼트머리(20)를 구비한 체결볼트(2)를 관통시켜 설치된다. 도 6에는 체결볼트(2)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체결볼트(2)는, 타원형 볼트머리(20)와, 나사부가 형성된 봉부재로 이루어진 볼트본체(21)로 이루어져 있다. 체결볼트(2)는 토류판(8)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체결관통공(80)에 관통 삽입되는데, 타원형 볼트머리(20)를 타원형상의 장축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위치시켜서, 타원형 볼트머리(20)의 형상이 체결관통공(80)과 일치하게 만든 상태에서, 타원형 볼트머리(20)을 토류판(8)의 정면에서부터 체결관통공(80)에 삽입한다. When reinforcement of the earth plate 8 is required, the fastening bolt 2 having the elliptical bolt head 20 is passed through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and installed.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bolt (2), the fastening bolt (2) is composed of an oval bolt head (20) and a bolt body (21) consisting of a rod member formed with a threaded portion. The fastening bolt (2)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toward the rear, and the elliptical bolt head (20) is positioned so that the elliptical long axis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hape of) matches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the oval bolt head 2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타원형 볼트머리(20)가 토류판(8)을 관통하여 토류판(8)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토류판(8)의 정면 위치에서 볼트본체(21)를 돌려서 타원형 볼트머리(20)와 체결관통공(80)의 타원 형상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만들게 된다. 도 7에는 도 3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부분의 배면 상태 즉, 도 4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토류판(8)의 정면 위치에서 볼트본체(21)를 돌리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토류판(8)을 관통하여 토류판(8)의 배면에 위치한 타원형 볼트머리(20)가, 그 타원형상의 장축이 연직방향으로 되도록 만들게 되는 것이다. 물론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반드시 타원형 볼트머리(20)의 타원형상 장축과, 체결관통공(80)의 타원형상 장축이 서로 직교해야만 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볼트머리(20)의 타원형상 장축과, 체결관통공(80)의 타원형상 장축이 서로 소정 각도로 교차하여 어긋나는 상태만 되면 충분하다. 비록 흙막이 가시설이 구축된 상태에서 토류판(8)의 배면에는 배면토사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지만, 위와 같이 토류판(8)의 정면에서 작업자가 타원형 볼트머리(20)를 체결관통공(80)에 끼었을 때, 배면토사는 타원형 볼트머리(20) 정도는 수용할 수 있으며, 토류판(8)의 배면에서 타원형 볼트머리(20)가 회전하는 것도 허용된다. 타원형 볼트머리(20)와 체결관통공(80)의 타원 형상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가 만들어지면, 체결볼트(2)를 토류판(8)의 정면방향으로 당기더라도 체결볼트(2)가 뽑히지 않게 된다. When the elliptical bolt head 20 penetrates the earth plate 8 and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the operator rotates the bolt body 21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earth plate 8 and fastens it with the elliptical bolt head 20 The elliptical shapes of the through holes 80 are made not to match each other. FIG. 7 show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circle A portion of FIG. 3, and FIG. 8 show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ion shown in FIG. 7, that is, the circle D portion of FIG. 4. Has been. The operator performs the work of turning the bolt body 21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earth plate 8, as illustrated in FIG. 8, the elliptical bolt head 2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through the earth plate 8 A, the elliptical long axis is made to b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course, as illustrated in FIG. 8,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elliptical bolt head 20 and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are not necessari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elliptical bolt head 20, It is sufficient if the elliptical long axes of the fastening through holes 80 cros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shift. Although the rear soil is filled in the back of the earth plate (8) in the state that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is built, the operator would have pinched the oval bolt head (20) in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in front of the earth plate (8) as above. At this time, the rear soil can accommodate the elliptical bolt head 20, and the elliptical bolt head 20 is allowed to rot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When the oval shape of the oval bolt head 20 and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is not matched with each other, the fastening bolt 2 is not pulled out even if the fastening bolt 2 is pull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earth plate 8. do.

복수개의 체결관통공(80) 전부 또는 일부의 각각에 위와 같은 방식으로 타원형 볼트머리(20)를 구비한 체결볼트(2)를 조립 설치하게 되는데, 체결볼트(2)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토류판(8)의 정면에는 볼트본체(21)가 돌출되어 존재한다. 후속하여 수평 보강재(1)를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시켜서, 토류판(8)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있던 볼트본체(21)가 수평 보강재(1)를 관통하게 만든 후, 수평 보강재(1)를 관통한 볼트본체(21)에 너트부재(6)를 나사결합하여 수평 보강재(1)에 밀착시킴으로써, 수평 보강재(1)를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 조립하여 고정시킨다. 즉, 수평 보강재(1)의 평판(10)을 토류판(8)에 밀착시키되, 볼트본체(21)가 평판(10)의 통과공(13)을 관통하게 만드는 것이다. 평판(10)에 형성된 통과공(13)은 단순한 원형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타원형 볼트머리(20)가 통과할 수 있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 fastening bolt 2 having an elliptical bolt head 20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through holes 80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and the earth plate is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bolts 2 are installed. In front of (8), the bolt body 21 protrudes. Subsequently,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so that the bolt body 21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penetrates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and the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By screwing the nut member 6 to the bolt body 21 passing through the bolt body 21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is closely assembled and fixed to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That is, the flat plate 10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th plate 8, but the bolt body 21 is made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3 of the flat plate 10. The through hole 13 formed in the flat plate 10 may be formed as a simple circular hole, but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hrough which the elliptical bolt head 20 can pas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평 보강재(1)가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8) 정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어 토류판(8)과 일체화되며, 그에 따라 토류판(8)의 휨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즉, 토류판(8)에 수평 보강재(1)가 일체로 조립 설치됨으로써, 배면토압에 저항하는 토류판(8)의 휨강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면토압이 증가하더라도 토류판(8)에 과도한 휨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류판(8)이 이상변위되어 정면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흙막이 가시설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of the temporary facility to be integrated with the earth plate 8, thereby increasing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8. That is,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integrally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earth plate 8, thereby increasing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8 to resist back earth pressure. Therefore, even if the back earth pressur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bending stress from acting on the earth plate 8, and prevent the earth plate 8 from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due to abnormal displacement, thereby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mporary facility. do.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것처럼 수평 보강재(1)의 일체 조립 작업을 토류판(8)의 정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바, 흙막이 가시설의 구축이 완료되고 토류판(8)의 배면에 배면토사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그리고 어떤 위치에서든지 수평 보강재(1)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류판(8)에서 보강이 필요한 국부적인 지점에 대해서만 필요한 정도의 보강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l assembly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can be performed at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is completed, and the rear soil is fill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Even in the stat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horizontal stiffener 1 at any time and at any position as need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reinforcement to the required degree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and quickly only for local points requiring reinforcement in the earth plate 8.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수평 보강재(1)는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되는 평판(10)을 가지고 있되, 평판(1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평판(10)의 가장자리 4개 모두에서 정면방향으로 연장된 측벽판(11, 1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즉,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수평 보강재(1)는 평판(10)과 2개의 단변측(短邊側) 측벽판(11), 그리고 2개의 장변측(長邊側) 측벽판(12)이 구비된 상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수평 보강재(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되는 평판(10)을 가지고 있되 수평방향으로의 단면이 한글 자음 ㄴ자 형상, 영어 T자 형상 등을 이루도록 다양한 형태의 절곡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to 8,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has a flat plate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but the flat plate 10 is made of a square, The side wall plates 11 and 12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from all four edges of the flat plate 10 are integrally provided. That is,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to 8 is a flat plate 10, two short side side wall plates 11, and two long sides. It is made of a box-shaped member provided with side wall plates 12.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flat plate 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but the cross 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various so as to form a Hangul consonant b shape, an English T shape, etc. It can be made of a shaped bending beam.

한편, 본 발명에서 수평 보강재(1)로서, 수평방향 양단부에 각각 단변측 측벽판(11)이 구비된 수평 보강재(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긴장 와이어(3)를 이용한 긴장에 의해 수평 보강재(1)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수평 보강재(1)에 의한 보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in the case of using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provided with the short side side wall plate (11) at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y tension using the tension wire (3) ( By introducing prestress to 1), the reinforcing effect by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can be maximized.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토류판(8)의 정면에 수평 보강재(1)가 부착되어 보강이 이루어진 부분 즉, 도 3의 원 B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수평 보강재(1)가, 평판(10)과 수평방향 양단의 단변측 측벽판(11)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 우선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보강이 필요한 위치(지점)에서 평판(10)을 토류판(8)의 정면에 조립하여 일체화시킨다. 2개의 긴장 와이어(3)를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판(10)의 정면에 위치시키되, 긴장 와이어(3) 각각의 일단을 단변측 측벽판(11)에 고정시킨다. 긴장 와이어(3)의 양단에서, 이렇게 수평 보강재(1)의 단변측 측벽판(11)에 고정된 단부를 "고정단"이라고 부르고, 이와 반대되는 쪽의 단부를 "자유단"이라고 부른다.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only the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and reinforced, that i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circle B in FIG.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he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flat plate 10 and the short side side wall plates 11 at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wise, the flat plate 10 is assemb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and integrated at the position (point) where reinforcement is required. Two tension wires (3) are placed in the front of the flat plat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one end of each tension wire (3) is fixed to the side wall plate (11) on the short side. At both ends of the tension wire 3, the end fixed to the side wall plate 11 on the short side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in this way is called a "fixed end", and the opposite end is called a "free end".

긴장 와이어(3) 각각의 고정단이 단변측 측벽판(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게 되는 2개의 긴장 와이어(3)의 자유단 사이에는 턴버클(4)을 배치하여 2개의 긴장 와이어(3)가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되도록 만든다. 이와 같이 긴장 와이어(3)가 설치된 상태에서 턴버클(4)을 회전시키게 되면, 양측 긴장 와이어(3)의 자유단이 서로 근접해지도록 양측 긴장 와이어(3)는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수평 보강재(1)의 단변측 측벽판(11)에도 수평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결국 수평 보강재(1)에는 긴장력에 의해 평판(10)을 배면 방향으로 휨변형시키려는 휨응력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토류판(8)에는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더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이 긴장 와이어(3)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수평 보강재(1)에 배면방향으로의 휨응력을 유도함으로써, 토류판(8)의 휨강성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더욱 효과적으로 토류판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동일한 정도의 토류판 휨강성 보강을 하더라도 수평 보강재의 크기나 강성 등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비용 절감 등의 유리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Two tension wires by placing a turnbuckle 4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two tension wires 3 facing each other in the state where each fixing end of the tension wire 3 is fixed to the side wall plate 11 on the short side. (3) is made to be continuous while forming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urnbuckle 4 is rotated while the tension wire 3 is installed in this way, the tension wires 3 on both sides are pulled so that the free ends of the tension wires 3 are close to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 the side wall plate 11 on the short side of the side wall plate 11 also has a compressiv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ventually,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subjected to a bending stress to flexurally deform the plate 10 in the rear direction by the tension force, and thus the earth plate 8 is added with a supporting force capable of supporting the rear earth pressure. 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a tension force to the tension wire 3 as above to induce a bending stress in the rear direction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8 is reinforc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inforcement for the earth plate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That is, even if the earth plate is reinforced with the same degree of bending stiffness, the size or rigidity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can be reduced, and thus advantageous effects such as cost reduction are exhibited.

위에서는 평판(10)을 토류판(8)에 밀착 고정시킨 후에 긴장 와이어(3)의 배치작업 및 턴버클(4)에 의한 인장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수평 보강재(1)에 미리 긴장 와이어(3)와 턴버클(4)을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결합 배치한 상태에서, 평판(10)을 토류판(8)에 밀착 고정시켜서 수평 보강재(1)를 일체 설치하고, 턴버클(4)의 회전에 의해 긴장력을 도입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긴장 와이어(3)와 턴버클(4)을 설치에 더하여 인장에 의한 긴장력 도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판(10)을 토류판(8)에 밀착 고정시켜서 수평 보강재(1)를 일체 설치할 수도 있다.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lat plate 10 is closely fixed to the earth plate 8 and then the tension wire 3 is arranged and the tension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turnbuckle 4, but if necessary,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 wire 3 and the turnbuckle 4 are combined and arrang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 flat plate 10 is closely fixed to the earth plate 8 to integrally install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and the turnbuckle 4 Tension can also be introduced by rotation. Furthermore,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may be integrally installed by attaching the tension wire 3 and the turnbuckle 4 to the installa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introduction of the tension force by tension is completed, the flat plate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th plate 8. .

한편, 이와 같이 수평 보강재(1)에 긴장 와이어(3)를 설치한 경우, 긴장 와이어(3)의 직접적인 인장에 의한 긴장력 도입과 병행하여 또는 이와는 별도로 체결볼트(2)와 신축부재(4)를 이용하여 배면토사 방향으로 추가적인 지지력을 도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nsion wire 3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bolt 2 and the elastic member 4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or separately from the introduction of tension force by direct tensioning of the tension wire 3 It can also be used to introduce additional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soil.

도 10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신축부재(5)가 더 구비되어 체결볼트(2)와 긴장 와이어(3)를 이용한 배면방향의 추가지지력 도입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수평 보강재(1)가 토류판(8)의 정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 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신축부재(5)가 아직 신장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1에는 도 10의 원 C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신축부재(5)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도 10의 화살표 F-F에 따른 연직방향의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0 to 15 are diagrams fo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Specifically, Figure 10 is a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introducing an additional support force in the rear direction using a fastening bolt (2) and a tension wire (3)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5) is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A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9 showing that it is attached to,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5 has not yet been extended. FIG. 11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C of FIG. 10, and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n elastic member 5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in a vertical direction taken along arrows F-F of FIG. 10.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도,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2개의 긴장 와이어(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수평 보강재(1)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추가하여 체결볼트(2)의 정면방향 단부에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재(5)가 더 조립 결합되며, 체결볼트(2)에 신축부재(5)가 조립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 신축부재(5)의 정면방향 단부는 긴장 와이어(3)에 밀착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체결볼트(2)를 이루는 볼트본체(21)의 정면방향 단부와 긴장 와이어(3)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였는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체결볼트(2)와 긴장 와이어(3) 사이의 간격에 그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재(5)가 설치되는 것이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tension wires 3 ar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n addition to this, an elastic member 5 capable of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length is further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bolt 2, and the elastic member 5 is assembled to the fastening bolt 2 and in an integrated state. The front end of 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nsion wire (3). 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there was a gap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bolt body 21 forming the fastening bolt 2 and the tension wire 3,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astening bolt 2 and the tension wire 3, an elastic member 5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its length is installed.

이와 같이 신축부재(5)가 설치된 상태에서 신축부재(5)의 길이를 신장시키게 되면, 서로 이어져 있는 상태의 긴장 와이어(3)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신축부재(5)에는 배면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도 14에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신축부재(5)가 신장됨으로써, 추가적인 지지력이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의 화살표 E-E에 따른 연직방향의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5 is elongated in the state where the elastic member 5 is installed in this way, a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tension wires 3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reby, the rea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5 The force acts in the direction. FIG.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10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supporting force is generated by extending the elastic member 5 following the state shown in FIG. 10, and FIG. 15 is an arrow EE of FIG. A schematic flat cross-sectional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is shown.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신축부재(5)가 설치된 상태에서 신축부재(5)의 길이를 신장시키게 되면, 서로 이어져 있는 상태의 긴장 와이어(3)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신축부재(5)와 체결볼트(2)에는 배면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평판(10)의 정면에는 체결볼트(2)의 체결고정을 위하여 너트부재(6)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체결볼트(2)에 가해지는 배면방향의 힘은 너트부재(6)를 통해서 평판(10)에 전달된다. 즉, 수평 보강재(1)에는 배면방향으로 추가적인 지지력(추가지지력)이 가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배면토압에 대한 토류판(8)의 강성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 보강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14 and 15, when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5 is elongated in the state where the elastic member 5 is installed, a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tension wires 3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5 and the fastening bolt 2 in the rear direction. Since the nut member 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plate 10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fastening bolt 2, the force in the rear direction applied to the fastening bolt 2 is applied to the flat plate 10 through the nut member 6. ). That is,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applied with an additional support force (additional support force) in the rear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reinforcing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earth plate 8 against the rear earth pressure is exhibited.

특히,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매우 정밀하게 국부적인 보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평 보강재(1)를 토류판(8)에 조립 결합함에 있어서, 체결볼트(2)는 수평 보강재(1)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부 체결볼트(2)에 대해서만 위와 같이 신축부재(5)를 신장시키게 되면, 긴장 와이어(3)의 인장에 의한 배면방향으로의 힘은 해당 신축부재 즉, 신장되어 긴장와이어(3)를 정면방향으로 밀어준 신축부재에만 가해지게 되며, 결국 해당 신축부재가 구비된 위치에서만 집중적으로 토류판(8)에 배면방향으로의 추가지지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수평 보강재(1)의 길이에서 일부 특정 위치 내지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배면방향으로의 추가지지력이 작용하게 만들 수 있는 바, 배면토압에 대한 보강을 특정 위치 내지 영역에 집중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3실시예에서는, 체결볼트와 신축부재를 이용한 배면토사 방향의 추가적인 지지력 도입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토류판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particula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local reinforcement is possible very precis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assembly and coupling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to the earth plate 8,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2 may b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In this state, when the elastic member 5 is elongated as above for only some of the fastening bolts 2, the force in the rear direction due to the tension of the tension wire 3 is the corresponding elastic member, that is, elongated and the tension wire 3 It is applied only to the elastic member that push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as a result, an additional support force in the rear direction is applied to the earth plate 8 intensively only at the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elastic member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support force in the rear direction can be made to act only for some specific positions or specific areas i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cus on the area. Of cours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inforce the earth plate more efficiently is exerted by introducing an additional support force in the rear soil direction using a fastening bolt and an elastic member.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적용함에 있어서, 2개의 긴장 와이어(3) 사이에 턴버클(4)을 설치하여, 위의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긴장 와이어(3) 자체에 인장응력을 유발한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신축부재(5)를 신장시킬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긴장 와이어(3) 자체에 인장응력을 유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축부재(5)를 신장시킬 수도 있다. 신축부재(5)로는 도 12에 예시된 것처럼, 회전에 의해 정면방향으로 진퇴하는 방식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축부재(5)의 정면방향 단부 즉, 긴장 와이어(3)에 직접 밀착하게 되는 단부에는 긴장 와이어(3)가 이탈하지 않도록 오목부(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pply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turnbuckle 4 between the two tension wires 3,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 wire 3 itself induces tensile stres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bove. In,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 5 may be elongated, but unlike the tension wire 3 itself, the elastic member 5 may be elongated without causing a tensile stress. As the elastic member 5, as illustrated in FIG. 12, a member of a method of advancing and retreating in the front direction by rotation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referable that a concave portion 50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in the front direction, that is, an end that is direct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ension wire 3 so that the tension wire 3 does not escape.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8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평 보강재(1)에, 장변측 측벽판(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장변측 측벽판(12)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수평 보강재(1) 자체의 휨강성이 증가되므로 토류판(8)의 보강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장변측 측벽판(12)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수평 보강재(1)에 단변측 측벽판(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라 토류판(8)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 장변측 측벽판(12) 대신에 평판(10)과 단변측 측벽판(11) 사이에 보강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수평 보강재(1) 자체의 충분한 휨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5,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3 to 8, i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It is illustrated that the long side side wall plate 12 is provided, and when the long side side wall plate 12 is provided,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tself increases, so that the degree of reinforcement of the earth plate 8 can be increased.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there, the long side side wall plate 12 may be omitted. That is,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provided with the side wall plate 11 on the short side, and the earth plate 8 can be reinforced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by installing a reinforcing rib between the flat plate 10 and the short side side wall plate 11 instead of the long side side wall plate 12, sufficient flexural rigidity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tself can be secured.

1: 수평 보강재
2: 체결볼트
3: 긴장 와이어
4: 턴버클
5: 신축부재
6: 너트부재
8: 토류판
9: 엄지말뚝
10: 평판
11: 단변측 측벽판
12: 장변측 측벽판
20: 볼트머리
21: 볼트본체
80: 체결관통공
100: 흙막이 가시설
1: horizontal stiffener
2: tightening bolt
3: tension wire
4: turnbuckle
5: elastic member
6: nut member
8: earth plate
9: thumb stake
10: reputation
11: Short side side wall plate
12: long side side wall plate
20: bolt head
21: bolt body
80: fastening through hole
100: temporary installation

Claims (6)

흙막이 가시설(100)에서 엄지말뚝(9) 사이에 설치되는 토류판(8)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토류판(8)에는 타원형의 장축(長軸)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타원형의 체결관통공(8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원형 볼트머리(20)와 볼트본체(21)로 이루어진 체결볼트(2)를 토류판(8)의 정면에서 배면방향으로 체결관통공(80)에 관통 설치하여 수평 보강재(1)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볼트(2)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게 만드는데, 타원형 볼트머리(20)를 체결관통공(80)과 일치하게 만든 상태로 토류판(8)의 정면에서부터 체결관통공(80)에 삽입한 후 토류판(8)의 정면에서 볼트본체(21)를 돌림으로써, 토류판(8)의 배면에 위치한 타원형 볼트머리(20)의 타원형상 장축과 체결관통공(80)의 타원형상 장축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도록 하고 볼트본체(21)가 토류판(8)의 정면에 돌출되어 존재하게 만드는 단계;
통과공(13)이 형성된 평판(10), 정면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단변측(短邊側) 측벽판(11) 및 2개의 장변측(長邊側) 측벽판(12)이 구비된 상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수평 보강재(1)를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시켜서, 토류판(8)의 정면에 돌출되어 있던 볼트본체(21)가 통과공(13)을 관통하게 만드는 단계; 및
통과공(13)을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본체(21)에 너트부재(6)를 체결하여, 너트부재(6)가 수평 보강재(1)의 평판(10)에 밀착되게 하여 체결볼트(2)에 가해지는 배면방향의 힘이 너트부재(6)를 통해서 평판(10)과 토류판(8)에 전달되도록 수평 보강재(1)를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 조립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평 보강재(1)가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8) 정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어 토류판(8)과 일체화되어 토류판(8)의 휨강성이 증가되도록 보강하게 되는데;
2개의 긴장 와이어(3)가 수평방향으로 평판(10)의 정면에 위치하고 있되, 긴장 와이어(3) 각각의 고정단은 단변측 측벽판(11)에 고정되어 있고, 2개의 긴장 와이어(3)의 자유단 사이에는 턴버클(4)이 배치되어 2개의 긴장 와이어(3)가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토류판(8)의 정면에 돌출된 볼트본체(21)의 정면방향 단부에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재(5)가 조립 결합되고, 신축부재(5)의 정면방향 단부는 긴장 와이어(3)에 밀착되는데, 긴장 와이어(3)에 직접 밀착되는 신축부재(5)의 단부에는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고 긴장 와이어(3)가 오목부(50)에 놓이게 되어 긴장 와이어(3)가 신축부재(5)의 단부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너트부재(6)를 체결볼트(2)에 결합하여 수평 보강재(1)를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 조립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에 후속하여, 턴버클(4)을 회전시켜서, 양측 긴장 와이어(3)의 자유단이 서로 근접해지도록 양측 긴장 와이어(3)를 당겨서 수평 보강재(1)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및
신축부재(5)의 길이를 신장시켜서, 서로 이어져 있는 상태의 긴장 와이어(3)에 인장응력을 유발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신축부재(5)에 작용하는 배면방향으로 힘이 체결볼트(2)와 너트부재(6), 그리고 평판(10)을 거쳐서 수평 보강재(1)로 전달되어 토류판(8)에 대해 배면방향으로 추가지지력이 가해지게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의 보강방법.
A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earth plate (8)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s (9) in the earth protection facility (100),
The earth plate 8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liptical fastening through holes 80 in which an elliptical long axis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2) consisting of an elliptical bolt head (20) and a bolt body (21) are installed through the fastening through holes (80)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earth plate (8), alo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Two fastening bolts (2) are made to be provided at intervals. After inserting the oval bolt head (20) into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in a state made to match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By turning the bolt body 21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elliptical bolt head 2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and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nd making the bolt body 21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to exist;
A box with a flat plate 10 having a through hole 13 formed therein, two short side side wall plates 11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and two long side side wall plates 12 Making the bolt body 21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through the through hole 13 by closely contact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made of a member of the shap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And
The nut member 6 is fastened to the bolt body 21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3, so that the nut member 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plate 10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and the fastening bolt 2 By including the step of assembl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stiffener 1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so that the force in the rear direction applied to the nut member 6 is transmitted to the flat plate 10 and the earth plate 8,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of the temporary facility and integrated with the earth plate 8 to reinforce the earth plate 8 to increase the flexural stiffness;
Two tension wires (3) are located in front of the flat plat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fixing ends of each tension wire (3) are fixed to the side wall plate (11) on the short side, and two tension wires (3) Turnbuckles 4 are dispos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two tension wires 3 ar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continuously provided;
The front end of the bolt body 21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is assembled with an elastic member 5 capable of lengthening and contracting, and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s attached to the tension wire 3 In close contact,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5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ension wire 3 has a concave part 50 formed therein, and the tension wire 3 is placed in the concave part 50 so that the tension wire 3 is expanded and contracted. Does not deviate from the end of the member 5;
Following the step of assembling and fixing the horizontal stiffener 1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by coupling the nut member 6 to the fastening bolt 2, the turnbuckle 4 is rotated, and both tension wires 3 Introducing a tension force in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by pulling the tension wires (3) on both sides so that the free ends of the) are close to each other; And
By elonga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5, by performing the step of inducing a tensile stress in the tension wires 3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orce in the rear direction acting on the elastic member 5 is applied to the fastening bolt 2 And the nut member (6), and passing through the flat plate (10)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1), further step of making an additional support force to be applied to the earth plate (8) in the rear direction. Reinforcing method of the earth plat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흙막이 가시설(100)에서 엄지말뚝(9) 사이에 설치되는 토류판(8)으로서,
타원형의 장축(長軸)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타원형의 체결관통공(8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원형 볼트머리(20)와 볼트본체(21)로 이루어진 체결볼트(2)이 토류판(8)의 정면에서 배면방향으로 체결관통공(80)에 관통 설치되어 수평 보강재(1)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볼트(2)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데, 타원형 볼트머리(20)를 체결관통공(80)과 일치하게 만든 상태로 토류판(8)의 정면에서부터 체결관통공(80)에 삽입한 후 토류판(8)의 정면에서 볼트본체(21)를 돌림으로써, 토류판(8)의 배면에 위치한 타원형 볼트머리(20)의 타원형상 장축과 체결관통공(80)의 타원형상 장축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도록 하고 볼트본체(21)가 토류판(8)의 정면에 돌출되어 존재하도록, 체결볼트(2)가 설치되며;
통과공(13)이 형성된 평판(10), 정면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단변측(短邊側) 측벽판(11) 및 2개의 장변측(長邊側) 측벽판(12)이 구비된 상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수평 보강재(1)가 정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데, 토류판(8)의 정면에 돌출되어 있던 볼트본체(21)가 통과공(13)을 관통한 상태에서, 평판(10) 밖으로 돌출된 볼트본체(21)에 너트부재(6)가 체결되어 너트부재(6)가 수평 보강재(1)에 밀착됨으로써, 수평 보강재(1)가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 조립되어 일체화된 고정되어 체결볼트(2)에 가해지는 배면방향의 힘은 너트부재(6)를 통해서 평판(10) 및 토류판(8)에 전달되는 구성을 가지며;
2개의 긴장 와이어(3)가 수평방향으로 평판(10)의 정면에 위치하고 있되, 긴장 와이어(3) 각각의 고정단은 단변측 측벽판(11)에 고정되어 있고, 2개의 긴장 와이어(3)의 자유단 사이에는 턴버클(4)이 배치되어 2개의 긴장 와이어(3)가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너트부재(6)가 체결볼트(2)에 결합하여 수평 보강재(1)를 토류판(8)의 정면에 밀착 조립하여 고정되고, 볼트본체(21)의 정면방향 단부에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재(5)가 조립 결합되며, 신축부재(5)의 정면방향 단부는 긴장 와이어(3)에 밀착되는데, 긴장 와이어(3)에 직접 밀착되는 신축부재(5)의 단부에는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고 긴장 와이어(3)가 오목부(50)에 놓이게 되어 긴장 와이어(3)가 신축부재(5)의 단부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턴버클(4)의 회전에 의해 양측 긴장 와이어(3)의 자유단이 서로 근접해지도록 양측 긴장 와이어(3)가 당겨져서 수평 보강재(1)에 긴장력이 도입되어 수평 보강재(1)에 평판(10)을 배면 방향으로 휨변형시키려는 휨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되도록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배면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신축부재(5)의 길이가 신장되어, 서로 이어져 있는 상태의 긴장 와이어(3)에 인장응력을 유발됨으로써, 신축부재(5)에 작용하는 배면방향으로 힘이 체결볼트(2)와 너트부재(6), 그리고 평판(10)을 거쳐서 수평 보강재(1)로 전달되어 토류판(8)에 배면방향으로 추가지지력이 더 가해져서 휨강성이 증가되도록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토류판.
As the earth plate (8)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 (9) in the temporary installation (100),
A plurality of elliptical fastening through-holes 80 in which the elliptical long axis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A fastening bolt (2) consisting of an oval bolt head (20) and a bolt body (21) is installed through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earth plate (8), Two fastening bolts (2) are provided at intervals, and the elliptical bolt head (2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in a state made to match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By turning the bolt body 21 from the front of (8),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elliptical bolt head 2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8 and the elliptical long axis of the fastening through hole 80 are in a position that is offset from each other. And a fastening bolt 2 is installed so that the bolt body 21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and exists;
A box with a flat plate 10 having a through hole 13 formed therein, two short side side wall plates 11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and two long side side wall plates 12 A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made of a member of the shape is fixedly installe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bolt body 21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3, the flat plate ( 10) The nut member 6 is fastened to the bolt body 21 protruding outward so that the nut member 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1 is closely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It is integrally fixed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rce in the rear direction applied to the fastening bolt 2 is transmitted to the flat plate 10 and the earth plate 8 through the nut member 6;
Two tension wires (3) are located in front of the flat plat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fixing ends of each tension wire (3) are fixed to the side wall plate (11) on the short side, and two tension wires (3) Turnbuckles 4 are dispos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two tension wires 3 ar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continuously provided;
Nut member (6) is coupled to the fastening bolt (2),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is tightly assembled and fixed to the front of the earth plate (8),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mber capable of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length at the front end of the bolt body (21) (5) is assembled and coupled, and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nsion wire 3, and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n direct contact with the tension wire 3 has a concave portion 50 Is formed and the tension wire 3 is placed in the recess 50 so that the tension wire 3 does not deviate from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5;
Both tension wires (3) are pulled so that the free ends of both tension wires (3)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turnbuckle (4), and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1), and the flat (10) Tension wires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5 is elonga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 supporting force capable of supporting the rear earth pressure is applied in the rear direction so that the bending stress to bend the rear surface is applied. 3) by inducing a tensile stress, the force acting on the elastic member 5 in the rear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material 1 through the fastening bolt 2, the nut member 6, and the flat plate 10 (8) The earth plate of the temporary installation of a soil barrier, characterized in that reinforced to increase the flexural stiffness by applying additional support in the rear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61017A 2018-12-13 2018-12-13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KR102186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17A KR102186038B1 (en) 2018-12-13 2018-12-13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17A KR102186038B1 (en) 2018-12-13 2018-12-13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14A KR20200072914A (en) 2020-06-23
KR102186038B1 true KR102186038B1 (en) 2020-12-03

Family

ID=7113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017A KR102186038B1 (en) 2018-12-13 2018-12-13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0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89B1 (en) * 2012-11-05 2013-05-09 길준욱 Tempora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double wale with tendon
KR101436545B1 (en) * 2013-09-05 2014-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ssembling Structure and Assembly of FRP Form and Waler
KR101687959B1 (en) * 2016-08-11 2016-12-20 오장호 Method of construction earth retaining wa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56Y1 (en) 2005-09-14 2006-02-20 김무성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gineering works laggings petal
KR101472753B1 (en) * 2013-02-08 2014-12-18 조아현 The Reinforced Stiffness Self-supporting Temporary Structure And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89B1 (en) * 2012-11-05 2013-05-09 길준욱 Tempora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double wale with tendon
KR101436545B1 (en) * 2013-09-05 2014-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ssembling Structure and Assembly of FRP Form and Waler
KR101687959B1 (en) * 2016-08-11 2016-12-20 오장호 Method of construction earth retaining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14A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486B1 (en) A earthquake 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possible to install on pilotis construction varia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75985B1 (en) A bracing for reinforcing support
KR102082175B1 (en) Apparatus for withstanding against displa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918681B1 (en) Wale beam
KR200409942Y1 (en) Strut supporting member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KR100714434B1 (en) A bracing for reinforcing support
KR102186038B1 (en)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KR100937643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KR100797185B1 (en) Construction method and the apparatus of a ground retaining structures or walls
JP7136597B2 (en) reinforcement anchor
KR102275450B1 (en) Cover band of connection device for steel pipe strut and connection device for steel pipe strut having the same
KR101597542B1 (en) Self-supported type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44225B1 (en) Micropile
KR101127475B1 (en) Device for connecting wales
KR20120131996A (en) Structure of temporary installation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59553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JP5432766B2 (en) Found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KR100937642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JP6745573B2 (en) Lock bolt holding jig and spray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436405Y1 (en) Structure for constructing bracing for reinforcing support
KR100900995B1 (en) Messer shield excavator apparatus for curved tunnel excavation and excav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37644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JP6646097B2 (en) Earth retaining member, installa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member
JP6989908B2 (en) Reinforcing material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KR102322742B1 (en) Apparatus of supporting for wale with adjustable type for e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