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973B1 -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5973B1 KR102185973B1 KR1020200077217A KR20200077217A KR102185973B1 KR 102185973 B1 KR102185973 B1 KR 102185973B1 KR 1020200077217 A KR1020200077217 A KR 1020200077217A KR 20200077217 A KR20200077217 A KR 20200077217A KR 102185973 B1 KR102185973 B1 KR 1021859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force
- container
- plastic container
- acting
- h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30—Electr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44—Joining a heated non 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되도록,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에 열을 작용하는 열 작용부;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 상에 스테인레스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내부에 스테인레스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플라스틱 용기가 준비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에 준비된 플라스틱 용기에 삽입된 스테인레스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접촉 외력이 증가하도록 스테인레스 용기에 외력을 작용하는 외력 작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원은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재질에 따라 자기재로 된 도자기 용기와, 유리재로 된 유리용기와, 플라스틱재로된 플라스틱용기와, 스테인레스재로 된 스틸용기 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크게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을 수용 후 뚜껑 등을 덮어 냉장고 등에 보관하는 보관용기와, 음식물을 사용자가 취식하기 알맞은 양만큼 덜어서 사용자가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취식용 용기로 분류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 중 취식용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사용자가 알맞은 양의 음식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하여 취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취식용 용기 중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사용하는 용기는 파손시 유아나 어린이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재의 용기나 스테인레스 용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용기는, 유아나 어린이에게 치명적인 환경호르몬 등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세척이 불가능한 누적된 찌든 때가 발생되며, 이로 인한 용기 내에 세균 등의 번식이 이루어져 유아나 어린이의 건강에도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경호르몬의 발생과 찌든때의 발생이 없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테인레스재질의 용기는 사용중 숟가락 등의 접촉으로 인한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는 등 사용상 불쾌함을 가져오며, 뜨거운 음식을 수용시에는 그 뜨거운 열이 쉽게 전달되어 부모나 유아 및 어린이가 파지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용기나 스테인레스 용기의 이점을 살린 이중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이중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용기와 플라스틱 용기 사이에 실리콘을 넣어서 압착함으로써, 스테인레스 용기와 플라스틱 용기가 결합된 용기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중 용기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종래 대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며, 스테인레스 용기와 플라스틱 용기의 결합력이 증가된 이중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시스템이 구현될 필요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10-011248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용기와 플라스틱 용기의 결합력이 증가된 이중 용기를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되도록,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에 열을 작용하는 열 작용부;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 상에 스테인레스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내부에 스테인레스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플라스틱 용기가 준비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에 준비된 플라스틱 용기에 삽입된 스테인레스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접촉 외력이 증가하도록 스테인레스 용기에 외력을 작용하는 외력 작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에 히터봉으로 열을 가해 적어도 일부 용해시키고,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녹은)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의 하면이 접촉되게 하고 외력 작용부로 스테인레스 용기를 가압하여 스테인레스 용기와 플라스틱 용기를 결합(융착)시킴으로써 이중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플라스틱 용기와 스테인레스 용기가 열에 의하여 융착이 되므로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용기 구조체가 제조될 수 있고, 간명한 장치 및 라인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제품 단가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뜨거운 물이나 우유 등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보온층이 있어 장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용기 구조체가 구현될 수 있고, 이종재질간 완벽한 밀착이 가능하여 품질 및 납기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플라스틱 용기와 열 작용부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플라스틱 용기에 열을 가하는 열 작용부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열 작용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스테인레스 용기에 외력 작용부가 외력을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가 구비된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스테인레스 용기에 내측 외력 감지 센서가 비된 외력 작용부가 외력을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하우징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하우징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플라스틱 용기에 열을 가하는 열 작용부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열 작용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스테인레스 용기에 외력 작용부가 외력을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가 구비된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스테인레스 용기에 내측 외력 감지 센서가 비된 외력 작용부가 외력을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하우징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의 하우징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부, 하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이하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열 작용부(1)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열 작용부(1)는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되도록,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에 열을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열 작용부(1)는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중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되도록,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중 내측부에 열을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열 작용부(1)는 발열하는 히터봉(11)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봉(11)은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중 접촉 예정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발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열 작용부(1)가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중 내측부에 열을 작용할 경우, 히터봉(11)은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중 내측부에 접촉되어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중 내측부가 접촉 예정 부분이 될 수 있고, 히터봉(11)은 이와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단면은 중간에 홀이 형성된 폐도형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둘레부(911)의 상면의 내측부는 중간에 홀이 형성된 폐도형 형태일 수 있으며, 히터봉(11)도 중간에 홀이 형성된 폐도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열 작용부(1)는 히터봉(11)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12), 히터봉(11)의 내면 상에 배치되는 내측 프레임(13), 히터봉(11)이 상면을 가로지르며 히터봉(1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구비되어 외측 프레임(12)과 내측 프레임(13)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4) 및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파지 제공 프레임(1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4)는 외측 프레임(12)의 상단과 내측 프레임(13)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프레임(12)과 내측 프레임(13) 사이에는 히터봉(11)의 적어도 일부(상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히터봉(11)은 홈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14)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봉(11)의 상면은 연결 부재(14) 사이로 노출될 수 있고, 히터봉(11)의 연결 부재(14) 사이로 노출된 부분을 통해, 히터봉(11)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히터봉(11)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할 수 있다. 히터봉(11)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로봇 픽커, 작업자 등은 파지 제공 프레임(15)을 파지하고 열 작용부(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13)은 히터봉(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13)은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13)은 히터봉(11)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발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프레임(13)은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를 용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스테인레스 용기(92)는 상부의 테두리부(921)의 하면이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에 융착될 뿐만 아니라, 스테인레스 용기(92)의 둘레부의 상부의 외면이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내면에 융착됨으로써, 플라스틱 용기(9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91)와 스테인레스 용기(92)이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에 의하면, 열 작용부(1)는 히터봉(11)의 하부(하면)가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접촉 예정 부분에 접촉되도록 플라스틱 용기(91) 상에 배치되어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될 수 있는 시간(수초간) 동안 위치할 수 있고, 이후, 플라스틱 용기(9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용해될 수 있다.
참고로, 히터봉(11)은 150~160℃의 열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준비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준비 테이블에는 플라스틱 용기(91)가 준비될 수 있고, 열 작용부(1)는 준비 테이블 상에 배치된 플라스틱 용기(91)에 대해 열을 가할 수 있다. 준비 테이블은 후술하는 테이블(2)과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내부에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플라스틱 용기(91)가 준비되는 테이블(2)을 포함한다. 테이블(2)에 준비되는 플라스틱 용기(91)는 그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 것일 수 있고, 둘레부(911) 상에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상부의 테두리부(921)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스테인레스 용기(91)가 내부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열 작용부(1)에 의해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 플라스틱 용기는 파지부에 의해 파지되고 이송되어 테이블(2) 상에 플레이싱될 수 있다. 이후, 테이블(2) 상에 배치된 플라스틱 용기(91)에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상부의 테두리부(921)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되도록 스테인레스 용기(91)가 플라스틱 용기(91) 내에 삽입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블(2)에는 스테인레스 용기(92)가 삽입된 플라스틱 용기(91)가 준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외력 작용부(3)를 포함한다. 외력 작용부(3)는 테이블(2)에 준비된 플라스틱 용기(91)에 삽입된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상부의 테두리부(921)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접촉 외력이 증가하도록 스테인레스 용기(92)에 외력을 작용한다.
즉, 외력 작용부(3)는 테이블(2)에 준비된 플라스틱 용기(91)에 삽입된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상부의 테두리부(921)를 하측(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측)으로 가압하여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상부의 테두리부(921)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부착)되게 할 수 있다.
외력 작용부(3)는 외력 작용시에 스테인레스 용기(92)를 덮는 플레이트 유닛(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력 작용부(3)는 플레이트 유닛(31)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 작용부(3)는 플레이트 유닛(31)을 스테인레스 용기(92) 상에 위치시키고, 스테인레스 용기(92)를 가압함으로써,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상부의 테두리부(921)를 하측(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부(911)의 상면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테이블(2)은 그에 적재된(플레이싱된) 플라스틱 용기(91)를 흡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91)는 테이블(91)에 고정될 수 있다. 외력 작용부(3)가 스테인레스 용기(92)를 가압함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91) 및 스테인레스 용기(92)는 테이블(91)에 지지되며 외력 작용부(3)에 의해 하측으로의 외력을 작용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력 작용부(3)와 테이블(2) 사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탈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에 의하면, 플라스틱 용기(91)가 테이블(2)의 흡착에 의해 테이블(91)에 위치 고정될 수 있어, 외력 작용부(3)의 외력 작용시에도 이탈하지 않고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테이블(2)은 플라스틱 용기(91)를 흡착하기 위해, 복수의 흡착구가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복수의 흡착구 각각이 내부에 진공 형성 또는 진공 형성을 해제하는 진공 형성부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진공 형성부는 기체를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하고 기체 흡입을 중단하여 진공 형성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형성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테이블(2)에는 테이블(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플라스틱 용기(9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는 플라스틱 용기(91)가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 작용부(3)가 스테인레스 용기(92)를 가압할 때, 플라스틱 용기(91)에도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블(2) 상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용기(91)는 스테인레스 용기(92)(외력 작용부(3))로부터 작용되는 외력이 크면, 눌려지며 변형될 수 있고, 변형시 외측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할 수 있으며,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외력 작용부(3)는 복수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 중 하나 이상이 감지하는 외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외력 작용부(3)의 외력 작용(가압)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이라 함은 플라스틱 용기(91)의 변형이 시작될 때 플라스틱 용기(91)가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 작용부(3)는 플라스틱 용기(91)의 외측 방향으로의 변형이 진행되기 전에 외력 작용을 멈춤으로써, 플라스틱 용기(91)의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외력 작용부(3)는, 플레이트 유닛(3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되 스테인레스 용기(9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력 작용부(3)의 스테인레스 용기(92)에 대한 접촉시, 또는, 외력 작용시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는 스테인레스 용기(9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는 스테인레스 용기(92)가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 작용부(3)가 스테인레스 용기(92)를 가압할 때, 플라스틱 용기(91)에도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블(2) 상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용기(91)는 스테인레스 용기(92)(외력 작용부(3))로부터 작용되는 외력이 크면, 눌려지며 변형될 수 있고, 변형시 외측뿐만 아니래 내측 방향으로도 외력을 작용할 수 있으며, 내측 외력 감지 센서(29)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외력 작용부(3)는 복수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 중 하나 이상이 감지하는 외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외력 작용부(3)의 외력 작용(가압)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이라 함은 플라스틱 용기(91)의 변형이 시작될 때 플라스틱 용기(91)가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 작용부(3)는 플라스틱 용기(91)의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이 진행되기 전에 외력 작용을 멈춤으로써, 플라스틱 용기(91)의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 및 복수 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는, 복수 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 각각과 복수 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 각각이 플라스틱 용기(91) 및 스테인레스 용기(9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외력 작용부(3)가 스테인레스 용기(92)를 가압할 때, 플라스틱 용기(91) 및 스테인레스 용기(91) 각각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이 발생하는 지점은 내외측 방향으로 서로 대향(대응)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복수 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 각각이 스테인레스 용기(92)의 내측 외력을 감지하는 지점과 복수 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 각가이 플라스틱 용기(91)의 외측 외력을 감지하는 지점이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29) 각각과 복수 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39) 각각은 플라스틱 용기(91) 및 스테인레스 용기(9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스테인레스 용기(박판(0.1~0.2 mm 두께)이고 STS 304 재질일 수 있음)(92)와 플라스틱 용기(유아에게 무해한 PP 재질일 수 있음)(91)의 결합력이 증가된 사구 식판과 같은 이중 용기를 제조하는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용기(91)의 상부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히터봉(11)을 포함하는 열 작용부(1), 히터봉(11)에 의해 상단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가열된) 플라스틱 용기(91)에 스테인레스 용기(92)가 배치되면 배치된 스테인레스 용기(92)를 가압하는 외력 작용부(3)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91)의 상부의 상면에 히터봉(11)으로 열을 가해 적어도 일부 용해시키고, 히터봉(11)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가열된) 플라스틱 용기(91)에 스테인레스 용기(92)를 배치하며, 외력 작용부(3)(디스펜서라 할 수 있음)로 스테인레스 용기(92)를 가압하여 스테인레스 용기(92)와 플라스틱 용기(91)를 결합(융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열에 의하여 융착이 되므로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용기 구조체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하게 장치 및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제품 단가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뜨거운 물이나 우유 등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보온층이 있어 장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용기 구조체가 구현될 수 있고, 이종재질간 완벽한 밀착이 가능하여 품질 및 납기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열 작용부(1), 테이블(2) 및 외력 작용부(3)가 수용되는 하우징 구조체(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구조체(5)는 식기로 사용되는 이중 용기가 먼지의 유출입이 적은 환경에서 제조되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구조체(5)는, 하우징부(51)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부(51)에는 유입구(511) 및 배기구(512)가 형성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부(51)에는 도어(door)(도면부호 미부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구조체(5)는 기체 공급부(52)를 포함한다. 기체 공급부(52)는 외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먼지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냉각시켜 유입구(511)를 통해 하우징부(51)의 내부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제거되고 냉각된 기체(처리된 기체)가 유입구(511)를 통해 하우징부(51)의 내부로 인입되어 배기구(5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부(51)의 내부의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고, 하우징부(51)의 내부의 먼지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하우징부(51) 내부를 통과하는 처리된 기체와 함께 이동되어 배기구(5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부(51) 내에서 제거되며 이물질이 하우징부(51) 내에서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1) 내부의 온도 상승이 방지되거나(하우징부(51)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하우징부(51) 내부가 냉각될 수 있다(온도가 낮아질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 공급부(55)는, 일단을 통해 기체가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구(511)와 연결되어 하우징부(51) 내부와 연통되는 관 형태의 기체 공급관, 기체 공급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 일단을 통해 유입된 기체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필터링부와 기체공급관의 타단 사이에서 기체 공급관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 공급관의 일단을 통해 유입된 기체는 필터링부를 거치며 필터링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기체 공급관의 냉각부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부분을 통과하며 냉각되어 유입구(511)를 통해 하우징부(5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필터링부는 복수 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는 기체 공급관의 외부에서 기체 공급관을 감싸며, 유체가 이동하는 수냉관, 수냉관으로부터 유체를 유입받아 유입받은 유체를 냉각시켜 수냉관에 공급하는 유체 냉각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 공급부(55)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유입구(511) 및 배기구(512) 각각은,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기체(처리된 기체)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구(5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우징부(5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 구조체(5)에 의하면, 유입구(511)는 하우징부(5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배기구(512)는 하우징부(5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처리된 기체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우징부(51)를 통과해 배기구(512)를 통해 하우징부(5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처리된 기체의 이동이 상하 방향(하측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처리된 기체의 빠른 입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입구(511) 및 배기구(512)는 서로 대향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배기구(512)가 하우징부(51)의 하면에 형성되므로, 배기구(512)를 통한 하우징부(51) 외부 기체의 하우징부(51) 내부로의 유입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람과 같은 하우징부(51) 외부에서의 기류는 수평 방향으로 불 수 있는데, 하우징 구조체(5)에 의하면, 배기구(512)가 하우징(51)의 측면이 아닌 하면에 형성될 수 있어, 하우징부(51)의 측면에 배기구(512)가 형성되는 것 대비 외부 기체의 배기구(512)를 통한 하우징부(51)로의 유입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구조체(5)는 기체 배출관(53)을 포함한다. 기체 배출관(53)은 일단이 배기구(512)와 연통되어 배기구(512)를 통해 기체 배출관(53) 내로 유입되는 기체가 하우징부(5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기체의 이동 통로를 형성한다. 즉,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처리된 기체는 하우징부(51) 내로 유입될 수 있고, 하우징부(51) 내의 기체는 배기구(512) 및 기체 배출관(53)을 통과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기체 배출관(53)은 타단이 하측을 향한다. 기체 배출관(53)의 타단이 하측을 향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 배출관(53)의 타단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것 대비 외부 기체의 기체 배출관(53) 내부로의 유입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기체 배출관(53)은 그를 통한 하우징부(51) 내부의 기체의 배출 속도가 증가하고 그를 통한 외부의 기체의 유입이 줄어들도록, 적어도 일부(53b)가 배기구(512)보다 적은 단면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51) 내부로부터 기체가 배기구(512) 및 기체 배출관(53)을 통과할 때, 기체 배출관(53)의 단면적이 배기구(512)의 단면적보다 줄어든 부분을 통과할 수 있는데, 이때,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기체의 배출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처리된 기체가 유입구(511)를 통해 하우징부(51) 내부로 유입되어 하우징부(51)의 내부의 먼지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함께 배기구(51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이물질이 하우징부(51) 내에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때, 유입구(511) 및 배기구(512) 각각이 하우징부(5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형성되므로, 처리된 기체는 빠르게 배기구(512)를 향할 수 있고,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기체 배출관(53)을 빠르게 통과하며 하우징부(5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 배출관(53)에는 하우징부(51)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배출되는 기체)의 이동이 지속적(유입구(511)를 통한 지속적인 처리된 기체의 유입에 따른 기체의 지속적 배출)이고 빠르게(베르누이 효과에 의한 속도 향상 등)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체 배출관(53)을 통한 외부 기체의 유입에 대한 저항성이 확보되어 외부 기체의 기체 배출관(53)을 통한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1)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부(51) 내부의 열을 흡열하는 온도 조절 부재(5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온도 조절 부재(513)는 내측 플레이트부(5131), 내측 플레이트부(5132)와 겹쳐 배치되는 외측 플레이트부(5132) 및 내측 플레이트부(5131)의 적어도 일부와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펠티어 효과에 따라 내측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외측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펠티어 소자(5133)를 포함할 수 있다.
펠티어 소자(5133)는 펠티어 효과에 따라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도록 할 때, 한 쪽의 접점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이에 따라, 펠티어 소자(5133)전력이 공급되면 내측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외측부에서 열을 발산할 수 있고, 내측 플레이트부(5131)는 펠티어 소자(5133)의 내측부 상에 구비되어 펠티어 소자(5133)를 보호하며 펠티어 소자(5133)의 흡열을 용이하게 전달(펠티어 소자(5133)에 의한 열의 이동(흡열)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플레이트부(5132)는 펠티어 소자(5133)의 외측부 상에 구비되어 펠티어 소자(5133)를 보호하며 펠티어 소자(5133)의 발열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플레이트부(5131) 및 외측 플레이트부(5132)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펠티어 소자(5133)로부터 방출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소재라면 다양한 재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플레이트부(5131)는 펠티어 소자(5133)에 의해 흡열이 이루어지고, 외측 플레이트부(5132)는 펠티어 소자(5133)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부재(513)는 내측 플레이트부(5131)가 하우징부(51)의 내측을 향하고, 외측 플레이트부(5132)가 하우징부(51)의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부(51)의 적어도 일부(온도 조절 부재(513)가 구비되는 부분)는 내면이 내측 플레이트부(5131)이고, 외면이 외측 플레이트부(5132)일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 구조체(5)는 펠티어 소자(5133)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구조체(5)는 펠티어 소자(5133)를 구동시켜 전술한 흡열 및 발열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 구조체(5)는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방열핀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펠티어 소자(5133)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열은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구조체(5)는 기체 배출관(53)을 통과하는 기체의 배출 속도(이동 속도(통과 속도)가 증가하도록, 기체 배출관(53)에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열을 전달하는 열 전달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달부(56)는 열 전도율이 높은 열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단이 외측 플레이트부(5132)에 접촉되고 타단이 기체 배출관(53)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열은 열 전달부(56)를 통해 기체 배출관(53)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 배출관(53)은 가열되어 그 내부 온도가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체 배출관(53)을 통과하는 기체의 이동 속도는 증가되어 하우징부(51) 내부의 기체는 보다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열이 기체 배출관(53)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외측 플레이트부(5132)는 보다 빠르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부(56)는,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열이 기체 배출관(53)을 통해 하우징부(51)로 전달되는 것이 소정 이하로 방지되도록, 기체 배출관(53)의 배기구(512)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 이상 이격된 부분에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 배출관(53)은 가열되더라도 하우징부(51)가 가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는 이격된 부분(5열이 전달되는 부분)과 배기구(512)간의 간격이 도면부호 3a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51)의 측면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를 테면, 하우징(51)은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4 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부재(513)는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온도 조절 부재(5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구조체(5)는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측정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는 오프(off)될 수 있다.
온도 조절 부재(513)의 외측 플레이트부(5132)에 광량이 일정 정도 이상 조사되면, 발열하고 있던 외측 플레이트부(5132)에 외부 광(이를 테면 빛)까지 작용됨으로써 외측 플레이트부(5132)가 과열되어 온도 조절 부재(513)가 손상되거나, 온도 조절 부재(513)의 과열된 부분의 하우징부(51) 내부에 대한 흡열 효과(냉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플레이트부(5132)에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온도 조절 부재(513)는 오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구조체(5)는, 태양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량은, 하우징부(51)의 측면 각각이 향하는 방향, 시간 등에 따라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측면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복수 개의 측면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를 오프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가 오프되더라도, 다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는 온(on) 상태이므로, 온도 조절 부재(513)에 의한 하우징부(51) 내부에 대한 흡열 효과는 지속될 수 있다.
참고로, 온도 조절 부재(513)의 오프는 전력 공급부(54)의 전력 공급 차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전력 공급부(54)는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각각의 온도 조절 부재(513) 각각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공급을 해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공급부(54)는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각각의 온도 조절 부재(513)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온도 조절 부재(513)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해당 온도 조절 부재(513)를 오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는 온(on)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이라 오프된 온도 조절 부재(513)는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되면 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온도 조절 부재(513)의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발열량 및 입사되는 광량 등에 따라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손상 여부, 온도 조절 부재(513)의 흡열 효율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구조체(5)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온도 조절 부재(513), 전력 공급부(54)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온도 조절 부재(513)의 온-오프 조절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구조체(5)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풍향 및 풍속 측정부는 하우징부(51)의 바람의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온도 조절 부재(513)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는 그가 구비된 측면을 향해 부는 바람의 풍속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오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더라도, 바람에 의해 외측 플레이트부(5132)의 방열 효과가 높기 때문일 수 있다.
즉, 하우징 구조체(5)에 있어서, 제어부는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를 오프하고, 복수 개의 측면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를 온하되,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에 대해서,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더라도,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풍속을 갖는 바람의 진행 방향(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다면, 해당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를 오프하지 않고 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부(51)의 복수 개의 측면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는 오프되고, 복수 개의 측면 중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측면의 온도 조절 부재(513)를 온되되,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풍속을 갖는 바람의 진행 방향(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다면, 상기 입사되는 광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측면은 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구조체(5)에 의하면, 이물질이 제거되고 냉각된 기체가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부(51)의 내부로 인입되어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부의 내부의 온도가 저하될 수 있고, 하우징부의 내부의 이물질이 하우징부 내부를 통과하는 처리된 기체와 함께 이동되어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기로 사용되는 이중 용기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하우징 구조체(5)의 하우징부(1) 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되어 위생이 확보될 수 있고, 플라스틱 용기(91)를 열로 녹여 스테인레스 용기(92)를 붙이는 작업이 수행되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는 하우징부(1) 내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하우징부(1) 내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은, 준비 테이블로부터 열 작용부(1)에 의해 둘레부(9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 플라스틱 용기(91)를 파지하여 테이블(2)로 옮겨 배치하는 제1 로봇 픽커 및 테이블(2) 상의 플라스틱 용기(91)에 대하여 스테인레스 용기(92)를 삽입시키며 배치하는 제2 로봇 픽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1)에는 제1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준비 테이블은 하우징부(51) 내에서, 작업자의 손이 제1 윈도우를 통해 준비 테이블에 접근 가능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하우징부(51)의 외부에서 윈도우를 통해 준비 테이블에 플라스틱 용기(91)를 배치(준비)시킬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열 작용부(1)는 준비 테이블 상에 배치된 플라스틱 용기(91)에 대해 열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1)에는 제2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2)은 하우징부(51) 내에서, 작업자의 손이 제2 윈도우를 통해 테이블(2)에 접근 가능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테이블(2) 상에서 플라스틱 용기(91)와 스테인레스 용기(92)의 접합이 완료되면 테이블(2)로부터 플라스틱 용기(91)와 스테인레스 용기(92)가 접합되어 형성된 이중 용기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윈도우는 하우징부(51)의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준비 테이블은 하우징부(51)의 내부 중 일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윈도우는 하우징부(51)의 타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테이블(2)은 하우징부(51)의 내부 중 타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제2 로봇 픽커의 스테인레스 용기(92)의 플라스틱 용기(91)에 대한 배치를 위해 하우징부(51) 내에는 복수 개의 스테인레스 용기(92)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로봇 픽커는 하우징부(51)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스테인레스 용기(92) 중 하나를 파지하여 테이블(2)에 준비된 플라스틱 용기(91)에 대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열 작용부
11: 히터봉
12: 외측 프레임
13: 내측 프레임
14: 연결 부재
15: 파지 제공 프레임
2: 테이블
29: 외측 외력 감지 센서
3: 외력 작용부
31: 플레이트 유닛
32: 구동 유닛
39: 내측 외력 감지 센서
51: 하우징부
511: 유입구
512: 배기구
513: 온도 조절 부재
5131: 내측 플레이트부
5132: 외측 플레이트부
5133: 펠티어 소자
52: 기체 공급부
53: 기체 배출관
54: 전력 공급부
55: 방열핀부
56: 열 전달부
57: 광량 측정부
11: 히터봉
12: 외측 프레임
13: 내측 프레임
14: 연결 부재
15: 파지 제공 프레임
2: 테이블
29: 외측 외력 감지 센서
3: 외력 작용부
31: 플레이트 유닛
32: 구동 유닛
39: 내측 외력 감지 센서
51: 하우징부
511: 유입구
512: 배기구
513: 온도 조절 부재
5131: 내측 플레이트부
5132: 외측 플레이트부
5133: 펠티어 소자
52: 기체 공급부
53: 기체 배출관
54: 전력 공급부
55: 방열핀부
56: 열 전달부
57: 광량 측정부
Claims (6)
-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되도록,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에 열을 작용하는 열 작용부;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된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 상에 스테인레스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내부에 스테인레스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플라스틱 용기가 준비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에 준비된 플라스틱 용기에 삽입된 스테인레스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접촉 외력이 증가하도록 스테인레스 용기에 외력을 작용하는 외력 작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 작용부는,
상기 플라스틱의 용기의 둘레부의 상면 중 접촉 예정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발열하는 히터봉;
상기 히터봉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
상기 히터봉의 내면 상에 배치되는 내측 프레임;
상기 히터봉의 상면을 가로지르며 상기 히터봉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파지 제공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히터봉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플라스틱 용기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플라스틱 용기가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외측 외력 감지 센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외력 작용부는 상기 복수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이 감지하는 외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상기 외력 작용부의 외력 작용을 멈추는 것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작용부는,
외력 작용 시에 스테인레스 용기를 덮는 플레이트 유닛;
상기 플레이트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되 스테인레스 용기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스테인레스 용기가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내측 외력 감지 센서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 작용부는 상기 복수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이 감지하는 외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상기 외력 작용부의 외력 작용을 멈추는 것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 및 상기 복수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외측 외력 감지 센서 각각과 상기 복수개의 내측 외력 감지 센서 각각이 플라스틱 용기 및 스테인레스 용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인,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작용부, 상기 테이블 및 상기 외력 작용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217A KR102185973B1 (ko) | 2020-06-24 | 2020-06-24 |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217A KR102185973B1 (ko) | 2020-06-24 | 2020-06-24 |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5973B1 true KR102185973B1 (ko) | 2020-12-03 |
Family
ID=7377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7217A KR102185973B1 (ko) | 2020-06-24 | 2020-06-24 |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597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329Y1 (ko) * | 2000-12-11 | 2001-09-25 | 김창덕 | 이중구조용기의 결합구조 |
JP2003104351A (ja) * | 2001-09-27 | 2003-04-09 | Tomei Kagaku Kogyo Kk | 二重容器 |
-
2020
- 2020-06-24 KR KR1020200077217A patent/KR1021859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329Y1 (ko) * | 2000-12-11 | 2001-09-25 | 김창덕 | 이중구조용기의 결합구조 |
JP2003104351A (ja) * | 2001-09-27 | 2003-04-09 | Tomei Kagaku Kogyo Kk | 二重容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0207600A (ja) | 加熱可能なプローブヘッドと保護カバーを有する赤外線温度計 | |
KR102185973B1 (ko) | 이중 용기 제조 시스템 | |
US20080179314A1 (en) | Positive Temperature Heating Element with Heat Sinks | |
JP2013132554A (ja) | 温度指示計が設けられた調理用容器 | |
KR102149784B1 (ko) |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 |
JP2017030449A (ja) | 温調シートおよび車両用温調シート | |
JP2004361386A5 (ko) | ||
CN105943402A (zh) | 一种带有温控功能的奶瓶 | |
CN206022378U (zh) | 红外线传感器高真空封装结构 | |
JP6866401B2 (ja) |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カートリッジ | |
TWM555930U (zh) | 具除霧功能的蓋體裝置與加熱裝置 | |
KR101949960B1 (ko) | 마스크팩 냉온장치 | |
KR102370440B1 (ko) |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 |
CN106038312A (zh) | 一种具有消毒功能的温控奶瓶 | |
JPH10328032A (ja) | コーヒーメーカ等に用いられる電気式加熱装置 | |
JP6090620B2 (ja) | レンジフード | |
CN209202637U (zh) | 一种均匀受热的防雾化镜子 | |
CN108185742A (zh) | 一种均匀加热的防雾化镜子 | |
JP2022529880A (ja) | 封袋装置及び方法 | |
CN212681499U (zh) | 一种生产尿不湿的涂胶装置 | |
FR2891136A1 (fr) | Dispositif de chauffage radiant pour le rechauffement du corps humain | |
CN206548354U (zh) | 一种加热器 | |
CN212878800U (zh) | 一种具有温度检测功能的杯子 | |
CN210471248U (zh) | 一种具有消毒保温加热功能的母婴包 | |
GB2557916A (en) | An infant feed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