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482B1 -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 Google Patents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482B1
KR102185482B1 KR1020197001509A KR20197001509A KR102185482B1 KR 102185482 B1 KR102185482 B1 KR 102185482B1 KR 1020197001509 A KR1020197001509 A KR 1020197001509A KR 20197001509 A KR20197001509 A KR 20197001509A KR 102185482 B1 KR102185482 B1 KR 10218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ignaling
user equipment
predefined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712A (ko
Inventor
위 장
더산 미아오
유안타오 장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9001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는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업링크 시그널링의 품질에 기초하여,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을 트리거링하는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UE)에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UE는 다운링크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빔 기준 신호(U-BRS)와 같은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을 측정 및 선택하고, 이 선택을 사용자 장비(UE)에 통지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본 업 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은 업링크-다운링크 상호성에 기반하고,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동적이며, 업링크 빔의 서브 세트를 추가로 선택하며, 다수의 UE는 공통 시그널링으로 트리거링될 수 있고, 이 공통 시그널링에서, UE에 의한 블라인드 디코딩은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대한 스크램블링 ID를 통해 인에이블된다.

Description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기술된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선(Line-Of-Sight, LOS) 유형의 무선 통신 특성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은 견고성의 결여를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D)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무선 접속의 설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5G 무선 액세스 기술(RAT)이 개발되고 있는 밀리미터파(mmWave) 스펙트럼에서 확산되어 있다.
무선 라디오 액세스 기술은 증가된 데이터 량 및 많은 수의 가입자를 처리하기 위해 계속 개선되고 있다. 3GPP 조직은 10Gbps(기가비트/초) 정도의 최고 데이터 전송률을 처리하면서 특정 4G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초저 대기 시간 요건을 여전히 충족시키는 5세대(5G) 무선 네트워크를 개발 중이다. 5G는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GHz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스펙트럼을 사용하고, 대규모 MIMO(m-MIMO)를 지원할 예정이다. M-MIMO 시스템은 4G 시스템과 비교하여 훨씬 많은 수의 안테나와 더 미세한 빔 형성 및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을 특징으로 한다.
5G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특정 3GPP 그룹 내에서 현재 논의되는 한 가지 영역은 사용자 장비(UE) 측에서 빔 형성을 행하는 경우이다. 수년 동안 UE가 자신의 다중 안테나를 갖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지만, UE의 MIMO 기능을 이용하는 것은 네트워크 측에서 MIMO의 잠재력을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다소 덜 강력하다. 예를 들어, 4G/LTE 시스템에서 다중 빔은 능동 안테나 시스템(Active Antenna System, AAS)을 통해 네트워크/기지국 측에서 송신될 수 있다. 빔 형성된 다운링크 기준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UE는 빔 특정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UE가 최상의 다운링크 빔으로서 알고 있는 것의 인덱스를 네트워크에 피드백할 수 있다. 그러나, UE 측에서는 훨씬 적은 수의 안테나(일반적으로, 2 또는 4 개의 안테나)가 있으며, UE의 작은 물리적 크기는 이들 소수의 UE 측 안테나의 크기로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UE 측에서는 크기 제한이 있는 적은 수의 안테나가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네트워크 측에서 유용성이 입증된 빔 형성 기술은 일반적으로 UE 측에서의 전개와 유사하다고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심지어는 6 Ghz을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의 5G 시스템은 UE 측 빔 형성에 의해 링크 예산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무선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이것이 본 기술이 지향하는 분야이지만, 일반적인 원리는 5G 시스템이나 GHz 급 무선 환경에만 특별히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참조 자료는 몇 가지 관련 배경 자료를 제공한다:
· LTE: 이론에서 실전까지의 UMTS LTE(the UMTS Long Term Evolution from Theory to Practice) (2d Ed. ; John Wiley & Sons, Ltd. ; 2011), chapters 11 and 29 (6/8/2016 마지막 방문한 http://www.aldraji.com/download/The_UMTS_Long_Term_EvolutionB.pdf에서 이용 가능).
· 2009년 6월의 IEEE Proc. ICC에서, J. Nsenga 등에 의한 "60 GHz MIMO 다중 경로 채널에서의 공동 빔 송신 및 수신 아날로그 빔 형성(Joint Transmit and Receive Analog Beamforming in 60GHz MIMO multipath channels)".
· 2014년 10월의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essing, vol. 8, no. 5, pp. 831-846에서,Ahmed Alkhateeb 등에 의한 "밀리미터파 셀룰러 시스템용 채널 추정 및 하이브리드 프리코딩(Channel Estimation and Hybrid Precoding for Millimeter Wave Cellular System)".
· 3GPP TS 36.213 v13.1.1 (2016-03)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section 5.
이들 교시의 제 1 실시예에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시그널링의 품질에 기초하여,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을 트리거링하는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UE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UE에 상기 선택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교시의 제 2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가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호스트 무선 액세스 노드 장치로 하여금,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시그널링의 품질에 기초하여,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을 트리거링하는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하게 하고;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UE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UE에 상기 선택을 통지하게 한다.
이들 교시의 제 3 실시예에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시그널링의 품질에 기초하여,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을 트리거링하는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하게 하고;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UE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UE에 상기 선택을 통지하게 한다.
이들 교시의 제 4 실시예에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응답(reply)을 수신하는 단계와; 이후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교시의 제 5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가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 시 호스트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응답을 수신하게 하고; 이후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한다.
이들 교시의 제 6 실시예에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응답을 수신하게 하고; 이후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한다.
이들 교시의 제 7 실시예에서, 전송 수단, 수신 수단, 선택 수단 및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송 수단은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시그널링의 품질에 기초하여,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을 트리거링하는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다운링크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UE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UE에 상기 선택을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의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수단 및 상기 수신 수단은 제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결합되며, 로컬 메모리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인에이블시키는 무선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수단은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송신기를 포함한다.
이들 교시의 제 8 실시예에서, 송신 수단, 수신 수단 및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응답이 수신된 후,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의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수단 및 상기 전송 수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결합되며, 로컬 메모리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인에이블시키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수단은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들 양태 및 다른 양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링크 예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교시의 실시예가 전개될 수 있는 하나의 특정 무선 환경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이들 교시의 실시예가 또한 유리하게 전개될 수도 있는 도 1과는 상이한 무선 환경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상호성 기반 메커니즘이 적절한 업링크 빔을 찾지 못할 때 사용하기 위해 전개되는, 개시된 빔 선택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시그널링도이다.
도 4a는 하나의 특정 비 제한적인 예에 따라, 업링크 빔 기준 신호(uplink beam reference signals, U-BRSs)를 리소스 블록 및 OFDM 심볼의 다양한 조합에 매핑하는 것을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4b는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을 트리거링할 때, 식별될 수 있는 UE의 8 개의 가능한 공간 빔 및 이들의 다양한 서브 세트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노드 및 사용자 장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특정 양태를 요약한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및 UE의 일부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들 컴포넌트 각각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실행하는 데 적합하다.
이들 교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빠르고 정확한 업링크 빔 선택 방식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UE는 네트워크에 의해 트리거링되면 업링크 빔 기준 신호(Uplink Beam Reference Signal, U-BRS)를 전송한다. 이 U-BRS는, 예를 들어, 선택된 다운링크 빔과의 상호성에 기초한 것과 같은 종래의 업링크 빔 선택 기술이 적합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가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는 UE가 전송하도록 트리거링한 U-BRS의 측정에 기초하여 강화된 빔 선택을 할 수 있다. 트리거링 및 시그널링 메커니즘의 예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이하의 설명에서 가정되는 것은 데이터를 송신할 목적으로 업링크 빔이 선택된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전체 링크 예산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개선이 명백해지기도 하지만, UE로부터 네트워크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는 데 이들 기술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제어 채널용으로 사용되는 업링크 빔은 단순히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선택된 업링크 빔을 재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아래의 예 중 일부는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상황에 있지만, 소정의 UE가 송신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업링크 빔의 더 큰 세트 중에서 2 개 이상의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데 이들 동일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빔을 선택하기 위한 상호성의 개념은 배경 지식을 위해 간략하게 요약된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적절한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빔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빔의 다운링크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또는 2 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가 사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빔은 이들 측정치를 서로에 대해 및/또는 일부 임계치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빔 상호성의 개념은 UE가 네트워크로부터 그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빔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채널 간에는 유사성이 충분히 있다고 추정한다. 다운링크 빔은 전술한 예의 CSI-RS 또는 SSS와 같은 일부 질적 및 양적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되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간의 추정된 대응은 다운링크 분석을 업링크에도 유효하게 확장한다.
그러나, 다운링크와의 업링크 대응의 이러한 추정은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상이한 송신 포인트에 대해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 전력이 사용된다고 하는 두드러진 특징이 있는 그러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예에서, 매크로 eNB가 UE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동일한 UE는 자신의 업링크 데이터를 관련된 마이크로/피코 eNB로 전송한다. 도 1의 무선 환경은 매크로 eNB 및 마이크로/피코 eNB가 협력적으로 동작하여 UE로의 및 UE로부터의 모든 데이터가 매크로 eNB를 통해 라우팅되는 LTE-A 배치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매크로 eNB는 마이크로/피코 eNB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마이크로/피코 eNB를 연결한다. 도 1의 무선 환경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송신 전력 및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 모두에서 크게 변화한다. 분명히, 매크로 eNB로부터의 다운링크 채널이 마이크로/피코 eNB로의 업링크 채널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것이라는 것은 빔 선택 목적을 위한 유효한 추정이 아니다.
도 2는 링크 예산이 이들 교시의 실시예를 전개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는 상이한 무선 환경을 도시한다. 도 2에서, (핸드헬드) UE를 파지하고 있는 사람의 자세 또는 손 위치의 변화만큼이나 작은 UE의 이동으로 인해, UE의 관점에서의 송신 및 수신 빔은 변화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의 12시 위치에서의 송신/수신 빔은 일반적으로, 도시된 UE TX/RX 빔(2) 위치에서는 기지국과 정렬되지만, 동일한 12시 위치에서의 빔은 다른 UE TX/RX 빔(1) 위치에서는 기지국과 정렬되지 않는다. 이 경우,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다운링크 빔은 업링크 빔을 선택하기 위한 적절한 프록시일 수 있지만, 그 UE의 이동은 UE가 다시 이동할 때까지만 그 다운링크 빔 선택을 유효하게 만든다.
추가 고려 사항으로, 5G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영역에서의 무선 신호 전파 특성은 보다 전통적인 셀룰러 주파수와 매우 상이하다. 특히, 5G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의 경우, 반사율은 거의 없고, 무선 링크는 그 링크가 가시선(Line Of Sight, LOS)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포인트에 대한 환경 간섭의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이, 매우 많은 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배치하고, UE가 주어진 시간에 AP의 클러스터와 접속하도록 하는 5G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UE의 위치를 약간 변경하면,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AP와의 그 가시선 링크로부터 핸드셋 안테나를 쉐도잉(shadow)할 수 있고, 그 클러스터 내의 다른 노드/AP와의 연결을 활성 상태로 만들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은 도 2의 환경과 유사하지만, 예시된 2 개의 위치에 대한 UE의 접속은 상이한 AP에 대한 것이다.
이 무선 환경은 적절한 빔 선택만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상이한 제조사로부터 또는 공통 제조사의 상이한 모델로부터의 상이한 UE에 대해, 빔 변화의 상황은, 상이한 UE 모델들이 열악한 빔 선택에 기인하여 최소 비트/블록 에러율을 깨뜨리는 것에 대해 상대방보다 다소 취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업링크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것과 관련된 시그널링 오버헤드에 대한 실용적인 제한을 고려할 때, 모든 UE 및 모든 상이한 무선 환경에 대한 업링크 빔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다운링크 기준 신호만을 이용하기는 어렵다.
이들 교시의 실시예는 독립형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로서 전개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의 예에서, 이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은 업링크 빔을 선택하기 위한 보다 통상적인 상보성 기술에 대한 보완물로서, 상호성 업링크 빔 선택 기술 단독으로는 부적절할 것으로 결정되는 상황에서 전개되도록 설명된다. 독립형이든 다른 업링크 빔 선택 기술을 보완하는 것이든, 이들 교시는 빠르고 정확한 UE 데이터를 전송할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 3은 이러한 일례에 따른 기지국과 UE 간의 시그널링을 나타낸다. 단계 1 내지 5는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10)을 나타내는 반면, 단계 6 내지 9는 이들 교시에 따른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20)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10)은 양적 및 질적으로 선택된 다운링크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상호성 기술(reciprocity technique)이지만, 이것은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10)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한 제한이 아니고 다른 알려진 또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기술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단일 송신 포인트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단일 기지국의 문맥하에 있는 반면,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전송 빔을 각각 정의할 수 있는, 원격 무선 헤드, 마이크로/피코 eNB, AP 등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으로 다양한 전송 포인트로부터의 전송을 송신하거나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송 포인트는 각각 (관련 UE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빔을 정의할 수 있지만, 무선 환경에 따라 그 UE와의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을 정의할 수도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러한 다운링크/업링크 차이의 일 예가 도 1에 참조된다.
도 3의 단계 1에서, 기지국은 UE가 단계 2에서 수신하는 다수의 다운링크 빔을 통해 다운링크 빔 특정 기준 신호를 UE로 송신한다. UE는 단계 3에서,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로서 이들을 측정하고, 이들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이 측정 결과는 기지국 측에서의 송신 빔과 UE 측에서의 수신 빔의 조합으로 채널 품질을 나타낸다. 단계 4에서, 기지국은 보고된 측정 결과를 평가하고, 이 UE와 함께 앞으로 사용될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고,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빔의 선택을 UE에 통지한다. 다운링크 빔은 기지국 측에서의 송신 빔과 UE 측에서의 수신 빔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운링크 빔 선택에 따라, 단계 5에서 UE는 상응하는 업링크 빔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업링크 빔을 통해 그 다음 몫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 기본 빔 선택 프로토콜(310)의 일부 변형예에서, 단계 3에서의 UE는 자신의 측정 결과를 평가하고 자체적으로 다운링크 빔을 선택한다. 이것은 처리 부담을 UE로 이동시키지만, 이는 UE가 실제 빔 측정의 결과보다는 단계 3에서 선택한 다운링크 빔의 인덱스만을 시그널링하게 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이는 또한 UE가 다운링크 빔 선택을 통지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계 4에서의 오버헤드 시그널링을 감소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호성 빔 선택 기술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업링크 빔은 분석적으로 선택된 다운링크 빔에 대응하도록 선택되므로, 예를 들어, 빔 인덱스 #3이 단계 4에서 다운링크 빔으로서 선택된다면(또는 단계 3에서 UE가 자체적으로 선택을 한다면), 빔 인덱스 #3은 단계 5에서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및 UE는 모두 동일한 업링크 빔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빔 상호성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어느 것이 업링크 빔이 될 것인지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이제, 도 3의 단계 6에서, 기지국은 링크 품질이 양호하지 않다고 결정하고, 응답으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20)을 트리거링한다. 네트워크/기지국이 이 프로토콜(320)을 트리거링하도록 UE에 시그널링하는 방법에 대한 특정예는 도 4b의 특정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네트워크가 단계 6에서 링크 품질이 좋지 않다고 결정할 수도 있지만, 이 결정과 관계없이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10)에 따라 선택된 업링크 빔이 적합하지 않거나, 그것이 처음이라면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몇 가지 옵션이 있다. 다운링크와 업링크 간의 불일치가 매우 크므로 상호성이 적절한 업링크 빔을 전혀 선택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단계 6은 UE가 단계 5에서 그의 제 1 데이터 뱃치(first batch of data)를 상기 기본 프로토콜(310)의 단계 동안 사용되었던 업링크 빔을 통해 전송한 직후 후속될 것이다. 또는 업링크 빔이 한동안 적합했지만, 그 이후로는 악화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단계 1에서 네트워크가 송신하는 빔 특정 기준 신호는 일반적으로 정적이고, 따라서 기지국이 업링크 상에서의 열화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열화(예를 들어, UE로부터의 더 큰 수의 부정 확인 응답)를 알게 되면, 기지국은, 그 다음 CSI-RS의 뱃치가 전송용으로 스케줄링되거나(LTE에서 CSI-RS가 각각의 물리적 및 가상 안테나 포트로부터 규칙적인 간격으로 드문 드문하게 전송됨), 또는 SSS에 기초한 측정 결과가 보고하도록 트리거링된다면, 상기 기본 프로토콜(310)을 재실행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 중 어느 한 경우에, 기지국은 다운링크 빔 선택을 재평가하고자 하며, 상호성에 대한 기본 프로토콜(310)은 시도할 새로운 업링크 빔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에서의 열화를 알게 된 것에 응답하여, 기지국은 대신에,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20)을 실행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는 기지국의 다음 스케줄링된 CSI-RS 전송까지의 시간 지연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기지국은, 업링크에서의 열화에 대응하는 열화가 다운링크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강화된 프로토콜(320)을 트리거링할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기지국은 업링크에서의 열화는 알지만 다운링크에서의 열화를 알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는 선택된 다운링크 빔이 업링크 빔을 선택하기 위한 적절한 프록시가 아니거나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기지국이 단계 6에서 링크 품질이 좋지 않다는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측정이 존재한다. 비트 또는 블록 오류율(BER 또는 BLER), 상대 신호 강도(RSSI),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NR) 및 채널 상태(CSI)와 같이 많은 것이 무선 기술 분야에서 잘 수립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업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기지국이 강화된 프로토콜(320)을 호출해야 하는 포인트까지 열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에서 업링크 평가에 어떤 특정 측정 메트릭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그 결정은 임의의 수의 방식으로 사용 중인 특정 업링크 빔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프로토콜(310)에 의해 선택된 업링크 빔을 단계 6에서 품질에 대해 평가된 '선택된 빔'으로 간주하면, 기지국은, 아래의 기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아래의 기준이 참이라면, 강화된 프로토콜(320)을 트리거링할 정도로 링크가 열화된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후보 빔은 UE가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업링크 빔이다:
· 선택된 빔의 링크 품질이 임계치 미만이다;
· 다른 후보 빔의 링크 품질이 임계치보다 높다;
· 선택된 빔과 후보 빔 간의 링크 품질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이다;
· 선택된 빔과 후보 빔 사이의 링크 품질의 차이는 오프셋 임계치보다 작으며, 여기서 오프셋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그 결정으로, 기지국은 트리거링 비트(또는 1 비트)를 UE에 전송하여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20)을 호출함으로써 도 3의 단계 6을 완료한다. 일단 트리거링되면, 단계 7에서 UE는 그 후 단계 8에서 네트워크가 측정 및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빔을 통해 업링크 빔 선택 기준 신호(U-BRS)를 송신한다. 이 측정 및 평가로부터, 네트워크/기지국은 업링크 빔을 선택하고 무선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그 선택을 통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 교시에 따른 U-BRS는 네트워크가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송신된다. 도 3은 단계 8에서 통지되고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20)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선택된, 선택된 빔을 통해 네트워크/기지국에 UE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9와 함께 종료한다.
도 4a는 OFDM 심볼 대 무선 주파수(물리적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s, PRB)으로서)의 표이고, 16 개의 후보 빔 및 4 개의 송신-수신 유닛(TXRUs)과 함께 UE에 대한 U-BRS 전송의 일 예를 제공한다. 4 개의 PRB 및 4 개의 OFDM 심볼 내의 리소스 요소는 이 UE의 U-BRS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상이한 빔에 대한 U-BRS는 바람직하게는 기지국 측에서 측정 정확도를 더 잘 보장하기 위해 직교 리소스(orthogonal resources)로 송신된다. 상이한 UE에 대한 U-BRS 전송은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에 의해, 예를 들어, 기본 시퀀스의 시프트를 순환시킴으로써 다중화될 수 있다. 도 4a는, 단지, 일 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교시의 실시예를 전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U-BRS에 대한 다양한 다른 리소스 매핑 및 다중화가 존재한다. 아래의 도 4b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를 위한 몇몇 경우에, UE는 가능한 모든 빔보다 적은 빔을 통해 U-BRS를 전송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빠른 업링크 빔 선택을 달성하기 위해, 동적 트리거링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의 단계 6에서의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주기적이고 정적인 다운링크를 통한 종래의 CSI-RS와는 대조적으로 필요 시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b의 UE에 대해 도시된 8 개의 빔이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모든 가능한 UE 빔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물론 다른 UE에 대해서 모든 UE의 가능한 업링크 빔을 무엇이 구성하는 지는 다를 수 있다. 네트워크는 UE 유형 또는 클래스로부터 이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이 정보는 네트워크에 특정 UE에 대한 총 송신 안테나의 수에 관해 통지할 것이다. UE가 전송하도록 트리거링된 후 자신의 U-BRS를 전송하는 빔은 도 4b의 목적을 위한 후보 빔으로 간주된다.
하나의 사례에서, 네트워크가 UE로 하여금 UE의 모든 가능한 빔을 통해 그의 U-BRS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모든 후보 빔이 측정을 위해 요구될 때, 네트워크는 도 3의 단계 6에서 1-비트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1-비트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또한, 이러한 교시의 실시예가 도 4b에 예시된 빔 서브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20)이 호출될 때 언제든지 네트워크는 1-비트 시그널링으로 이를 트리거링하고, UE는 U-BRS를 가능한 모든 업링크 빔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것이다.
도 4b는 상기 1-비트 시그널링과 비교하여, UE가 U-BRS를 송신하는 후보 빔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빔 선택의 대기 시간뿐만 아니라 U-BRS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보다 고급의 솔루션을 상세화한다. 이 실시예에서, UE의 가능한 업링크 빔 모두는 2 개 이상의 서브 세트로 분할되고, 선택된 서브 세트 내의 빔만이 U-BRS를 전송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이 서브 세트는 그 후 네트워크에 의한 측정을 위한 모든 후보 빔을 나타내고, 선택된 서브 세트에 속하지 않는 빔과 관련된 U-BRS는 송신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더 많은 트리거링 비트가 있을 수 있으며, 3 개의 별개의 서브 세트가 있는 도 4b의 예에서, 강화된 프로토콜(320)을 트리거링하고 어떤 빔 서브 세트가 선택되는지를 나타내는 이중 목적을 위해 최소 2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도 4b에서 정의된 3 개의 서브 세트에 대한 2-트리거링 비트의 일 예를 나타낸다. 2 비트의 값은, 도 3의 단계 6에서 임의의 트리거링 비트를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 및 UE에 대해 사전 정의되고 각각의 로컬 메모리에 저장되는 그러한 테이블에 대한 인덱스로 간주될 수 있다.
U-BRS 트리거링 필드의 값 설명
'00' U-BRS 트리거가 존재하지 않음
'01' 제 1 빔 서브 세트를 갖는 U-BRS
'10' 제 2 빔 서브 세트(들)를 갖는 U-BBRS
'11' 제 3 빔 서브 세트(들)를 갖는 U-BBRS
표 1: U-BRS를 전송하는 업링크 빔의 상이한 서브 세트에 대한 트리거링 비트 값의 예
대안으로, 값 '00'은,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모든 빔의 선택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더 많은 수의 서브 세트 및 그에 대응하여 더 많은 수의 트리거링 비트가 존재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서 몇몇 트리거링 비트는 다수의 다르게 정의된 서브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비트 값 000 및 001은 각각 제 1 및 제 2 서브 세트이고, 비트 값 011은 제 1 및 제 2 서브 세트 모두를 선택한다). 임의의 주어진 빔이 하나 초과의 서브 세트에 나열될 수 있지만, 각각의 서브 세트는 서로 다른 서브 세트로부터 고유하며, 하나의 서브 세트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서브 세트는 UE의 가능한 모든 빔보다 적게 포함한다. 서브 세트로의 빔 분할은 유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각 서브 세트에 대한 인덱스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전개에서, 서브 세트는 주어진 무선 액세스 기술에 특정된 공개된 표준으로 고정되고 사전 정의될 수 있다.
U-BRS 트리거링 필드의 값 설명
'00' 제 1 빔 서브 세트를 갖는 U-BRS
'01' 제 2 빔 서브 세트(들)를 갖는 U-BBRS
'10' 제 3 빔 서브 세트(들)를 갖는 U-BBRS
'11' 제 4 빔 서브 세트(들)를 갖는 U-BBRS
표 2: U-BRS를 전송하는 업링크 빔의 상이한 서브 세트에 대한 트리거링 비트 값의 예
유연하게 정의되거나 고정되어 있든 간에, 서브 세트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첫째, 빔 선택의 견고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빔 서브 세트는 큰 빔 공간이 사이에 존재하는 다수의 직교 빔을 포함해야 한다. 또 다른 대안은 하나의 빔 서브 세트가 모든 가능한 업링크 빔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 4b의 빔 서브 세트 #1은 상기 표의 시그널링 비트 '01'에 의해 트리거링되고 그러한 서브 세트를 나타내며, 각 빔은 서로의 빔에 직교하고 이 서브 세트의 두 개의 빔은 공간적으로 인접하지 않는다. 둘째, 다른 서브 세트 내의 빔은 그들 사이의 작은 공간 간격을 가진 채 연속적일 수 있다. 상기 표에서 각각의 시그널링 비트 '10' 및 '11'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도 4b의 빔 서브 세트 #2 및 #3은, 주어진 서브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이 다른 빔에 공간적으로 인접하여 그러한 서브 세트 내의 모든 빔이 공간적으로 인접하는 빔 그룹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이들 원리를 반영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도 3의 시그널링도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주어진 UE를 서비스하는 AP 클러스터를 갖는 5G 밀리미터파(mmWave)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전송 포인트를 가정하는 것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UE가 업링크 접속을 갖는 각각의 공간적으로 구별되는 전송 포인트의 경우, 일 실시예에서, 이는 강화된 프로토콜(320)의 단일 호출일 수 있고, UE에 대해 트리거링된 단일 서브 세트 및 모든 관련된 전송 포인트는 그 단일 서브 세트의 빔을 통한 UE의 U-BRS 전송으로부터 측정을 행할 수 있고, 그 후, 업링크를 위해 빔이 선택되는 도 3의 단계 8에서 UE로 시그널링하기 전에 그들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가 업링크 접속을 갖는 각각의 공간적으로 구별되는 전송 포인트는 강화된 프로토콜(320)을 호출하거나 호출하지 않도록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UE를 트리거링하고, 다른 전송 포인트를 고려하지 않고, 빔 서브 세트를 식별한다. 이 경우, UE는 임의의 다양한 전송 포인트에 의해 현재 선택된 모든 빔을 통해 송신할 것이다.
아래의 세부 사항을 보다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단일 전송 포인트를 다시 가정하면, UE가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빔을 통해 자신의 U-BRS를 송신할 때, 기지국은 그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의해 선택된 모든 빔(가능한 모든 UE 빔 또는 식별된 서브 세트)을 통해 이러한 U-BRS를 수신할 것이다. U-BRS의 이러한 업링크 전송은 일부 수신 빔이 다른 UE의 데이터 전송용으로는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UE로부터의 업링크 전송의 네트워크 수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U-BRS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셀에 하나 초과의 UE가 있다는 것을 더 고려하여, 위의 교시가 널리 전개된다면, 이러한 문제는 간혹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명확해진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이한 UE들로부터의 U-BRS들은 이들 모두를 하나의 특정 무선 서브 프레임 내로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제시간에 집성될 수 있다.
그 후, 공통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다른 UE들의 데이터 전송과의 다중화를 고려할 때, 자연스러운 선택이 될 것이다. 동적 시그널링 포맷은 DCI 포맷 3/3A를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스크램블링을 위한 새로운 스크램블링 ID, 즉, UE 블라인드 디코딩에 사용되는 업링크 빔 품질 측정 스크램블링 ID를 필요로 한다. 이 예에서, U-BRS를 전송하도록 트리거링된 모든 UE에 대한 트리거링 비트는 각각의 업링크 빔 품질 측정 스크램블링 ID로 스크램블링되고, 그 후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로 자체적으로 스크램블링되는 하나의 DCI 포맷 3 및/또는 3A로 다중화되고, 다운링크를 통해 시그널링되며, 여기서, 이 RNTI는 이 새로운 업링크 빔 선택 기능에 특정적이다. 타겟 UE는 그 RNTI를 사용하여 DCI를 디코딩할 수 있고, 그 후 개별적으로 이전에 서명한 스크램블링 ID를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특정 트리거링 비트를 블라인드 디코딩(blindly decode)할 수 있다. 그 DCI 내에 멀티플렉싱되는 임의의 주어진 UE의 트리거링 비트에 대한 특정 위치(위치 인덱스)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와 사전 배치될 수 있으므로, UE는 그 DCI에서 다중화된 모든 UE에 대한 모든 트리거링 비트를 디코딩하려고 시도할 필요가 없다.
이들 교시의 실시예는 현재의 기술 수준보다 향상된 소정의 기술적 이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빔 특정 기준 신호의 전송은 동적으로 트리거링될 수 있으며, 이는 상호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업링크 빔 선택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다른 이점은 다중 비트가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을 동적으로 트리거링하는 것뿐만 아니라, UE 빔의 특정 서브 세트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점은 서브 세트를 정의하기 위한 위의 지침을 사용함으로써, 즉 견고한 빔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큰 빔 공간을 갖는 다수의 직교 빔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된다. 또한, U-BRS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 트리거링은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서 그룹 단위로 행해질 수 있으므로, 다른 UE에 의해 이루어진 데이터 전송을 통한 U-BRS 전송의 영향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룹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대해 업링크 빔 품질 측정 스크램블링 ID와 같은 새로운 스크램블링 ID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예에서의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노드의 관점에서, 네트워크가 트리거링된 U-BRS에 기반하여 자신의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상기 특징들 중 일부를 요약한 흐름도이다.
블록(502)은 도 3에서 일 예로 도시한 기본 업링크(UL) 빔 선택 프로토콜을 언급하지만, 도 5a에서 다시 반복되지는 않는다. 간략하게, 상호성 유형의 기본 빔 선택 프로토콜(310)에 대한 도 3의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송신 및 수신 빔 형성을 통한 다운링크 상에서의 UE의 측정을 위해 빔 특정 기준 신호(예를 들어, 빔 특정 디스커버리 신호)를 다운링크로 송신한다. 기지국은 그 후 자신에 대한 송신 빔 및 UE에 대한 수신 빔을 선택하고, 빔 선택 결과를 통지한다. 이 통지가 명시적이라면, 그 통지를 위한 한 방법은 기지국이 송신 빔 인덱스 및 수신 빔 인덱스를 UE에 직접 표시하는 것으로 된다. 이 통지가 암시적이라면, 그 통지를 위한 한 방법은 선택된 링크 인덱스를 UE에 표시하는 것으로 되고, 여기서 UE는 측정 결과를 보고할 때, 그 링크 인덱스를 사용하였으므로 기지국과 UE 간의 모호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기본 업링크 빔 선택이 상호성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블록(502)은 일부 포인트에서, 네트워크가 UE로부터 수신하는 업링크 시그널링의 품질에 기초하여 강화된 업링크(UL) 빔 선택 프로토콜을 트리거링하는 다운링크(DL)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한다는 것을 반영한다. 블록(502)에서의 이 업링크 시그널링은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의해 선택된 업링크 빔을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고, 블록(502)은 기본 업링크(UL)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것으로 지정한다.
블록(502)의 다운링크 시그널링은 일부 실시예에서 UE 빔의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를 선택할 수도 있는 전술한 트리거링 시그널링이다. 기지국은, 일부 실시예에서, 일부 임계치에 대한 또는 일부의 다른 후보 업링크 빔에 대한 전술한 업링크 품질의 비교 예와 같은 일부 기준에 기초한 공통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빔 선택 기준 신호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공통 동적 시그널링의 경우, 이 공통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많은 UE들에 의해 공유된다. 그룹 시그널링을 위한 메커니즘은 그룹 송신 전력 제어를 시그널링하는 것과 다소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U-BRS를 전송하도록 UE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공통 동적 시그널링은 다운링크 제어 포맷 DCI3 또는 DCI3A이고 상이한 스크램블링 ID를 갖는다. 다른 스크램블링 ID와 구별하기 위해, 이들은 업링크 빔 품질 측정 스크램블링 ID(uplink beam quality measurement scrambling ID, UBQM_SCID)로 간주될 수 있고, 이것이 각각의 UE에 하나씩 할당되어 각각의 UE는 DCI3/3A를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고, 임의의 UE가 그것을 자신의 할당된 UBQM_SCID로 디코딩할 수 있다는 것은 이 UE는 U-BRS를 전송하도록 트리거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의 트리거링 비트는, 전술한 예와 같이, 빔 서브 세트를 또한 선택하는 단일 비트 또는 하나 초과의 비트일 수 있다.
또한 도 5a에서, 블록(504)의 기지국은 상기 다운링크(DL)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UE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전술한 예에서,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은 트리거링 비트에 따라 업링크 빔을 통해 전송되는 U-BRS이다(여기서, 단일 비트 실시예는 UE의 가능한 모든 빔을 선택한다). 블록(506)에서, 기지국은 업링크 빔을 선택하거나, 또는 보다 광범위하게는 블록(504)에서 수신한 하나 이상의 업 링크 빔을 선택하고, 이 선택은 블록(504)에서 자신이 수신한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측정 및 평가함으로써 획득한 측정 결과에 기초한다. 마지막으로, 블록(508)에서, 기지국은, 가령, 임의의 다양한 종래의 제어 시그널링 메시지에 이 새로운 정보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자신의 빔 선택 결과를 UE에 통지한다.
도 5b는 UE가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20)의 일부분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전술한 특징 중 일부를 요약한 UE 관점에서의 본 발명의 특정 양태의 흐름도이다. 이 교시의 일부 전개에서 이 강화된 프로토콜(320) 직전에 사용될 수 있는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310)은 도 5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호성 기반 유형의 기본 프로토콜의 경우, UE는 다운링크 빔 특정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그 측정을 수행하고, 그 후, 빔 선택이 UE 측에서 이루어진다면, UE는 빔 인덱스를 보고하고, 이와는 달리 빔 선택이 네트워크 측에서 이루어진다면, RSRP/RSRQ와 같은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각각의 빔 측정 결과는 인덱스를 가지며, 하나의 송신 빔 및 하나의 수신 빔과 링크된다. 강화된 프로토콜(320)의 트리거링이 없으면(또는 임의의 그러한 트리거링 이전에), UE는 그 후 상호성에 의해 선택된 업링크 빔에 기초하여 자신의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것이다. 이것은 UE의 다운링크 수신 빔이 UE의 업링크 송신 빔으로서 사용됨을 의미한다.
그러한 기본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도 5b는 블록(552)에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대한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시작하고; 그러한 트리거링 시그널링의 수신에 응답하여, UE는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트리거링 시그널링이 단지 하나의 비트이고 UE를 트리거링하는 경우, 그 트리거링은 UE의 모든 업링크 빔상에서 송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업링크 빔은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다수의 업링크 빔이 된다. 대신에 트리거링 시그널링이 상술한 바와 같이 빔 서브 세트를 식별하는 테이블 인덱스를 선택하는 경우, 그 식별된 서브 세트 내의 빔은 다수의 업링크 빔을 구성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UE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과 관련된 빔만을 통하며, 상기 예에서 UE가 이들 빔을 통해 송신하는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은 U-BRS이 된다. 이것은 UE의 업링크 빔의 선택으로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공통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검출할 때, 블록(552)에서 자신의 업링크 빔 선택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UE는 전술한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UE에서의 프로세싱 지연으로 인해, 다수의 업링크 빔을 통한 U-BRS의 업링크 전송은, UE가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한 다음 수 개의 서브 프레임이 경과된 후, 예를 들어, 4 개의 서브 프레임이 경과된 후에 시작될 수 있다.
UE는 블록(554)에서 블록(552)의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그 응답은 사전 정의된 시그널링을 위해 블록(552)에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을 식별한다. 마지막으로, 블록(556)에서, UE는 블록(554)에서 빔을 식별한 네트워크의 업링크 빔 선택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들 교시의 기술적 효과 중에서, 여기에 기술된 업링크 빔 선택 메커니즘은 빠르고 정확하며, 빔 스위칭 메카니즘은 견고하며, 상호성 기반 선택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보다 더 적절한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수단에 의해 전송 신뢰도 및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보다 효율적인 링크 예산 내에서 쉽게 흡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도 5a 및 도 5b의 각각은 알고리즘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보다 일반적으로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거나, 및/또는 각각의 디바이스(기지국 또는 유사한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또는 UE)의 관점에서 이러한 교시를 구현하는 각각의 도 5a 및 도 5b의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특정 코드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또는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같은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디바이스는 상술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현한다.
도 6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로 식별되는 기지국,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user-plane gateway, uGW)(40)와 함께 위치될 수 있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및 사용자 장비(UE)(10)를 포함한, 이들 기술의 다양한 부분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엔티티의 일부 관련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하이 레벨 도면이다. 도 6의 무선 시스템(630)에서, 통신 네트워크(635)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를 통해, UE(10)로 지칭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장치와 같은 장치와의 무선 링크(632)를 통한 통신을 위해 적응된다. 네트워크(635)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및/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638))와 같은 다른 및/또는 더 광역의 네트워크와의 접속성을 제공하는 MME/서빙-GW(40)를 포함할 수 있다.
UE(10)는 컴퓨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DP)(614)(또는 이들 중 다수)와 같은 제어기와, 컴퓨터 명령어의 프로그램(PROG)(618)을 저장하는 메모리(MEM)(616)(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비일시적인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로서 구현된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매체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와의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무선기(612)와 같은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UE(10)는 MEM/비일시적인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를 판독하고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또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머신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6의 각 엔티티가 하나의 MEM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각각은 다수의 개별 메모리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고, 관련 알고리즘(들) 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프로그램 코드는 이러한 하나의 메모리 또는 수 개의 그러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10)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바일 사용자 장비와, 셀룰러 폰과, 스마트 폰과, 무선 단말기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PDA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게임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음악 저장 및 재생 기기와, 무선 액세스 및 브라우징을 허용하는 인터넷 기기와,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휴대용 유닛 또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는 또한, 컴퓨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DP)(624)(또는 이들 중 다수)와 같은 제어기와, 컴퓨터 명령어의 프로그램(PROG)(628)을 저장하는 메모리(MEM)(626)로서 구현된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매체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UE(10)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또는 무선기(622)와 같은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는 데이터/제어 경로(634)를 통해 MME(40)에 연결된다. 경로(634)는 S1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는 또한 X5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는 데이터/제어 경로(636)를 통해 다른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MME(640)는 컴퓨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DP)(644)(또는 이들 중 다수)와 같은 제어기와, 컴퓨터 명령어의 프로그램(PROG)(648)을 저장하는 메모리(MEM)(646)로서 구현된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매체를 포함한다.
PROG(618, 628) 중 적어도 하나는, 관련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DP)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UE(10)의 Dp(614)에 의해 ,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의 DP(624)에 의해,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및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UE(10) 및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는 또한 각각 전용 프로세서(615 및 625)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616, 626, 및 646)는 국부적인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메모리 디바이스 유형일 수 있고,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광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고정 메모리 및 착탈식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P(614, 624 및 644)는 국부적인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며,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멀티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 기반의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비제한적인 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RF 송수신기(612 및 622))는 국부적인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개별 송신기, 수신기, 송수신기 또는 그러한 컴포넌트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메모리일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메모리는 전파 신호를 포함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는 반송파와 같은 전파 매체가 저장 기능이 없기 때문에 비일시적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메모리의 보다 구체적인 예(비배타적인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적 접속,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대안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속항에 열거된 특징은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특징은 새로운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설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대안,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통신 시스템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기지국은 원격 무선 헤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서버, 호스트 또는 노드로서 구현된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핵심 기능은 (클라우드에 있을 수 있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될 수 있으며, (대기 시간 제한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비슷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가상화라고 지칭된다. "작업 분산"은 클라우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작업과 대기 시간 요구 사항으로 인해 근접하여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으로의 작업 분할에 기반할 수 있다. 매크로 셀/소형 셀 네트워크에서, "작업 분산"은 매크로 셀 노드와 소형 셀 노드 간에 다를 수 있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리소스 및 네트워크 기능을 단일의 소프트웨어 기반 관리 엔티티인 가상 네트워크에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종종, 리소스 가상화와 결합되는 플랫폼 가상화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외부의 많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일부를 가상 유닛 또는 내부의 유닛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분류되어, 단일 시스템 상의 소프트웨어 컨테이너에 네트워크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일부 약어이다.
BS; 기지국(Base Station, 또한 강화된 노드 B에 대해서는 eNB)
DCI; 동적 제어 정보(Dynamic Control Information)
DL; 다운링크(Downlink)
CSI;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MME;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IMO;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mmWave; 밀리미터파
RRC;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INR;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TP;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GW;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user-plane gateway)
U-BRS; 업링크 빔 기준 신호(Uplink Beam Reference Signal)
UL; 업링크(uplink)

Claims (36)

  1.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통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비주기적인 시그널링인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기본 업 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송신되며, 상기 기본 업 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의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위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빔을 선택하는 상호성(reciprocity)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모든 가능한 사용자 장비 업링크 빔의 적어도 2 개의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세트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직교 빔을 정의하고,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다른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빔을 정의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스크램블링 식별자(scrambling identity)와 스크램블링되어,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스크램블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게 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업링크 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사전 정의된 서브 프레임 내에 제각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유사하게 트리거링되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과 다중화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5G 밀리미터파(mmWave) 무선 액세스 기술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9. 컴퓨터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호스트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노드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10. 액세스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상기 액세스 노드로 하여금 적어도,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게 하고,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통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며,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비주기적인 시그널링인
    액세스 노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기본 업 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송신되며, 상기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상기 액세스 노드의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위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빔을 선택하는 상호성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모든 가능한 사용자 장비 업링크 빔의 적어도 2 개의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세트를 선택하는
    액세스 노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직교 빔을 정의하고,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다른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빔을 정의하는
    액세스 노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스크램블링 식별자와 스크램블링되어,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스크램블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게 되는
    액세스 노드.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업링크 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16.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사전 정의된 서브 프레임 내에 제각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유사하게 트리거링 되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과 다중화되는
    액세스 노드.
  17.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는, 5G 밀리미터파(mmWave) 무선 액세스 기술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그의 컴포넌트인
    액세스 노드.
  18.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비주기적인 시그널링인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수신되며, 상기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의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위한 사용자 장비의 빔을 선택하는 상호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위한 모든 가능한 사용자 장비 빔의 적어도 2 개의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세트로서의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직교 빔을 정의하고,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다른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빔을 정의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스크램블링 식별자와 스크램블링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업링크 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사전 정의된 서브 프레임으로 전송되고, 제각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유사하게 트리거링되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과 다중화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5G 밀리미터파(mmWave) 무선 액세스 기술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컴퓨터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27. 사용자 장비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적어도,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응답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며,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비주기적인 시그널링인
    사용자 장비.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에 따라 선택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수신되며, 상기 기본 업링크 빔 선택 프로토콜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의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위한 사용자 장비의 빔을 선택하는 상호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를 위한 모든 가능한 사용자 장비 빔의 적어도 2 개의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세트로서의 업링크 빔을 선택하는
    사용자 장비.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직교 빔을 정의하고,
    상기 사전 정의된 서브 세트 중 다른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빔을 정의하는
    사용자 장비.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스크램블링 식별자와 스크램블링되는
    사용자 장비.
  32.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업링크 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33.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은, 사전 정의된 서브 프레임으로 전송되고, 제각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유사하게 트리거링되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과 다중화되는
    사용자 장비.
  34.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5G 밀리미터파(mmWave) 무선 액세스 기술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인
    사용자 장비.
  35.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통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비주기적인 시그널링인
    액세스 노드.
  36.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에 따른 업링크 빔을 통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식별하는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상기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트리거링 시그널링은 비주기적인 시그널링인
    사용자 장비.
KR1020197001509A 2016-06-17 2016-06-17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KR102185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6153 WO2017214969A1 (en) 2016-06-17 2016-06-17 Enhanced uplink beam selection for massive mimo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712A KR20190018712A (ko) 2019-02-25
KR102185482B1 true KR102185482B1 (ko) 2020-12-03

Family

ID=6066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509A KR102185482B1 (ko) 2016-06-17 2016-06-17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16620B2 (ko)
EP (1) EP3473032A4 (ko)
KR (1) KR102185482B1 (ko)
CN (1) CN109565687B (ko)
WO (1) WO2017214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9916B2 (en) 2013-03-15 2016-04-19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tus for signal interference processing
CA3024175C (en) 2016-06-01 2024-06-11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ignal conditioning to mitigate interference detec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8084135A1 (ja) * 2016-11-01 2018-05-11 株式会社Nttドコモ 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8270470B (zh) * 2016-12-30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发送端设备、接收端设备
CN110278016B (zh) * 2017-01-06 2020-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以及终端设备
EP3577837B1 (en) * 2017-02-03 2022-12-14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779273B2 (en) 2017-03-10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NR uplink transmit beam selection based on PDCCH/PDSCH receive beams
CN108633006B (zh) 2017-03-17 2021-03-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发送波束确定方法和装置
US10298279B2 (en) 2017-04-05 2019-05-21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paths for communication nodes
US10284313B2 (en) 2017-08-09 2019-05-07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etecting, testing, diagnosing and/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812121B2 (en) 2017-08-09 2020-10-20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analyzing passive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089434B2 (en) * 2017-09-27 2021-08-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ports for range esti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
US11212860B2 (en) * 2017-11-29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beam candidates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signal
CN109995405A (zh) * 2017-12-29 2019-07-09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3788775B1 (en) * 2018-05-02 2021-09-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method by a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CN110753388B (zh) * 2018-07-23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管理方法和相关设备
US11184077B2 (en) * 2018-08-03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uplink beam selection for a user equipment
US11812449B2 (en) * 2018-08-10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beam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apability signaling
US10841819B2 (en) * 2018-08-31 2020-11-17 Intel Corporation Scenario adaptive downlink beam management scheduling
US11923945B2 (en) 2018-09-07 2024-03-05 Nokia Technologies Oy Facilitating efficient multi-beam beam recovery
CN110933749B (zh) * 2018-09-20 2023-04-07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指示波束的方法和装置
US11184863B2 (en) * 2018-10-08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beam selection in millimeter wave subject to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constraints
US10951301B2 (en) 2019-01-10 2021-03-16 Apple Inc. 5G new radio beam refinement procedure
DE102020200258A1 (de) 2019-01-10 2020-07-16 Apple Inc. 5g new radio strahlverbesserungsverfahren
CN114145052A (zh) * 2019-08-06 2022-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侧行链路功率控制的装置和方法
EP4052379A4 (en) * 2019-11-02 2023-07-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RADIO STRIPS AND ASSOCIATED CONTROLS AND SYSTEMS
MX2022013464A (es) * 2020-05-07 2022-11-16 Ericsson Telefon Ab L M Distribucion de datos a base de indice de haz para sistemas de radio distribuidos escalables.
WO2022169716A1 (en) * 2021-02-02 2022-08-11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beamforming indication
US11463535B1 (en) * 2021-09-29 2022-10-04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forensic trails to mitigate effects of a poisoned cache
WO2024118042A1 (en) * 2022-11-28 2024-06-06 Rakuten Mobil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uplink pa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9763A1 (en) 2014-10-07 2016-04-07 Mediatek Inc. Beam Administration Methods for Cellular/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2637B1 (en) * 1999-10-14 2005-04-19 Nokia Networks Oy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US7289826B1 (en) 2002-04-16 2007-10-30 Faulkner Interst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selection in a smart antenna system
US7539165B2 (en) 2002-05-24 2009-05-26 Antti Toskal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signaling for uplink rate control
JP5588594B2 (ja) 2007-12-26 2014-09-1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並びに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KR101800221B1 (ko) 2011-08-11 201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1839386B1 (ko) * 2011-08-12 2018-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빔포밍 장치 및 방법
KR101828837B1 (ko) * 2011-09-29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핸드오버 지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57698B1 (ko) 2012-02-06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9439174B2 (en) * 2012-03-27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a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51288B2 (en) * 2012-06-05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hannel sounding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esti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antennas
US9468022B2 (en) * 2012-12-26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US9420576B2 (en) * 2013-04-23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PDSCH transmission schemes with compac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ormat in new carrier type (NCT) in LTE
KR102085003B1 (ko) * 2013-04-30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빔 제공 방법 및 장치
US9473281B2 (en) 2013-06-19 2016-10-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ynamic uplink-downlink re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s
KR102139223B1 (ko) 2013-07-02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동기 설정 및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022850B1 (en) * 2013-07-17 2019-04-03 LG Electronics Inc. Grouping bas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massive mimo scheme
US9948375B2 (en) * 2013-08-05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through beam grou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080645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comprising the computer programs, for receiving and sending a report, respectively
US20150163036A1 (en) * 2013-12-11 2015-06-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igh Resolution Channel Sounding for FDD Communications
CN103716081B (zh) * 2013-12-20 2019-08-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波束确定方法、装置及系统
CN104734761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行波束混合指示的方法、基站、终端和系统
JP6327898B2 (ja) 2014-03-20 2018-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端末装置及び初期接続方法
PT3462798T (pt) * 2014-03-25 2021-11-25 Ericsson Telefon Ab L M Sistema e método para acesso aleatório físico baseado em feixe
US9876549B2 (en) * 2014-05-23 2018-01-23 Mediatek Inc. Methods for efficient beam training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network control device utilizing the same
CN105517107B (zh) * 2014-09-26 2020-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小区间协作的异构网服务小区选择方法及装置
US9578644B2 (en) * 2014-09-26 2017-02-21 Mediatek Inc. Beam misalignment det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US20160105872A1 (en) * 2014-10-14 2016-04-1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trac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483956A (zh) * 2014-11-26 2022-12-16 Idac控股公司 高频无线系统中的初始接入
KR102363547B1 (ko) 2014-11-26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EP3335494A4 (en) * 2015-08-11 2018-08-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overy from beam failure
JP6515049B2 (ja) * 2016-03-15 2019-05-1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3646477A1 (en) * 2017-06-29 2020-05-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etwork node, a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beam selection
US9973849B1 (en) * 2017-09-20 2018-05-15 Amazon Technologies, Inc. Signal quality beam sel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9763A1 (en) 2014-10-07 2016-04-07 Mediatek Inc. Beam Administration Methods for Cellular/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5687B (zh) 2023-07-28
WO2017214969A1 (en) 2017-12-21
CN109565687A (zh) 2019-04-02
EP3473032A1 (en) 2019-04-24
US11916620B2 (en) 2024-02-27
EP3473032A4 (en) 2020-01-08
KR20190018712A (ko) 2019-02-25
US20190253108A1 (en)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482B1 (ko)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CN110546929B (zh) 传输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csi-rs)的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218424B2 (en) Reference signal indications for massive MIMO networks
KR102481397B1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시스템을 위한 사운딩 기준 신호 전력 제어
JP7105798B2 (ja) ビームを復元する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614305B1 (ko) 협조 멀티포인트 동작을 지원하는 채널 측정
US9025487B2 (en) Reference signal port discovery involving transmission points
KR102162409B1 (ko) 매시브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계층적 채널 사운딩 및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1503824A (ja) 情報送信、受信方法及び装置
KR102354792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US10681674B2 (en) Beam training for a radio transceiver device
US103683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adaptation in a beam-based communications system
CN110710133B (zh) 波束管理系统和方法
KR20100081913A (ko) 다중 셀 환경에서 CoMP 수행 셀 결정방법 및 장치
KR101414665B1 (ko) 부분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한 다층 빔포밍
CN110710125B (zh) 波束管理系统和方法
EP3311518A1 (en) A wireless device,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US10666409B2 (en) Mobility reference signal allocation
JP2020145718A (ja) マルチショットcsi−rsを送信する方法,及びユーザ装置
US20190327021A1 (en) Configuration method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ement and related device
KR102146177B1 (ko) 무선-네트워크 노드, 무선 장치 및 이들에서 수행된 방법
US20230027215A1 (en) Resumed beamformed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device
JP7216813B2 (ja) チャネル状態情報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