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299B1 -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299B1
KR102185299B1 KR1020200132321A KR20200132321A KR102185299B1 KR 102185299 B1 KR102185299 B1 KR 102185299B1 KR 1020200132321 A KR1020200132321 A KR 1020200132321A KR 20200132321 A KR20200132321 A KR 20200132321A KR 102185299 B1 KR102185299 B1 KR 102185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transformer
fan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우
Priority to KR102020013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1Aluminium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5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03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04B24/045Ester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4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titanium or zirconium or other 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clay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3Preventing or reducing surge voltages; osci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팬의 회전에너지를 회수하여 소내 발전용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변전소내 전력에너지 절감을 꾀함은 물론, 특히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화재발생시 방화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Multifunctional protection device for power transformer}
본 발명은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팬의 회전에너지를 회수하여 소내 발전용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변전소내 전력에너지 절감을 꾀함은 물론, 특히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화재발생시 방화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특고압(765 kV, 345 kV, 154 kV)은 송전선을 타고 변전소에 공급되며, 변전소에서는 특고압이 22900 볼트(=상전압 13200 볼트)의 전압으로 낮추어져 배전선로를 통해 일반 빌딩이나 공장에 공급되고, 변전소에 공급되는 특고압의 일부는 전주에 부착된 주상 변압기, 기상 변압기를 통하여 220/380 볼트의 사용하기 쉬운 전압으로 낮추어져 주택이나 상점, 소규모의 공장 등에 공급된다.
이러한 변압기는 전자유도 작용에 의하여 한쪽의 권선에 공급한 교류전원을 다른 쪽의 권선에 다른 전압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기기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권선들과 한 개의 공통된 자기회로를 이루는 철심 및 절연유 등의 절연물로 구성된다.
변압기는 사용장소에 따라 소형 변압기, 배전 선로 전주 위에 설치되는 주상 변압기 및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에 설치되는 전력용변압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목적에 따라 시험용 변압기, 접지변압기, 정류기용변압기, 전기로용 변압기 및 방폭형 변압기 등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압기 중에서도 전력용변압기 등은 소음을 많이 방출하기 때문에 변압기 주위에 사는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전력용변압기는 자왜 현상으로 인한 철심의 수축 및 팽창을 통해 소음을 발생시킨 뒤 변압기 케이스 내부의 절연유를 통하여 변압기 케이스로 소음을 전달함으로써 외부로 소음이 방출된다.
뿐만 아니라, 전력용변압기는 사용중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적절히 냉각시키지 못하게 되면 절연유의 성능이 열화되고, 절연 파괴 현상이 생길 수 있어 심각한 설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냉각팬을 이용한 냉각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특히 154kV, 345kV, 765kV와 같은 유입형 변압기를 사용하는 변전소의 경우에는 도 1의 예시와 같은 대형 냉각팬을 다수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냉각팬 구동에 따른 전력소모도 많고, 관리 운용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이들 냉각팬은 회전구동시 많은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버려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전력용변압기는 사용중 열 발생 외에도 큰 소음을 유발하며, 화재 발생시 엄청난 재산손실과 인명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764505호(2017.07.27.), 전력용변압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팬의 회전에너지를 회수하여 소내 발전용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변전소내 전력에너지 절감을 꾀함은 물론, 특히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화재발생시 방화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력용변압기(100)에 설치된 냉각팬(200)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알티네이터(Alternator)(300)와, 상기 알티네이터(300)에서 발생된 교류 전기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기(400)와, 상기 전력변환기(400)에서 변환된 전기를 저장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500)를 포함하는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용변압기(100)들 사이에는 콘크리트방호벽(700)을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방호벽(700)은 시멘트 300kg/㎥, 모래 900kg/㎥, 귀양석 잔골재 700kg/㎥, 3-카르복시-3-부테오익산 25kg/㎥, 메틸 2-메틸프롭-2-에노에이트 25kg/㎥,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200kg/㎥,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15kg/㎥, 시너메이트 10kg/㎥, 2cm 길이를 갖는 아크릴중공사 10kg/㎥ 및 물 200kg/㎥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며; 상기 냉각팬(200)은 팬커버(220)의 내면에 고정된 양축 모터인 팬모터(230)의 제1축(232)에 고정되고; 상기 팬커버(220)는 팬하우징(210)에 고정되며; 상기 팬하우징(210)은 전력용변압기(100)의 외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팬모터(230)의 제2축(234)은 상기 팬커버(2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축(234)에는 상기 팬커버(220)에 고정지지되는 알티네이터(300)가 설치되어 제2축(234)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팬의 회전에너지를 회수하여 소내 발전용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변전소내 전력에너지 절감을 꾀함은 물론, 특히 전력용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화재발생시 방화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변전소에 설치된 전력용변압기의 냉각수단을 보인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호장치가 구현된 전력용변압기의 냉각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력용변압기의 진동감쇄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의 구현예를 보인 예시적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호장치는 전력용변압기를 냉각하는 수단으로부터 회전에너지를 회수하여 소내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발전수단을 포함하므로 먼저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따르면, 전력용변압기에 포함되는 소내 전력용 발전수단은 전력용변압기(100)에 설치된 냉각팬(200)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알티네이터(Alternator)(300)와, 상기 알티네이터(300)에서 발생된 교류 전기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기(400)와, 상기 전력변환기(400)에서 변환된 전기를 저장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알티네이터(300)는 자동차의 발전기인 제너레이터와 같은 개념으로서 제너레이터가 크랭크축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발전하는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알티네이터(300)도 냉각팬(200)의 회전축이 회전할 때 그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발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력변환기(400)는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교류 → 직류 한 방향으로만 에너지를 전달하는 비가역적 전력변환기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ESS(500)는 전력변환기(400)에서 변환한 전기에너지를 직류상태로 저장했다가 빼 쓸때는 교류로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수단이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대단위 설비인 전력용변압기(100)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대형 냉각팬(200)으로부터 발생된 회전운동에너지(K), 즉
K = ½Iω2, (I는 관성모멘트, ω는 각속도)를 알티네이터(300)가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게 되고, 이 전기에너지는 ESS(500)에 저장되었다가 변전소내 보조전력이나 비상전력 혹은 충분한 전력양일 경우에는 계통에 연계하여 발전전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알티네이터(300)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냉각팬(200)의 팬커버(220)에 장착된다.
즉, 냉각팬(200)은 팬커버(220)의 내면에 고정된 팬모터(230)의 제1축(232)에 고정되고, 상기 팬커버(220)는 팬하우징(210)에 고정되며, 상기 팬하우징(210)은 전력용변압기(100)의 외표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팬모터(230)는 양축 모터로서, 상기 냉각팬(200)이 고정되는 제1축(232)과, 상기 팬커버(2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2축(2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축(234) 상에 알티네이터(300)가 설치되어 제2축(234)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게 된다.
이러한 알티네이터(300)는 이미 자동차의 제너레이터와 같이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팬모터(230)가 냉각팬(200)을 회전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모되어 버리던 회전운동에너지를 알티네이터(300)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회수하여 ESS(500)에 저장했다가 변전소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의 일부 혹은 부족분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이 속한 154kV, 345kV, 765kV와 같은 유입형 변압기를 사용하는 변전소의 경우 도 2의 사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형 냉각팬(200) 6개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들로부터 회수되는 전기에너지는 상당히 크다.
때문에, 버려지던 에너지를 회수하여 다른 용처에 활용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통상 6개의 냉각팬(200)은 전력용변압기(100)의 구동과 동시에 상시 구동됨은 물론 워낙 대형이다 보니 그 소비전력이 만만치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력용변압기(100)의 온도상승 정도를 감안하여 최대-중간-최소와 같이 3구간으로 나누고, 구간별로 냉각팬(200)의 구동갯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온도 상승이 최대구간에 이르면 6개의 냉각팬(200)을 모두 구동하라고 컨트롤러(미도시)가 제어하게 되며, 만약 온도 상승이 중간구간에 이르면 4개의 냉각팬(200)을 구동시키되 랜덤하게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랜덤이란 6개의 냉각팬 중 4개를 무작위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으로, 6개의 숫자에서 난수를 발생시켜 4개를 선택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온도 상승이 최소구간에 이르면 2개의 냉각팬(200)만 구동시키되 이 역시 컨트롤러가 랜덤하게 구동시키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이유는 구간별로 특정 냉각팬이 구동되도록 설계했을 경우, 만약 해당 온도 구간에 이르는 경우가 많지 않을 때 그 냉각팬은 거의 동작하지 않은 상태로 오랜기간 지속될 우려가 높고 이럴 경우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랜덤하게 처리하는 것이 매우 합리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전력용변압기(100)를 외부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 4의 예시와 같은 회전감쇄기(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감쇄기(600)는 설치면과 전력용변압기(100) 사이에 구비되어 지진고 같은 외력을 감쇄시키되록 구성된 것으로, 종래 일반적으로 설치되던 단순 스프링 완충 구조가 아닌 로테이팅 토르크를 발생시켜 감쇄하는 독특한 방식을 통해 감쇄능력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전력용변압기(1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감쇄기(600)는 일측단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토르크유도통(620)과, 상기 토르크유도통(620)에 조립되어 외력이 발생했을 때 회전유동하면서 토르크유도통(620) 내부로 삽입되는 회전로드(630)와, 상기 토르크유도통(620)과 회전로드(630) 사이에 개재되는 토르크완충재(6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르크유도통(620)의 타단에는 제1고정플랜지(610)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토르크유도통(620)의 내경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나선형상의 토르크유도홈(6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로드(630)의 일단에는 제2고정플랜지(640)에 끼워져 걸림되는 로드플랜지(632)가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 일부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토르크유도돌기(634)가 돌출되게 나사조립되며, 상기 토르크유도돌기(634)는 상기 토르크유도홈(622)에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제2고정플랜지(640)는 전력용변압기(100)의 하단면에 볼트 체결되는데, 중앙에는 상기 회전로드(6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체결면인 전력용변압기(100)을 바라보는 면에는 일정깊이 단차홈(642)이 요입 형성된다.
이 단차홈(642)은 상기 로드플랜지(632)가 걸려 회전유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로드플랜지(632)가 조립된 후에 전력용변압기(100)의 하단면과 약간의 유격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원활하게 회전유동하면서 회전토르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진동에 의해 외력이 발생되면 회전로드(630)가 회전유동하면서 토르크완충재(650)를 탄압함과 동시에 토르크유도통(620)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회전토르크가 발생되어 외력이 분산, 해소, 제거된다.
때문에, 아주 쉽고 빠르게 외력을 해소할 수 있어 진동으로부터 전력용변압기(10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력용변압기(100)의 내수성, 방습성 및 방오성 특성을 갖도록 외표면이 특정 코팅조성물로 코팅되게 함으로써 절연파괴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코팅조성물은 과황산 암모늄 3중량%, 붕산 3중량%, 라텍스 에멀젼 5.5중량%, ATO(Antimony doped Tin Oxide) 3.5중량%,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 5중량%,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8중량%, 실리콘유 1.5중량%, 모레큐라시브스 3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은 산도를 조절하여 내산화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열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붕산은 붕소를 중심원자로 하는 산소산의 염으로서, 흑연 미세 결정과의 결합에 의해 내산화성이 강화되어 하중과 압력이 걸려도 극히 적은 변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열화를 억제하고, 고온에서의 변형이 적으며, 화학적으로도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라텍스 에멀젼은 연화점을 높이며 신도는 크게 하여 씰링성을 높이면서 고온에서 점도를 증가시켜 내열성 및 마모 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ATO는 내열성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은 액상의 고성능 분산제로서 조색성 및 점도안정성이 우수하며, 성형시 비균일 분산에 따른 핀홀 생성, 기포발생을 방지하여 성형 품질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연화에 따른 신축성을 강화하여 씰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실리콘유는 상기 라텍스 에멀젼이 에멀젼 상태로 배합되기 때문에 기포 생성을 억제하고, 내수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모레큐라시브스는(Molecular Sieves)는 3차원 망목구조 세공 결정 구조의 특성을 이용하여 신축 및 충격완충성을 증대시켜 내구성 향상 및 씰링성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은 소내 발전수단을 갖춘 전력용변압기들 사이에는 도 5와 같은 콘트리트방호벽(700)이 설치된다.
상기 콘크리트방호벽(700)은 일반 콘크리트벽과 달리, 내화기능은 물론 흡음에 따른 소음 차단기능을 갖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크리트방호벽(700)을 다음과 같이 구현한다.
상기 콘크리트방호벽(700)은 콘크리트혼합물로 성형된 콘크리트구조체로서, 콘크리트혼합물은 시멘트 300kg/㎥, 모래 900kg/㎥, 귀양석 잔골재 700kg/㎥, 3-카르복시-3-부테오익산 25kg/㎥, 메틸 2-메틸프롭-2-에노에이트 25kg/㎥,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200kg/㎥,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15kg/㎥, 시너메이트 10kg/㎥, 2cm 길이를 갖는 아크릴중공사 10kg/㎥ 및 물 200kg/㎥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귀양석 잔골재는 3차원 망목구조를 갖추어 고분자 수지의 앵커링을 유도하여 강한 결속력과 함께 난연성분이 함침되게 하여 내화성을 극대화시키는데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3-카르복시-3-부테오익산은 2개의 카르복실기의 음이온성 관응기가 시멘트 표면의 양이온기를 중화하여 입자간 반발력에 영향을 미쳐 균질하고 안정적인 바인딩력을 갖춰 모래와 잔골재 사이의 슬럼프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메틸 2-메틸프롭-2-에노에이트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증대시키면서 내화도를 강화시킨다.
또한,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는 내열성과 내화학성은 물론 인열강도를 증대시키며 자기소화성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아울러,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는 유기화타이타네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고분자 수지와 무기물(규사인 모래, 잔골재 등)간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내열성과 불연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시너메이트(Cinnamate)는 산화를 억제하고, 유화작용을 유도하여 신율을 유지하며, 내부식성, 압축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그리고, 아크릴중공사는 흡음특성을 강화시켜 귀양석 잔골재의 3차원 망목구조와 함께 소음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콘크리트방호벽(700)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재량 28일간 양생 후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46.3MPa로 확인되었고, 동결융해 안정성과 마모저항성도 모두 규격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방호벽(700)은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폭 2cn, 깊이 10cm의 홈이 라인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크릴중공사와 함께 흡음특성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흡음 특성을 확인한 결과, 동일 조건의 소음을 가해 감쇄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일반 콘크리트벽에 비해 10dB 더 낮게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흡음특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내화성을 테스트한 결과, 당연히 난연1등급에 해당되었으며, 특히 자기소화특성이 발현되어 소화기능이 있기 때문에 초기 진화를 촉진하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하는 특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전력용변압기
200: 냉각팬
300: 알티네이터
400: 전력변환기
500: ESS
600: 회전감쇄기
700: 콘크리트방호벽

Claims (1)

  1. 전력용변압기(100)에 설치된 냉각팬(200)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알티네이터(Alternator)(300)와, 상기 알티네이터(300)에서 발생된 교류 전기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기(400)와, 상기 전력변환기(400)에서 변환된 전기를 저장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500)를 포함하는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용변압기(100)들 사이에는 콘크리트방호벽(700)을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방호벽(700)은 시멘트 300kg/㎥, 모래 900kg/㎥, 귀양석 잔골재 700kg/㎥, 3-카르복시-3-부테오익산 25kg/㎥, 메틸 2-메틸프롭-2-에노에이트 25kg/㎥,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200kg/㎥,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15kg/㎥, 시너메이트 10kg/㎥, 2cm 길이를 갖는 아크릴중공사 10kg/㎥ 및 물 200kg/㎥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며;
    상기 냉각팬(200)은 팬커버(220)의 내면에 고정된 양축 모터인 팬모터(230)의 제1축(232)에 고정되고; 상기 팬커버(220)는 팬하우징(210)에 고정되며; 상기 팬하우징(210)은 전력용변압기(100)의 외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팬모터(230)의 제2축(234)은 상기 팬커버(2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축(234)에는 상기 팬커버(220)에 고정지지되는 알티네이터(300)가 설치되어 제2축(234)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KR1020200132321A 2020-10-14 2020-10-14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KR102185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321A KR102185299B1 (ko) 2020-10-14 2020-10-14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321A KR102185299B1 (ko) 2020-10-14 2020-10-14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299B1 true KR102185299B1 (ko) 2020-12-03

Family

ID=7377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321A KR102185299B1 (ko) 2020-10-14 2020-10-14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0858A (zh) * 2022-02-22 2022-04-15 徐泽辉 一种稳定具有防护结构便于拆卸的变压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548A (ja) * 2008-07-17 2011-11-17 ベースロード・エナ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モータ/発電機を備える発電システム
KR20120056971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팬 모터를 이용한 차량용 풍력발전 시스템
KR20120100228A (ko) * 2011-03-03 2012-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풍력발전 시스템의 초기 구동을 위한 양방향 컨버터, 그를 포함한 초기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40083353A (ko) * 2012-12-26 2014-07-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전원 회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4505B1 (ko) 2015-12-16 2017-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용 변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548A (ja) * 2008-07-17 2011-11-17 ベースロード・エナ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モータ/発電機を備える発電システム
KR20120056971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팬 모터를 이용한 차량용 풍력발전 시스템
KR20120100228A (ko) * 2011-03-03 2012-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풍력발전 시스템의 초기 구동을 위한 양방향 컨버터, 그를 포함한 초기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40083353A (ko) * 2012-12-26 2014-07-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전원 회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4505B1 (ko) 2015-12-16 2017-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용 변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0858A (zh) * 2022-02-22 2022-04-15 徐泽辉 一种稳定具有防护结构便于拆卸的变压器
CN114360858B (zh) * 2022-02-22 2023-12-0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一种稳定具有防护结构便于拆卸的变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299B1 (ko) 전력용변압기의 다기능 방호장치
Agrawal Industrial power engineering handbook
US6180888B1 (en) Pulsed voltage surge resistant magnet wire
KR102185310B1 (ko) 복합 중성점접지 변압기 리액터를 포함하고 방호기능을 갖는 전력용변압기 시스템
KR102185288B1 (ko) 전력용변압기용 냉각기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
KR101956207B1 (ko) 지중배전선로의 작업구간 환기시스템
KR101973970B1 (ko) 낙뢰방지와 감시기능을 갖춘 가공 배전선로
KR100947260B1 (ko) 몰드 변압기 및 그의 냉각장치 설치방법
Samek et al. A review of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 composites filled with Al 2 O 3 or SiO 2
KR200474299Y1 (ko) 몰드변압기
Ilyin et al. Regularities of changes in material properties for some polymer-concrete ratios
CN109295853B (zh) 一种风车式斜拉索减振系统
JPWO2007010988A1 (ja) 高耐熱導線及び高耐熱電磁機器
CN108091439B (zh) 一种阻燃耐火太阳能光伏电缆
CN114121402A (zh) 一种磁悬浮电磁铁单元及其封装方法
CN212461296U (zh) 一种阻燃导热的干式变压器
JP3863800B2 (ja) 鉄損特性の優れた樹脂封止型鉄芯
CN205348873U (zh) 一种高低压预装式变电站
JPS61280738A (ja) 耐熱性絶縁線輪の製造方法
CN220020808U (zh) 快速散热型干式变压器
WO2018142710A1 (ja) 樹脂組成物、絶縁材及び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102564400B1 (ko) 개선된 방열 성능을 갖는 전기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EP3971912A1 (en) Electrically insulating hybrid resin system
Zhang et al. Silicone based electrical insulation material for high speed/voltage rotating machines
Chao Solid cast transfor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