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775B1 -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 Google Patents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775B1
KR102184775B1 KR1020200016686A KR20200016686A KR102184775B1 KR 102184775 B1 KR102184775 B1 KR 102184775B1 KR 1020200016686 A KR1020200016686 A KR 1020200016686A KR 20200016686 A KR20200016686 A KR 20200016686A KR 102184775 B1 KR102184775 B1 KR 10218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string
expansion
mask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세화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손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세화 filed Critical 손세화
Priority to KR102020001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판상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마스크본체(10)에 체결되는 조절구본체(100), 상기 조절구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상부수직절개부(111)와, 상기 조절구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하부수직절개부(112)와, 일측이 각각 상기 상부수직절개부(111) 및 하부수직절개부(112)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마스크본체(10) 반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타측 끝단은 뾰족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끈삽입홀(110)과, 상기 두 끈삽입홀(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에 마스크본체(10) 반대측으로 확장된 형태의 호형의 선상으로 절개된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로 구성된 확장절개부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를 연결하면서 선상으로 절개된 연결절개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끈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중간관통홀(13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끈 길이 조절 및 고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mask hanging-band adjuster and mask with it}
본 발명은 마스크의 끈 길이 조절 및 길이 조절 후의 끈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의 걸이밴드(끈) 조절구에 관한 기술로는, 중앙에 요홈 및 안내손잡이를 형성하고 양측에 접힘부를 설치하여 안내손잡이 측으로 걸이밴드를 돌출시켜 길이를 조정하고, 걸이밴드를 당길 때는 접힘부에 의해 걸이밴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 '방진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107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걸이밴드의 장력 지지가 단순한 마감부재의 단부에 의한 지지로서, 장시간 착용시나 착용자의 대화와 같은 얼굴 안면의 움직임에의한 자연적인 장력해제를 가져오거나 걸이밴드의 장력 조절시 항상 상하부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선택적인 상하부의 장력 조절시 재차 걸이밴드를 풀거나 당김을 반복하여야 함으로 장력조절상의 번거루움과 이로 인한 착용 및 해제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이중 절곡선에 의한 유동식 밀착날개를 갖는 일회용방진마스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486호, 특허문헌 2)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의 기술은 조절구의 상하면을 절개하여 일측면에 작동돌기를 갖는 탄력편을 형성하고, 상하 단부에 이탈방지클립을 형성하되, 탄력편의 일단과 조절구에 서로 계지되는 계지홈과 계지돌기를 형성하고, 탄력편 상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조절구의 정면과 탄력편의 후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걸이밴드가 요홈과 공간부를 따라 절곡 삽입되게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걸이밴드를 당김으로써 걸이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가 어려우면, 사출 성형시 탄성편, 계지돌기, 계지홈 등의 구조물이 설계대로 제조되지 않을 수 있고, 계지돌기와 계지홈의 결합력에 의해 걸이밴드가 고정되는 바, 걸이밴드의 연결 및 길이조절 시 탄력편을 조절구에 결합 및 분리하여야 하므로 걸이밴드의 고정 및 길이조절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결합상태의 계지돌기와 계지홈이 이탈되어 걸이밴드가 조절구에서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마스크용 걸이밴드 조절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8888호, 특허문헌 3)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의 기술은 조절구 본체에 종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면서 상호 마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어 걸이밴드를 지지하는 제1지지편 및 제2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많이 해소한 것이긴 하나, 조절구를 제조하여 조절구와 마스크본체를 연결한 후, 걸이밴드를 설치할 때는 완전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며, 제1지지편에서 제2지지편, 다시 제1지지편으로 걸이밴드를 절곡하면서 끼워야 해 연결하는 작업자의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품은 사출 성형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실제 사용 결과 길이 조정을 한 후 걸이밴드를 당기게 되면 길이 조절을 위해 돌출된 걸이밴드가 유동하여 길이 조정을 한 후 고정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210호, 특허문헌 4)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4는 탄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마스크본체(10)에 체결되는 조절구본체와, 상기 조절구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상부수직절개부와, 상기 조절구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하부수직절개부와, 일측이 각각 상기 상부수직절개부 및 하부수직절개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마스크본체 반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타측 끝단은 뾰족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걸이밴드삽입홀과, 상기 두 걸이밴드삽입홀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에 마스크본체 반대측으로 확장된 형태의 호형의 선상으로 절개된 상부확장절개부와 하부확장절개부로 구성된 확장절개부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와 하부확장절개부를 연결하면서 선상으로 절개된 연결절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4는 특허문헌 1 내지 3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된 끈 조절 작업 후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특허문헌 4의 끈 조절 방법은 일례로 끈을 짧게 조절할 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확장절개부 및 하부확장절개부에 걸이밴드의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걸이밴드의 상측 및 하측을 마스크본체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부확장절개부 및 하부확장절개부의 끝단에 끼워진 걸이밴드가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느슨해지게 된다.
이때, 걸이밴드의 돌출부를 마스크본체 반대방향으로 당겨 걸이밴드가 다시 상부확장절개부 및 하부확장절개부의 끝단에 끼워지게 되고, 그 다음 걸이밴드의 상측 및 하측 부분을 당기게 되면 걸이밴드의 길이가 짧아진 채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착용자가 끈을 많이 짧아지게 하기 위해서 걸이밴드를 마스크본체 방향으로 아무리 많이 이동시키더라도 돌출부를 당기게 되면 마스크본체 측으로 이동한 걸이밴드가 전부 돌출부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를 마스크본체 반대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마스크본체 측으로 이동했던 밴드 전체가 마스크본체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할 틈 없이 순식간에 확장절개부의 끝단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걸이밴드가 확장절개부의 끝단에 걸리지 않도록 손으로 잡아주면서 돌출부를 잡아당겨야 하는 바, 조작이 불편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KR 20-0321107 (2003.07.11) KR 20-0335486 (2003.11.28) KR 20-0348888 (2004.04.16) KR 20-0446210 (2009.09.29)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의 발명자가 선등록받았던 특허문헌 4를 보다 개량함으로써 끈 길이 조절 및 고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절개부의 일측에 중간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끈 길이 조절이 필요할 때 끈의 일측이 중간관통홀에 위치케 하여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끈의 일측이 중간관통홀과 확장절개부의 단부 사이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간편하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관통부가 확장절개부와 접선을 이루어 끈 삽입시 관통부로의 삽입 가능성은 최소화하고, 꼬리부의 형성에 따라 확장절개부 단부에서 반대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관통부로 용이하게 끼워지게 함으로써 조작 전환이 용이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확장절개부가 보다 수직으로 경사진 형상을 취함으로써 상기한 조작 전환의 오동작 확률을 저감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판상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마스크본체(10)에 체결되는 조절구본체(100), 상기 조절구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상부수직절개부(111)와, 상기 조절구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하부수직절개부(112)와, 일측이 각각 상기 상부수직절개부(111) 및 하부수직절개부(112)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마스크본체(10) 반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타측 끝단은 뾰족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끈삽입홀(110)과, 상기 두 끈삽입홀(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에 마스크본체(10) 반대측으로 확장된 형태의 호형의 선상으로 절개된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로 구성된 확장절개부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를 연결하면서 선상으로 절개된 연결절개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끈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중간관통홀(13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중간관통홀(130)은, 상기 끈이 관통할 정도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 만나는 지점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 접선을 이루는 관통부(131)와, 상기 관통부(131)와 연통된 채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 본체 반대측 단부 또는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까지 연결되며,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로 점차 거리가 짧아져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만나는 꼬리부(1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간관통홀(130)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끈삽입홀(110)은 좌우방향 길이가 상기 끈 직경의 1.5 ~5배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관통부(131)은 직경이 끈 직경의 1 ~ 1.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는 연결절개부(123)와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는 상기한 끈 조절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본 출원의 발명자가 선등록받았던 특허문헌 4를 보다 개량함으로써 끈 길이 조절 및 고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절개부의 일측에 중간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끈 길이 조절이 필요할 때 끈의 일측이 중간관통홀에 위치케 하여 길이 조절이 용이해진다.
더하여, 끈의 일측이 중간관통홀과 확장절개부의 단부 사이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간편하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관통부가 확장절개부와 접선을 이루어 끈 삽입시 관통부로의 삽입 가능성은 최소화하고, 꼬리부의 형성에 따라 확장절개부 단부에서 반대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관통부로 용이하게 끼워지게 함으로써 조작 전환이 용이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확장절개부가 보다 수직으로 경사진 형상을 취함으로써 상기한 조작 전환의 오동작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끈 조절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서 끈 길이를 길게 조절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끈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끈 일측이 상부확장절개부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서 끈 일측이 중간관통홀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는 크게 조절구본체(100)와, 조절구본체(100) 상의 상부수직절개부(111), 하부수직절개부(112), 끈삽입홀(110), 확장절개부, 연결절개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여기에 중간관통홀(130)이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간관통홀(130)을 제외한 구성은 본 출원의 발명자가 선등록받은 특허문헌 4에 소개되어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구본체(100)는 탄성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이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판상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마스크본체(10)에 체결되는 구조다.
마스크본체(10)에 고정되는 방식은 종래의 조절구본체(100)를 체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초음파 접착을 실시할 수도 있고, 제품이 얇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점을 감안하여 박음질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보다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면기호 'a'는 마스크본체(10)에 접착되는 부위인 접착부(a)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수직절개부(111)는 도 2, 3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구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수직절개부(112) 역시 도 2,3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구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끈삽입홀(110)은 각각 일측이 상부수직절개부(111) 및 하부수직절개부(112)와 연결되어 있고, 도 2, 3에 도시된 것처럼 타측이 마스크본체(10) 반대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그 타측 끝단은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확장절개부는 각각 두 끈삽입홀(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측의 끈삽입홀(110) 하부에는 상부확장절개부(122)가, 하부측의 끈삽입홀(110) 상부에는 하부확장절개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확장절개부(122)는 도면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상향의 호형으로 절개되어 있고, 하부확장절개부(121)는 도면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하향을 호형으로 절개되어 있어 결국,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확장된 형태로 절개되어 있다.
연결절개부(123)는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를 연결하면서 절개되어 있다.
상부확장절개부(122), 하부확장절개부(121), 연결절개부(123)는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확장절개부(122), 하부확장절개부(121), 연결절개부(123)에 둘러쌓인 공간은 일종의 손잡이(120) 역할을 하여 이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조절구본체(100)를 벌려 끈(200)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수직절개부(111), 상부확장절개부(122), 연결절개부(123), 하부확장절개부(121) 및 하부수직절개부(112)는 모두 선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부수직절개부(111) 및 하부수직절개부(112)는 삽입된 끈(200)이 밖으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는 사이에 끼이는 끝(200)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게 모서리에서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끈삽입홀(110)은 도시된 것처럼 측방향 내경이 길게 형성된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끈삽입홀(110)과 상부수직절개부(111)의 연결지점은 도시된 것처럼 일측 끝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절구본체(100)와 마스크본체(10)가 연결되는 지점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끈삽입홀(110)에 삽입된 끈(200)이 잘 빠져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끈삽입홀(110)은 마스크본체(10) 반대측의 끝단이 상기 확장절개부의 일측 끝단보다 마스크본체(10)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끈(200)을 설치한 상태에서 끈(200)을 잡아당길 때 걸이 조절을 위해 내측에 돌출된 부분과 바깥측의 끈(200)이 최대한 크게 벌어진 각도를 유지시켜 끈(200)이 잘 이탈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중간관통홀(130)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 구성요소로 특허문헌 4와의 차별성을 갖게 해준다.
중간관통홀(130)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끈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중간관통홀(130)은 관통부(131)와 꼬리부(132)로 구성된다.
관통부(131)는 상기 끈이 관통할 정도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 만나는 지점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 접선을 이룬다.
꼬리부(132)는 상기 관통부(131)와 연통된 채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 본체 반대측 단부 또는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까지 연결되며,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로 점차 거리가 짧아져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만난다.
이러한 중간관통홀(130)은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처럼 둘 중의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끈(200) 길이 조절이 끈(200) 일측을 중간관통홀(130)에 끼워 조절한 후 끈(200)의 외곽 단부나 돌출부(200a) 단부를 잡아당겨 중간관통홀(130)에 끼워진 끈(200)이 확장절개부의 단부로 이동시켜 고정하게 되는데, 중간관통홀(130)이 두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끈(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동작이 보다 복잡해져 사용이 불편해지기 때문이다.
더하여, 상기 관통부(131)는 직경이 끈(200) 직경의 1 ~ 1.4배 정도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끈삽입홀(110)은 좌우방향 길이가 상기 끈 직경의 1.5 ~5배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끈삽입홀(110)은 확장절개부의 단부와 함께 끈(200)을 고정해주는 역할도 하지만 끈(200) 길이 조절시에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해 착용자가 손쉽게 끈(200)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두는 것이며, 반대로 끈삽입홀(110)의 경우 기본적으로 끈(200)을 고정하기 위한 확장절개부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크면 안되고, 길이 조절시에만 일시적으로 끈(200)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끈(200)이 관통할 정도의 최소한의 공간만을 형성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관통부(131)의 직경은 끈 직경의 1 ~ 1.2배 정도가 적당하다 할 것이다.
더하여, 관통부(131)가 확장절개부와 연결되는 지점이 접선이 되도록 함에 따라 마스크본체 측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절개부의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관통부(131)의 일측 내주면은 반대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133)를 형성하기 때문에 끈(200) 길이 조절을 위해 마스크본체 측과 반대편에 위치한 확장절개부의 단부에 끼워져 있는 끈(200)을 반대 방향 즉, 마스크본체 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자연스럽게 끈(200)이 관통부(131)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절구에 끈(200)을 설치할 때 상부수직절개부(111), 하부수직절개부(112) 및 연장절개부(123)가 벌어진 상태로 그 틈으로 끈(200)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돌출부(200a)를 마스크본체 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꺾임부(13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끈(200) 일측이 관통부(131)에 삽입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확장절개부의 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꼬리부(132)는 끈(200) 길이 조절을 위해 확장절개부의 단부에 끼워진 끈을 마스크본체 측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때 점차 너비가 넓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관통부(131)로의 삽입을 가이드해주게 된다.
이때, 꼬리부(132)의 단부가 확장절개부의 마스크본체 반대측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까지 연결될 경우 끈(200) 고정시에는 확장절개부에 완전히 끼워져 유동이 억제되며, 확장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끈(200)이 위치하면서는 자연스럽게 꼬리부(132)를 통한 끈(200) 이동의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특허문헌 4에서는 초기 설치시 끈(200) 삽입이 용이하도록 확장절개부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보다 중간의 볼록한 부분이 상,하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확장절개부(122)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도 연결절개부(123)와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구간에서는 하향으로 라운드진 다음 상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확장절개부(121)는 반대로 연결절개부(123)와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구간에서는 상향으로 라운드진 다음 다시 하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에 볼록한 구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중간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초기에 끈(200) 설치시 잘못하면 끈(200)이 관통부(131)에 끼워질 우려가 있다.
즉, 볼록한 구간의 형성에 의해 확장절개부의 양 끝단 사이의 높이차가 적기 때문에 끈(200)이 관통부(131)에 끼워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 확장절개부는, 특허문헌 4와 같이 중간에 볼록한 부분이 형성되지 않고 경사진 형태로만 형성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는 연결절개부(123)와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되어 볼록한 구간이 없어지며, 확장절개부의 양 끝단 사이의 높이차가 커, 경사도가 커짐으로써 구간을 통과하는 끈(200)이 관통부(131)에 끼워지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화된 공장 설비를 통해 조절구에 끈(200)을 설치할 때 상부수직절개부(111), 하부수직절개부(112) 및 연장절개부(123)가 벌어진 상태로 그 틈으로 끈(200)을 삽입하여 연장절개부(123)의 폭이 좁음과 상관 없이 연장절개부(123)로 끈이 원할하게 삽입되게 하면서 돌출부(200a)를 잡아당길 때 끈(200)은 관통부(131)에 끼워지지 않고 확장절개부의 단부까지 원할하게 끼워져 제조 자동화 역시 무리 없이 진행될 수 있게 해준다.
더하여,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마스크본체(10)와, 상기 마스크본체(10)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전술한 조절구 및 각 조절구에 연결되어 있는 끈(200)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끈 조절구에 끈(200)을 설치하는 과정은 전술한 것처럼 상부수직절개부(111), 하부수직절개부(112) 및 연장절개부(123)가 벌어진 상태로 그 틈으로 끈(200)을 삽입한 후, 상부수직절개부(111) 및 하부수직절개부(112)의 단부 사이의 부분인 돌출부(200a)를 마스크본체 반대편으로 잡아당기면 일련의 설치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할 끈의 길이를 짧게 즉, 돌출부(200a)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상부확장절개부(122)의 단부와 끈삽입홀(110) 단부 사이에 끼워진 끈(200)의 일부분인 끼움고정부(200b)를 손으로 잡고 상부확장절개부(122)의 마스크본체 측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꼬리부(132)의 가이드를 받아 끼움고정부(200b) 일측이 관통부(131)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200a)를 마스크본체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끈(200)이 관통부(131)에 끼워진 상태로 마스크본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부(200a)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때, 잡아당기는 방향은 마스본체의 정 반대 방향보다는 조절구의 상면 측에서 살짝 마스크본체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끈(200)은 관통부(131)에만 끼워져 있는 채 이동하게 된다.
길이 조절이 끝나 끈(200)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끈(200)의 마스크본체 반대편 단부를 잡고, 마스크본체 반대편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자연스럽게 관통부(131)에 끼워져 있던 끈(200)이 꼬리부(132)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상부확장절개부(122)의 단부에 끼워짐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돌출부(200a)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끼움고정부(200b) 일측이 관통부(131)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하여 관통부(131)에서 끈(200)이 원할하게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끈(200)의 중간을 잡고 대략 상측이나 조절고의 표면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자연스럽게 돌출부(200a)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것처럼 끈(200)의 마스크본체 반대편 단부를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자연스럽게 끈(200)이 꼬리부(132)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상부확장절개부(122)의 단부에 끼워짐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 상태는 특허문헌 4에서 길이 조절을 하고자 하는 경우 끈이 금방 확장절개부의 단부에 걸려 길이 조절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하던 것이 매우 용이하게 개선된 것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마스크 끈 조절구는 황사 마스크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마스크,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등 마스크본체의 틈을 최소화하기 위해 끈 조절이 중요한 각종 마스크의 끈 조절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마스크본체 100 : 조절구본체
110 : 걸이밴드삽입홀 111 : 상부수직절개부
112 : 하부수직절개부 120 : 손잡이
121 : 하부확장절개부 122 : 상부확장절개부
123 : 연결절개부 130 : 중간관통홀
131 : 관통부 132 : 꼬리부
133 : 꺽임부 200 : 끈
200a : 돌출부 200b : 끼움돌출부
a : 접착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탄성을 갖는 판상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마스크본체(10)에 체결되는 조절구본체(100), 상기 조절구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상부수직절개부(111)와, 상기 조절구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하부수직절개부(112)와, 일측이 각각 상기 상부수직절개부(111) 및 하부수직절개부(112)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마스크본체(10) 반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타측 끝단은 뾰족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끈삽입홀(110)과, 상기 두 끈삽입홀(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에 마스크본체(10) 반대측으로 확장된 형태의 호형의 선상으로 절개된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로 구성된 확장절개부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를 연결하면서 선상으로 절개된 연결절개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에만 중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끈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중간관통홀(130)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간관통홀(130)은,
    상기 끈이 관통할 정도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 만나는 지점은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 접선을 이루고, 접선을 이룸에 따라 일측 내주면이 마스크 본체 측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부(131)와,
    상기 관통부(131)와 연통된 채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 본체 반대측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까지 연결되며,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로 점차 거리가 짧아져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만나는 꼬리부(1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끈삽입홀(110)은 좌우방향 길이가 상기 끈 직경의 1.5 ~5배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관통부(131)은 직경이 끈 직경의 1 ~ 1.2배이며,

    상기 상부확장절개부(122)와 하부확장절개부(121)는 연결절개부(123)와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중간에 볼록한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라운드지게 경사진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5. 삭제
  6. 황사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본체(10)와;
    상기 마스크본체(10) 양측에 체결되는 제 4항의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와;
    각 조절구에 설치된 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KR1020200016686A 2020-02-11 2020-02-11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KR10218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86A KR102184775B1 (ko) 2020-02-11 2020-02-11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86A KR102184775B1 (ko) 2020-02-11 2020-02-11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775B1 true KR102184775B1 (ko) 2020-11-30

Family

ID=7364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86A KR102184775B1 (ko) 2020-02-11 2020-02-11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903B1 (ko) * 2021-03-15 2021-08-26 조현태 마스크 끈 고정구를 구비한 마스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07Y1 (ko) 2003-04-18 2003-07-22 이상호 방진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조
KR200335486Y1 (ko) 2003-09-09 2003-12-06 이용철 이중 절곡선에 의한 유동식 밀착날개를 갖는 일회용방진마스크
KR200348888Y1 (ko) 2004-02-02 2004-04-29 이용철 마스크용 걸이밴드 조절구
KR200446210Y1 (ko) 2009-02-05 2009-10-08 주식회사 해밀유역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
KR20130109654A (ko) * 2012-03-28 2013-10-08 안철 밴드 결합이 용이한 마스크
KR20170104194A (ko) * 2016-03-07 2017-09-15 주식회사 네오메드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200488541Y1 (ko) * 2018-06-14 2019-02-19 (주)아텍스 끈 조절 마스크
KR102060979B1 (ko) * 2019-05-16 2019-12-31 김회철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00000195A (ko)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에버그린 3면 접이식 마스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07Y1 (ko) 2003-04-18 2003-07-22 이상호 방진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조
KR200335486Y1 (ko) 2003-09-09 2003-12-06 이용철 이중 절곡선에 의한 유동식 밀착날개를 갖는 일회용방진마스크
KR200348888Y1 (ko) 2004-02-02 2004-04-29 이용철 마스크용 걸이밴드 조절구
KR200446210Y1 (ko) 2009-02-05 2009-10-08 주식회사 해밀유역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
KR20130109654A (ko) * 2012-03-28 2013-10-08 안철 밴드 결합이 용이한 마스크
KR20170104194A (ko) * 2016-03-07 2017-09-15 주식회사 네오메드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200488541Y1 (ko) * 2018-06-14 2019-02-19 (주)아텍스 끈 조절 마스크
KR20200000195A (ko)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에버그린 3면 접이식 마스크
KR102060979B1 (ko) * 2019-05-16 2019-12-31 김회철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903B1 (ko) * 2021-03-15 2021-08-26 조현태 마스크 끈 고정구를 구비한 마스크
WO2022196864A1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두지 마스크 끈 고정구를 구비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210Y1 (ko)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
JP6362613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US5322037A (en) Collar for a cat
EP2918188B1 (en) Slide adjuster
US5471714A (en) Device for adjustable attachment of a strap
TW200847958A (en) Slide fastener top end stop
US7574779B2 (en) String holder
KR102184775B1 (ko) 황사마스크 끈 조절구 및 이를 구비한 황사마스크
JP5848315B2 (ja) ブレスレットの使用可能な長さ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ブレスレットの中留
EP0995366B1 (en) Intermediate clasp for band type ornaments
WO2016178275A1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US10588383B2 (en) Buckle
KR20020002338A (ko) 버클
EP0311042B1 (en) Buckle assembly
EP0348857B1 (en) Buckle
US9693606B2 (en) Slider assembly and zipper comprising same
CN109068865B (zh) 表皮材料固定用夹子
KR100660271B1 (ko) 후킹 장치
JP3205190U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KR840000533Y1 (ko) 버클(혁대를 죄는 쇠 buckle)
JP5215646B2 (ja) 装身具の中留構造
KR102323618B1 (ko) 마스크의 걸이끈 조절 기구
US20070209163A1 (en) Tie support and tie having the same
JP2005112147A (ja) 浮力調整器
JP6997649B2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