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628B1 -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628B1
KR102184628B1 KR1020200053578A KR20200053578A KR102184628B1 KR 102184628 B1 KR102184628 B1 KR 102184628B1 KR 1020200053578 A KR1020200053578 A KR 1020200053578A KR 20200053578 A KR20200053578 A KR 20200053578A KR 102184628 B1 KR102184628 B1 KR 102184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il
cultivation
dispose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희철
Original Assignee
(주)한국환경복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환경복원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환경복원기술
Priority to KR102020005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6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7/00Machines for lifting and treating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soil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vertical and horizontal cultivation for a stacked structure of contaminated soil. In addition to an apparatus for spraying chemicals while forming an insertion hole through a pile perpendicular to the contaminated soil, a horizontal cultivation apparatus for spraying chemicals while cultivating the contaminated soil horizontally from the rear is formed. Therefor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contaminated soil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토양정화 경작장치{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Soil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equipment{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본 발명은 오염토양의 적층구조에 대한 수직경작과 수평경작을 수행하는 토양정화 경작장치 구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soil cleaning and cultiv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vertical and horizontal cultivation for a stacked structure of contaminated soil.

토양 오염에 의한 토양생태계 및 인체에 미치는 환경적 피해가 부각되면서 미국 등 선진국에서 다양한 토양복원방법이 개발되고 적용되어 왔다. 유류오염 토양복원방법은 오염토양의 굴착여부에 따라 원위치(In-situ) 복원방법과 비원위치(Ex-situ) 복원방법으로 구분되고, 적용되는 기술의 특성에 따라 생물학적 복원방법 및 물리, 화학적 복원방법으로 구분된다. 특히 생물학적 복원방법은 유류분해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활용하거나 식물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물리, 화학적 복원방법에 비해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복원방법으로 토양경작법(Landfarming), 바이오파일(Biopile), 바이오벤팅 (Bioventing), 에어스파징(Air Sparging) 등의 다양한 복원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Various soil restor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s the environmental damage to the soil ecosystem and human body by soil pollution has emerged. Oil-contaminated soil restoration methods are divided into in-situ restoration methods and ex-situ restoration methods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aminated soil is excavated, and biological restoration methods and physical and chemical restoration method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technology. It is divided into methods. In particular, the biological restoration method utilizes microorganisms or plants with oil decomposition capability, and is an eco-friendly and economical restoration method compared to physical and chemical restoration methods, such as land farming, biopile, and bioventing. Various restoration methods such as (Bioventing) and Air Sparging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토양경작법 및 바이오파일법은 대표적인 비원위치 복원방법으로 국내에서도 다수의 유류오염토양복원에 적용되었다. 토양경작법은 굴착된 오염토양을 경작장으로 운반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 영양분 등을 주입하고 주기적으로 기계적 경작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의 대사작용을 촉진시켜 오염토양내 유류를 분해하는 방법이며, 바이오파일법은 굴착된 오염토양을 쌓아 파일형태를 만들고 파일 내부에 유공관을 설치하여 유공관을 통해 산소, 영양분, 수분 등을 공급하여 미생물의 대사작용을 촉진시켜 오염토양내 유류를 분해하는 방법이다. 전형적인 토양경작법 및 바이오파일법은 외부 미생물의 주입 없이 토착미생물을 성장 및 증식시켜 오염물을 제거하는 복원방법으로 복원진행 초기에 토착미생물이 일정개체수 이상으로 성장, 증식하기까지의 초기 지체시간이(Lag Time) 소요되는 특징을 갖는다.The soil cultivation method and the biopile method are representative non-in situ restoration methods and have been applied to many oil-contaminated soil restoration in Korea. In the soil cultivation method, the excavated contaminated soil is transported to the cultivation field, injecting moisture and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periodically supplying oxygen through mechanical cultivation to promote the metabolism of microorganisms to decompose oil in the contaminated soil. In the biopile method, the excavated contaminated soil is piled up to form a pile, and a perforated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pile to supply oxygen, nutrients, and moisture through the perforated pipe to accelerate the metabolism of microorganisms to decompose oil in the contaminated soil. That's the way. Typical soil cultivation and biopile methods are restoration methods that remove contaminants by growing and proliferating indigenous microorganisms without injection of external microorganisms. Lag Time) is required.

토양경작과 바이오 파일법을 적용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434호가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applying soil cultivation and biopile method, there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7434.

도 1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434호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경장장치의 구조에서는, 적층되는 오염토양을 구비한 경작장에서 유압실린더로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암 구조물(1)을 구비하는 포크레인 차량(C)을 구비하고, 암구조물(1)의 말단부에 모터(6) 구동에 의해 오염토양을 수직으로 뚫고 들아가는 파일구조물(3)을 다수 자악하는 지지부(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Figure 1 show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Korean Utility Model No. 20-0467434, in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hardening device, an arm structure that enables the lifting and descending operation with a hydraulic cylinder in a farm with contaminated soil to be stacked ( A support part (2) having a forklift vehicle (C) having 1) and holding a plurality of pile structures (3) vertically piercing the contaminated soil by driving a motor (6) at the end of the arm structure (1) It is a structure having.

특히, 파일구조물(3)은 수직방향으로 오염토양을 뚫고 들어가며, 파일구조물(3)의 내부에는 정화를 위한 약제를 살포하는 구멍을 뚫어 수직방향의 천공공정과 약제분사공정을 동시에 구현하여 정화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pile structure 3 penetrates the contaminated s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le for spraying the chemicals for purification is drilled inside the pile structure 3 to implement the vertical drilling process and the drug injection process at the same time. It works the way you implement i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작장치는 파일링 공정의 특성상, 수직방향으로만 천공이 이루어지게 되며, 도 1에서 붉은 점선 박스 영역에 한정적인 경작(토양 뚫기)가 이루어지게, 해당 영역에만 약제가 분사되어 인접하는 영역(X)에 대한 경작이나 약제살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공백지점에 대한 경작과 약제살포를 위해서는, 수직방향으로의 천공작업을 매우 긴밀한 간격으로 순차로 수행을 하여야 하는바, 작업속도가 매우 더디고, 효율적인 경작 역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piling process, such a conventional cultivation apparatus is drill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imited cultivation (soil drilling) is made in the red dotted box area in FI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ultivation or drug spraying is not performed efficiently on the area (X). In order to cultivate and disperse drugs at such a blank point, the drilling work in the vertical direction must be sequentially performed at very close intervals, so the work speed is very slow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fficient cultivation is not achieved.

또한, 파일구조물(3)이 수직방향으로 오염토양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스크류날이 연속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천공과정이 수행되게 되어, 천공과정에서 토양의 상부 방향(X1, X2)로 이동하여 오염토양(1) 상부로 배출되어 버리게 되어, 실질적으로 천공된 공간에 잔류하는 토양이 존재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토양경작의 기능과 살포된 약제와의 혼합은 천공된 부위에 존재하던 토양에는 이루어지지 않아 정화효율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rilling the contaminated s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le structure 3, the screw blade is formed in a continuous structure to perform the drilling process, so that the drilling process moves in the upper direction (X1, X2) of the soil. As the contaminated soil (1) is discharged to the top, there is practically no soil remaining in the perforated space, so the function of soil cultivation and mixing with the sprayed drugs are not performed in the soil existing in the perforated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extremely low.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434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743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토양에 대해 수직으로 파일구조물을 통해 약제를 공급하는 장치에서,토양의 천공작업과 동시에 혼합작업을 구현할 수 있는 스크류 구조와 블레이드 구조물을 구비하여, 천공시 외부로 배출되는 토양의 양을 줄임과 동시에 토양혼합작업을 구현하여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경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ew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a mixing operation at the same time as a drilling operation of the soil in a device for supplying drugs through a pile structure perpendicular to the contaminated soil It is to provide a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purification efficiency by implementing a soil mixing operation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soil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drilling by providing a and blade structure.

또한,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수직으로 파일을 통해 삽입구를 형성하며 약제를 분사하는 장치와 더불어 후방에서 수평으로 오염토양을 경작하며 약제살포를 수행하는 수평경작장치를 형성하여, 오염된 토양의 정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토양정화 경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 horizontal cultivation device that cultivates the contaminated soil horizontally from the rear and sprays chemicals is formed in addition to a device for spraying drugs by forming an insertion hole vertically for contaminated soil through a pile. It is to provide a soil purification cultivation device that can maximize efficienc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하강 동작이 가능한 실린더 암(1)을 구비하는 포크레인 차량본체(C); 및 상기 실린더 암(1)의 말단부에 장착되며, 지지대(20) 하부에 다수의 파일구조물을 장착하며, 상기 파일구조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 및 약제를 공급하며, 토양에 대해 수직 경작을 수행하는 수직경작유닛(B);을 포함하며, 상기 파일구조물은,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 일단이 결합하여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파일몸체부(110);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120)는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일정간격의 장착영역(m1~m4) 상에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스크류유닛(122, 124, 126, 128)을 포함하는, 토양정화 경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5, a forkrain vehicle body (C) having a cylinder arm (1) capable of an elevating operation; And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cylinder arm 1, mounting a plurality of pile structures under the support 20, supplying air and drugs introduced into the pile structure, and performing vertical cultivation on the soil. A vertical cultivation unit (B), wherein the pile structure includes: a pile body portion 11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0 and rotating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60; A screw part 12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part 110 is provided, and the screw part 120 is disposed on a mounting area (m1 to m4) of the pile body part 110 at regular interval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il purification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screw units 122, 124, 126, and 128 arranged in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토양에 대해 수직으로 파일구조물을 통해 약제를 공급하는 장치에서, 토양의 천공작업과 동시에 혼합작업을 구현할 수 있는 블레이드 구조물을 구비하여, 천공시 외부로 배출되는 토양의 양을 줄임과 동시에 토양혼합작업을 구현하여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evice for supplying drugs through a pile structure vertically to contaminated soil, a blade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a mixing operation at the same time as a drilling operation of the soil is provided, so that the soil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drilling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implementing soil mixing work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is realiz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수직으로 파일을 통해 삽입구를 형성하며 약제를 분사하는 장치와 더불어 후방에서 수평으로 오염토양을 경작하며 약제살포를 수행하는 수평경작장치를 형성하여, 오염된 토양의 정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rizontal cultivation device for cultivating the contaminated soil horizontally from the rear and performing chemical spraying together with a device for forming an insertion hole through a pil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minated soil and spraying drugs is provided. By forming,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soil.

특히, 수평경작유닛의 로터리기구의 회전축 내에 약제분사장치를 배치하고, 약제공급을 위한 공급홀로 역유입되는 토사물과 액체로 회전축 내에 슬러지가 쌓여 약제분사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를 고압의 에어 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혼합공기를 분사하여 회전축 외부로 배출하며, 동시에, 분사노즐의 노즐구를 세척할 수 있는 에어세정유닛을 구비하여 토양경작장치의 효율적인 작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a drug spraying device is arranged in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mechanism of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nd the problem of losing the drug spraying function due to the accumulation of sludge in the rotary shaft with vomit and liquid flowing back into the supply hole for drug supply is eliminated.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oil cultivation apparatus by including an air cleaning unit capable of injecting the included mixed ai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at the same time cleaning the nozzle hole of the spray nozz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양의 경작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커버구조물의 내측에 경작을 수행하는 로터기 기구 전, 후방에 강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모듈을 장착하여 유해세균이나 오염물을 광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정화 작용을 효율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light irradiation module that irradiates strong ultraviolet light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otor mechanism that performs cultivation inside the support cover structure provided in the soil cultivation apparatus, harmful bacteria or contaminant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by adding a function to photodecompose the cells.

나아가, 오염된 토양에 유입된 금속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금속흡착모듈을 구비하여 분해가 불가하는 금속오염원을 물리적으로 흡착후, 외부에서 세정을 통해 배출하여 정화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a metal adsorption module capable of adsorbing metal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contaminated soil, the metal contaminants that cannot be decomposed are physically adsorbed and then discharged through washing from the outside to further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hav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직 천공이 가능한 경작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정화 경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정화 경작장치에 적용되는 파일구조물의 요부 및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8은 도 2의 요부 확대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수평경작장치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수평경작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커버 내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경작장치의 주요 구성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모듈과 장치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면이다.
1 shows a structural diagram of a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drill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oil purification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show the main parts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ile structure applied to the soil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8 are enlarged conceptual diagrams of main parts of FIG. 2.
9 is an enlarged conceptual diagram of the horizontal cultivation apparatus in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horizontal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11.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within a support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block diagrams showing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and a devic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main configurations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정화 경작장치(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파일구조물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정화 경작장치에 적용되는 파일구조물의 요부 및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s of a soil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ile structure applied to FIG. It is a conceptual diagram for 4 to 5 show the main parts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ile structure applied to the soil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승하강 동작이 가능한 실린더 암(1)을 구비하는 포크레인 차량본체(C) 및 상기 실린더 암(1)의 말단부에 장착되며, 지지대(20) 하부에 다수의 파일구조물을 장착하며, 토양에 대해 수직 경작을 수행하는 수직경작유닛(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토양의 수직경작을 수행하는 파일구조물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파일구조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 및 약제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s 2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orkrain vehicle body (C) having a cylinder arm (1)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nd a distal end of the cylinder arm (1), under the support (20) Mounting a plurality of pile structure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cultivation unit (B) for performing vertical cultivation on the soil.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only with a pile structure that performs vertical cultivation of the soil, and in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nfiguration that supplies air and drugs introduced into the pile structure.

수직경작유닛(B)은 파일구조물을 구비하는 종래의 경작유닛과 구동원리와 약제공급방식 측면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종래기술의 문제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파일구조물에 장착되는 스크류의 연속적인 장착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차별화된 스크류구조와 블레이드구조물을 구비하는 측면에서 차별성이 있다.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unit having a pile structure in terms of the driving principle and the drug supply method, bu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the continuous mounting of the screw mounted on the pile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struct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having a differentiated screw structure and a blade structur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파일구조물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 일단이 결합하여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파일몸체부(110)과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120)가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pil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0, the pile body portion 110 that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60 And a screw part 12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part 110.

특히, 상기 스크류부(120)는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일정간격의 장착영역(m1~m4) 상에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스크류(122, 124, 126, 128)을 포함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의 도면에 기재된 단위스크류, 장착영역, 이격영역의 개수는 실시예로 제시한 것이며, 반드시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the screw unit 120 is disposed on the mounting area (m1 ~ m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pile body portion 110, a plurality of unit screws 122, 124, 126, which are arranged in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128). (Hereinafter, the number of unit screws, mounting areas, and separation areas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the numb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즉, 상기 파일몸체부(110)는 상기 단위스크류유닛이 장착되는 장착영역(m1~m4)과, 이격되는 이격영역(n1~n3)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영역(m1~m4)에 단위스크류 유닛이 형성되고, 이어서 이웃하는 단위스크류 사이에는 이격되게 된다. 즉, 기존의 단위 스크류의 연속된 구조에서 단절되어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pile body 110 includes a mounting area (m1 to m4) in which the unit screw unit is mounted, and a spaced area (n1 to n3) to be spaced apart, and a unit screw is provided in the mounting area (m1 to m4). A unit is formed, which is then spaced apart between neighboring unit screws.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disconnected and arranged in a continuous structure of the existing unit screw.

이러한 단위 스크류 각각의 기능으로 천공의 효율성을 구현하는 측면과 더불어, 이격영역의 존재는 1차적으로 천공작업에서 분쇄된 토양이 상부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연속되는 스크류구조물의 표면경사를 타고 토양이 천공과정에서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되나, 이러한 스크류 구조물의 단절된 영역으로 이격영역을 구현하는 구조를 통해 천공과정에서 토양이 스크류 구조물의 표면을 타고 위로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고, 일정 영역에서 분쇄된 형태로 잔류하게 하는 기능 및 잔류 부분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o the aspect of realizing the efficiency of drilling with each of these unit screws, the existence of the spaced area primarily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crushed soil from being pushed upward in the drilling operation. That is, conventionally, the soil is pushed upwar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by riding the surface slope of a continuous screw structure, but through a structure that realizes a spaced area as a disconnected area of such a screw structure, the soil can damage the surface of the screw structure during the drilling process. It prevents the ride from going up and performs a function of making it remain in a pulverized form in a certain area and a function of mixing in the remaining part.

이러한 토양의 잔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단위스크류중, 지지대(20)에서 멀어질 수록 스크류의 수직길이와 수평폭이 줄어드는 구조로 단위스크류를 배치하며, 동시에 이격영역의 간격도 순차로 줄어드는 구조로 구현(n1>n2>n3)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ximize the residual function of the soil, among a plurality of unit screws, the unit screws are arrang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length and horizontal width of the screw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20 de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ing of the separation area is sequentially reduced.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it as a structure (n1>n2>n3).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웃하는 단위스크류의 수직길이는 인접하는 단위스크류 대비 1: (0.9~0.8)의 길이 비율로 줄어들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비율은 초과하는 범위로 줄어들면 잔류토양의 상승작용이 커져 토양의 잔류율을 높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이격영역의 간격도 인접하는 이격영역의폭간의 비율은 1: (0.9~0.8)의 길이 비율로 줄어들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vertical length of neighboring unit screws to be reduced at a length ratio of 1: (0.9 to 0.8) compared to adjacent unit screws, and if this ratio is reduced to an exceeding range, the residual soil rises. As the action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residual rate of the soil. For the same reas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spacing between the spacing areas so that the ratio between the widths of the adjacent spacing areas is reduced to a length ratio of 1: (0.9 to 0.8).

도 4는 도 3에서 상술한 단위스크류와 이격영역의 배치 구조로 인한 토양의 천공부에 잔류효과와 동시에 경작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a cultiva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as a residual effect in a perforation of soil due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unit screw and the spaced region described above in FIG. 3.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이격영역(n1~n3)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수평블레이드(131~136)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블레이드(131~136)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일몸체부(110)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수평블레이드(131~136)가 상호 평행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4,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horizontally in the above-described spacing regions n1 to n3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4, the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allow the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to be disposed in a mutually parallel structure. .

이러한 상기 파일몸체부(110)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수평블레이드(131~136)의 구조는 천공시 발생한 토양의 상승작용을 차단하는 블록구조로 작용하는 동시에, 회전동작에 의해 잔류하는 토양과 약제가 상호 혼합되도록 경작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dispos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o the pile body 110 acts as a block structure to block the synergy of the soil generated during drilling, and at the same time, remains by the rotational motion. It performs the cultivation function so that the soil and the drug are mixed with each other.

도 5는 이러한 수평블레이드 구조물의 다양한 배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embodiment of various arrangement structures of such a horizontal blade structur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길이방향과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는 구조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블레이드(131~136)가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t least one or more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disposed in a structure forming a lengthwise direction and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of the pile body 110 are disposed.

특히,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한 쌍의 수평블레이드가 배치되는 구조로 배치하게 되면, 토양의 상승 저지 효과가 커지게 되며, 토양의 분쇄 및 교반작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a), if a pair of horizontal blades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ise of the soil increases, and the crushing and stirring of the soil can be maximized. There will be.

또한, (b)와 같이,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길이방향과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는 구조로 배치하게 되는 경우, 하나의 경사각(θ1)은 둔각으로, 다른 하나는 예각(θ2)으로 형성하는 것과 같이, 상호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구조로 장착하는 경우에는 토양의 상승효과를 저지함과 동시에 경작기능을 극대화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when the pile body part 110 is arranged in a structure that forms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the length direction, one inclination angle (θ 1 ) is an obtuse angle, and the other is an acute angle (θ 2 ). As for forming, when mounting in a structure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soil is prevented and the cultivation function is maximized.

(a)와 (c)에는 하나의 이격영역에 둘이상의 수평블레이드가 배치되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라면, (b)와 (d)는 하나의 이격영역에 하나의 수평블레이드가 배치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하나의 이격영역에 하나의 수평블레이드가 배치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구조의 경우에도, 하나의 경사각(θ1)은 둔각으로, 다른 하나는 예각(θ2)으로 형성하는 것과 같이, 상호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구조로 장착하는 경우에는 토양의 상승효과를 저지함과 동시에 경작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 and (c), if two or more horizontal blades are arranged in one spaced area, (b) and (d) are arrang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horizontal blade is arranged in one spaced area.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it as a structure. Even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one horizontal blade is disposed in one such spaced area, one inclination angle (θ 1 ) is formed as an obtuse angle and the other is formed as an acute angle (θ 2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the case of mounting in a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ultivation function while preventing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soil.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블레이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horizontal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평블레이드의 구조(대향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블레이브(131)과 대향하는 방향에 제2블레이드(132)가 배치되고, 제3블레이드(133)과 대향하는 방향에 제4블레이드(134)가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블레이드 구조물은 하나의 이격영역에 두쌍이 모두 배치되거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이격영역에한쌍이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6,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pposit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horizontal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the second blade 13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lade 131 ) May be disposed, and the fourth blade 134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blade 133. In this case, each blade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pairs are disposed in one spaced area, or a pair is disposed in one spaced area, as shown in (b).

물론, 하나의 이격영역에 하나의 블레이드만 배치하고, 다른 이격영역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대향되는 방향 쪽에 교차로 배치하는 구조로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blade is disposed in one spaced area and the blades disposed in the other spaced area are disposed at an inters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나아가, 본 발명의 블레이드 구조물의 길이는, 가장 넓은 폭을 가지는 단위스크류의 폭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천공작업 시 발생하는 토양의 상승이동을 방지하고, 잔류토양의 교반과 혼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원할하게 구현하기 위함이다.Further, the length of the blad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less than the width of the unit screw having the widest width. This is to prevent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il that occurs during drilling and to smoothly implement the function of facilitating stirring and mixing of residual soi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토양정화 경작장치의 다른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unction of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hybrid soil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토양정화 경작장치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의 요부구성도의 측단면 개념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soil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main part configuration diagram in FIG. 7.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에 대해 수직 경작을 수행하는 수직경작유닛(B)을 구비하는 경작장치 구조에, 추가적으로 수평경작유닛(A)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7 and 8,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ltivation apparatus structure having a vertical cultivation unit (B) for performing vertical cultivation on the s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Figs. 2 to 6,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구체적으로, 수평경작유닛(A)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크레인 차량본체(C)의 전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수직경작유닛(B)의 후방에서 오염토양을 뒤섞을 수 있도록 지지커버(220)의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한 회전축(230)과 블레이드(250)를 포함하는 로터리기구(200)를 포함하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존의 수직 파일링 구조물로 수직경작을 수행하는 것과 연계하여, 후방에서 수평경작을 수행하여 약제분사를 동시에 구현하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경작토양의 경작효율과 정화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as shown in Figs. 7 and 8,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wheel portion of the forkrain vehicle body (C), the contaminated soil from the rear of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mechanism 200 including a rotary shaft 230 and a blade 250 rotat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cover 220 so as to be mixed. That is, by implementing a structure that simultaneously implements drug injection by performing horizontal cultivation from the rear in connection with performing vertical cultivation with an existing vertical pil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cultivation efficiency and purification efficiency of cultivated soil.

특히, 본 발명에서의 수직경작유닛(B)의 구조에서 포크레인 암 구조물(1)의 말단부에 파일 구조물이 결합하는 구조의 수직경작유닛(B)은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434호의 파일 구조물을 통해 약제를 공급하며 수직 천공을 구현하는 구조나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된 기술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파일구조물의 형태는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particular, in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pil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orkrain arm structure (1) is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 It is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that supplies drugs through the pile structure of 0467434 and implements vertical perforation, or a known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similar function in addition to it. Of course, even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mbodiment of FIGS. 2 to 6 may be applied to the shape of the pile structure.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평경작유닛(A)은, 도 2 내지 도 6의 수직경작유닛(B)의 후방에 배치되는 장치를 포크레인 차량(C)의 전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구조는 독립적인 장치로 수평경작유닛(A)를 구현하고, 일반적인 포크레인에 연결하여 장착하는 구조로 활용이 가능한바, 수직경작유닛(B)이 없는 경우라도, 수평경작유닛(A) 만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particular,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of Figs. 2 to 6 may be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forkrain vehicle (C). This mounting structure implements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as an independent device, and can be used as a structure that connects to a general fork lane and mounts. Even if there is no vertical cultivation unit (B), only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Of course, it can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상기 수평경작유닛(A)은 포크레인 전륜(7)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별도의 모터구조물(24)를 통해 구동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로터리 기구(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orkrain front wheel (7),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mechanism 200 having a blade driven through a separate motor structure (24).

본 발명의 수평경작유닛(A)에 구비되는 로터리기구(200)에는 블레이드(250) 날이 배치되어 외부 모터(2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토양을 잘게 파쇄하며수평경작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블레이드날(250)은 회전축(230)에 다수개가 장착되는 구조로 구현된다.In the rotary mechanism 200 provided in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250 is arranged to rotate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xternal motor 24, crushing the soil finely, and performing horizontal cultivation, The blade blade 250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ar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230.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레이드(250)가 장착되는 상기 회전축(230) 내로 약제공급관(310)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230)에 형성된 관통공(232)을 통해 약재를 상기 약제공급관을 통해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320)을 구비한 약재살포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supply pipe 310 is disposed in the rotation shaft 230 on which the blade 250 is mounted, and the medicine through the through hole 232 formed in the rotation shaft 230 is passed through the medicine supply pipe. It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medicine spraying unit 300 having a spray nozzle 320 for receiving and spraying.

도 9는 이러한 회전축(230) 내부에 배치되는 분사노즐(23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축(23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약제공급관(3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공급관(410)을 포함하여, 상기 에어공급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세정분사홀(a, b, c)을 구비하는 에어세정유닛(400)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 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세정액을 상기 회전축(230) 내로 분사시켜 상기 분사노즐(320)의 노즐구 및 상기 회전축(230) 내의 슬러지를 세정하며, 상기 회전축(230)에는 상기 에어세정유닛(400)을 통해 세정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235)이 다수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 내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배출홀(235)를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한다.9 shows the structure of the injection nozzle 230 disposed inside the rotation shaft 230.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ing injection hole form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including at least one air supply pipe 410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23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drug supply pipe 310 ( It includes an air cleaning unit 400 having a, b, c), and injects a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high-pressure air or steam injected through the cleaning injection hole into the rotation shaft 230 to inject the injection nozzle 320 ) To clean the nozzle hole and the sludge in the rotation shaft 230, and the rotation shaft 23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35 through which cleaning liquid including sludge cleaned through the air cleaning unit 4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be formed, and allows the sludge remaining in the rotation shaf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5.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재공급관(310)에 인접하여 에어공급관이 추가로 배치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상기 에어공급관(410)은, 상기 약재공급관(310)의 상부, 하부, 후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에어공급관에 형성되는 세정분사홀은 상기 회전축의 내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9 and 10,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supply pipe is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medicine supply pipe 310. The air supply pipe 4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lower, and rear portions of the medicine supply pipe 310, and a cleaning spray hole formed in each air supply pipe is formed to face the inner wall of the rotation shaft.

나아가, 상기 에어공급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세정분사홀(a, b, c)을 구비하며, 외부의 에어공급장치(A)을 통해 강한 압축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상기 세정분사홀(a,b, c)에서는 압축공기가 배출되게 된다.Further, it has cleaning spray holes (a, b, c) form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and strong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external air supply device (A), and the cleaning spray holes (a, b) In c),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도 10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사노즐(320)의 노줄구(N)와 회전축에 형성되는 관통홀(P1)이 매칭되는 각도로 배치되는 순간 분사노즐에서는 약재가 살포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10 (a), the moment the nozzle (N) of the injection nozzle (320) and the through hole (P1)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are arranged at a matching angle, the medicine is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관통홀(P1)의 존재는 분사노즐에서 약재의 살포 이후 도 10 (b)의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관통홀(P1) 부분으로 인해 외부의 먼지나 경작장치의 블레이트에 의한 토양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 토양입자가 회전축(23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The presence of the through hole (P1) is when the spray nozzle rotates in the state of Fig. 10 (b) after the spraying of the medicinal material, when the through hole (P1) is crushed by external dust or a blade of a cultivation device. The generated fine soil particles ar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rotating shaft 230.

이렇게 유입되는 미세 토양입자나 먼지는 회전축(230) 내에 약재 잔여물과 혼합되어 슬러지를 형성하며, 이러한 슬러지는 회전축의 구동을 방해하거나, 분사노즐의분사구(N)를 막거나, 관통홀(P1)을 막게 되어 분사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게 된다.The fine soil particles or dust introduced in this way are mixed with the remnants of medicinal materials in the rotation shaft 230 to form sludge, and such sludge interferes with the driving of the rotation shaft, blocks the injection hole N of the spray nozzle, or prevents the through hole P1 ) Is blocked, and the spray function cannot be implemented properly.

이에, 본 발명의 에어세정유닛(400)은 외부의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공급장치(A)에서 강한 압축공기를 형성하고, 제어유닛을 통해 압축공기를 에어공급관(410, 420, 430)을 통해 회전축 내부로 진입시키고, 에어공급관에 형성된 세정분사홀(a, b, c)을 통해 도 10(b)의 개념도와 같은 분사방향(화살표)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에 세정분사홀(a, b, c)은 약재공급관(310)과 인접하지 않는 면에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air clean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strong compressed air in the air supply device A that provides external compressed air, and passes the compressed air through the air supply pipes 410, 420, and 430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in the injection direction (arrow) as shown in the conceptual diagram of FIG. 10(b) through the cleaning injection holes (a, b, c) formed in the air supply pip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ree cleaning injection holes (a, b, c) are formed on a surface not adjacent to the medicine supply pipe 310.

또한, 바람직한 에어공급관의 배치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약재공급관(310)의 상하부, 측면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회전축 내부의 전체적으로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세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ferre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air supply pipe is preferably to be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side of the medicine supply pipe 310, as shown in FIG. 11, which is a cleaning efficiency in terms of allowing compressed air to be transmitted as a whole inside the rotating shaft. Can be maximized.

특히, 도 10 (a)에서와 같이, 분사노즐(320)이 관통홀(P1)과 일렬로 배치되어 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압축공기의 분사는 더욱 강한 약재의 분사를 도울 수 있어, 토양 내부로 보다 강하게 약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10 (a), in the process of spraying the spray nozzle 320 is arranged in line with the through hole (P1), the injection of compressed air can help the spraying of a stronger medicinal material, inside the soil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ly medicines more strongly is realized.

나아가, 도 10 (b)와 같이, 분사노즐(320)이 관통홀(P1)과 매칭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는, 압축공기의 분사는 회전축의 내벽면에 충돌하여 반사되는 압축공기의 유로(x1, x2)가 형성되어, 분사구(N)의 입구를 세정함과 동시에, 회전축 내벽면의 먼지와 오물을 세정하게 된다. 또한, 회전축의 관통홀(P1)을 향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관통홀로 유입되는 먼지나 미세토양의 유입을 막고, 외부로 방사되는 공기 유로(y1, y2)를 형성하여, 관통홀의 막힘현상을 제거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10 (b), in a position where the injection nozzle 320 does not match the through hole P1, the injection of compressed air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and reflects the flow path of compressed air (x1, x2) is formed to clean the inlet of the injection port N and at the same time clean the dust and dirt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In addition, the compressed air injected toward the through hole (P1) of the rotating shaft prevents the inflow of dust or fine soil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and forms air flow paths (y1, y2) radiated to the outside, thereby removing the clogging of the through hole. And, it realize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move the pollutant source flowing into the reverse.

도 11 및 도 12는 이러한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로, 회전축(230) 내부에 쌓이게 되는 슬러지(w)는 관통홀(232)를 통해서 유입되는 먼지와 미세토양 등의 약재와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강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의 기작으로 회전축 내벽면에서 분리되어 유동하게 되며, 이는 고압의 압축공기의 기작에 의해 회전축에 다수 형성되는 배출구(2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11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such a process, and the sludge (w) accumulated in the rotation shaft 230 is formed by mixing with medicines such as dust and fine soil flow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32, Due to the mechanism of compressed air that injects strong compressed air, it is separated and flow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rotating shaft,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s 235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by the mechanism of high-pressure compressed air.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에어공급장치(A)의 압축공기의 제공라인에 고압증기제공장치(450)을 연동하여, 압축공기와 동시에 증기를 함께 뿜어 세정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by interlocking the high-pressure steam providing device 450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line of the air supply device A, the compressed air and steam may be simultaneously blown to maximize the cleaning effect.

이상의 구조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로터리의 회전축 내에 고압의 에어정화를 수행할 수 있는 유닛을 구비하여, 로터리축 내의 공간에 축적 및 잔류하는 미세토양 입자 및 슬러지로 인한 분사노즐의 막힘현상과, 토터리축 내의 슬러지 축적으로 인한 기구이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unit capable of performing high-pressure air purification in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and the spray nozzle is clogged due to fine soil particles and sludge accumulated and remaining in the space within the rotary shaf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mechanical abnormalities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sludge in the rotary shaf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작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도 2 및 도 8의 경작장치의 구성에서, 지지커버에 해당하는 구성과 회전축(23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250)의 배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support cover and an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blades 250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23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of FIGS. 2 and 8.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커버(220)의 내측에 광조사모듈(500)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further inside the support cover 220.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차량 본체에 구비되는 지지커버(220)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구조의 지지커버 몸체(222)의 말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리기구(2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영역에 UV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조사모듈(500)은, 자외선 램프(510)을 다수 구비하며, 램프의 출사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유닛(520)과 상기 자외선램프(5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 배터리유닛(5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cover 22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is disposed in the distal region of the support cover body 222 having a structure that is bent inward, and the rotary mechanism 20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for irradiating UV light to the front or rear area of the. In this case,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includes a plurality of ultraviolet lamps 510, a circuit board unit 520 that controls the emitted light of the lamp, and a rechargeabl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ultraviolet lamp 510 It can be configured including the unit 530.

도 1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상기 광조사모듈(500)은 지지커버(220)의 전방과 후방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로터리기구(200)의 블레이드의 전방과 후방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의 경우, 오염원이 심한 악취가 형성되는 광분해의 필요성이 높은 오염원을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내에 아스콘물질의 혼합되어 있는 경우, 발생하는 유해 가스 및 악취 가스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조 a 피렌, NOx, SOx 등의 오염물질을 경감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pport cover 220. This makes it possible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the blade of the rotary mechanis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ultraviolet lamp, it is to purify a pollutant source that is highly necessitated by photolysis, where a pollutant source is severe, and when ascon material is mixed in the soil,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benzo are generated as harmful gases and odor gases. a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reducing pollutants such as pyrene, NOx, and SOx.

이러한 광조사모듈(500)은 토양경작에 따른 블레이드(250)의 토양 분쇄과정의 전, 후에 토양에 대해 수행되게 되며, 동시에 약재 분사노즐(230)의 약재분사와 함께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 매우 효율적인 정화작업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is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is performed on the soil before and after the soil crushing process of the blade 250 according to soil cultiv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very useful for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soil with the medicinal material spraying of the medicinal material spray nozzle 230 It can be implemented as an efficient purificatio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커버(220)의 내측에 안착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전원인가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식 자력형성부(S1, S2, S3, S4)를 구비하는 흡착플레이트(610, 620, 630, 640)를 구비하는 금속흡착모듈(60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rranged in a structure to be seat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cover 220, and includes a solenoid type magnetic force forming unit (S1, S2, S3, S4) that forms a magnetic force when power is applied. It may have a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metal adsorption module 600 having the adsorption plate (610, 620, 630, 640).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식 자력형성부(S1, S2, S3, S4)는 표면에 흡착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자력을 형성하여 분쇄되는 토양의 내부에 산재하여 있는 금속오염물질을 자력으로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경작대상지의 외부로 이탈하여 솔레노이드를 해제하거나, 지지커버 내측에 장착되는 고압분사모듈(700)을 통해 금속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solenoid-type magnetic force forming unit (S1, S2, S3, S4) has an adsorption plate on its surface, and forms a magnetic force so that metal contaminants scattered in the soil to be crushed can be adsorbed by magnetic force. do. Thereafter, the solenoid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ultivated area, or metal contaminants are washed and removed through the high-pressure spray module 700 mounted inside the support cover.

이러한 기능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커버(220)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세정유닛(400)과 증기공급유닛(450)에서 공급되는 세정용 유체를 분사하는 고압분사모듈(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high-pressure injection module 700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support cover 220 and sprays the cleaning fluid supplied from the air cleaning unit 400 and the steam supply unit 45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이 경우, 상기 고압분사모듈(700)은, 상기 지지커버(220)의 내측 중심부에서 내표면을 따라 분사되는 세정분사노즐(710)과 세정분사노즐제어벨브(720)로 구비된 모듈이 고정부재(730)을 통해 상기 지지커버(22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모듈은 지지커버(220)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도록 구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분사노즐(710)의 지지커버의 중심부에 양측 방향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식 자력형성부에 의해 흡착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오염물질이 자력공급 차단으로 외부에서 배출되는 경우, 로터리기구(200)의 블레이드에 의해 분쇄되는 토양분쇄물이 지지커버 내부에 함께 부착되는 경우, 강한 고압분사모듈의 증기와 공기의 분사로 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high-pressure spray module 700 includes a cleaning spray nozzle 710 and a cleaning spray nozzle control valve 720 that are sprayed along the inner surface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support cover 220. It can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cover 220 through 730, such a module is implemented to be disposed at least one or more inside the support cover 220. Particularly preferably, spraying is performed in both directions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cover of the cleaning spray nozzle 710, and metal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by the solenoid-type magnetic force forming unit are blocked from supplying magnetic force from the outside. When discharged, when the soil pulverized material pulverized by the blades of the rotary mechanism 200 is attached together inside the support cover, it is possible to clean it with the injection of steam and air from the strong high pressure injection module.

이상의 고압분사모듈(700)은 상술한 금속흡착모듈(600)과 연동하여 토양 정화의 기능을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The above-described high-pressure injection module 700 is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metal adsorption module 600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 of soil purification.

도 14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경작장치의 주요 구성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모듈(800)과 장치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면이다. 도 15는 이러한 통합제어부모듈(800)과 샘플채취모듈(9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면이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800 and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main configurations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odule 800 and the sample collecting module 900.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모듈(800)은 경작장치의 운전석에 디스플레이유닛(D)를 통해 경작장치의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구현될 수 있다. 14 and 15,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interface (GUI) to control the equipment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through the display unit D in the driver's seat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have.

우선, 도 14의 시료채취모듈(900)은 다수의 샘플시료채취 포트(P1~Pn)을 구비하며, 이는 토양 경작전과 후의 시료 포트로 토양을 분리하여 채취하여 투입후, 각포트에 구비된 다수의 센서군을 통해 토양의 상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구비되는 샘플시료채취 포트(P1, P2......)에 장착되는 산도센서(S1), 습도센서(S2), 온도센서(S3), 가스센서(S4), 전기전도도 센서(S5) 등의 토양 상태 정보는 사전에 경작장치를 적용하기 전의 시료군과 경작장치를 적용하여 정화한 이후의 시료를 채취하여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sample collection module 900 of FIG. 14 includes a plurality of sample sample collection ports (P1 to Pn), which separate and collect the soil into sample ports before and after soil cultivation, and after input, a plurality of samples provided in each port. The soil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compared through the sensor group of. Acidity sensor (S1), humidity sensor (S2), temperature sensor (S3), gas sensor (S4), electric conductivity sensor (S5) mounted on the provided sample sampling ports (P1, P2......) The soil condition information such as, etc. collects the sample group before applying the cultivation device and the sample after purification by applying the cultivation device, so that each state information can be compared.

또한, 이러한 상태정보를 비교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상기 통합제어모듈(800)은 오염도측정제어부(810)를 구비하며, 이는 차량본체에 구비되는 샘플시료채취 포트(P1, P2......)에 장착되는 산도센서(S1), 습도센서(S2), 온도센서(S3), 가스센서(S4), 전기전도도 센서(S5) 등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측정값은 다수의 포터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도출하는 평균값측정부(811)에서 구축되며, 토양의 오염정도에 대한 정화 기준치에 부합하는 정화가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대비를 수행하는 기준치매칭부(812), 기준치 매칭부(812)의 결과에 따라 원하는 기준치의 정화토양의 성질에 미흡한 경우, 재 경작작업시 투입할 약재살포량을 조절하는 정화투입조절부(8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are such status informatio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800 shown in FIG. 15 includes a pollution level measurement control unit 810, which is provided with sample sample collection ports P1, P2... ...) to check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acidity sensor (S1), humidity sensor (S2), temperature sensor (S3), gas sensor (S4),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ensor (S5), and these measured values Is built in the average value measurement unit 811 that derives an average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rters, and a reference value matching unit 812 that performs preparation for whether purification that meets the purification standard value for the degree of soil contamination has been performed, and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atching unit 812, when the properties of the purified soil having a desired reference value are insufficient, the purification injection control unit 813 may be further included to adjust the amount of medicine to be injected during the re-cultivation operation.

또한, 상기 통합제어모듈(800)은 도 9에서 상술한 금속흡착모듈(600)을 제어하여 솔레노이드의 전원인가와 해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제어부(8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약재살포유닛(300)의 전자제어벨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약재 살포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제어부(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밸브제어부(820)의 경우, 상술한 정화토입조절부(313)의 제어신호에 따른 개폐기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800 may further include a solenoid control unit 820 that controls the power on and off of the solenoid by controlling the metal adsorption module 600 described above in FIG. 9, and further includes a medicine spraying unit ( The electronic valve control unit 82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valve control unit 820 that controls the amount of medicine appli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ctronic control valve 300). In the case of the solenoid valve control unit 82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pening/clos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above-described purification injection control unit 313.

나아가, 상기 통합제어모듈(800)은 도 5 및 도 7에서 상술한 에어세정유닛(400)에서 압축공기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에어라인제어부(840)을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800 may include an air line control unit 840 that controls supply and cut-off of compressed air in the air cleaning unit 400 described above in FIGS. 5 and 7.

또한, 상기 통합제어모듈(800)은 광조사제어부(850)을 두어, 도 14에서 상술한 광조사모듈(500)의 작동과 해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800 may have a light irradiation control unit 850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release of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described above in FIG. 14.

도 14 및 도 15에서의 통합제어모듈을 구현하는 기능부에서, "~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 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화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모듈에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functional unit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in Figs. 14 and 15, the "~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hardware. Meanwhile,'~ uni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in the'~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uni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elem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ity multimedia card,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nfiguration i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ogrammed configuration. ha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ferr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limitation. As such,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수평경작유닛
B: 수직경작유닛
C: 포크레인 차량본체
1: 실리더 암
2: 지지대
3: 파일구조물
200: 로터리기구
220: 지지커버
230: 회전축
232: 관통공
300: 약재살포유닛
310: 약재공급관
320: 분사노즐
400: 에어세정유닛
410: 에어공급관
a, b, c: 세정분사홀
500: 광조사모듈
510: 자외선램프
520: 회로기판유닛
530: 충전형 배터리유닛
600: 금속흡착모듈
700: 고압분사모듈
800: 통합제어모듈
900: 시료채취모듈
A: Horizontal tillage unit
B: Vertical cultivation unit
C: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1: cylinder arm
2: support
3: file structure
200: rotary mechanism
220: support cover
230: rotary shaft
232: through hole
300: medicine spraying unit
310: Medicine supply pipe
320: injection nozzle
400: air cleaning unit
410: air supply pipe
a, b, c: washing spray hole
500: light irradiation module
510: UV lamp
520: circuit board unit
530: rechargeable battery unit
600: metal adsorption module
700: high pressure injection module
800: integrated control module
900: sample collection module

Claims (7)

승하강 동작이 가능한 실린더 암(1)을 구비하는 포크레인 차량본체(C); 및
상기 실린더 암(1)의 말단부에 장착되며, 지지대(20) 하부에 다수의 파일구조물을 장착하며, 토양에 대해 수직 경작을 수행하는 수직경작유닛(B); 및
상기 포크레인 차량본체(C)의 전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수직경작유닛(B)의 후방에서 오염토양을 뒤섞을 수 있도록 지지커버(220)의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한 회전축(230)과 블레이드(250)를 포함하는 로터리기구(200)를 포함하는 수평경작유닛(A);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경작유닛(B)은,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 일단이 결합하여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파일몸체부(110);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120)는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일정간격의 장착영역(m1~m4) 상에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스크류(122, 124, 126, 128)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경작유닛(A)은,
상기 로터리기구(200)의 회전축(230) 내로 약제공급관(310)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230)에 형성된 관통홀(232)을 통해 약제를 상기 약제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320)을 구비한 약제살포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23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약제공급관(3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공급관(41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공급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세정분사홀(a, b, c)을 구비하는 에어세정유닛(400);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 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세정액을 상기 회전축(230) 내로 분사시켜 상기 분사노즐(320)의 노즐구 및 상기 회전축(230) 내의 슬러지를 세정하며,
상기 회전축(230)에는 상기 에어세정유닛(400)을 통해 세정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235)이 다수 형성되는,
토양정화 경작장치.
A forkrain vehicle body (C) having a cylinder arm (1) capable of elevating and descending; And
A vertical cultivation unit (B) mounted on the distal end of the cylinder arm (1), mounting a plurality of pile structures under the support (20), and performing vertical cultivation on the soil; And
A rotating shaft 230 and a blade that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wheel of the forkrain vehicle body C and rotat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cover 220 so that contaminated soil can be mix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Including; a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including a rotary mechanism 200 including 250,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A pile body portion 110 that has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0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60;
Screw portion 12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The screw part 120 is disposed on the mounting area m1 to m4 of the pile body part 110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unit screws 122, 124, 126, 128 disposed in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cluding,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Injection of the drug supply pipe 310 is disposed into the rotation shaft 230 of the rotary mechanism 200, and sprays the drug through the through hole 232 formed in the rotation shaft 230 by being supplied through the drug supply pipe 310 Including; a drug spraying unit 300 having a nozzle 320,
A cleaning injection hole (a, b, c) form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and includes at least one air supply pipe 410 that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23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rug supply pipe 310 Air cleaning unit 400 having a; and,
A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high-pressure air or steam injected through the cleaning injection hole is injected into the rotation shaft 230 to clean the nozzle hole of the injection nozzle 320 and the sludge in the rotation shaft 230,
The rotary shaft 23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35 through which a cleaning solution including sludge cleaned through the air cleaning unit 4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Soil purification and tillage equip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구조물은,
상기 단위스크류가 장착되는 장착영역(m1~m4)과, 이격되는 이격영역(n1~n3)를 구비하며,
상기 이격영역(n1~n3)에는 상기 파일몸체부(110)의 길이방향과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는 구조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블레이드(131~136)가 배치되는,
토양정화 경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e structure,
It has a mounting area (m1 ~ m4) in which the unit screw is mounted, and a spaced area (n1 ~ n3) spaced apart,
At least one or more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arranged in a structure form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portion 110 are disposed in the spacing regions n1 to n3,
Soil purification and tillage equipm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블레이드(131~136)는,
상기 파일몸체부(110)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수평블레이드(131~136)의 상기 경사각이 서로 상이하게 장착되는 구조의,
토양정화 경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In a structur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horizontal blades 131 to 136 dispos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pile body part 110 are mount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oil purification and tillage equipmen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경작유닛(A)은, 상기 수직경작유닛(B)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직경작유닛(B)의 수직경작과 수평경작을 순차로 수행하도록 하거나, 이의 역순으로 진행하도록 구동되는,
상기 에어공급관(410)은, 상기 약제공급관(310)의 상부, 하부, 후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에어공급관에 형성되는 세정분사홀은 상기 회전축의 내벽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토양정화 경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and is driven to sequentially perform vertical cultivation and horizontal cultivation of the vertical cultivation unit (B), or to proceed in the reverse order thereof,
The air supply pipe 4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lower, and rear portions of the drug supply pipe 310, and the cleaning spray holes formed in each air supply pipe are formed to face the inner wall of the rotation shaft,
Soil purification and tillage equipmen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경작유닛(A)의 지지커버(220)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구조의 지지커버 몸체(222)의 말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리기구(2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영역에 UV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모듈(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모듈(500)은, 자외선 램프(510)을 다수 구비하며, 램프의 출사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유닛(520);과 상기 자외선램프(5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 배터리유닛(5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양정화 경작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cover 220 of the horizontal cultivation unit (A),
A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disposed in the distal region of the support cover body 222 having a structure that is bent inward to irradiate UV light to the front or rear region of the rotary mechanism 200; further includes,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includes a plurality of ultraviolet lamps 510, a circuit board unit 520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s; and a rechargeable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ultraviolet lamps 510 ( 530);
Consisting of, including,
Soil purification and tillage equipmen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양정화 경작장치는,
상기 지지커버(220)의 내측에 안착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전원인가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식 자력형성부(S1, S2, S3, S4)를 구비하는 흡착플레이트(610, 620, 630, 640)가 상기 광조사모듈(500)의 측배면부 및 상기 지지커버(220)의 상부 내측부에 밀착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금속흡착모듈(600);
상기 지지커버(220)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세정유닛(400)과 증기공급유닛(450)에서 공급되는 세정용 유체를 분사하는 고압분사모듈(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압분사모듈(700)은, 상기 지지커버(220)의 내측 중심부에서 내표면을 따라 분사되는 세정분사노즐(710)과 세정분사노즐제어벨브(720)로 구비된 세정분사유닛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토양정화 경작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oil purification cultivation apparatus,
Adsorption plates 610, 620, 630, which are arranged in a structure to be seat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cover 220, and have solenoid-type magnetic force forming units (S1, S2, S3, S4) that generate magnetic force upon application of power. A metal adsorption module 600, wherein 640 is disposed in a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500 and the upper inner portion of the support cover 220;
It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support cover 220, the high pressure injection module 700 for injecting the cleaning fluid supplied from the air cleaning unit 400 and the steam supply unit 450; further includes,
The high pressure injection module 700 includes at least one cleaning injection unit provided with a cleaning injection nozzle 710 and a cleaning injection nozzle control valve 720 sprayed along the inner surface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support cover 220 Posted,
Soil purification and tillage equipment.


KR1020200053578A 2020-05-06 2020-05-06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KR102184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78A KR102184628B1 (en) 2020-05-06 2020-05-06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78A KR102184628B1 (en) 2020-05-06 2020-05-06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628B1 true KR102184628B1 (en) 2020-11-30

Family

ID=7364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578A KR102184628B1 (en) 2020-05-06 2020-05-06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6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00B1 (en) 2021-06-17 2022-01-11 (주)자연과환경 Land farming system for purifying contaminated soi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01B1 (en) * 2011-03-16 2012-01-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aminated soil washing apparatus loaded in the vehicle
KR200465734Y1 (en) * 2012-09-28 2013-03-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KR200467434Y1 (en) 2013-02-05 2013-06-17 (주)동명엔터프라이즈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KR20150070807A (en) * 2013-12-17 2015-06-25 스키너스 주식회사 Auger tail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compound cross-section foundation structure
KR101906276B1 (en) * 2018-07-30 2018-10-1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Contaminated Soil Cultivator for Excav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01B1 (en) * 2011-03-16 2012-01-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aminated soil washing apparatus loaded in the vehicle
KR200465734Y1 (en) * 2012-09-28 2013-03-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KR200467434Y1 (en) 2013-02-05 2013-06-17 (주)동명엔터프라이즈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KR20150070807A (en) * 2013-12-17 2015-06-25 스키너스 주식회사 Auger tail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compound cross-section foundation structure
KR101906276B1 (en) * 2018-07-30 2018-10-1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Contaminated Soil Cultivator for Exca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00B1 (en) 2021-06-17 2022-01-11 (주)자연과환경 Land farming system for purifying contaminated so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1160A (en) Method for in situ soil remediation
KR100828545B1 (en) Soil washing machine by high pressured air-lifting and turbulence
EP1583597B1 (en) Filter device
CN105013806A (e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soil in-place position-changing combined remedying equipment
CN208883659U (en) A kind of combined soil ground water circulation processing unit
KR102184628B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KR101165675B1 (en) Apparatus for sprinkling microorganism medicine having agitation tank
KR100798763B1 (en) The method to remediate pol(petroleum, oil, lubricant) contaminated soil by in-situ thermal desorption approach, and the apparatus for the same
KR101258691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quid manure close type
KR102184622B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olluted soil having rotary within air cleaning unit
CN104475442B (en) Volatile contaminant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system
CN104986885A (en) Recovery and processing device for flow-back fluid of fracturing fluid in shale gas exploitation
EP12181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sanitizing contaminated ground water
KR102349600B1 (en) Land farming system for purifying contaminated soil
CN112496019A (en) Integrated organic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equipment and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method
CN217726628U (en) System for restoring complex contaminated land parcel by combining in-situ leaching and multiphase extraction
KR102230365B1 (en) Soil cleaning system with cleaning the transfer pipes by high-pressure water
KR100500374B1 (en) The method and wastewater disposal plant of high concentration using a vacuum pump
JP4518504B2 (en)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method and equipment
KR101165261B1 (en) Solid-Liquid separating apparatus and Solid-Liquid separating method using that
CN110498556B (en) Magnetic powder sewage treatment tank
CN209759223U (en) Scenic spot sewage centralized treatment system
KR102247861B1 (en) Soil furification method using excavation unit
KR100838426B1 (en) A multi-step reactive wall system for eliminating contaminants
CN215855283U (en) Treatment facility with remove high ammonia nitrogen sew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