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324B1 -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324B1
KR102184324B1 KR1020180100081A KR20180100081A KR102184324B1 KR 102184324 B1 KR102184324 B1 KR 102184324B1 KR 1020180100081 A KR1020180100081 A KR 1020180100081A KR 20180100081 A KR20180100081 A KR 20180100081A KR 102184324 B1 KR102184324 B1 KR 10218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output device
portable auxiliary
auxiliary outpu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743A (ko
Inventor
김학경
진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오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오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오핀
Priority to KR102018010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3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specially adapted to be executed by a peripheral of the client device, e.g. by a 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출력 장치; 휴대 가능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메인 출력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압축하여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를 유/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메인 출력 장치,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는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고정된 위치가 아닌 사용자의 편한 위치에서 재생함으로써 이동성과 휴대성에서 편의를 기대할 수 있고 영상 재생 지연이나 화면 일그러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Real-tim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s's display mirror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고정된 위치가 아닌 사용자의 편한 위치에서 재생함으로써 이동성과 휴대성에서 편의를 기대할 수 있고, 영상 재생 지연이나 화면 일그러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러링(mirroring) 기술은 거울(mirror)처럼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내용을 다른 장치의 화면(Cast screen)에 그대로 보여주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영상을 미러링하는 기술은 상용화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고화질의 영상을 압축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기술이 아직 적용되지 못 해서 버퍼링 등의 영상 재생 지연이 발생하여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영상 재생이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미러링 기능은 실제로 WiDi(WiFi Direct)로 모바일의 앱과 동글이 연결되는데, 이 경우 모바일에서 WiFi를 연결할 때 콘텐츠 전송 시 화면 일그러짐 등의 영향을 받는 문제점 등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5938호(2018. 05. 02.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고정된 위치가 아닌 사용자의 편한 위치에서 재생함으로써 이동성과 휴대성에서 편의를 기대할 수 있고, 영상 재생 지연이나 화면 일그러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출력 장치; 휴대 가능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메인 출력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압축하여 유/무선 인터넷망이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를 유/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메인 출력 장치,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는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이 설치되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의 채널이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채널/음량 조절 메뉴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 방향 조절 메뉴를 포함하고,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레코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은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고정된 위치가 아닌 사용자의 편한 위치에서 재생함으로써 이동성과 휴대성에서 편의를 기대할 수 있고, 영상 재생 지연이나 화면 일그러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행례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 메인 출력 장치(110),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 및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130)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 메인 출력 장치(110) 및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는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는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130)에 유선 랜 단자(210, 230)를 통해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130)에 WiFi 안테나부 또는 WLAN 안테나부 또는 유선 랜 단자(190, 220)를 통해 연결되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는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130)에 WiFi 안테나부(220)를 통해 WiFi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도 연결 가능하다.
메인 출력 장치(11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 각각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HDMI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이다. HDMI를 이용하면 기존의 아날로그 케이블보다 고품질 음향 및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급하는 장치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셋톱박스(Set Top Box), 카메라,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PC(Personal Computer), 비디오 게임기,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드론 등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는 HDMI 출력 단자(200)를 포함하며, HDMI 출력 단자(2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로부터 HDMI 케이블을 통해 송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HDMI 출력 단자(170)를 통해 HDMI 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출력 장치(110)로 전송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고압축 코덱(H.264, H.265 등)으로 압축하여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130)를 통해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로 실시간 전송한다. 혹은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고압축 코덱(H.264, H.265 등)으로 압축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로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메인 출력 장치(11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로부터 HDMI 입력 단자(160)를 통해 전송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한다. 이러한 메인 출력 장치(110)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혹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출력한다.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앱(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메인 출력 장치(110)에서 재생되는 화면을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에 미러링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는 휴대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일 수 있다.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150)은 멀티미디어 공급 장치의 채널이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채널/음량 조절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150)의 채널/음량 조절 메뉴를 이용하여 채널/음량 등이 조절되면 조절 신호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로 전달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는 전달된 조절 신호에 따라 채널이나 음량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물론 채널/음량 등의 조절 신호가 직접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가 카메라인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150)에서 카메라의 방향 조절 등을 할 수 있도록 카메라 방향 조절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150)의 카메라 방향 조절 메뉴를 이용하여 카메라 방향이 조절되면 카메라 방향 조절 신호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로 전달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는 전달된 조절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 조절 신호가 바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150)은 앱(15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레코딩(recor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는 HDMI 출력 단자(2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로 송신한다(S100).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100)로부터 HDMI 케이블을 통해 송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HDMI 출력 단자(170)를 통해 HDMI 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출력 장치(110)로 전송한다(S110).
메인 출력 장치(11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고압축 코덱(H.264, H.265 등)으로 압축하여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130)를 통해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로 실시간 전송한다(S120). 혹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는 HDMI 입력 단자(18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고압축 코덱(H.264, H.265 등)으로 압축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로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처리하여 실시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고정된 위치가 아닌 사용자의 편한 위치에서 재생함으로써 이동성과 휴대성에서 편의를 기대할 수 있고 영상 재생 지연이나 화면 일그러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례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110: 메인 출력 장치
120: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 130: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
140: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150: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
160, 180: HDMI 입력 단자 170, 200: HDMI 출력 단자
190, 220: WiFi 안테나부 또는 WLAN 안테나부 또는 유선 랜 단자
210, 230, 240: 유선 랜 단자

Claims (5)

  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출력 장치;
    휴대 가능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메인 출력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압축하여 유/무선 인터넷망이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를 유/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무선 인터넷 공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상기 메인 출력 장치,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압축/전송 장치는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보조 출력 장치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이 설치되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의 채널이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채널/음량 조절 메뉴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 방향 조절 메뉴를 포함하고,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레코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00081A 2018-08-27 2018-08-27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18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081A KR102184324B1 (ko) 2018-08-27 2018-08-27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081A KR102184324B1 (ko) 2018-08-27 2018-08-27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743A KR20200023743A (ko) 2020-03-06
KR102184324B1 true KR102184324B1 (ko) 2020-11-30

Family

ID=6980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081A KR102184324B1 (ko) 2018-08-27 2018-08-27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3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87B1 (ko) * 2008-05-21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무선 고화질 멀티미디어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648564B1 (ko) * 2011-03-15 2016-08-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휴대 단말, 원격 카메라, 및 휴대 단말에 의한 원격 카메라의 팬/틸트/줌 제어 방법
KR101855938B1 (ko) 2011-10-06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014075B2 (en) * 2011-10-13 2015-04-21 Alcatel Lucent Wide area mirroring router
KR20140001726A (ko) * 2012-06-27 2014-0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면 동기화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743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7973B1 (en) Screen mirro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EP3195606B1 (en) Direct streaming for wireless display
JPWO2016038950A1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582795B1 (ko) Hdmi 동글 및 그의 제어방법
WO2005069618A1 (en) Portable audio/video system for mobile devices
WO2017101312A1 (zh) 双画面下的音量自动调节方法、装置及智能设备
WO2020233263A1 (zh) 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701714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Volume
JP4931975B2 (ja) 携帯通信端末
JP5870149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マルチメディアビデオ再生システム及びその再生方法
JP3217358U (ja) カラオケ機能付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WO2017128626A1 (zh) 一种音视频播放系统及方法
KR102184324B1 (ko)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04954712A (zh) 无线投影式家庭影院
KR20070008051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텔레비전 시스템
TW201426527A (zh) Hdmi訊號處理系統及方法
US10020903B2 (en) Metho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relay broadcasting using mobile device
KR100730003B1 (ko) 통신 모듈을 이용한 영상 및 음성신호 전송장치 및 방법
CN204669594U (zh) 一种android智能音响视听系统
KR101454333B1 (ko) 실시간 전경영상 및 배경영상 합성 시스템
JP6036225B2 (ja) 書画カメラ、映像音声出力システムおよび映像音声出力方法
JP4406583B2 (ja) 携帯通信端末
KR20180096399A (ko) 중계 방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0340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784697A (zh) 投影系统及投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