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224B1 - 내진 유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진 유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224B1
KR102184224B1 KR1020200104606A KR20200104606A KR102184224B1 KR 102184224 B1 KR102184224 B1 KR 102184224B1 KR 1020200104606 A KR1020200104606 A KR 1020200104606A KR 20200104606 A KR20200104606 A KR 20200104606A KR 102184224 B1 KR102184224 B1 KR 102184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lass
support block
shap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순
심상협
심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정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정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정유리
Priority to KR102020010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09Means for locally spacing the pane from the surrounding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접합 유리를 이용하여 구조체의 강도 및 파손 저항을 향상시키고, 구조체 간의 마찰로 인한 유리 코너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유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두 장 또는 세 장의 유리가 접합 필름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다중 접합 유리; 한 장의 유리로 형성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는 단층 유리; 및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상기 단층 유리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상기 단층 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TPS(Thermo Plastic Spacer) 간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 유리 구조체{GLASS STRUCTURES}
본 발명은 유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체 간의 마찰로 인한 유리 코너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창호, 프레임, 알루미늄틀에 적용되고, 접합 강화 복층유리에 적용될수 있는 내진 유리 구조체으로, 상기 내진 유리 구조체는 방음벽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할 때 함께 시공되는 창호는 건물의 열손실이 제일 많기 때문에 단열 효과가 떨어지고, 외부로부터의 방음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부분이므로 근래에 시공되는 유리창은 단열과 방음효과를 높이기 위해 진공유리 또는 복층유리를 사용하는 창호가 많이 시공되고 있다.
상기 진공유리는 대부분 세 장의 유리판을 이용하되 테두리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내부 공간이 유지되는 두 장의 유리판 사이는 진공상태로 만들고, 그 일측의 간봉으로 간격 유지되는 유리판과의 사이 내부로는 알콘(AR)이나 크림톤(Kr) 등의 단열가스를 주입하여 단열과 방음 성능을 높인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3겹의 진공유리는 내부에 건조된 공기가 채워지는 복층유리에 비해 단열 및 방음 효과가 뛰어난 반면 진공 및 가스 주입에 따른 복잡한 작업공정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원가 상승으로 복층유리에 비해 5배이 상 가격이 비싼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341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0500호
유리 구조체 간의 마찰로 인한 유리 코너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유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는, 두 장 또는 세 장의 유리가 접합 필름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다중 접합 유리; 한 장의 유리로 형성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는 단층 유리; 및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상기 단층 유리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상기 단층 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TPS(Thermo Plastic Spacer) 간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PS 간봉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고무)와 흡수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 필름은,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필름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상기 단층 유리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상기 단층 유리의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상기 단층 유리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상부 지지체;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상부 지지체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단층 유리와 대향하는 상기 다중 접합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 상기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하부 지지체; 및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체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다중 접합 유리와 대향하는 상기 단층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은,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지지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에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다중 접합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안착 터널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 상기 지지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턱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수평 탄성체; 및 상기 보조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턱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수평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체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부는, 상기 상부 지지체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체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 지지체에서의 상기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1 제동부; 상기 상부 지지체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체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 지지체에서의 상기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2 제동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체가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지지체에서의 상기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3 제동부; 및 상기 하부 지지체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체가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지지체에서의 상기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4 제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동부는, 상기 지지 스프링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스프링과 함께 상기 상부 지지체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체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지지 피스톤; 상기 지지 피스톤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공급 라인; 및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부가 상기 안착 터널의 내부 공간으로 전전됨에 따라 상기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동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다른 내진 유리의 코너와 충돌되어 코너 부위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코너가 둥글게 또는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진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진 유리는, 각 코너가 둥글게 또는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유리; 상기 제1 유리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 코너가 둥글게 또는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는 제2 유리; 및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본체;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제1 지지 블록;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유리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아; 상기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제2 지지 블록; 및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유리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자이는,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에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1 유리를 지지하는 바아 본체; 상기 바아 본체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안착 터널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바아 본체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기; 상기 지지 돌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돌기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보조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돌기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딩 제어부;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딩 제어부;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블록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2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3 슬라이딩 제어부;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블록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2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4 슬라이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제어부는, 상기 지지 스프링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스프링과 함께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지지 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공급 튜브; 및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튜브 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부가 상기 안착 터널의 내부 공간으로 전진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바아와 밀착되어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 간의 마찰로 인한 유리 코너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다중 접합 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사각형 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 또는 도 9의 내진 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보조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의 보조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10)는, 다중 접합 유리(100), 단층 유리(200) 및 TPS 간봉(300)을 포함한다.
다중 접합 유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G1 및 G2) 또는 세 장의 유리가 접합 필름(F)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단층 유리(200)와 대향하며 TPS 간봉(300)에 의하여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합 필름(F)은,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필름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층 유리(200)는, 한 장의 유리로 형성되어 다중 접합 유리(1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TPS 간봉(300)에 의하여 이격되어 배치된다.
TPS 간봉(300)은,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TPS 간봉(300)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고무)와 흡수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PS 간봉(300)은, MVRT(투습도) 및 가스 투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창의 U 값을 최소화(기존 창에 대비 최대 14%)시킬 수 있고, 가장 자리 영역의 선형 열전달 계수를 60% 이상 억제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창 가장 자리의 결로 형상을 감소시키고, 유리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 2차 실링재와의 뛰어난 호환성을 제공하고, 기후 변화 및 자외선에 대한 탁월한 내성을 제공하고, 자동화 생산라인에 적용하여 인건비는 낮추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20)는, 다중 접합 유리(100), 단층 유리(200), TPS 간봉(300) 및 간격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중 접합 유리(100), 단층 유리(200) 및 TPS 간봉(3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간격 지지부(400)는,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의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의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20)는,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간격 지지부(400)를 이용하여 감쇄시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내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간격 지지부(400)는, 케이스(410), 상부 지지체(420),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 하부 지지체(440) 및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5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간격 지지부(4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측에 다중 접합 유리(100)가 배치되고, 하측에 단층 유리(200)가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4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다.
상부 지지체(420)는, 케이스(4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케이스(4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중심 지지 플레이트(4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케이스(410)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체(420)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중심 지지 플레이트(4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S1, S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상부 지지체(420)는,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다중 접합 유리(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지지 스프링(S1, S2)을 이용하여 1차 감쇄시키는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인 것이다.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은,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부 지지체(420)의 내부에 안착되며, 단층 유리(200)와 대향하는 다중 접합 유리(10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은, 프레임 본체(431), 받침대(432), 지지턱(433), 제1 수평 탄성체(434) 및 제2 수평 탄성체(43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431)는,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상부 지지체(420)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421)에 하부가 안착되며, 제1 수평 탄성체(434) 및 제2 수평 탄성체(435)에 의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어 받침대(432)에 의해 상측에 안착되는 다중 접합 유리(100)를 지지한다.
받침대(432)는, 프레임 본체(431)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다중 접합 유리(10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지지턱(433)은, 안착 터널(421)에 안착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431)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수평 탄성체(434)는, 지지턱(433)이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 터널(421)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4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턱(433)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수평 탄성체(435)는, 보조 공간(422)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턱(433)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은, 안착 터널(421)에 안착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431)가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 간의 경사각이 변함에 따라 안착 터널(4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킴으로써,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지지체(440)는, 중심 지지 플레이트(411)의 하측에 배치되며, 케이스(410)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된다.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50)은,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하부 지지체(440)의 내부에 안착되며, 다중 접합 유리(100)와 대향하는 단층 유리(20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하부 지지체(440) 및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50)은, 상부 지지체(420)와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과 상하 방향의 대칭 구조로서 해당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간격 지지부(400)는, 제1 제동부(460), 제2 제동부(470), 제3 제동부(480) 및 제4 제동부(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동부(460)는, 상부 지지체(420)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부 지지체(420)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부 지지체(420)에서의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제동부(460)는, 지지 피스톤(461), 유체 공급 라인(462) 및 제동 디스크(46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피스톤(461)은, 지지 스프링(S1)의 내측에 안착되어 지지 스프링(S1)과 함께 상부 지지체(420)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부 지지체(420)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 라인(462)을 통해 제동 디스크(463)로 공급한다.
유체 공급 라인(462)은, 지지 피스톤(46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제동 디스크(463)전달한다.
제동 디스크(463)는, 안착 터널(42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유체 공급 라인(462)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부가 안착 터널(421)의 내부 공간으로 전진됨에 따라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과 밀착되어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제동부(460)는, 상부 지지체(420)가 일정 깊이 이상 하강되는 경우에는 프레임 본체(431)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동시킴으로써,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 간의 경사각 변화를 저지하여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제동부(470)는, 상부 지지체(4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부 지지체(420)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부 지지체(420)에서의 상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3 제동부(480)는, 하부 지지체(440)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하부 지지체(440)가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하부 지지체(440)에서의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4 제동부(490)는, 하부 지지체(44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하부 지지체(440)가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하부 지지체(440)에서의 하부 곡선형 지지프레임(4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제동부(470), 제3 제동부(480) 및 제4 제동부(490)는, 제1 제동부(460)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해당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간격 지지부(400)는,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 간의 이격 간격이 평행하게 줄어드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 간의 경사각이 변하는 경우에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다중 접합 유리(100)와 단층 유리(2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30)는, 내진 유리(500a, 500b)를 포함한다.
내진 유리(500a, 500b)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다른 내진 유리의 코너와 충돌되어 코너 부위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코너가 3R 내지 7R 정도로 둥글게(500a) 또는 삼각형 형태(500b)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사각형 유리는, 꼭지점 부분(코너)이 충격에 취약해서 지진 등의 충격이 있으면 깨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구조체(30)는, 각 코너가 둥글게 또는 삼각형 형태로 절개 형성됨으로써, 구조체 간의 마찰로 인한 유리 코너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 또는 도 9의 내진 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진 유리(500a, 500b)는, 제1 유리(510a, 510b), 제2 유리(520a, 520b) 및 보조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제1 유리(510a, 510b)는, 각 코너가 둥글게(510a)(도 11의 (a)) 또는 삼각형 형태(510b)(도 11의 (b))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2 유리(520a, 520b)는, 제1 유리(510a, 510b)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 코너가 둥글게(510a)(도 11의 (a)) 또는 삼각형 형태(510b)(도 11의 (b))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제1 유리(510a, 510b)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된다.
보조 지지부(600)는, 제1 유리(510a, 510b)와 제2 유리(520a, 520b)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제1 유리(510a, 510b)와 제2 유리(520a, 520b)의 사이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부(6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의 보조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보조 지지부(600)는, 지지 본체(610), 제1 지지 블록(620), 제1 지지바아(630), 제2 지지 블록(640) 및 제1 지지바아(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 지지부(6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측에 제1 유리(510)가 배치되고, 하측에 제2 유리(520)가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 본체(6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다.
제1 지지 블록(620)은, 지지 본체(6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지지 본체(6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중심 지지 플레이트(6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지지 본체(610)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블록(620)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중심 지지 플레이트(6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B1, B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 블록(620)은, 제1 지지바아(6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제1 유리(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지지 스프링(B1, B2)을 이용하여 1차 감쇄시키는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인 것이다.
제1 지지바아(630)는,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제1 지지 블록(620)의 내부에 안착되며, 제2 유리(520)와 대향하는 제1 유리(51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바아(630)는, 바아 본체(631), 받침 플레이트(632), 지지 돌기(633), 제1 스프링(634) 및 제2 스프링(635)을 포함할 수 있다.
바아 본체(631)는,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제1 지지 블록(620)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621)에 하부가 안착되며, 제1 스프링(634) 및 제2 스프링(635)에 의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어 받침 플레이트(632)에 의해 상측에 안착되는 제1 유리(5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632)는, 바아 본체(631)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제1 유리(51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지지 돌기(633)는, 안착 터널(621)에 안착되어 있는 바아 본체(631)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스프링(634)은, 지지 돌기(633)가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 터널(621)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6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 돌기(633)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스프링(635)은, 보조 공간(622)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 돌기(633)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제1 지지바아(630)는, 안착 터널(621)에 안착되어 있는 바아 본체(631)가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 간의 경사각이 변함에 따라 안착 터널(6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킴으로써,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블록(640)는, 중심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배치되며, 지지 본체(610)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된다.
제1 지지바아(650)은,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제2 지지 블록(640)의 내부에 안착되며, 제1 유리(510)와 대향하는 제2 유리(52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지지 블록(640) 및 제1 지지바아(650)은, 제1 지지 블록(620)와 제1 지지바아(630)과 상하 방향의 대칭 구조로서 해당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 지지부(600)는, 제1 슬라이딩 제어부(660), 제2 슬라이딩 제어부(670), 제3 슬라이딩 제어부(680) 및 제4 슬라이딩 제어부(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제어부(660)는, 제1 지지 블록(620)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 블록(620)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제1 지지 블록(620)에서의 제1 지지바아(6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 제어부(660)는, 유체 공급부(661), 유체 공급 튜브(662) 및 제동 플레이트(66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661)는, 지지 스프링(B1)의 내측에 안착되어 지지 스프링(B1)과 함께 제1 지지 블록(620)의 일측을 지지하며, 제1 지지 블록(620)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 튜브(662)를 통해 제동 플레이트(663)로 공급한다.
유체 공급 튜브(662)는, 유체 공급부(66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제동 플레이트(663)로 전달한다.
제동 플레이트(663)는, 안착 터널(62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유체 공급 튜브(662)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부가 안착 터널(621)의 내부 공간으로 전진됨에 따라 제1 지지바아(630)와 밀착되어 제1 지지바아(6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슬라이딩 제어부(660)는, 제1 지지 블록(620)이 일정 깊이 이상 하강되는 경우에는 바아 본체(631)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동시킴으로써,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 간의 경사각 변화를 저지하여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제어부(670)는, 제1 지지 블록(6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 블록(620)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제1 지지 블록(620)에서의 제1 지지바아(6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3 슬라이딩 제어부(680)는, 제2 지지 블록(640)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제2 지지 블록(640)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제2 지지 블록(640)에서의 제1 지지바아(6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4 슬라이딩 제어부(690)는, 제2 지지 블록(64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제2 지지 블록(640)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제2 지지 블록(640)에서의 제1 지지바아(6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슬라이딩 제어부(670), 제3 슬라이딩 제어부(680) 및 제4 슬라이딩 제어부(690)는, 제1 슬라이딩 제어부(660)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해당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 지지부(600)는,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 간의 이격 간격이 평행하게 줄어드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 간의 경사각이 변하는 경우에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1 유리(510)와 제2 유리(52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유리 구조체
100: 다중 접합 유리
200: 단층 유리
300: TPS 간봉
400: 간격 지지부
500: 내진 유리
600: 보조 지지부

Claims (1)

  1.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다른 내진 유리의 코너와 충돌되어 코너 부위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코너가 둥글게 또는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진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내진 유리는,
    각 코너가 둥글게 또는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유리;
    상기 제1 유리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 코너가 둥글게 또는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는 제2 유리; 및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본체;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제1 지지 블록;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유리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아;
    상기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제2 지지 블록; 및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유리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바아는,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에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1 유리를 지지하는 바아 본체;
    상기 바아 본체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안착 터널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바아 본체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기;
    상기 지지 돌기가 배치a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돌기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보조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돌기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블록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중심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딩 제어부;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딩 제어부;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블록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2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3 슬라이딩 제어부;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블록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2 지지 블록에서의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4 슬라이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유리 구조체.
KR1020200104606A 2020-08-20 2020-08-20 내진 유리 구조체 KR102184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06A KR102184224B1 (ko) 2020-08-20 2020-08-20 내진 유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06A KR102184224B1 (ko) 2020-08-20 2020-08-20 내진 유리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224B1 true KR102184224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06A KR102184224B1 (ko) 2020-08-20 2020-08-20 내진 유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2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736A (ko) * 1998-06-08 2001-03-26 이즈하라 요우조우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JP2002349005A (ja) * 2001-05-29 2002-12-04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KR20150143416A (ko) 2013-01-26 2015-12-23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적층된 유리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10500A (ko) 2013-05-15 2016-01-2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구조체와, 유리 구조체 처리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736A (ko) * 1998-06-08 2001-03-26 이즈하라 요우조우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JP2002349005A (ja) * 2001-05-29 2002-12-04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KR20150143416A (ko) 2013-01-26 2015-12-23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적층된 유리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10500A (ko) 2013-05-15 2016-01-2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구조체와, 유리 구조체 처리 및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182B1 (ko)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AU2020203552A1 (en) Inflatable airbed mattress internal support system
KR102184224B1 (ko) 내진 유리 구조체
KR200405634Y1 (ko) 공기주머니를 갖는 방진단열바닥재
KR102168237B1 (ko) Pvb필름 또는 수지접합 tps 또는 알루미늄 금속 복층 유리 구조체
CN106364799A (zh) 一种易碎品包装纸箱
US8327905B2 (en) Vertically collapsible barrier with improved sealing
CN106219010B (zh) 一种液晶面板托盘
KR101763108B1 (ko) 폴리카보네이트 층의 이중 창호
CN207003708U (zh) 用于建筑物的混凝土隔音墙体
KR102187366B1 (ko) 인테리어 시공 방법
JP6957379B2 (ja) 間仕切パネル
CN1646407B (zh) 电梯
CN112177499B (zh) 保温节能的玻璃幕墙
JP6588872B2 (ja) 防煙たれ壁
KR102380653B1 (ko) 복합 내진형 시스템 창호
KR102488387B1 (ko) 방화 단열 창호
CN106275847B (zh) 一种缓冲装置
JPWO2016098831A1 (ja)
KR102204441B1 (ko) 유리 구조체 제조 방법
KR101177263B1 (ko) 완충형 단열간봉구조
CN216894080U (zh) 一种密闭腔式多功能中空玻璃
CN216103777U (zh) 一种具有边角防护的钢化玻璃结构
CN215054282U (zh) 室内玻璃装饰板隔断结构
KR20230134253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