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758B1 -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758B1
KR102183758B1 KR1020200097311A KR20200097311A KR102183758B1 KR 102183758 B1 KR102183758 B1 KR 102183758B1 KR 1020200097311 A KR1020200097311 A KR 1020200097311A KR 20200097311 A KR20200097311 A KR 20200097311A KR 102183758 B1 KR102183758 B1 KR 10218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space
induction
guide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흠
Original Assignee
전영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36417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837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흠 filed Critical 전영흠
Priority to KR102020009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B01F15/029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9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distributing means, e.g. manifold valves or multiple fittings for supplying the discharge components to a plurality of dispensing places
    • B01F7/2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33Inflation devices or methods for inflating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41Holding or sealing means, e.g. handling rods, clamps or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91Balloons with object inserted within; Means or methods for insertion of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는, 상면에 주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 및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몸체의 하면을 통해 주입 공간에 연결된 복수 개의 유도관을 포함하되,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이 풍선에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은 고정 부재에 의해 유도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Amusement balloon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유체를 풍선에 주입하여 놀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풍선을 처리할 수 있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선은 종이, 고무, 비닐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주머니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풍선은 공기, 헬륨가스, 물 등과 같은 유체로 충진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다양한 놀이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체 중 물로 충진된 풍선은 물풍선이라고 하는 데, 물풍선은 물총과 더불어 대표적인 물놀이 장난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물풍선은 풍선을 하나씩 급수 장치에 연결된 수전(faucet)(예를 들어, 수도꼭지 등)에 연결하고, 물을 풍선에 주입하며, 물이 주입된 풍선의 입구를 묶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풍선이 하나씩 수전에 연결되기에,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풍선으로 물풍선, 즉 놀이용 풍선으로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상당히 번거롭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복수 개의 풍선을 용이하게 놀이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의 풍선에 동시에 유체를 주입하여 놀이용 풍선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풍선을 놀이용 풍선으로 제조하는 데에 따른 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는, 상면에 주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 및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몸체의 하면을 통해 주입 공간에 연결된 복수 개의 유도관을 포함하되,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이 풍선에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은 고정 부재에 의해 유도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몸체는, 상면에 유도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도관이 연결되는 원기둥 형상의 유도 몸체; 및 중공 형상의 연결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가 유도 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연결 공간과 유도 공간을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연결 몸체의 나머지 일부는 유도 몸체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고, 연결 몸체의 일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유도 몸체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연결 몸체의 일부는 유도 공간에 삽입되어 유도 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유도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 부분에는 뾰족한 형상으로 첨단부가 형성되고,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면에는 유도관의 외경보다 큰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첨단부가 고정 부재에 삽입되면서 첨단부에 의해 신장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고정 부재는 고정 유도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유도부에 위치되고,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이 풍선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는 첨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고정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여 고정 유도부로부터 이격되고 풍선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수축되어 풍선을 유도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유체가 주입 공간에 공급될 때, 유체는 주입 공간으로부터 유도관을 통해 풍선에 주입되어 풍선을 팽창시킬 수 있다.
풍선이 유도관으로부터 분리되면, 고정 부재는 수축되어 풍선을 밀폐할 수 있다.
고정 유도부의 제 1 종단면에는 삽입 공간에 연결되도록 배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는, 상면에 유도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도관이 연결되는 원기둥 형상의 유도 몸체;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중공 형상의 연결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몸체; 및 일부가 유도 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 몸체의 일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연결 공간과 유도 공간을 연결하는 분기 몸체를 포함하고,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는, 유도 공간의 상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도 공간의 중앙에 위치되는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회전 날개, 및 유도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날개들을 연결하도록 날개 연결부를 포함하되 유도 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혼합부;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혼합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유도 공간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유도 개구가 형성되며, 회전 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분산부를 더 포함하며, 연결 몸체의 각각에 물 및 색소가 주입되면, 물 및 색소는 분기 몸체를 통해 유도 몸체에 주입되고 혼합부를 회전시키면서 혼합되며 유도 개구를 통해 유도관으로 유도될 수 있다.
유도관은,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조립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고,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을 형성하는 조절 부재; 및 유도관의 제 2 종단면에 위치되고, 물에서 부유될 수 있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되, 유체가 물이고 주입 공간에 공급될 때, 유체가 주입 공간으로부터 유도관을 통해 풍선에 주입되어 풍선을 팽창시키고, 부력 부재는 유체의 부력에 의해 몸체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조절 부재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유체가 복수 개의 풍선에 동시에 주입되어 놀이용 풍선을 제조할 수 있다
(2) 놀이용 풍선을 제조하는 데에 따른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에서 풍선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에 풍선을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의 변형된 모습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에서 변형된 유도관의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에서 풍선(1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에 풍선(10)을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는 몸체(101) 및 유도관(102)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풍선(10)들에 동시에 유체(예를 들어, 공기, 헬륨 가스, 물 등)을 주입하여 놀이에 이용가능한 놀이용 풍선을 제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는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여 놀이용 풍선 즉, 물풍선을 제조하는 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몸체(101)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주입 공간(10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체는 주입 공간(10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주입 공간(101')에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 공간(101')은 급수 장치에 연결된 수전(faucet)(예를 들어, 수도꼭지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1)는 유도 몸체(111) 및 연결 몸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몸체(11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유도 공간(11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공간(111')은 유도 몸체(111)에 대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몸체(113)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13)의 중앙에는 중공 형상의 연결 공간(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몸체(113)의 일부가 유도 공간(111')에 삽입되어 유도 몸체(11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공간(113')은 유도 공간(111')에 연결되고, 유도 공간(111')과 조합하여 주입 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13)의 일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유도 몸체(111)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 몸체(113)는 유도 몸체(111)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유도 몸체(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도 몸체(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13)의 일부가 유도 몸체(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몸체(113)의 나머지 일부는 유도 몸체(111)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작아지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13)의 나머지 일부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 몸체(113)는 유도 몸체(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양한 크기의 배출구를 갖는 수전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도관(102)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도관(102)은 몸체(101), 특히 유도 몸체(111)의 하면에 연결되어 주입 공간(10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관(102)의 제 1 종단은 유도 몸체(111)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은 풍선(10)에 삽입될 수 있고(도 3(a) 및 도 3(b) 참조), 풍선(10)은 고정 부재(20)에 의해 유도관(102)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부재(20)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도관(10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고리(ring)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부재(20)가 유도관(102)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신장된 상태에서,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은 풍선(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2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20)는 수축되어 풍선(10)을 유도관(102)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풍선(10)이 고정 부재(20)에 의해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유체는 몸체(101)의 주입 공간(101')으로 주입될 수 있고, 주입 공간(101')으로부터 유도관(102)을 통해 풍선(10)에 주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풍선(10)은 유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또한, 풍선(10)이 팽창된 상태에서, 풍선(10)은 유도관(1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20)는 추가적으로 수축되고, 풍선(10)은 고정 부재(20)에 폐쇄되어 유체를 주입한 상태로 유지되어, 놀이용 풍선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풍선(10)은 물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는 물 자체 중량에 의해 유도관(102)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는 하나의 주입 공간(101')을 갖는 몸체(101), 및 주입 공간(101')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유도관(10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특히 물은 주입 공간(101')에 주입된 이후에 유도관(102)으로 분기되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유도관(102)의 종단 부분이 풍선(10)에 삽입되고, 풍선(10)은 고정 부재(20)에 의해 유도관(10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는 유도관(102)으로 유도되고 풍선(10)에 주입되어 풍선(10)을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풍선(10)은 소정의 크기로 팽창된 상태에서 유도관(102)으로부터 분리되고 폐쇄된 상태에서 놀이용 풍선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는 복수 개의 풍선에 유체를 동시에 주입하여 복수 개의 풍선을 동시에 놀이용 풍선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놀이용 풍선의 제조 시간은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는 고정 유도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도부(103)는 고정 부재(20)를 풍선(10)에 삽입된 유도관(102)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유도부(103)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 부분에는 뾰족한 형상으로 첨단부(131)가 형성되고,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 2 종단면에는 삽입 공간(13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 부재(2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유도관(10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되,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도부(103)의 첨단부(131)가 고정 부재(20)에 삽입되면서 첨단부(131)에 의해 신장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유도관(102)이 풍선(10)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 공간(1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133)은 유도관(10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고정 유도부(103)의 제 2 종단 부분은 유도관(10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도부(103)의 제 1 종단면에는 삽입 공간(133)에 연결되도록 배출 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도부(103)는 첨단부(131)부터 고정 부재(20)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부재(20)를 신장시키면서 고정 부재(2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도 3(c) 참조). 여기서, 고정 부재(20)는 첨단부(131)로부터 멀어지도록 고정 유도부(103)를 따라 이동하여 신장될 수 있고, 유도관(10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신장될 수 있다. 특히, 고정 부재(20)는 신장되어 풍선(10) 및 유도관(102)이 삽입된 고정 유도부(10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 부재(20)가 고정 유도부(10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도부(103)의 삽입 공간(133)의 내경이 유도관(102)의 외경보다 크기에, 풍선(10)에 삽입된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은 고정 유도부(103)의 삽입 공간(13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풍선(10)의 일부는 유도관(102)과 함께 삽입 공간(133)에 삽입될 수 있다(도 3(d) 참조). 또한, 풍선(10) 및 유도관(102)이 삽입 공간(133)에 삽입될 때, 삽입 공간(133)의 공기는 배출 개구(1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풍선(10) 및 유도관(102)은 상호 간에 조합하여 삽입 공간(133)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더라도 삽입 공간(13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20)는 첨단부(131)로부터 멀어지도록 고정 유도부(103)를 따라 이동하여 고정 유도부(103)로부터 이격되고 유도관(102)이 삽입된 풍선(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20)는 수축되어 풍선(10)을 유도관(102)에 밀착시킬 수 있다(도 3(e) 참조). 이로 인해, 풍선(10)은 고정 부재(20)에 의해 유도관(102)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 유도부(103)는 풍선(10) 및 유도관(1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도 3(f) 참조). 유체는 주입 공간(101')에 주입되어 유도관(102)을 통해 주입되어 풍선(10)을 팽창시킬 수 있다(도 3(g) 참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뾰족한 형상의 첨단부(131)가 고정 부재(20)에 삽입되면서 고정 부재(20)가 첨단부(131)에 의해 신장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경우, 풍선(10)이 유체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유도관(102)으로부터 분리될 때, 고정 부재(20)는 수축되어 풍선(10)을 폐쇄하여, 풍선(10)은 유체의 누설 없이 놀이용 풍선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 유도부(103)는 고정 유도부(103)에서 뾰족한 형상의 첨단부(131)에 의해 신장될 수 있는 내경을 고정 부재(20)를 용이하게 신장시켜 풍선(10)을 유도관(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의 변형된 모습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에서 변형된 유도관(102)의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는 변형될 수 있다.
몸체(101)는 유도 몸체(111), 한 쌍의 연결 몸체(113)들 및 분기 몸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몸체(11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유도 공간(11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하면에는 복수 개의 유도관(10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공간(111')은 유도 몸체(111)에 대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몸체(1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13)의 중앙에는 중공 형상의 연결 공간(113')이 형성될 수 있다.
분기 몸체(115)는 한 쌍의 연결 몸체(113)를 하나의 유도 몸체(111)에 연결할 수 있다. 유체는 연결 몸체(113)들의 각각에 주입되어 분기 몸체(115)를 통과하여 유도 몸체(111)에 혼합되어 유도관(102)으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몸체(113)들 중 하나에 주입된 유체가 물이고, 연결 몸체(113)들 중 나머지 하나에 주입된 유체가 색소일 때, 물 및 색소는 분기 몸체(115)를 통과하여 유도 몸체(111)에서 혼합될 수 있다. 물은 색소에 따른 색상을 가진 상태에서 유도관(102)을 통해 풍선(10)에 주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풍선(10)은 색상을 갖는 물을 주입한 물풍선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풍선을 던져져 상대방을 맞추는 놀이가 이루어질 때, 물풍선은 색상을 갖는 물을 주입한 상태에서 터질 수 있다. 여기서, 물의 색상이 그대로 물풍선을 맞은 상대방에 남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방이 물풍선을 맞았는제 맞지 않았는지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몸체(101)의 구성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100)는 혼합부(104) 및 분산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부(104)는 몸체(101), 특히 유도 몸체(111)의 유도 공간(111')에 위치되어, 분기 몸체(115)를 통과한 물과 색소에 의해 회전되어 물과 색소를 고르게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혼합부(104)는 회전 샤프트(141), 회전 날개(143) 및 날개 연결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41)는 유도 공간(111')의 상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도 공간몸체(101)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 날개(14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회전 샤프트(141)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날개(143)는 상호 간에 이격되고, 소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날개 연결부(145)는 유도 몸체(1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날개(143)들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분산부(105)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혼합부(104)의 하측에 위치되고 유도 공간(11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산부(105)에는 복수 개의 유도 개구(105')가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혼합부(104)의 회전 샤프트(141)는 분산부(105)의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회전 날개(143)는 회전 샤프트(141)에 의해 분산부(105)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혼합부(104)가 분기 몸체(115)를 통과한 유도 공간(111')에서 물과 색소에 의해 회전되어 물과 색소를 고르게 혼합시킨 상태에서, 혼합된 물과 색소는 분산부(105)에 도달하고 분산부(105)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유도 개구(105')를 통과함으로써 고르게 분산되어 유도관(102)을 향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은 색소로 인한 색상을 갖는 상태에서 유도관(102)을 통해 고르게 풍선(10)에 주입될 수 있다.
유도관(102)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도관(102)은 몸체(101), 특히 유도 몸체(111)의 하면에 연결되어 주입 공간(10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관(102)의 제 1 종단은 유도 몸체(111)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은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은 풍선(10)에 삽입되고, 길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유도관(102)은 조절 부재(121) 및 부력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부재(12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조립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고,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조절 부재(121)는 풍선(10)에 삽입될 수 있다.
부력 부재(123)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유도관(102)의 제 2 종단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부력 부재(123)는 조절 부재(121)들 중에서 몸체(10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조절 부재(121)의 종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부재(123)는 물에서 부유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관(102)의 제 2 종단 부분, 즉 조절 부재(121)가 풍선(10)에 삽입되고, 고정 부재(20)가 조절 부재(121)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경우, 부력 부재(123)는 풍선(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도 5(a) 참조). 물이 풍선(10)에 주입되는 경우, 부력 부재(123)는 물의 부력에 의해 이동하고 몸체(101)를 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부재(121)는 접히면서 점점 감소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도 5(b) 참조). 이로 인해, 물이 풍선(10)에 어느 정도 주입된 상태에서, 풍선(10)은 용이하게 유도관(1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101: 몸체
111: 유도 몸체
113: 연결 몸체
102: 유도관
103: 고정 유도부
104: 혼합부
105: 분산부

Claims (10)

  1.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주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 및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몸체의 하면을 통해 주입 공간에 연결된 복수 개의 유도관을 포함하되,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이 풍선에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은 고정 부재에 의해 유도관에 고정되고,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 부분에는 뾰족한 형상으로 첨단부가 형성되고,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면에는 유도관의 외경보다 큰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고정 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첨단부가 고정 부재에 삽입되면서 첨단부에 의해 신장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고정 부재는 고정 유도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유도부에 위치되고,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이 풍선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는 첨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고정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여 고정 유도부로부터 이격되고 풍선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수축되어 풍선을 유도관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는,
    상면에 유도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도관이 연결되는 원기둥 형상의 유도 몸체; 및
    중공 형상의 연결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가 유도 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연결 공간과 유도 공간을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연결 몸체의 나머지 일부는 유도 몸체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고,
    연결 몸체의 일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유도 몸체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연결 몸체의 일부는 유도 공간에 삽입되어 유도 몸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유도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유체가 주입 공간에 공급될 때, 유체는 주입 공간으로부터 유도관을 통해 풍선에 주입되어 풍선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풍선이 유도관으로부터 분리되면, 고정 부재는 수축되어 풍선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유도부의 제 1 종단면에는 삽입 공간에 연결되도록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몸체는,
    상면에 유도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도관이 연결되는 원기둥 형상의 유도 몸체;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중공 형상의 연결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몸체; 및
    일부가 유도 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 몸체의 일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연결 공간과 유도 공간을 연결하는 분기 몸체를 포함하고,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는,
    유도 공간의 상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도 공간의 중앙에 위치되는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회전 날개, 및 유도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날개들을 연결하도록 날개 연결부를 포함하되 유도 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혼합부;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혼합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유도 공간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유도 개구가 형성되며, 회전 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분산부를 더 포함하며,
    연결 몸체의 각각에 물 및 색소가 주입되면, 물 및 색소는 분기 몸체를 통해 유도 몸체에 주입되고 혼합부를 회전시키면서 혼합되며 유도 개구를 통해 유도관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10. 상면에 주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 및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몸체의 하면을 통해 주입 공간에 연결된 복수 개의 유도관을 포함하되,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이 풍선에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은 고정 부재에 의해 유도관에 고정되고,
    유도관은,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조립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고, 유도관의 제 2 종단 부분을 형성하는 조절 부재; 및
    유도관의 제 2 종단면에 위치되고, 물에서 부유될 수 있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며,
    유체가 물이고 주입 공간에 공급될 때, 유체가 주입 공간으로부터 유도관을 통해 풍선에 주입되어 풍선을 팽창시키고, 부력 부재는 유체의 부력에 의해 몸체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조절 부재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KR1020200097311A 2020-08-04 2020-08-04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KR10218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11A KR102183758B1 (ko) 2020-08-04 2020-08-04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11A KR102183758B1 (ko) 2020-08-04 2020-08-04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758B1 true KR102183758B1 (ko) 2020-11-27

Family

ID=7364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311A KR102183758B1 (ko) 2020-08-04 2020-08-04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057B1 (ko) * 2021-05-17 2022-02-17 심재영 물을 채워 사용 가능한 물풍선
KR20230044790A (ko) * 2021-09-27 2023-04-04 심재영 테이퍼관을 말아서 보관하고 펼쳐서 물을 채워 사용 가능한 물풍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5328A1 (en) * 1987-01-26 1988-07-28 Philip Edward Lang Balloon
US6719020B1 (en) * 2000-05-17 2004-04-13 Riccardo Bisotto Device for the inflation of an elastic, translucent object, specifically a balloon
CN205687530U (zh) * 2016-05-28 2016-11-16 曲玉华 呼吸内科用液体药物装瓶器
JP3224519U (ja) * 2019-10-11 2019-12-26 崔衛軍 風船の水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5328A1 (en) * 1987-01-26 1988-07-28 Philip Edward Lang Balloon
US6719020B1 (en) * 2000-05-17 2004-04-13 Riccardo Bisotto Device for the inflation of an elastic, translucent object, specifically a balloon
CN205687530U (zh) * 2016-05-28 2016-11-16 曲玉华 呼吸内科用液体药物装瓶器
JP3224519U (ja) * 2019-10-11 2019-12-26 崔衛軍 風船の水充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057B1 (ko) * 2021-05-17 2022-02-17 심재영 물을 채워 사용 가능한 물풍선
KR20230044790A (ko) * 2021-09-27 2023-04-04 심재영 테이퍼관을 말아서 보관하고 펼쳐서 물을 채워 사용 가능한 물풍선
KR102646168B1 (ko) * 2021-09-27 2024-03-08 심재영 다수의 풍선이 각 수직관에 결합된 테이퍼관을 말아서 보관하고 펼쳐서 물을 동시에 풍선에 채워 사용 가능한 물풍선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758B1 (ko) 놀이용 풍선 제조 장치
US5123645A (en) Projectile with interiorly weighted flow passage insert
ES2295881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 articulo moldeado que comprende una capa de poliuretano pulverizado.
JP6959076B2 (ja) スプレーノズル内部で流体を回転させるための装置そのような装置を含む組立体およびコーティング装置
US20090118723A1 (en) Coolant injection tube
JP4955578B2 (ja) 充填ノズル
US9050543B2 (en) Bubble-producing devices and toy marksman kit including same
JP2009515603A5 (ko)
CN101244309A (zh) 医用旋塞
KR20130115244A (ko) 다경로 밸브를 위한 디퓨저
JP2018526207A (ja) 流体流れを混合するノズルおよび方法
CN105745026A (zh) 用于火焰喷射热塑性粉末的方法和设备
ES2882179T3 (es) Dispositivo de angioplastia
KR20170122837A (ko) 발포 장치 및 발포 방법
US2526220A (en) Spray nozzle
CN108246530B (zh) 一种密闭养殖场离心式消毒塔
US1036871A (en) Liquid-mixing apparatus.
KR100336529B1 (ko) 액체분배장치
US6739779B1 (en) Fabric repair colo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CN207795422U (zh) 喷嘴结构、喷射装置和发动机
CN102284126B (zh) 组合式宫颈扩张器
KR102154396B1 (ko) 유체 분출기
US6203186B1 (en) Spherical eductor atomizer
CN206670236U (zh) 一种化学实验用玻璃器皿干燥器
JPH02119963A (ja) 気体流体で液体を送り出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