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752B1 -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 Google Patents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752B1
KR102183752B1 KR1020200069525A KR20200069525A KR102183752B1 KR 102183752 B1 KR102183752 B1 KR 102183752B1 KR 1020200069525 A KR1020200069525 A KR 1020200069525A KR 20200069525 A KR20200069525 A KR 20200069525A KR 102183752 B1 KR102183752 B1 KR 102183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parking lot
temperatur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김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훈 filed Critical 김대훈
Priority to KR102020006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7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7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ng a time when a vehicle exi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ng a time when a vehicle exits, which detects the temperature of an exhaust port of a vehicle parked in a parking area and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therefrom to check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started, and predicts a vehicle exit time and a travel time for a vehicle exit path and provides the same to a driver, thereby smoothly managing the parking lot and preventing fender-benders and the like inside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an identify how much the vehicle has been prehe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ot, thereby accurately predicting when the vehicle will exit, and can notify moving pedestrians and vehicles traveling around a vehicle that is about to exit that the vehicle is about to leave, thereby preventing fender-benders and the like inside the parking lot.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vehicle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the location of a vehicle and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expected to enter or exit.

Description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ing of vehicle leaving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배기구의 온도와 탄화수소 배출량을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 여부를 확인하고, 출차시간과 출차경로의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차장의 관리를 원활하게 하고 주차장 내부에서 차량의 접촉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ing of leaving th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and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and the departure time and the exit path It relates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ing of the vehicle leaving the parking lot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he parking lot by predicting the arrival time of and providing it to the driver and to prevent contact accidents with the vehicle inside the parking lot.

오늘날 차량이 수시로 출입하는 오피스, 아파트형공장, 오피스텔, 아파트(공동주택) 등 다양한 집합건물이나 인구밀집지역의 빌딩,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몰 등에는 대규모의 주차장이 여러 층 및 구역으로 나뉘어 마련되어 있다.Today, large-scale parking lots are divided into several floors and zones in various complex buildings such as offices, apartment-type factories, officetels, apartments (common houses), etc., or buildings in densely populated areas, large marts,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etc.

이러한 대형 주차장은 다수의 주차블록(구획)과 통로로 이루어지는데,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는 통로를 운행하면서 빈 주차블록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주차블록별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통로의 천장에는 유도성 확보와 주차의 편의 등을 위해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다.Such a large parking lot consists of a number of parking blocks (divisions) and aisles.In order to park a vehicle, there is a hassle of finding an empty parking block while driving the aisle.Therefore, a predetermined sensor that can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for each parking block Is installed, and light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passage to ensure inductiveness and convenience for parking.

또한, 주차장 내에는 신호등이 없기 때문에 교차통로에서는 서행 또는 정지하고 좌우를 신중히 살핀 후 진입 및 주의하여 통과해야 하고, 두 차량이 마주쳤을 때는 서로 교신하며 통행 우선순위를 정하여 선진입한 차량 또는 직진 차량에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traffic lights in the parking lot, you must go slowly or stop at the intersection, carefully check the left and right, and then enter and pass carefully.When two vehicles encounter each other,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et the traffic priority to advance the vehicle or go straight ahead. You must yield to your career path.

따라서 주차장 내 차량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주차 및 출차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자칫 운전자의 방심이나 판단 착오로 인한 접촉 사고나 추돌 사고와 같은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park and exit because the vehicle flow in the parking lot is not smooth, and traffic accidents such as contact accidents or collision accidents frequently occur due to the driver's inattention or misjudgment.

최근에는 주차장 내부의 차량의 주차 여부나 진행상황 등을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Recently, a technology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driver by detecting whether or not a vehicle is parked in a parking lot with various types of sensors has been disclos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인검지 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며, 도 2는 무인검지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unmanned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unmanned detection system.

이와 같은 무인검지 시스템(10)은 주차면마다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주차관리시스템(20)에 연결된다.Such unmanned detection system 10 is independently installed for each parking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주차관리시스템(20)은 무인검지 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정보 등을 바탕으로 요금을 징수하고, 주차장을 관리하고 이상 상황을 순찰하는 순찰자에게 제공한다.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20 collects a fee based on par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detection system 10, manages the parking lot, and provides it to patrol patrols for abnormal situations.

그리고 주차장의 주차상황을 종합적으로 취합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it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hensively collecting parking conditions in the parking lot and managing the history of these data.

무인검지 시스템(10)은 제어부(11), 센서부(12), 주차정보 DB(13), 표시부(14), 통신부(15)를 포함한다.The unmanned detection system 10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sensor unit 12, a parking information DB 13, a display unit 14, and a communication unit 15.

제어부(11)는 각 주차면에 출입하는 차량에 대한 출입시각과 주차시간을 계산한다. 즉, 주차장에 차량이 들어온 시각과 나간 시각을 바탕으로 주차시간을 계산하여 주차정보를 생성하고, 계산된 주차시간을 표시부(14)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1 calculates the access time and parking time for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each parking surface. That is, park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parking time based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the parking lot, and the calculated parking time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

또한, 통신부(15)를 통하여 주차관리시스템(20)으로 주차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며,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park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 and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is check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센서부(12)는 각 주차면에 차량이 진입하고 진출할 때 이를 자동으로 검지하고, 검지된 신호나 데이터를 제어부(11)에 전달한다.The sensor unit 12 automatically detects when a vehicle enters and exits each parking surface,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or data to the controller 11.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특정 구역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이 언제 출차를 할지, 어느 경로를 통해 진행할 지를 예상하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므로, 주차장 내부에서 차량이 밀리거나 접촉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even with such a system, the technology for predicting when a vehicle parked in a specific area will exit and through which route is not provid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is pushed or a contact accident occurs inside the parking lot. there was.

KRKR 10-205870810-2058708 B1B1 KRKR 10-2005-007852110-2005-0078521 AA KRKR 10-2019-010532510-2019-0105325 A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인시스템으로 관리되는 주차장의 주차구역에 차량의 시동 초기에 배출되는 탄화수소를 감지하면서 배기구의 온도를 함께 감지하고,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점차 줄어들면서 엔진이 가열되면 차량이 출발할 것으로 간주하여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while detecting the hydrocarbon discharged at the initial start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area of the parking lot managed by the unmanned system, and when the engine is heated as the emission of hydrocarbon gradually decreas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vehicle, which allows the vehicle to predict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vehicle by considering the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또한 주차되어 있던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서 변화되는 상황에 따라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여 주위의 차량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e of leaving the vehicle to provide information to nearby vehicle drivers by estimating the time of leav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hanging situation as the vehicle being parked is turned on.

또한 차량의 출차 예상시점에 따라 진행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차량이 몰리는 교차로나 보행자의 이동이 빈번한 곳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ing of the vehicle leaving the vehicle to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at intersections or places where pedestrians frequently move by guiding the progression route according to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To do.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주차구역(33)에 주차된 차량(40)의 온도 및 탄화수소 배출량을 감지하여 차량(40)의 진입 및 진출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40)의 출차시간과 출차경로의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으로서, 내부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의 변환과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02)와; 주차장(30) 내부에 들어온 상기 차량(40)의 존재와 위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40)의 위치와 진출입 예상 시점을 확인하는 차량관리부(104)와; 상기 주차장(30)에 진입하여 상기 주차구역(33)에 상기 차량(40)을 주차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차량(40)이 어느 장소에 주차되어 있으며 차량(40)의 온도가 어느 정도로 상승한 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결과값을 상기 차량관리부(104)에 전달하는 센서부(106)와; 상기 주차구역(33)에 주차된 상기 차량(40)이 입차한 시각, 주차 경과시간, 출차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관리부(104)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주차정보DB(108)와; 시동을 켜고 출발하려는 상기 차량(40)이 현재 주차된 주차구역(33)에서 진출로(32)까지의 진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설정부(110)와; 상기 경로설정부(110)가 생성한 진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제공하는 경로안내부(112)와; 상기 차량(4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예상된 이동경로 상에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전달하는 위험표시부(114);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detects the temperature and hydrocarbon emissions of the vehicle 40 parked in the parking area 33 to confirm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40, and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a departure time and an arrival time of a departure route to provide to a driver, comprising: a control unit 10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internal components and performs signal conversion and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s; A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presence, location,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40 that has entered the parking lot 30,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40 and the expected entry/exit time point. Wow;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arking lot 30 and parking the vehicle 40 in the parking zone 33, it is determined where the vehicle 40 is parked and to what exten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40 has risen. A sensor unit 106 that senses in real time and transmits a result value to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 parking information DB 108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40 parked in the parking area 33 enters, the elapsed parking time, and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leaves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 route setting unit 110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an advance route from the parking area 33 in which the vehicle 40 to start and depart is currently parked to the exit route 32; A route guide unit 112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n advance route generated by the route setting unit 110 to a driver of the vehicle 40 in an image or audio format; And a risk display unit 114 that transmits a risk factor to the driver through video or audio when there is a risk factor on the expected movement path arou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40.

상기 센서부(106)는 상기 차량(40)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 및 그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6a)와, 상기 차량(40)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HC)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탄화수소센서(106b)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106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06a that senses an exhaust port from which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from the vehicle 40 and a temperature around the temperature sensor 106a, and an emission of hydrocarbon (HC)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It includes a hydrocarbon sensor (106b) for measuring.

운전자가 상기 차량(40)의 시동을 걸면, 상기 온도센서(106a)가 상기 차량(40)의 배기구 및 그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관리부(104)에 알리며, 상기 탄화수소센서(106b)가 상기 차량(40)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관리부(104)에 알리며, 상기 차량관리부(104)는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켜지고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출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때로부터 상기 차량(40)이 실제로 출차할 때까지 걸리는 출발예상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차량관리부(104)는 상기 출발예상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에 상기 위험표시부(114)에 위험 표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river starts the vehicle 40, the temperature sensor 106a senses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exhaust port and informs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nd the hydrocarbon sensor 106b It detects the amount of hydrocarbons discharged from the vehicle 40 and notifies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nd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indicates that the vehicle 40 is started and the temperature rises above the reference value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rt. It sets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from when it is determined until the vehicle 40 actually leaves the vehicle, and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ransmits a danger indication signal to the danger display unit 114 when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elapses.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상기 차량관리부(104)는 상기 차량(40)의 배기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상승하면,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켜진 것으로 간주하며,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켜진 후에 상기 차량(40)의 배기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상기 차량(40)의 온도가 출발 가능할 정도로 상승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increases and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increases,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considers that the vehicle 40 is turned on, and after the vehicle 40 is turned 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increases and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starts to decrease, it is consider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40 has risen enough to be able to start.

상기 위험표시부(114)는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걸린 후로부터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상승하면, 상기 차량(40)의 온도 상승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하며,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의 감소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차량(40)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출차 가능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increases after the vehicle 40 is started, the danger display unit 114 considers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vehicle 40 is insufficient, and displays a video or audio to the driver. , When the emission of the hydrocarb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reduction ratio of the emission of the hydrocarb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t is consider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40 has risen sufficiently, and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be unloaded is displayed to the driver. .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양에 따라서 차량의 예열이 어느 정도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차량이 언제 나갈 지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출차 직전의 차량 주변을 운행하는 차량이나 이동하는 보행자에게 차량의 출차가 임박했음을 사전에 알려줄 수 있어서 주차장 내부에서 접촉사고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how much the vehicle has been prehe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ot,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when the vehicle will leave, and the vehicle running around the vehicle immediately before leaving the vehicle or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act accidents in the parking lot in advance by notifying the moving pedestrians that the vehicle is about to leav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인검지 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무인검지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이 적용되는 주차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주차구역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의 종류와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온도센서 및 탄화수소센서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차량의 주차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차량의 시동이 켜진 직후에 온도의 상승에 따라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에 각각의 시점마다 알림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n unmanned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unmanned detection system.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arking lot to which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ype and location of a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a parking area.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c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ydrocarbon sensor.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aging a parking state of a vehicle us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hydrocarbon emissions are chang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n.
9 is a flow chart showing a state in which notification is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이하, '관리시스템'이라 함)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stimating the timing of leaving a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이 적용되는 주차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arking lot to which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100)은 다중 집적시설이나 공동주택, 사무실 건물 등 다수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시설에서 진출입하는 차량의 경로를 확인하고, 차량의 주차 여부를 확인하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여 진출입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사용된다.Th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path of a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a facility having a space for parking a plurality of vehicles, such as a multi-integrated facility, apartment house, and office building, and quickly and accurately while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t is used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t is also used to accurately predict the entry/exit timing by detecting the state of the vehicle.

주차장(30)은 일반적인 구조의 시설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진입로(31)와 진출로(32)가 개별적으로 또는 병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는 개별 차량(40)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구역(33)이 구비된다. 주차구역(33)은 구획선으로 구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parking lot 30 is a general term for facilities of a general structure, and the access road 31 and the exit road 32 are install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nd a parking area 33 in which individual vehicles 40 can park in the interior space. ) Is provided. The parking area 33 is generally distinguished by a division line.

주차구역(33) 사이에는 이동통로(34)가 형성되며, 이동통로(34)는 진입로(31) 및 진출로(32)와 연결되어 차량(40)의 진출입을 유도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로(34)를 통해서 운전자 및 동승자 등이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통로(34)에서의 보행자와 차량(40)의 충돌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A moving passageway 34 is formed between the parking zones 33, and the moving passageway 34 is connected to the access road 31 and the exit road 32 to induc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40. Typically, since the driver and passengers move through the moving passage 34, it is necessary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40 in the moving passage 34.

또한 주차장(30) 내부의 이동통로(34)는 폭이 넓지 않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운행하는 차량(40)이 교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량(40)이 교행할 수 없는 이동통로(34)에 동시에 진입함으로써 정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ing passages 34 inside the parking lot 30 are not wide, it is often difficult for vehicles 40 runn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congestion from occurring when the vehicle 40 simultaneously enters the moving passage 34, which cannot be intersected.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100)은 주차장(30) 내부 또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주차장(30) 내부에 들어오거나 외부로 빠져나가는 차량(40)의 상태를 영상과 센서정보를 통해 확인한다.The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parking lot 30 or at a remote location to check the state of the vehicle 40 entering or exiting the parking lot 30 through an image and sensor information.

이를 위해 관리시스템(100)에는 내부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의 변환과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02)가 설치된다. 제어부(102)는 별도의 PC나 서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모바일 통신망에 접속가능한 단말기일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management system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0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internal components and performs signal conversion and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s. The control unit 102 may be a separate PC or server, and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차량관리부(104)는 주차장(30) 내부에 들어온 차량(40)의 존재와 위치, 이동방향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차량관리부(104)는 센서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40)의 위치와 진출입 예상 시점 등을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차량(40)에 대한 정보를 주차정보DB(108)에 저장한다.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collects and manages information such as the presence, location,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vehicle 40 entering the parking lot 30.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nalyze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or unit 106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40 and the expected entry/exit time point. Then, the information on the confirmed vehicle 40 is stored in the parking information DB 108.

센서부(106)는 주차장(30)에 진입하여 주차구역(33)에 차량(40)을 주차시키는 과정에서 차량(40)이 어느 장소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결과값을 차량관리부(104)에 전달한다.The sensor unit 106 detects in real time where the vehicle 40 is park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arking lot 30 and parking the vehicle 40 in the parking area 33, and the result value is a vehicle management unit. Forward to 104.

본 발명에서는 차량(40)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 및 그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6a)와, 차량(40)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HC)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탄화수소센서(106b)가 센서부(106)에 포함된다. 이외에도 레이저 광선이나 RF신호 등을 발신하여 차량(40)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차량(40)의 존재와 위치, 이동방향 등을 확인하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더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106a that sens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exhaust port from which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from the vehicle 40 and the hydrocarbon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hydrocarbon (HC)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 106b) i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06.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further used to check the presence, position,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40 by transmitting a laser beam or an RF signal to receive a signal reflected from the vehicle 40.

도 5는 주차구역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의 종류와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온도센서 및 탄화수소센서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ype and location of a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a parking area,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cation of a temperature sensor and a hydrocarbon sensor.

온도센서(106a)는 주차구역(33)의 바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차량(40)의 후방에 설치된 배기구 및 그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온도센서(106a)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는 배기구와 가까운 바닥면이나, 주차구역(33) 뒤쪽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감지 효율에 있어서 유리할 것이다. 온도센서(106a)는 일반적이 온도계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적외선 온도측정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40)에 설치된 배기구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배기구 아래쪽이나 뒤쪽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차량(33)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유추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mperature sensor 106a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surface of the parking area 33 and is configured to sense an exhaust por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40 and the temperature around it.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sensor 106a is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 easily detect heat generated from the vehicle. Typically, it will be advantageous in terms of detection efficiency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close to the exhaust port or on the wall surface behind the parking area 33. The temperature sensor 106a may be a general thermometer, and in addition, an infrared temperature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directly infer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33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below or behind the exhaust port instead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installed in the vehicle 40.

탄화수소센서(106b)는 차량(40)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각종 탄화수소(Hydrocarbon: HC)의 양을 측정한다.The hydrocarbon sensor 106b measures the amount of various hydrocarbons (HC)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탄화수소는 차량(40)의 엔진에서 연료의 연소 결과로 발생되는 물질 중의 하나로서, 대부분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배출량이 엄격하게 제한다. 탄화수소에는 프로펜, 톨루엔, 에탄, 벤젠, 포름알데히드 등이 포함되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탄화수소가 차량(40)의 배기구에서 배출된다.Hydrocarbons are one of the substances generated as a result of combustion of fuel in the engine of the vehicle 40, and since most of them are carcinogens, emissions are strictly reduced. Hydrocarbons include propene, toluene, ethane, benzene, formaldehyde, and the like.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hydrocarbons ar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탄화수소는 차량(40)에 설치된 삼원촉매(three-way catalysts; TWCs)에 의해 대부분 산화되지만, 이 삼원촉매는 약 200-300°C 온도 이상에서 활성을 나타내는데, 삼원촉매가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저온 시동 구간에서 전체 탄화수소 배출량의 50-80%에 해당하는 탄화수소가 배출된다. 즉, 차량(40)의 시동을 켠 직후에는 탄화수소가 삼원촉매에 의해 산화되지 못하고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양이 크기 때문에 이를 통해 차량(40)이 시동을 켠 직후라는 사실과, 엔진 및 배기구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Hydrocarbons are mostly oxidized by three-way catalysts (TWCs) installed in the vehicle 40, but these three-way catalysts exhibit activity at temperatures above about 200-300°C, and low-temperature start-up where the three-way catalyst does not show activity. Hydrocarbons equivalent to 50-80% of total hydrocarbon emissions are released from the section. That is,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40 is turned on, the hydrocarbon is not oxidized by the three-way catalyst and is discharged into the air, so the fact that the vehicle 40 is immediately after the engine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are reduced. You can see that it hasn't risen enough.

탄화수소센서(106b)는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채집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배기구 아래쪽 바닥면이나 뒤쪽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센서(106b)에는 탄화수소의 수집을 위해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기와, 탄화수소의 양을 측정하여 수치화하는 감지수단이 포함된다. 탄화수소센서(106b)가 감지하여 산출한 탄화수소의 양에 대한 정보는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차량관리부(104)에 전송된다.The hydrocarbon sensor 106b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r rear wall of the exhaust port so that hydrocarbon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and analyzed. The hydrocarbon sensor 106b includes an inhaler for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for collecting hydrocarbons, and a sensing means for measuring and quantifying the amount of hydrocarbon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hydrocarbons detected and calculated by the hydrocarbon sensor 106b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차량의 크기나 배기량, 디자인에 따라서 배기구의 수와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대형 차량은 배기구가 두 개인 경우가 많고, 차량 후방 가운데에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차량(40)의 온도와 탄화수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온도센서(106a)와 탄화수소센서(106b)를 둘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epending on the size, displacement, and design of the vehicle, the number and location of exhaust ports may vary. In many cases, large vehicles released recently have two exhaust ports, and in some cases, only on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stall two or more temperature sensors 106a and 106b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temperature and hydrocarbon emissions of the vehicle 40.

복수의 온도센서(106a)와 탄화수소센서(106b)가 설치된 경우에는 전체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평균하여 사용하거나,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 중의 하나를 대표값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06a and hydrocarbon sensors 106b are installed, values measured by all sensors may be averaged and used, or one of a maximum value, a minimum value, and an intermediate value may be used as a representative value.

주차구역(33)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스토퍼(35)는 차량(40)이 더 이상 뒤쪽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구성이다. 온도센서(106a)와 탄화수소센서(106b)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뒤쪽 벽면과 스토퍼(35) 사이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35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arking area 33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the vehicle 40 from approaching the rear. When installing the temperature sensor 106a and the hydrocarbon sensor 106b on the floo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rear wall surface and the stopper 35.

주차정보DB(108)는 주차구역(33)에 주차된 차량(40)이 입차한 시각, 주차 경과시간, 출차한 시각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정 주차구역(33)에 차량(40)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도 함께 주차정보DB(108)에 저장된다.The parking information DB 108 stores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40 parked in the parking area 33 enters, the elapsed parking time, and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leaves the vehicle.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40 is present in the specific parking area 33 is also stored in the parking information DB 108.

경로설정부(110)는 시동을 켜고 출발하려는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제공할 진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경로설정부(110)는 현재 차량(40)이 주차된 주차구역(33)에서 진출로(32)까지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계산한다. 경로설정부(110)는 현재 주차장(30) 내부에 진입한 차량(40)의 수와 위치, 이동경로 등을 참조하고, 이동통로(34)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이동통로(34)의 혼잡도는 현재 상태에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실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과거 수집된 이동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ute setting unit 110 generates information on an advance route to be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40 to turn on the engine and depart. The route setting unit 110 calculates the most efficient route from the parking area 33 in which the vehicle 40 is currently parked to the exit route 32. The route setting unit 110 creates a route by referring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vehicles 40 that have entered the current parking lot 30, a moving route, and the like, and adding information on the congestion level of the moving passage 34. It is preferable to predict the congestion degree of the movement path 34 by referring to the movement path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ast as well as real-tim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in the current state.

경로안내부(112)는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되며,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효율적인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차량(40) 내부에 앉아서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해야 하므로,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거나, 단순한 화살표 형상의 표시등을 사용하여 진행방향이나 회전방향을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route guide unit 112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isplay,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n efficient moving rout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40 through video or audio. Since information needs to be transmitted to a driver sitting inside the vehicle 40, a relatively large display panel may be used or a simple arrow-shaped indicator may be used to intuitively transmit the moving direction or the rotation direction.

위험표시부(114)는 차량(4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경로를 예상하고, 예상 이동경로 상에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에 이를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전달한다. 차량(40)이 이동통로(34)를 지나가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로(34)와 닿아있는 주차구역(33)에서 차량(40)의 출차가 예상되면, 이를 위험표시부(114)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충돌 등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danger display unit 114 predicts a movement rout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40, and when there is a risk factor on the expected movement route, it transmits it to the driver through video or audio. When the vehicle 40 passes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34, when the vehicle 40 is expected to leave the parking area 33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passage 34, the vehicle 40 is displayed through the danger display unit 114,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또한 위험표시부(114)는 이동통로(34)를 지나가는 보행자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해서도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함으로써 인사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pedestrian passing through the movement path 34, the danger display unit 114 may also display this to the driver in an image or audio, thereby preventing a personnel accident from occurring.

또한 위험표시부(114)는 차량(40)의 배기구의 온도와 배출되는 탄화수소의 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40)의 예열이 충분하지 않음을 표시해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화수소는 차량(40)의 엔진이나 배기구, 삼원촉매의 온도에 따라 배출량이 달라지므로, 탄화수소의 배출량을 측정함으로써 차량(40)의 온도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nger display unit 114 may indicate that the preheating of the vehicle 40 is insufficient by using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and the amount of hydrocarbons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engine,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and the three-way catalyst,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check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vehicle 40 by measuring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위험표시부(114)는 차량(40)의 시동이 걸린 후로부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급격히 상승하면 아직 엔진 및 삼원촉매의 온도 상승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한다.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거나, 배출량의 감소 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 위험표시부(114)는 차량(40)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것으로 보고 운전자에게 출차 가능 상태를 표시해준다.The danger display unit 114 considers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engine and the three-way catalyst has not been sufficiently increased when the hydrocarbon emission rapidly increases after the vehicle 40 is started, and displays this to the driver as an image or audio. When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is lower than a certain standard or the reduction ratio of the emission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danger display unit 114 report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40 has risen sufficiently, and display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be taken out.

바람직하게는 차량관리부(104)는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상승하면서 배기구의 온도가 함께 상승하면 차량(40)이 냉각된 상태에서 시동이 켜진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배기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차량관리부(104)는 차량(40)에 설치된 삼원촉매의 동작이 개시될 정도로 가열이 된 것으로 본다. 배기구의 온도가 최소 상태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않거나,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차량(40)이 출발 가능할 정도로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보고, 위험표시부(114)는 차량(40)의 출차가 가능함을 표시해준다.Preferably,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considers that the vehicle 40 is turned on while the vehicle 40 is cool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increases as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continuously increases and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starts to decrease,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regards the heating to the extent that the operation of the three-way catalyst installed in the vehicle 40 start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does not rise at the minimum state, or when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falls below the standard value, it is reported that the temperature has risen to the extent that the vehicle 40 can start, and the danger display unit 114 indicates that the vehicle 40 exits Indicates possible.

요금정산부(116)는 차량(40)의 주차시간에 따라 주차요금을 계산하여 정보를 제어부(102)에 전달한다. 제어부(102)는 입력된 주차요금을 요금수납장치(도면 미도시)에 전달하여 차량의 출차시에 요금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요금정산부(116)는 차량(40)의 시동이 켜지면서 출차가 예상되는 시점에 주차된 차량(40)의 정보를 호출하여 미리 주차요금을 계산하도록 설정된다. 요금정산부(116)는 차량(40)이 주차장(30)의 출입구에 도달한 시점이 아니라, 시동을 켜고 출차 준비를 시작하여 차량(40)의 엔진 또는 배기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기준 온도를 초과한 시점을 주차 종료시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주차 요금을 일정부분 할인해주는 효과를 내면서 지속적인 주차장(30)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The fee calculation unit 116 calculates the parking fee according to th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4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02. The control unit 102 transmits the input parking fee to a fee storage device (not shown) so that the fee is received when the vehicle is leaving the vehicle. The fare calculation unit 116 is set to calculate the parking fee in advance by call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40 park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40 is started and the vehicle is expected to leave the vehicle. The fare calculation unit 116 is not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40 reaches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30, but starts to turn on the engine and prepares for leaving the vehic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engine or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and exceed the reference temperature. One point in time can be set as the parking end tim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continuous use of the parking lot 30 while having an effect of partially discounting the parking fe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40.

통신모듈(118)은 관리시스템(100)과 외부 시스템과 통신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통신망을 형성한다. 운전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관리시스템(100)과 접속 가능하다. 제어부(102)는 통신모듈(118)을 통해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주차상태와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33)에 대한 정보, 예상 주차요금, 현재 주차장(30) 내부의 차량(40)의 수와 이동통로(34)의 혼잡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8 forms a communication network to exchange communication signals with the management system 100 and an external system. The driver can access the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like. The controller 102 provides the driver of the vehicle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8 with information on the parking status and parking zone 33, the estimated parking fee, and the number of vehicles 40 in the current parking lot 30.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gestion level of the mobile passage 34 and the like can be transmitted.

운전자가 차량(40)을 주차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정한 예상 주차시간을 입력하도록 한다. 만약 예상 주차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차량(40)의 시동이 켜진다면, 센서부(106)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2)에 전달한다. 제어부(102)는 통신모듈(118)을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차량(40)의 시동이 켜졌음을 알려준다. 제어부(102)는 온도센서(106a)에서 감지되는 배기구의 온도가 상승하고, 탄화수소센서(106b)에서 감지되는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상승하면 차량(40)의 시동이 켜진 것으로 간주한다. 운전자는 자신이 직접 운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차량(40)의 시동이 켜졌다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난신고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차장(30) 진출입구의 게이트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난 차량(40)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게 한다.After the driver parks the vehicle 40, a certain estimated parking time is input through an application. If the vehicle 40 is turned on before the estimated parking time elapses, the sensor unit 106 detects i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2. The control unit 102 notifies that the vehicle 40 has been started with the driver's smartph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8.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6a increases, and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detected by the hydrocarbon sensor 106b increases, the control unit 102 regards the vehicle 40 as being turned on. The driver may report the theft through the application if the vehicle 40 is turned on even though he or she does not drive himself. In this case, by preventing the gate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30 from being opened, the stolen vehicle 40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차량의 주차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은 차량의 시동이 켜진 직후에 온도의 상승에 따라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aging the parking state of a vehicle us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n. It is a graph.

먼저 차량(40)이 주차장(30)에 진입하여 빈 주차구역(33)을 확인하고, 차량(40)을 주차구역(33) 내부에 입차시킨다.(S102) 해당 주차구역(33)에 설치된 센서부(106)는 차량(40)의 입차를 감지하고, 차량관리부(104)에 입차 사실을 알린다. 차량(40)이 없었던 주차구역(33)에 차량(40)이 진입하면, 온도센서(106a)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승하고, 탄화수소센서(106b)에서 감지되는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갑자기 증가한다. 이를 통해 차량(40)이 입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관리부(104)는 주차 사실을 주차정보DB(108)에 저장한다. 주차정보DB(108)에는 차량(40)의 입차 시각이 함께 입력된다.First, the vehicle 40 enters the parking lot 30, checks the empty parking area 33, and enters the vehicle 40 inside the parking area 33 (S102). A sensor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33 is installed. The unit 106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40 and notifies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of the entry. When the vehicle 40 enters the parking area 33 where the vehicle 40 did not exis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6a increases, and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detected by the hydrocarbon sensor 106b suddenly increases.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ehicle 40 is entered.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stores the parking fact in the parking information DB 108. In the parking information DB 108, the entry time of the vehicle 40 is also input.

차량(40)이 주차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차량관리부(104)는 센서부(106)에서 차량(40)의 변화가 생기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ile the vehicle 40 is parked,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a change in the vehicle 40 occurs in the sensor unit 106.

차량(40)을 출차하기 위해 운전자가 차량(40)에 탑승하여 시동을 걸면, 차량(40)에서 발생되는 열기와 탄화수소를 온도센서(106a)와 탄화수소센서(106b)가 감지한다.(S104) 온도센서(106a)와 탄화수소센서(106b)는 차량(40)의 시동이 켜졌음을 차량관리부(104)에 알린다.When the driver boards the vehicle 40 and starts the engine to unload the vehicle 40, the temperature sensor 106a and the hydrocarbon sensor 106b detect heat and hydrocarbons generated from the vehicle 40 (S104). The temperature sensor 106a and the hydrocarbon sensor 106b inform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hat the vehicle 40 has been star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40)이 시동을 걸어서 아직 예열이 충분히 되지 않은 동안(냉각 구간)에는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급격히 늘어난다. 그러나 엔진과 배기구, 삼원촉매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이후(가열 구간)에는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급격히 줄어든다.As shown in FIG. 8, while the vehicle 40 is started and preheating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cooling section), the amount of hydrocarbon discharged rapidly increases. However,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engine, exhaust port, and the three-way catalyst sufficiently rises (heating section),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rapidly decreases.

차량관리부(104)는 시동이 켜진 때로부터 차량(40)이 실제로 출차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본 발명에서는 '출발예상시간'이라 함)을 설정한다.(S106) 통상적으로 동절기에는 엔진의 예열에 시간이 더 걸리므로, 계절에 따라 출발예상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출발예상시간은 관리시스템(100)이 예상한 '차량의 시동을 걸어서 차량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때로부터 실제로 운행을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된다.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sets a time (referred to as an'estimated departure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from when the engine is turned on until the vehicle 40 actually leaves the vehicle. (S106) Typically, in winter, the engine is preheated. It takes more time, so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season.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is the'time from when the vehicle is star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sufficiently increased to the actual start of operation' predicted by the management system 100.

차량관리부(104)는 설정된 출발예상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에 위험표시부(114)에 위험 표시 신호를 전송한다. 위험표시부(114)는 입력된 위험 표시 신호에 따라 영상이나 음성으로 차량(40)의 출차에 따른 위험을 알린다.(S108) 위험표시는 다른 차량(40)의 운전자나 이동통로(34)에 있는 보행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ransmits a danger indication signal to the danger display unit 114 when the set estimated departure time elapses. The danger display unit 114 notifies the danger of exiting the vehicle 40 by video or audio according to the input danger display signal. (S108) The danger display is the driver of another vehicle 40 or the movement path 34 Make sure you can reach pedestrians.

특정 주차구역(33)에 주차된 차량(40)이 시동을 켰고, 출발예상시간이 임박한 경우에 차량(40)의 출차 경로상을 지나는 보행자가 있다면 차량(40)과 충돌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위험표시부(114)는 차량(40)의 출발이 임박한 시점에서 주위의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차량(40)이 곧 출발할 것임을 알려주는 것이다.If the vehicle 40 parked in the specific parking area 33 is started and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is imminent, if there is a pedestrian passing through the exit path of the vehicle 40, the possibility of colliding with the vehicle 40 will increase. In order to prevent such an accident, the danger display unit 114 notifies drivers and pedestrians around the vehicle 40 that the vehicle 40 is about to start when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40 is imminent.

차량관리부(104)는 경로안내부(112)에 경로 안내 신호를 전송한다. 경로안내부(112)는 경로 안내 신호를 접수한 후, 차량(40)의 경로를 설정하여 운전자에게 표시한다.(S110) 경로안내부(112)는 현재 차량(40)이 위치한 장소에서 진출로(32)까지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계산한다. 경로 계산을 위해서는 다른 주차구역(33)에 주차된 차량(40)의 수와, 다른 차량(40)의 출발예상시간, 이동통로(34)의 혼잡도 등을 참조한다.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ransmits a route guide signal to the route guide unit 112. After receiving the route guide signal, the route guide unit 112 sets the route of the vehicle 40 and displays it to the driver. (S110) The route guide unit 112 sets an exit route at the place where the vehicle 40 is currently located. Calculate the fastest and safest route to (32). For calculating the route, refer to the number of vehicles 40 parked in the other parking areas 33,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of the other vehicles 40, and the degree of congestion of the moving path 34.

또한 차량(40)의 혼잡도가 높아서 지체되는 교차점이 있다면 이 영역을 회피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a path so as to avoid this area if there is a delayed intersection point due to the high degree of congestion of the vehicle 40.

차량(40)이 진출로(32)를 통해 주차장(30)을 완전히 빠져나가면, 차량관리부(104)는 주차정보DB(108)에 저장된 기록을 삭제함으로써 새로운 차량(40)의 주차를 유도한다.When the vehicle 40 completely exits the parking lot 30 through the exit path 32,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induces the parking of the new vehicle 40 by deleting the record stored in the parking information DB 108.

한편, 도 9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에 각각의 시점마다 알림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Meanwhile,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notification is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n.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40)이 주차를 시작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차량(40)에서 높은 온도의 열기와 탄화수소 배출량이 감지되면, 차량(40)이 곧 출차할 것이라고 간주한다. 시동이 켜지고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후, 차량(40)의 출차가 예상될 때까지의 시간은 출발예상시간이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40 starts parking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when the vehicle 40 detects high temperature heat and hydrocarbon emiss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vehicle 40 will leave the vehicle soon. After the engine is turned on and the temperature is sufficiently increased, the time until the vehicle 40 is expected to leave the vehicle is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차량(40)이 이동통로(34)를 지나서 진출로(32)를 벗어날 때까지 직선구간뿐만 아니라 회전구간이나 교차구간을 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운전자가 주의를 특별히 기울여야 하는 곳에 경로를 안내하는 수단을 사용한다. 즉, 회전구간이나 교차구간에 각각 경로안내부(112) 및 위험표시부(114)를 설치한다.The vehicle 40 may pass not only a straight section but also a rotation section or an intersection section until the vehicle 40 passes the moving passage 34 and leaves the exit route 32.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ans for guiding a route to a place where the driver needs to pay special attention is used. That is, a route guide unit 112 and a danger display unit 114 are installed in the rotation section or the cross section, respectively.

차량(40)이 주차구역(33)을 벗어날 때, 주차구역(33)의 전면부(차량의 진행방향 전면)에 설치된 경로안내부(112)가 차량(40)의 이동경로를 안내한다. 그리고 차량(40)이 교차구간을 만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이에 대해서 안내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40)이 지나가는 첫 번째 교차구간을 '제1교차로'라고 한다. 그리고 주차구역(33)에서 벗어나서 제1교차로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제1진행예상시간'이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로(34)에 특별한 사항만 없다면, 주차구역(33)을 나와서 제1교차로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제1진행예상시간과 같을 것이다.When the vehicle 40 leaves the parking area 33, a path guide unit 112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arking area 33 (in front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guides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40. In addition, if the vehicle 40 moves in the direction where it meets the intersection, it provides guid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tersection section through which the vehicle 40 passes is referred to as a “first intersection”. In addition, the time until reaching the first intersection after leaving the parking area 33 is referred to as the'first expected time'. In general, if there is no special matter in the moving passage 34, the time it takes to reach the first intersection after leaving the parking area 33 will be the same as the first estimated time.

제1진행예상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제1교차로에 설치된 경로안내부(112)는 차량(40)의 다음 경로를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한다. 교차로에서는 차량(40)의 직진이나 좌우회전, 유턴 등 다양한 방식의 운전 경로를 알려줄 수 있다.When the first estimated travel time has elapsed, the route guide unit 112 installed at the first intersection displays the next route of the vehicle 40 in video or audio. At the intersec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driving route of the vehicle 40 in various ways, such as going straight, turning left and right, or making a U-turn.

제1교차로에서 제2교차로에 도달하는 데까지 일반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바탕으로 계산하는 것이 제2진행예상시간이 된다. 경로안내부(112)는 제2진행예상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제2교차에서 운전자에게 다름 경로를 안내한다.The second estimated time is calculated based on the time it normally takes from the first intersection to the second intersection. The route guide unit 112 guides a different route to the driver at the second intersection when the second estimated time has elaps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N교차로에 이를 때까지의 경로를 제N진행예상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In this way, the driver can be informed of the route until reaching the N-th intersection every time the N-th estimated time elapses.

차량(40)이 진출로(32)를 통해 완전히 주차장(30) 영역 밖으로 나가면, 이와 같은 경로 안내를 종료한다.When the vehicle 40 completely exits the area of the parking lot 30 through the exit path 32, such route guidance is termina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other specific form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 : 주차장 31 : 진입로
32 : 진출로 33 : 주차구역
34 : 이동통로 35 : 스토퍼
100 : 관리시스템 102 : 제어부
104 : 차량관리부 106 : 센서부
106a : 온도센서 106b : 탄화수소센서
108 : 주차정보DB 110 : 경로설정부
112 : 경로안내부 114 : 위험표시부
116 : 요금정산부 118 : 통신모듈
30: parking lot 31: driveway
32: exit route 33: parking area
34: moving passage 35: stopper
100: management system 102: control unit
104: vehicle management unit 106: sensor unit
106a: temperature sensor 106b: hydrocarbon sensor
108: parking information DB 110: route setting unit
112: route guidance unit 114: danger indication unit
116: fee settlement unit 118: communication module

Claims (5)

주차구역(33)에 주차된 차량(40)의 온도 및 탄화수소 배출량을 감지하여 차량(40)의 진입 및 진출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40)의 출차시간과 출차경로의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으로서,
내부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의 변환과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02)와;
주차장(30) 내부에 들어온 상기 차량(40)의 존재와 위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40)의 위치와 진출입 예상 시점을 확인하는 차량관리부(104)와;
상기 주차장(30)에 진입하여 상기 주차구역(33)에 상기 차량(40)을 주차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차량(40)이 어느 장소에 주차되어 있으며 차량(40)의 온도가 어느 정도로 상승한 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결과값을 상기 차량관리부(104)에 전달하는 센서부(106)와;
상기 주차구역(33)에 주차된 상기 차량(40)이 입차한 시각, 주차 경과시간, 출차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관리부(104)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주차정보DB(108)와;
시동을 켜고 출발하려는 상기 차량(40)이 현재 주차된 주차구역(33)에서 진출로(32)까지의 진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설정부(110)와;
상기 경로설정부(110)가 생성한 진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제공하는 경로안내부(112)와;
상기 차량(4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예상된 이동경로 상에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전달하는 위험표시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106)는
상기 차량(40)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 및 그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6a)와, 상기 차량(40)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HC)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탄화수소센서(106b)를 포함하며,
운전자가 상기 차량(40)의 시동을 걸면, 상기 온도센서(106a)가 상기 차량(40)의 배기구 및 그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관리부(104)에 알리며, 상기 탄화수소센서(106b)가 상기 차량(40)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관리부(104)에 알리며,
상기 차량관리부(104)는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켜지고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출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때로부터 상기 차량(40)이 실제로 출차할 때까지 걸리는 출발예상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차량관리부(104)는 상기 출발예상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에 상기 위험표시부(114)에 위험 표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ydrocarbon emissions of the vehicle 40 parked in the parking area 33, the vehicle 40 enters and exits, and predicts the departure time and the arrival time of the vehicle 40 As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provided to
A control unit 10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internal components and performs signal conversion and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s;
A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presence, location,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40 that has entered the parking lot 30,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40 and the expected entry/exit time point. Wow;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arking lot 30 and parking the vehicle 40 in the parking zone 33, it is determined where the vehicle 40 is parked and to what exten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40 has risen. A sensor unit 106 that senses in real time and transmits a result value to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 parking information DB 108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40 parked in the parking area 33 enters, the elapsed parking time, and the time at which the vehicle leaves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 route setting unit 110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an advance route from the parking area 33 in which the vehicle 40 to start and depart is currently parked to the exit route 32;
A route guide unit 112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n advance route generated by the route setting unit 110 to a driver of the vehicle 40 in an image or audio format;
When there is a risk factor on the expected movement rout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40, a risk display unit 114 that transmits the risk factor to the driver through video or audio; includes,
The sensor unit 106 is
A temperature sensor 106a that sens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exhaust port from which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from the vehicle 40, and a hydrocarbon sensor 106b that measures the amount of hydrocarbon (HC)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 and
When the driver starts the vehicle 40, the temperature sensor 106a senses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exhaust port and informs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and the hydrocarbon sensor 106b It detects the amount of hydrocarbon discharged from the vehicle 40 and notifies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sets an estimated departure time from when the vehicle 40 is turned on and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reference value and it is determined that it is possible to start, until the vehicle 40 actually leaves the vehicle,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a danger indication signal to the danger display unit 114 when the estimated departure time elapses,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ng the timing of the vehicle leav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부(104)는
상기 차량(40)의 배기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상승하면,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켜진 것으로 간주하며,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켜진 후에 상기 차량(40)의 배기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상기 차량(40)의 온도가 출발 가능할 정도로 상승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management unit 104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increases and the emission of the hydrocarbon increases, it is considered that the vehicle 40 is sta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gard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40 has risen enough to be able to star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ort of the vehicle 40 increases and the emission of the hydrocarbon begins to decrease after the vehicle 40 is started. ,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ing of leaving the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표시부(114)는
상기 차량(40)의 시동이 걸린 후로부터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상승하면, 상기 차량(40)의 온도 상승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하며,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탄화수소의 배출량의 감소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차량(40)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출차 가능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anger display unit 114 is
If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increases after the vehicle 40 is star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vehicle 40 is not sufficient and is displayed to the driver in video or audio,
When the emission of the hydrocarb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reduction ratio of the emission of the hydrocarbon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regard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40 is sufficiently increased, and the vehicle driving status is displayed to the driver.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timing of the vehicle leaving.
KR1020200069525A 2020-06-09 2020-06-09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KR1021837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25A KR102183752B1 (en) 2020-06-09 2020-06-09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25A KR102183752B1 (en) 2020-06-09 2020-06-09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752B1 true KR102183752B1 (en) 2020-11-27

Family

ID=7364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525A KR102183752B1 (en) 2020-06-09 2020-06-09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75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1594A (en) * 1995-12-21 1997-06-30 Hitachi Ltd Device for detecting inside state of vehicle room in parking lot
KR20050078521A (en) 2004-02-02 2005-08-05 한국교통종합개발(주) Automatic sensing system of parking lot
KR20190105325A (en) 2018-03-05 2019-09-17 탑라이트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of parking lot with display device for driving direction of vehicle
KR102058708B1 (en) 2019-10-29 2019-12-23 김효범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1594A (en) * 1995-12-21 1997-06-30 Hitachi Ltd Device for detecting inside state of vehicle room in parking lot
KR20050078521A (en) 2004-02-02 2005-08-05 한국교통종합개발(주) Automatic sensing system of parking lot
KR20190105325A (en) 2018-03-05 2019-09-17 탑라이트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of parking lot with display device for driving direction of vehicle
KR102058708B1 (en) 2019-10-29 2019-12-23 김효범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1519B2 (en) Auto valet parking system and method
KR101703001B1 (en) Intelligent road safety fence system
CN105894810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travelling in a parking area
CN108122423A (en) A kind of method for guiding vehicles, apparatus and system
KR201300077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t autonomous intersection
KR102058708B1 (en)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CN110796892A (en) Parking guidance method and system for parking lot
CN111210618A (en) Automatic internet public traffic road system
JP3891490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wireless network
WO2003000520A1 (en) Parking guidan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KR101860302B1 (en) Parking guide system using self-diagnosis active ultrsonic wave sensor
JP6823671B2 (en) Concept for controlling traffic in the parking lot
US20200005568A1 (en) Vehicle parking control
TW201732751A (en) Innovated smart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information system
KR102183752B1 (en)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KR201700704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king guidance using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CN107230376B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08814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ong vehicle collision
CN113628472A (en) Community 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806322B1 (en) Management system of rest area on road using image information
Zimmerman et al. Improved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isolated high-speed signalized intersections
CN111681413B (en)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crossing time of motor vehicle passing signal lamp in real time
JP4770848B2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central equipment
JP2002163758A (en) Device for preventing entering exclusive lane non- automatically driven vehicle from
KR100517308B1 (en) The auto parking support system and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