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461B1 -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461B1
KR102183461B1 KR1020160082362A KR20160082362A KR102183461B1 KR 102183461 B1 KR102183461 B1 KR 102183461B1 KR 1020160082362 A KR1020160082362 A KR 1020160082362A KR 20160082362 A KR20160082362 A KR 20160082362A KR 102183461 B1 KR102183461 B1 KR 10218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device
amount
pric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055A (ko
Inventor
황병국
김정윤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08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4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저장 장치와 발전소가 연계하여 발전소의 별도 제어가 없이도 구역전기사업자의 1)전력수용가 시간대별 요금제, 2)전력 수전원의 수전요금제, 3)열병합발전기의 발전단가, 4)전력 역송원으로의 역송에 따른 시간대별 역송단가 등 네 가지 체계하에서 전력저장장치 제어만으로 최대의 수익 및 시장거래 균형화를 이루는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소와,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의 수요량을 비교하고, 계통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전력 역송원에 전력을 판매하는 역송 판매가, 자신의 발전 단가 및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여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POW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 판매 및 역송하는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발전소의 경우 전력을 판매함에 있어서 시간대별 최대 수익과 최저 가격 공급시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전력을 생산해서 판매하더라도 손해를 보는 거래 구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열병합발전소는 열과 전기를 동시에 발전시키는 발전소지만 구역전기사업자의 경우 열 추종 운전을 우선하기 때문에, 발전 프로파일은 열에 따라 종속되어 생성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전력을 판매함에 있어서 시간대별 최대 수익과 최저 가격 공급시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전력을 생산해서 판매하더라도 실제로는 손해를 보는 거래 구조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ESS)와 연계되어, 전력 저장 장치의 제어만으로 시장 거래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발전소의 전력 수익이 발생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6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93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430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저장 장치와 발전소가 연계하여 발전소의 별도 제어가 없이도 구역전기사업자의 1)전력수용가 시간대별 요금제, 2)전력 수전원의 수전요금제, 3)열병합발전기의 발전단가, 4)전력 역송원으로의 역송에 따른 시간대별 역송단가 등 네 가지 체계하에서 전력저장장치 제어만으로 최대의 수익 및 시장거래 균형화를 이루는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소와,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의 수요량을 비교하고, 계통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전력 역송원에 전력을 판매하는 역송 판매가, 자신의 발전 단가 및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여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발전소의 전력 생성 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의 수요량을 비교하는 제2 단계,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요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역송원의 역송 판매가를 비교하는 제3 단계,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역송원의 역송 판매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와 상기 수전 구매가 또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는 제4 단계,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역송원의 역송 판매가의 비교 결과, 또는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와 상기 수전 구매가 또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전력 저장 장치를 충방전시키거나, 주전력 사용 시간대의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전력 저장 장치를 충방전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저장 장치와 발전소가 연계하여 발전소의 별도 제어가 없이도 전력저장장치 제어만으로 최대의 수익 및 시장거래 균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전력 저장 장치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100)은 발전소(110) 및 전력 저장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소(110)는 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전소(110)는 열병합 발전소(Combined Heat and Power plant;CHP)일 수 있다. 열병합 발전소는 발전용 터빈을 구동하여 생산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역송원(B)에 역송하여 판매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장치(120)는 전력 수전원(A) 또는 발전소(110)로부터의 전력을 충전하거나,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여 전력 수용가(C)에 공급하거나 또는 전력 역송원(B)에 판매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장치(120)는 공급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122)에 충전시키거나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변환하여 전력 수용가(C) 공급 또는 전력 역송원(B)에 판매하는 전력 변환부(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변환부(121)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발전소(110)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C)의 수요량을 비교하고, 계통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 전력 역송원(B)에 전력을 판매하는 역송 판매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및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여 전력 변환부(121)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전력 관리 장치(Energy Management System;EMS)일 수 있으며, 전력 저장 장치(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전력 저장 장치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100)의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먼저 발전소(110)(CHP)의 발전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1).
발전소가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S11),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발전소(110)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S2).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역송원(B)의 역송 판매가를 비교할 수 있다(S3).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110)의 발전량이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 미만이면(S21),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를 비교하고(S31,S32), 발전소(110)의 발전량이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 이상이면(S22),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와 전력 역송원(B)의 역송 판매가를 비교할 수 있다(S33,S34). 더하여, 발전소(110)가 전력을 미생산하는 경우(S12),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를 비교할 수 있다(S35,S36).
이후,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를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와 비교할 수 있다(S4).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110)의 발전량이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 이상이고(S22),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가 전력 역송원(B)의 역송 판매가 미만이면,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를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와 비교할 수 있다(S41,S42). 더하여 발전소(110)가 전력을 미생산하는 경우(S12),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S36),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를 비교할 수 있다(S43,S44).
다음으로,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충전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S5).
즉,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S31),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을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과 발전소(110)의 발전량 간의 차와 비교할 수 있다(S51,S52).
만일,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미만이거나(S32), 전력 역송원(B)의 역송 판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미만이고(S34)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이상이거나(S41), 또는 발전소(110)가 전력을 미생산하고(S12)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미만이며(S36)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S43),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배터리(122)에 충전된 전력이 만충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S53,S54,S55,S56,S59,S60).
한편, 발전소(110)가 전력을 미생산하고(S12)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S35),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배터리(122)에 충전된 전력량과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S57,S58)
이후,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 주 수요 시간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
즉, 발전소(110)가 전력을 미생산하고(S12)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이상이며(S35)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배터리(122)에 충전된 전력량이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 미만이면(S58),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주 수요 시간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1,S62). 예를 들어,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11시부터 23시를 전력 수용가(C)가 전력을 주로 사용하는 전력 주 수요 시간대로 설정하고, 24시부터 10시까지를 전력 주 수요 시간대외로 설정할 수 있다.
더하여, 발전소(110)가 전력을 미생산하고(S12)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미만이며(S36)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미만(S43)인 경우에도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주 수요 시간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3,S64).
마지막으로,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충전 상태 또는 전력 주 수요 시간대 여부에 따라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전력 변환부(121)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이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과 발전소(110)의 발전량 간의 차 이상이면(S51),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 중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과 발전소(110)의 발전량 간의 차에 해당하는 전력을 방전시켜 전력 수용가(C)에 공급할 수 있다(S71).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이 전력 수용가(C)의 수요 전력량과 발전소(110)의 발전량 간의 차 미만이면(S52),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 전체를 방전시켜 전력 수용가(C)에 공급할 수 있다(S72).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미만이고(S32)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이 만충이 아니면(S53),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변환부(121)가 전력 수전원(A)로부터의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22)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3).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미만이고(S32)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이 만충이면(S53),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변환부(121)를 동작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4).
한편, 전력 역송원(B)의 역송 판매가가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 이상이거나(S33),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이상이고(S41) 배터리(122)의 충전 전력량이 만충이거나(S56),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미만이거나(S42),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이 수요량 미만이고(S58) 전력 주 수요시간대 외이거나(S62),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이 만충이거나(S60), 또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미만이고(S44) 전력 주 수요시간대 외이면(S64),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변환부(121)를 동작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45,S77,S78,S81S83,S85).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이상이고(S41) 배터리(122)의 충전 전력량이 만충 미만이면(S55),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변환부(121)가 발전소(110)로부터의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22)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6).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이상이고(S43) 배터리(122)의 충전 전력량이 만충 미만이면(S59),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전력 변환부(121)가 전력 수전원(A)로부터의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22)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2).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이상이고(S35) 배터리(122)의 충전 전력량이 수요 전력량 이상이면(S57),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 중 수요 전력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방전시켜 전력 수용가(C)에 공급할 수 있다(S79).
전력 수전원(A)의 수전 구매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이상이고(S35) 배터리(122)의 충전 전력량이 수요 전력량 미만이며(S58) 전력 주 수요시간대 이거나(S61), 또는 전력 저장 장치(120)의 발전 단가가 발전소(110)의 발전 단가 미만이고(S44) 전력 주 수요시간대 이면(S63), 전력 저장 장치(120)의 제어부(123)는 배터리(122)에 충전된 충전 전력량 전체를 방전시켜 전력 수용가(C)에 공급할 수 있다(S80,S8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저장 장치와 발전소가 연계하여 발전소의 별도 제어가 없이도 전력저장장치 제어만으로 최대의 수익 및 시장거래 균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전력 시스템
110: 발전소
120: 전력 저장 장치
121: 전력 변환부
122: 배터리
123: 제어부

Claims (17)

  1.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소; 및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의 수요량을 비교하고, 계통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전력 역송원으로의 역송에 따른 시간대별 역송단가에 따라 상기 전력 역송원에 전력을 판매하는 역송 판매가, 자신의 발전 단가 및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여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생성하면,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과 상기 전력 수용가의 수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수전 구매가, 상기 역송 판매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 및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수요량이 상기 발전량을 초과하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 이상이며, 충전 전력량이 상기 수요량과 상기 발전량 간의 차 이상이면 차에 해당하는 전력을 방전하고, 상기 충전 전력량이 상기 수요량과 상기 발전량 간의 차보다 작으면 상기 충전된 전력 전체를 방전하고,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수요량이 상기 발전량을 초과하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 미만이며, 충전 전력량이 만충 미만이면 상기 전력 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충전 전력량이 만충이면 동작 대기하며,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수요량이 상기 발전량 이하이고, 상기 역송 판매가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 동작 대기하고,
    상기 수요량이 상기 발전량 이하이고, 상기 역송 판매가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 미만이며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 만충 여부에 따라 상기 발전소의 전력을 충전하거나 또는 동작 대기하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 동작 대기하며,
    상기 발전소는 열병합 발전소인 전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소; 및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의 수요량을 비교하고, 계통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전력 역송원으로의 역송에 따른 시간대별 역송단가에 따라 상기 전력 역송원에 전력을 판매하는 역송 판매가, 자신의 발전 단가 및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여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미생성하면, 상기 수전 구매가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고 주 전력 수요 시간대에 따라 전력을 충방전하며,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 이상이고, 충전 전력량이 상기 수요량 이상이면 상기 충전 전력량과 상기 수요량의 차에 해당하는 전력을 방전하고, 상기 충전 전력량이 상기 수요량 미만이면 전력의 수요 시간대에 따라 충전된 전력 전체를 방전하거나 동작 대기하고,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 미만이고,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 만충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 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동작 대기하고, 상기 자신의 발전 단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 주 전력 수요 시간대에 따라 충전된 전력 전체를 방전하거나 동작 대기하며,
    상기 발전소는 열병합 발전소인 전력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발전소의 전력 생성 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과 전력 수용가의 수요량을 비교하는 제2 단계;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요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역송원으로의 역송에 따른 시간대별 역송단가에 따라 상기 전력 역송원에 전력을 판매하는 역송 판매가를 비교하는 제3 단계;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역송원의 역송 판매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와 상기 수전 구매가 또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는 제4 단계;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와 전력 수전원의 수전 구매가 또는 전력 역송원의 역송 판매가의 비교 결과, 또는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와 상기 수전 구매가 또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전력 저장 장치를 충방전시키거나, 주 전력 사용 시간대의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전력 저장 장치를 충방전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이 수요량 미만이면 상기 수전 구매가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고,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이 상기 수요량 이상이면 상기 역송 판매가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며,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미생성하면 상기 수전 구매가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역송 판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 상기 수전 구매가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고,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미생성하며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를 비교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이 상기 수요량 미만이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과 상기 수요량과 상기 발전량 간의 차를 비교하고,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이 상기 수요량 미만이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만충인지 확인하며,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이 상기 수요량 이상이고 상기 역송 판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미만이며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만충인지 확인하고,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미생성하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과 상기 수요량을 비교하며,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미생성하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미만이며,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이상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만충인지 확인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미생성하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이상이며,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이 상기 수요량 미만이면 주 전력 수요 시간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발전소가 전력을 미생성하고,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 미만이며,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발전 단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 주 전력 수요 시간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이 상기 수요량과 상기 발전량 간의 차 이상이면 차에 해당하는 전력을 방전하며, 차 미만이면 충전된 전력 전체를 방전하고,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미만충이면 상기 전력 수전원으로부터의 전력 또는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충전하고, 만충이면 동작 대기하며,
    상기 수전 구매가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 단가 미만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동작 대기하고,
    주 전력 수요 시간대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충전된 전력 전체를 방전하고, 주 전력 수요 시간대 이외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동작 대기하는 단계이며,
    상기 발전소는 열병합 발전소인 전력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082362A 2016-06-30 2016-06-30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8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62A KR102183461B1 (ko) 2016-06-30 2016-06-30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62A KR102183461B1 (ko) 2016-06-30 2016-06-30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55A KR20180003055A (ko) 2018-01-09
KR102183461B1 true KR102183461B1 (ko) 2020-11-26

Family

ID=6100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362A KR102183461B1 (ko) 2016-06-30 2016-06-30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4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2605A (ja) * 2008-03-24 2009-10-08 Osaka Gas Co Ltd 電力需給システム
JP2010233362A (ja) * 2009-03-27 2010-10-14 Toyota Motor Corp 電力供給制御装置
KR101324483B1 (ko) * 2012-05-09 2013-11-08 한국전기연구원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159B1 (ko) 2012-07-02 2014-09-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및 열에너지의 생산과 분배를 위한 제어시스템
KR20140005518A (ko) * 2012-07-04 2014-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거래 방법
KR101573782B1 (ko) 2013-12-31 2015-12-02 주식회사 경동원 가정용 열병합발전시스템의 전력생산방법
KR20160023620A (ko)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케이티 공동 주택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2605A (ja) * 2008-03-24 2009-10-08 Osaka Gas Co Ltd 電力需給システム
JP2010233362A (ja) * 2009-03-27 2010-10-14 Toyota Motor Corp 電力供給制御装置
KR101324483B1 (ko) * 2012-05-09 2013-11-08 한국전기연구원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55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944B1 (ko) 태양광 발전량 및 부하량 예측을 통한 전기 에너지 충/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090685B2 (en) Electricity providing system including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Rahbar et al. Real-time energy management for cooperative microgrids with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CN102103720A (zh) 一种基于风险的微电网分布式发电备用优化配置方法
JP6166338B2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JP6453707B2 (ja) 発電所システム、及び発電所システムのサーバ
JP2015092822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ー及び算出方法
JP5103368B2 (ja) 小売電力供給制御方法、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小売電力供給システム
Ansari et al. A joint energy and reserve scheduling framework based on network reliability using smart grids applications
KR102183461B1 (ko)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5654179B1 (ja) 充放電制御装置、プログラム
Tatiana Locational marginal pricing in multi-period power markets
KR102285030B1 (ko) 듀얼 SoC 구간을 이용한 DC 기반 산업단지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및 그 프로그램
JP2020089200A (ja) 充放電制御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
KR102281978B1 (ko) 계층적 ESS 기반 최적 SoC 제어를 통해 전기료를 최소화하는 전력 제어 시스템
Daviran Keshavarzi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AC/DC microgrid under influence of battery energy storage location
EP3293494B1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he electrical energy delivered to an electric plant
KR102136195B1 (ko) 복수의 수용가를 대상으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남는 전력을 매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7401846B2 (ja) ポジワット取引支援装置およびポジワット取引方法
JP6813409B2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電力管理プログラム
KR102285029B1 (ko) 싱글 SoC 구간을 이용한 DC 기반 산업단지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및 그 프로그램
WO2019131229A1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337565B1 (ko) 상업적 가상발전소 계통 내에서 계통 연계형 판매 사업자의 pv-ess 최적운용 시스템 및 방법
Tang et al. Alternating iterative method for congestion management of microgrid integrated distribution network
JP5502112B2 (ja) 負荷管理システムおよび負荷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