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83B1 -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83B1
KR101324483B1 KR1020120049031A KR20120049031A KR101324483B1 KR 101324483 B1 KR101324483 B1 KR 101324483B1 KR 1020120049031 A KR1020120049031 A KR 1020120049031A KR 20120049031 A KR20120049031 A KR 20120049031A KR 101324483 B1 KR101324483 B1 KR 10132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energy storage
cogeneration
storage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슬기
김종율
김응상
전진홍
조창희
최흥관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83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형 열병합 발전시스템과 에너지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수용가에 전력을 안정적이면서 경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용가용 복합 발전시스템과 그 최적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화석연료 발전시스템에 비해 효율이 높은 소규모 열병합발전시스템과 탄소배출이 없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하여 상시적으로 실시간 또는 시간대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요금을 고려하고, 전력회사의 수요관리조정 기간에는 부하감축사업 참여에 따른 수익금을 고려하여 수용가에 안정적인 전력을 최대한 경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최적운전 계획 및 실시간운전 방법을 안출하였다.

Description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Co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Hybrid System for Customers and Optimal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 계통에 연계되어 상시적으로 실시간 전기요금 변동 또는 시간대별 변동 요금에 연동하여 경제적으로 운전하고, 부하감축 기간에는 수요관리사업에 참여하여 최대 수익을 올리면서 동시에 수용가에 전기와 열을 실시간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산형 열병합발전장치>
일반적인 발전시스템에서는 발전소에서의 폐열과 송배전에서 발생되는 손실 등으로 말미암아 에너지 이용효율이 35%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나, 분산형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폐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전력수요와 열수요가 적절히 조합될 경우 에너지 이용효율이 70~80%까지 향상되어 에너지 이용의 효율화에 기여하게 된다. 또 지금까지의 대규모 집중형 전원과는 달리 수요지에 인접해서 분산형 열병합발전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분산, 송전 등의 공급손실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에너지저장장치>
순시 전력 보상용이 아닌 에너지 저장용으로는 이차전지가 많이 사용되며, 부하평준화, 피크부하 저감, 중요부하의 비상전원 기능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심야 잉여전력을 저장하여 피크부하 시간대에 방전함으로써 경제성을 제고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충방전 시 에너지 손실이 20~30%로 크기 때문에 부하와 전기요금에 대응한 정밀한 최적 충방전 제어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경제성 효과가 많이 떨어진다.
<수요관리사업>
수요관리의 목적은 전력수요를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율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전력수급안정을 도모함과 동시에 국가적인 에너지자원 절약에도 기여하는 데 있다. 최근에는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히 대두됨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정책 대안으로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내 전력회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부하관리 사업에는 지정기간 수요조정제도, 주간예고 수요조정제도, 비상절전 지원제도,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 등이 있으며, 전력회사와 약정을 통하여 또는 자발적으로 전력수요가 집중되는 기간에 일정수준이상의 전력을 줄이는 경우 지원금을 수용가에 지원하는 제도이다.
<수용가 전기요금제>
현재 전력회사에서 적용 중인 전기요금은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으로 구성된다. 기본 요금은 발전소, 변전소 등 전력공급설비 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 지급이자 등 고정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매월 청구되며, 수용가의 종류(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등등)에 따라 단가가 다르다. 주택용 전력을 제외한 모든 계약종별의 기본요금은 계약전력을 기준으로 하며, 다만 최대수요전력계를 설치한 고압고객에 대하여는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의 12월분, 1월분, 2월분, 7월분, 8월분, 9월분 및 검침 당월분 중의 최대수요전력을 요금적용 전력으로 하여 기본요금을 산정한다. 도 1에는 현재 시행 중인 계약전력이 300kW 이상인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기요금(기본요금 및 전력량 요금)표를 보여준다. 향후 이러한 변동요금제는 전력계통 부하의 변화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시장참여자에게 적용되는 실시간 요금제인 계통한계가격의 형태로 진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수용가에 전기와 열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향후에 도입될 실시간 전기요금제 또는 현재 적용 중인 시간대별 변동요금제에 대응하고, 더욱이 현재 시행 중이면서 향후에 대폭 확대가 예상되는 수요관리제도에 효과적으로 참여하여 수용가의 에너지비용을 최소화 또는 수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최적운전계획은 운전 1일전에 미리 예측된 부하와 예측된 전기요금을 바탕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운전 당일 실제 부하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하예측의 불확실성을 보완할 수 있는 실시간 운전제어 방법을 통하여 열병합발전장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전계획을 실시간 지령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수용가에 전기와 열을 실시간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은, 전기와 열을 발생하여 전기부하와 열부하를 포함하는 수용가의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열병합발전장치; 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기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및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전체 부하량과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기부하로의 수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예측하고, 열부하로 열공급을 위한 열원의 열단가와 열전비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열원 이외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운전 1일 전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실시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여, 결정된 실시간 운전 지령값들을 동시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전 1일 전의 상기 운전 지령값의 결정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상기 열단가에 상기 열전비를 곱한 값, 및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이나 상기 예측된 전체 부하량에 대한 감축인센티브에 기초한 전기요금 단가의 합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열병합 발전 연료비 단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정지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합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열병합 발전 연료비 단가보다 큰 경우에, 부하관리모드에 대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부하감축량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상시 운전 모드에 대해 최대효율출력점과 상기 예측된 전체 부하량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 하여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거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최대효율출력점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한다.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상기 부하관리모드에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 하여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한다.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상기 상시 운전 모드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 보다 작거나 또는 그 이상 인지 여부에 따라, 역송 전력 방지를 위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 하여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하거나, 상기 운전 1일 전에 결정된 지령값과 동일하게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열병합발전장치가 직접 수용가의 부하 변화를 감지하여 수용가의 부하의 크기와 같은 출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하거나, 상기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의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로부터의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장치가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한다.
운전 1일 전의 상기 운전 지령값의 결정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량 및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과 연관된 소정의 목적 함수를 기초로 수용가의 전기이용요금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한다.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이 결정되면,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에너지 저장 수단에 대한 감지를 통하여 충전 모드, 방전 모드,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의 충전 상태가 최소 충전용량과 최대충전용량 사이의 범위를 벗어나는 대기 모드를 구분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운전을 지령한다.
상기 충전 모드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이 소정의 최대수전전력을 초과하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하여 상기 수전전력이 상기 최대수전전력과 동일하게 되도록 부하추종운전을 지령하고, 상기 수전전력이 0보다 크고 상기 최대수전전력 이하이면 상기 운전 1일 전의 상기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출력하도록 운전을 지령한다.
상기 방전 모드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이 0보다 작으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가 운전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운전 1일 전의 상기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서 해당 역송 전력만큼 뺀값으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출력하도록 운전을 지령하거나, 상기 수전전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부하추종운전을 지령한다.
상기 수전전력이 0이상인 경우, 상기 운전 1일 전의 상기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출력하도록 운전을 지령한다.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직접 수용가의 부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하거나, 상기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의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로부터의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력 계통 또는 수용가 열원 이외에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전기부하와 열부하를 포함하는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전기와 열을 발생하여 수용가의 부하로 공급하는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기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전을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전체 부하량과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기부하로의 수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예측하고, 열부하로 열공급을 위한 열원의 열단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열원 이외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운전 1일 전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 기초하여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실시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실시간 운전 지령값들을 동시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에 따르면, 실시간 전기요금제 또는 현재 적용 중인 시간대별 변동요금제에 대응하여 수용가의 에너지비용을 최소화하여 전기이용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부하감축 기간에는 수요관리사업에 효과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부하예측의 불확실성을 보완할 수 있는 실시간 운전제어 방법을 통하여 열병합발전장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전계획을 실시간 지령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운전효율이 극대화되며, 수용가의 최대수전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수용가에 전기와 열을 실시간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수용가의 전기 기본요금을 효과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도 1은 현행 시간대별로 변동되는 전기요금제의 한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복합 시스템의 운전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열병합발전장치의 운전계획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에너지저장장치의 최적 충방전 계획도이다.
도 6은 도 2의 열병합발전장치의 실시간 운전제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에너지저장장치의 실시간 운전제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100)은, 전력계통과 연계된 수용가에 전력랑계(110),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 열병합발전장치(130), 에너지저장장치(140), 전기 부하(150), 열부하(160), 및 기타 열원(170)을 포함한다.
전력랑계(110)는 냉난방 장치 등 열병합발전장치(130), 에너지저장장치(140), 전기 부하(150)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열병합발전장치(130)(CHP,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system 또는 Cogeneration)는, 화석 연료 등의 열을 이용해 전기를 발생하고 이때의 폐열 등 열을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며, 그 출력제어는 전기추종방식 또는 열추종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열추종방식은 제어가 까다롭고 복잡하므로 전기추종방식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열생산량은 전기발생량의 1.5~2배 수준일 수 있으며, 냉난방 장치 등 전기 부하(150)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발생한 열을 이용해 일정 온도의 온수로 만들어 열부하(160)로 급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기추종방식의 열병합발전장치(130)가 있는 경우, 수용가에는 열부하(160) 수요를 맞춰줄 기타 열원(170)이 필요하다. 기타 열원(170)으로서 보일러나 축열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열병합발전장치(130)의 열공급이 열수요보다 클 경우 축열조 등에 저장하거나 열을 버릴 수 있으며, 열부하(160)의 수요가 더 클 경우 보일러 등을 통하여 추가로 그에 공급할 수도 있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수용가에 구성된 위와 같은 전력랑계(110), 열병합발전장치(130), 에너지저장장치(140), 열원(170) 등과 소정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 전체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은 열병합발전장치 (130), 에너지저장장치(140), 열원(170) 등 각 장치에 대해 1일전 최적운전계획을 수립하고 당일 실시간 운전 지령을 각 장치에 전송하여 시스템 전체의 운전 관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전력 계통 또는 열원(170) 이외에 열병합발전장치(130) 또는 에너지저장장치(140)가 전기부하(150)와 열부하(160)로 전기와 열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에너지저장장치(140)(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수용가가 전력계통에 연계되어 상시 운전되는 동안,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의 제어를 받아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간대에 2차 전지나 수퍼커패시터 등 에너지 저장 수단에 에너지를 충전하고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간대에 전기부하(150)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량 요금 절감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저장장치(140)는 전기 기본요금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데,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은 수용가의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이 일정 수준이하로 되도록 제어하여 기본요금을 낮출수 있고, 추가로 필요한 전력은 에너지저장장치(140)가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복합 시스템(100)의 운전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로 복합 시스템(100)이 전기요금의 변동에 대응하고, 수요관리제도에 참여하여 최대수익을 올리기 위해,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의 제어에 따른 열병합발전장치(130)(CHP)와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최적운전을 실행하는 개념을 설명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은 수용가에 설치된 전기 부하(150) 등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전기 부하의 전력사용량, 열부하(160)의 열에너지 필요량 정보를 바탕으로 열부하의 열에너지 필요량 등 전기 부하나 열부하(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부하량을 시간별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은 전기요금 정보(도 1의 기본요금 및 계절에 따라 변동되는 전력량 요금 참조)를 바탕으로 수용가에서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기부하(150)로의 수전에 따른 위와 같은 전력랑계(110)에서의 계측된 전력량을 통해 전기 요금을 시간별로 예측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운전 1일전에 예측한 부하량과 전기요금 정보를 바탕으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은 열병합발전장치(130)(CHP)와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시간대별 출력 및 충방전 계획과 관련된 최적운전지령을 결정하고, 당일에는 실시간운전지령으로서 최적운전지령 결과를 기반으로 예측 부하량 오차 등의 실시간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수용가의 에너지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실시간으로 소정의 출력값으로 운전 지령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최적운전지령은 열병합발전장치(130)(CHP)와 에너지저장장치(140)(ESS)에 대하여 매 시간별로 결정된 1일 24개씩 총 48개의 출력값으로 계획되며, 실시간운전지령은 시스템(100)의 규격에 따라, 수 초에서 수 분 단위로 수행 가능하다. 도 3과 같이, 이를 바탕으로 먼저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은 열병합발전장치(130)(CHP)에 대한 운전계획에 따른 지령을 결정한 후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최적 충방전계획에 따른 지령을 결정하며, 실시간 운전의 경우도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운전 지령값을 먼저 결정하고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여, 결정된 두 지령값을 동시에 각각의 장치에 전송한다.
도 4는 도 2의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운전계획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최적 충방전 계획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시 또는 부하관리 참여기간 중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의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운전계획을 설명하며, 도 5를 참조하여 상시 중에 전력량요금의 최소화와 전기기본요금의 제한을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의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충방전 계획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운전 계획을 결정하기 위해,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열병합 발전연료비 단가(열병합용 발전연료에 의해 단위 전력량 공급을 위한 가격), 열단가(열원에 의해 단위 열량 공급을 위한 가격으로서 단위 전력량 공급을 위한 것으로 환산한 가격), 열전비(전기생산(단위 전력량)대비 열생산 비율), 예측된 전기요금, 예측된 부하량, 부하감축인센티브(예, 도 1의 계절별 변동되는 경부하, 중간부하, 최대부하 등 부하 크기별 전력량 요금에 기초한 해당 예측된 전체 부하량에 전기 공급을 위한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131). 이때 기타열원(170)의 열단가와 열전비의 곱, 및 예측 전기요금 또는 부하감축인센티브에 기초한 전기요금 단가(단위 전력량 공급을 위한 가격)의 합이 열병합 발전연료비 단가 이하인 경우(S132), 열병합발전장치(130)(CHP)가 운전을 정지하도록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정지모드를 결정한다(S133).
위의 합이 열병합 발전연료비 단가 보다 큰 경우(S132), 상시운전모드(예,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대의 모드)인지 부하관리 모드(예,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간대, 또는 전력회사의 수요관리조정 기간의 모드)인지 구분하여(S134), 부하관리 모드이면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출력이 소정의 부하감축량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를 위한 열병합발전장치(130)(CHP)에 대한 운전 지령값(CHPsch)을 결정한다(S135).
상시운전 모드인 경우(S134),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발전연료비 단가가 제일 저렴한 최대효율 출력점(전기와 열 발생량)이 예측 부하량보다 큰 경우(S136),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출력이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부하량 전체를 공급하도록), 즉 수용가의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이 0이 되도록 결정하고(S137), 최대효율 출력점이 예측 부하량의 크기 이하인 경우(S136), 연료비단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대효율 출력점을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출력으로 결정한다(S138). 이와 같은 S131 ~ S138의 과정은 소정의 스타트 시간 h=1로부터 h=24가 될 때까지 24시간 동안 반복되어 매시간별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출력 제어를 위한 운전 지령값(CHPsch)이 결정된다(S139).
마찬가지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는 24시간 동안 매시간 도 5와 같은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충방전 계획과 관련된 매시간별 충방전 지령값(ESSsch)을 결정한다.
최적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는 위와 같은 시간별 예측 전기요금, 시간별 예측 수용가 부하량, ESS 규격 정보, 도 4에서 결정된 시간별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출력계획 결과(지령값), 및 수용가 계약전력 또는 연간 최대 부하량을 입력받는다(S141).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는 이러한 입력값을 바탕으로 수용가의 전기이용요금을 최소화하는 최적화 연산을 수행한다(S142). 이 때, 목적함수는 하루 동안의 시간별 전기 이용요금의 합이며, 이는 수전점(전력량계)에서의 시간별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량과 시간별 예측전기요금의 곱들의 합으로 나타낸다. 또한 시간별 수전전력은 시간별 예측 부하량의 크기에서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시간별 운전 지령값(CHPsch)(또는 출력값)과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시간별 충방전 지령값(ESSsch)(또는 출력값)을 뺀 값이다. 이와 같은 소정 목적 함수를 기초로 수용가의 전기이용요금을 최소화하는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시간별 충방전 지령값(ESSsch)(또는 출력값)이 결정될 수 있다.
시스템 제약조건으로서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충방전 지령값(ESSsch)은 소정의 최소출력값과 최대출력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는 소정의 최소충전용량과 최대충전용량 사이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발전사업자가 아닌 수용가로 계약된 상태에서는 수전전력은 0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최대수전전력은 전력 회사 등에서의 기본요금 산정법을 고려하여 적정한 값으로 선정한다. 여기서 최대수전전력을 지난 1년간 피크부하와 동일하게 설정할 경우, 기본요금은 변하지 않으며 전력량 요금만 최소화하는 계획을 산출하게 되고, 피크부하보다 작게 설정하는 경우 전력 회사 등의 기준에 따라 줄어든 피크부하만큼 기본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이때는 수전전력의 허용범위가 작아지므로 전기이용 요금의 절감율이 감소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는 이와 같은 수용가의 전기이용요금을 최소화하는 최적화 연산을 수행하여 시간별로 결정된 충방전 지령값(ESSsch)을 출력함으로써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최적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S143).
도 4 와 같은 열병합발전장치(130)(CHP)에 대한 1일전 최적운전계획에 따른 시간별 운전 지령값(CHPsch)을 바탕으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 도 6과 같은 과정으로 실시간 부하량을 반영하여 실시간 제어 시간간격(예, 수초 ~ 수분)으로 열병합발전장치(130)(CHP)에 대한 실시간 출력 지령값으로 실시간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도 5 와 같은 에너지저장장치(140)(ESS)에 대한 1일전 최적운전계획에 따른 시간별 충방전 지령값(ESSsch)을 바탕으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 도 7과 같은 과정으로 실제의 부하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실시간 제어 시간간격(예, 수초 ~ 수분)으로 에너지저장장치(140)(ESS)에 대한 실시간 출력 지령값으로 실시간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 4의 1일전 최적운전계획에 따라 S135, S137, S139와 같이 기동 모드가 결정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 실시간 부하량을 반영하여 실시간 제어 시간간격(예, 수초 ~ 수분)으로 열병합발전장치(130)(CHP)에 대한 실시간 출력 지령값으로 실시간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은 1일전 최적운전계획에 따른 시간별 운전 지령값(CHPsch)에 따라, 상시운전모드인지 부하관리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S31), 부하관리모드인 경우 최대한 전력 계통으로부터의 전력 사용을 감축하기 위하여 전력 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점(전력량계) 수전전력이 0이 되도록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한다(S34). 상시모드인 경우, 수전점(전력량계) 수전전력이 0 이상인지를 판별하여(S32) 0보다 작아서 역송전력(전력계통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전전력이 0이 되도록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한다(S34). 역송전력이 발생하지 않으면(S32)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출력(CHPref)이 도 4에서 최적운전계획에 따라 시간별로 결정된 운전 지령값(CHPsch)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지령한다(S33). 이러한 과정을 매 실시간 제어 시간간격으로 반복 수행한다.
S34 단계에서,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부하추종운전 방식은 2가지가 가능하다. 하나는 열병합발전장치(130)(CHP)가 스스로 수용가의 부하변화를 감지하여 추종하게 하는 방식과 다른 한 가지는 매 실시간 제어주기마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 열병합발전장치(130)(CHP)에 수용가의 부하의 크기와 동일한 출력(부하량에 공급할 전기와 열 발생량)을 내도록 지령값을 내려주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후자의 경우,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의 실시간 제어 시간간격에 따라 부하추종의 정밀도가 달라질 수 있으나, EMS의 권장 실시간 제어 시간은 수 초에서 5분 이내로 현행 전력량계(110)가 15분 동안의 평균값으로 계측되는 점을 고려하면 크게 무리가 없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는 도 5의 1일전 충방전계획에 따른 시간별 충방전 지령값(ESSsch)을 입력받아 에너지저장장치(140)(ESS)에 구비된 에너지 저장 수단의 충전, 방전, 또는 대기 상태 여부를 감지하여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운전모드를 판별한다(S41). 이때 충전모드인 경우(S41), 수전점(전력량계) 수전전력이 최대수전전력을 초과하면(S42), 수전전력이 최대수전전력과 동일하게 되도록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하고(S43), 수전전력이 0보다 크고 최대수전전력이하이면(S42)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출력(ESSref)가 최적운전계획대로 시간별 충방전 지령값(ESSsch)과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지령한다(S46).
운전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이면(S41), 에너지저장장치(140)(ESS)에 대한 지령값은 없으며, 다음 실시간 제어 시각까지 대기한다.
운전모드가 방전모드인 경우(S41), 수전전력이 0보다 작으면(S44), 열병합발전장치(130)(CHP)의 운전여부를 판별하여 운전 중이면, 최적운전계획의 시간별 충방전 지령값(ESSsch)에서 역송전력만큼을 뺀 값을, 열병합발전장치(130)(CHP)가 정지 중이면 수전전력이 0이 되도록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한다(S45). 방전모드이면서 수전전력이 0이상인 경우는 최적운전계획대로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운전을 지령한다.
이러한 에너지저장장치(140)(ESS)에 대한 실시간 지령값은 에너지 저장 수단의 충전상태(SOC)가 최소 충전용량(SOCmin)과 최대 충전용량(SOCmax)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 전송되고(S47), 그렇지 않은 경우 실시간 지령값은 0으로 되어 ESS는 대기모드로 전환된다(S48). 이러한 과정을 매 실시간 제어 시간간격으로 반복 수행한다.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S43, S45 단계에서, 에너지저장장치(140)(ESS)의 부하추종운전 방식은, 스스로 수용가의 부하변화를 감지하여 추종하게 하는 방식, 또는 매 실시간 제어주기마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20)(EMS)에서 에너지저장장치(140)(ESS)에 부하에 따라 수전전력이 해당 최대수전전력 되도록, 또는 해당 부하의 크기만큼의 출력(부하 전체가 사용할 전력량으로서 수전전력=0이 되는 전력)을 내도록 지령값을 내려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자의 방식으로도 수용가 전력량계(110)의 측정시간 간격 15분을 고려할 때 정밀도는 충분하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100)은 공공기관, 상업용, 주택용 등의 배전계통에 연계되는 다양한 수용가 단지 또는 건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실시간 전기요금제 또는 현재 적용 중인 시간대별 변동요금제에 대응하여 수용가의 에너지비용을 최소화하여 전기이용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부하감축 기간에는 수요관리사업에 효과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부하예측의 불확실성을 보완할 수 있는 실시간 운전제어 방법을 통하여 열병합발전장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전계획을 실시간 지령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운전효율이 극대화되며, 수용가의 최대수전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수용가에 전기와 열을 실시간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수용가의 전기 기본요금을 효과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전기와 열을 발생하여 전기부하와 열부하를 포함하는 수용가의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열병합발전장치; 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기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및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전체 부하량과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기부하로의 수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예측하고, 열부하로 열공급을 위한 열원의 열단가와 열전비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열원 이외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운전 1일 전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실시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여, 결정된 실시간 운전 지령값들을 동시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로 전송하되,
    운전 1일 전의 상기 운전 지령값의 결정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상기 열단가에 열전비를 곱한 값, 및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이나 상기 예측된 전체 부하량에 대한 감축인센티브에 기초한 전기요금 단가의 합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열병합 발전 연료비 단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정지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합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열병합 발전 연료비 단가보다 큰 경우에, 소정의 부하관리모드에 대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부하감축량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고, 상시 운전 모드에 대해 최대효율출력점과 상기 예측된 전체 부하량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 하여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거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최대효율출력점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2. 전력 계통 또는 수용가 열원 이외에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전기부하와 열부하를 포함하는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전기와 열을 발생하여 수용가의 부하로 공급하는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기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전을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전체 부하량과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기부하로의 수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예측하고, 열부하로 열공급을 위한 열원의 열단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열원 이외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운전 1일 전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 기초하여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실시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실시간 운전 지령값들을 동시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전 1일 전의 상기 운전 지령값의 결정에서, 상기 열단가에 열전비를 곱한 값, 및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이나 상기 예측된 전체 부하량에 대한 감축인센티브에 기초한 전기요금 단가의 합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열병합 발전 연료비 단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정지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합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열병합 발전 연료비 단가보다 큰 경우에, 소정의 부하관리모드에 대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부하감축량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고, 상시 운전 모드에 대해 최대효율출력점과 상기 예측된 전체 부하량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 하여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거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최대효율출력점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지령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의 운전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상기 부하관리모드에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 하여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상기 상시 운전 모드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 보다 작거나 또는 그 이상 인지 여부에 따라, 역송 전력 방지를 위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이 상기 부하량의 크기와 같도록 하여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 전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부하추종운전을 제어하거나, 상기 운전 1일 전에 결정된 지령값과 동일하게 상기 열병합발전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가 직접 수용가의 부하 변화를 감지하여 수용가의 부하의 크기와 같은 출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하거나, 상기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의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로부터의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장치가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7. 전기와 열을 발생하여 전기부하와 열부하를 포함하는 수용가의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열병합발전장치; 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기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및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전체 부하량과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기부하로의 수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예측하고, 열부하로 열공급을 위한 열원의 열단가와 열전비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열원 이외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운전 1일 전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실시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여, 결정된 실시간 운전 지령값들을 동시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로 전송하되,
    운전 1일 전의 상기 운전 지령값의 결정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량 및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과 연관된 소정의 목적 함수를 기초로 수용가의 전기이용요금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이 결정되면,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에너지 저장 수단에 대한 감지를 통하여 충전 모드, 방전 모드,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의 충전 상태가 최소 충전용량과 최대충전용량 사이의 범위를 벗어나는 대기 모드를 구분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운전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8. 전력 계통 또는 수용가 열원 이외에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전기부하와 열부하를 포함하는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전기와 열을 발생하여 수용가의 부하로 공급하는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기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전을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수용가의 부하에 대한 전체 부하량과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기부하로의 수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예측하고, 열부하로 열공급을 위한 열원의 열단가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 계통 또는 상기 열원 이외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수용가의 부하로 전기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운전 1일 전의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 기초하여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으로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실시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실시간 운전 지령값들을 동시에 상기 열병합발전장치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전 1일 전의 상기 운전 지령값의 결정에서,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량 및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과 연관된 소정의 목적 함수를 기초로 수용가의 전기이용요금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을 결정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이 결정되면, 운전 당일에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에너지 저장 수단에 대한 감지를 통하여 충전 모드, 방전 모드,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의 충전 상태가 최소 충전용량과 최대충전용량 사이의 범위를 벗어나는 대기 모드를 구분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운전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의 운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이 소정의 최대수전전력을 초과하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하여 상기 수전전력이 상기 최대수전전력과 동일하게 되도록 부하추종운전을 지령하고, 상기 수전전력이 0보다 크고 상기 최대수전전력 이하이면 상기 운전 1일 전의 상기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출력하도록 운전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모드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수전전력이 0보다 작으면, 상기 열병합발전장치가 운전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운전 1일 전의 상기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서 해당 역송 전력만큼 뺀값으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출력하도록 운전을 지령하거나, 상기 수전전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부하추종운전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전력이 0이상인 경우, 상기 운전 1일 전의 상기 시간대별 운전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출력하도록 운전을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직접 수용가의 부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하거나, 상기 실시간 제어 시간 간격의 상기 에너지관리시스템로부터의 지령값에 따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상기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
  13. 삭제
KR1020120049031A 2012-05-09 2012-05-09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KR10132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31A KR101324483B1 (ko) 2012-05-09 2012-05-09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31A KR101324483B1 (ko) 2012-05-09 2012-05-09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483B1 true KR101324483B1 (ko) 2013-11-08

Family

ID=4985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31A KR101324483B1 (ko) 2012-05-09 2012-05-09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83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389B1 (ko) * 2015-11-12 2017-07-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전기 복합에너지 양?향 거래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KR20180003055A (ko) * 2016-06-30 2018-01-09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51714A (ko) * 2016-11-08 2018-05-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양방향 에너지네트워크에서의 복합에너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17671B1 (ko) * 2019-12-26 2020-06-03 (주)제이에이치에너지 열병합설비와 신재생에너지원 결합형 스마트 에너지 운영 시스템
KR20200076037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통합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통합관리 방법
KR20200076023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제어 방법
KR20200076033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전력 소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소모 제어 방법
KR2020007603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주파수 제어를 위한 집단에너지 시스템
KR20200076042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의 출력 변동성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출력 변동성 안정화 방법
KR20200076028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집단에너지계통의 열 생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 생산 제어 방법
KR20200105800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의 예비력량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KR20200105802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방법
KR20200105801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에 연계된 기저발전기의 출력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KR20200105799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정보의 변화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WO2021070989A1 (ko) * 2019-10-11 2021-04-15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Dc 기반 파워 쉐어링 산업단지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및 그 프로그램
CN113644684A (zh) * 2021-07-23 2021-11-12 山东大学 一种综合能源系统多环控制系统与方法
CN116683492A (zh) * 2023-06-08 2023-09-01 中广核新能源(阿里)有限公司 一种离网型源网荷储电站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079A (ja) * 2000-12-27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2005287211A (ja) * 2004-03-30 2005-10-13 Osaka Gas Co Ltd エネルギ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079A (ja) * 2000-12-27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2005287211A (ja) * 2004-03-30 2005-10-13 Osaka Gas Co Ltd エネルギ供給システム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389B1 (ko) * 2015-11-12 2017-07-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전기 복합에너지 양?향 거래를 위한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KR102183461B1 (ko) * 2016-06-30 2020-11-2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03055A (ko) * 2016-06-30 2018-01-09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전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51714A (ko) * 2016-11-08 2018-05-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양방향 에너지네트워크에서의 복합에너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63159B1 (ko) * 2016-11-08 2018-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양방향 에너지네트워크에서의 복합에너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257173B2 (en) 2016-11-08 2022-02-22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omplex energy system in bidirectional energy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2685B1 (ko) 2018-12-19 2020-12-17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전력 소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소모 제어 방법
KR102210612B1 (ko) * 2018-12-19 2021-02-02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의 출력 변동성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출력 변동성 안정화 방법
KR2020007603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주파수 제어를 위한 집단에너지 시스템
KR20200076042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의 출력 변동성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출력 변동성 안정화 방법
KR20200076028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집단에너지계통의 열 생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 생산 제어 방법
KR20200105800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의 예비력량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KR20200105802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방법
KR20200105801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에 연계된 기저발전기의 출력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KR20200105799A (ko) * 2018-12-19 2020-09-0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정보의 변화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KR20200076023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제어 방법
KR20200076037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통합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통합관리 방법
KR102210909B1 (ko) 2018-12-19 2021-02-02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통합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통합관리 방법
KR102210598B1 (ko) * 2018-12-19 2021-02-02 한국지역난방공사 집단에너지계통의 열 생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 생산 제어 방법
KR20200076033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전력 소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소모 제어 방법
KR102210606B1 (ko) * 2018-12-19 2021-02-02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주파수 제어를 위한 집단에너지 시스템
KR102210599B1 (ko) * 2018-12-19 2021-02-02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제어 방법
KR102310873B1 (ko) * 2018-12-19 2021-10-08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정보의 변화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KR102310875B1 (ko) * 2018-12-19 2021-10-08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방법
KR102310877B1 (ko) * 2018-12-19 2021-10-08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에 연계된 기저발전기의 출력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KR102310876B1 (ko) * 2018-12-19 2021-10-08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의 예비력량 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과 집단에너지계통의 에너지 변환 제어 장치
WO2021070989A1 (ko) * 2019-10-11 2021-04-15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Dc 기반 파워 쉐어링 산업단지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및 그 프로그램
KR102117671B1 (ko) * 2019-12-26 2020-06-03 (주)제이에이치에너지 열병합설비와 신재생에너지원 결합형 스마트 에너지 운영 시스템
CN113644684A (zh) * 2021-07-23 2021-11-12 山东大学 一种综合能源系统多环控制系统与方法
CN113644684B (zh) * 2021-07-23 2024-03-19 山东大学 一种综合能源系统多环控制系统与方法
CN116683492A (zh) * 2023-06-08 2023-09-01 中广核新能源(阿里)有限公司 一种离网型源网荷储电站控制系统
CN116683492B (zh) * 2023-06-08 2024-03-12 中广核新能源(阿里)有限公司 一种离网型源网荷储电站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483B1 (ko) 수용가용 열병합 발전 및 에너지저장 복합 시스템과 그 최적운전 방법
Liu et al. Uses, cost-benefit analysis, and markets of 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ic grid applications
Salehimaleh et al. Generalized modeling and optimal management of energy hub based electricity, heat and cooling demands
Del Granado et al. Synergy of smart grids and hybrid distributed generation on the value of energy storage
Acevedo-Arenas et al. MPC for optimal dispatch of an AC-linked hybrid PV/wind/biomass/H2 system incorporating demand response
e Silva et al. Lead–acid batteries coupled with photovoltaics for increased electricity self-sufficiency in households
Wu et al. Optimal switching renewable energy system for demand side management
Li et al. The capacity allocation method of photovoltaic and energy storage hybrid system considering the whole life cycle
Zhang et al. The performance of a grid-tied microgrid with hydrogen storage and a hydrogen fuel cell stack
JP6592454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94215A1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970146B1 (ja) 太陽光発電装置を含む電力系統の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KR20190105173A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가상 발전소
KR20130035758A (ko) 전력저장장치 운영장치 및 방법
Philipo et al. Demand-side management of solar microgrid operation: Effect of time-of-use pricing and incentives
JP5394351B2 (ja) 電圧抑制処理装置及び電圧抑制処理方法
Kim et al. Field study on operational performance and economics of lithium-polymer and lead-acid battery systems for consumer load management
Asano et al. Methodology to Design the Capacity of a Microgrid
Tapia-Ahumada et al. A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large-scale penetration of micro-combined heat and power
JP2021112078A (ja) 電力供給システム、サーバ及び発電設備
Hafiz et al. Solar generation, storage, and electric vehicles in power grids: challenges and solutions with coordinated control at the residential level
Zhang et al. Multi-time-scale economic scheduling method for electro-hydrogen integrated energy system based on day-ahead long-time-scale and intra-day MPC hierarchical rolling optimization
JP6764769B2 (ja) 電力供給制御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電力料金設定システム
CN115986812A (zh) 一种考虑储能和需求响应的微电网经济规划方法及装置
JP6543187B2 (ja) 蓄電池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