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281B1 - 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 - Google Patents

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281B1
KR102183281B1 KR1020157000684A KR20157000684A KR102183281B1 KR 102183281 B1 KR102183281 B1 KR 102183281B1 KR 1020157000684 A KR1020157000684 A KR 1020157000684A KR 20157000684 A KR20157000684 A KR 20157000684A KR 102183281 B1 KR102183281 B1 KR 10218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ed
bristle
covering
bristles
tapered bris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0661A (en
Inventor
야스시 오쿠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6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2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8Bristles with non-roun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92Bristles having split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46D1/05Splitting; Point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개개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갖는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수지제의 테이퍼 강모체를 인접해서 배치하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와, 이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를 접합해서 일체화하도록 이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부를 포함하고, 이 피복부는 이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해서 이 측면끼리를 접합하고 있고, 이 각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테이퍼 강모.The tapered bristle assembly, in which 3 or more and 10 or less resin tapered bristle bodi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having a tapered part at each tip,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re joined and integrated with the sid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It includes a resin-made covering part covering all or part of, and the covering part covers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excluding the tapered part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bonds the side surfaces together, and the tapered part of each tapered bristle body Tapered bristles in which an outer edge portion in the removed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Description

테이퍼 강모와 그 제조방법 및 테이퍼 강모를 구비한 칫솔{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Tapered brist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oothbrush with tapered bristle {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

본 발명은 선단 부분을 분기시킨 구조의 테이퍼 강모와 그 제조방법 및 테이퍼 강모를 구비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red brist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ip portion is branche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toothbrush provided with the tapered bristle.

본원은 2012년 9월 25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2-211159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2-211159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September 25, 2012, and uses the content here.

치주병 예방을 위해서 모끝의 접촉 느낌이 부드럽고, 치주 포켓의 안쪽까지를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는 특장적인 강모로서, 첨예화 테이퍼모(초극세모)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첨예화 테이퍼모의 일례로서 합성 수지제의 모노필라멘트의 선단부에 테이퍼 선단으로부터 1㎜, 3㎜, 5㎜, 8㎜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강모 지름이 강모 기부의 외경에 대하여, 25∼35%, 55∼70%, 80∼90%, 90∼100%로 특정되는 테이퍼 형상의 모노필라멘트가 알려져 있고, 이 모노필라멘트를 칫솔 핸들 선단부에 식모한 구성의 칫솔이 알려져 있다.For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 sharpened tapered hair (ultra-fine fine hair) is widely used as a special bristle that has a soft touch feeling at the tip of the hair and can reliably clean the inside of the periodontal pocket. As an example of a sharpened tapered hair, the diameter of the bristles at each portion of 1 mm, 3 mm, 5 mm, and 8 mm from the tapered tip to the tip of a synthetic resin monofilament was 25 to 35%, 55 with respect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e of the bristles. A tapered monofilament specified as -70%, 80-90%, and 90-100% is known, and a toothbrush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onofilament is planted at the tip of a toothbrush handle is known.

그러나, 이 종류의 첨예화 테이퍼모는 극세모이기 때문에 잇몸에의 접촉이 약하여 청소 실감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is type of sharpened tapered hair is very f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ct with the gums is weak and the feeling of cleaning is insufficient.

이 때문에, 첨예화 테이퍼모의 더나은 청소 실감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선단 분기모가 검토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구조는, 다엽 단면 형상의 강모를 분기하여 식모한 구조(특허문헌 1 참조)와, 해도 구조와 같은 강모의 선단을 분기한 구조이다(특허문헌 2 참조).For this reas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leaning feeling of the sharpened tapered hair, the tip branch hair is being examined. The typical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bristles having a multi-leaf cross-sectional shape are branched and planted (refer to Patent Document 1),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tip of the bristles is branched like a sea-island structure (refer to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첨예화 테이퍼모는 횡단면 클로버형의 강모의 선단부를 복수로 분기하고, 분기모의 각 선단부를 첨예화 테이퍼 형상으로 한 구조를 채용하고, 테이퍼 형상으로 한 분기모의 모끝이 치간부 진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1개의 강모의 모탄력을 적당한 값으로 함으로써 잇몸에 대한 통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이다.The sharpened tapered hai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tip of the cross-sectional clover-shaped bristles is branched in plural, and each tip of the branch hair has a sharp tapered shape, and the hair tip of the branch hair in the tapered shape is accessible to the interdental part. In addition to this excellence,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pain in the gums by setting the hair elasticity of one bristle to an appropriate value.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첨예화 테이퍼모는 서로 접착하지 않는 수지의 스킨층과 코어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로 칫솔의 강모을 구성하고, 모끝을 연마해서 복수로 분할한 구조를 채용하고, 치주 포켓의 좁은 간극에도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음과 아울러 이똥의 제거 효과도 크게 한 구조이다.The sharpened tapered hai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s a composite fiber composed of a resin skin layer and a core layer that do not adhere to each other, constitutes the bristles of a toothbrush, and employs a structure in which the hair ends are polish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a narrow gap in the periodontal pocke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easily enter into, it has a structure with a large removal effect of dung.

일본 특허공개 2001-16982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69827 일본 특허공개 평 9-9883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9-98837

앞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칫솔은 치간 청소성이 뛰어나고, 잇몸에 대하여 소프트한 접촉 느낌이면서 칫솔질 실감도 높지만, 식모시 또는 사용시에 횡단면 클로버형의 강모가 갈라지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The toothbrush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tent Document 1 has excellent interdental cleanability, has a soft touch to the gums, and a high brushing feel, but has a drawback that the cross-sectional clover-shaped bristles are easily cracked at the time of planting or use.

또한, 앞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칫솔은 분기모가 강모 선단측 외주 위치보다 내측에 밀집되어 버리기 때문에, 분기모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충분한 칫솔질 실감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oothbrush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has a drawback in that the branch hairs are denser inside than the bristle tip side outer circumferential position, so that a sufficient feeling of brushing by providing the branch hairs cannot be obtained.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테이퍼모로서 잇몸에 대하여 소프트한 접촉 느낌이면서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뛰어나고, 칫솔질 실감이 우수함과 아울러, 식모시 또는 사용시에 강모가 갈라지기 어려운 테이퍼 강모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테이퍼 강모를 구비한 칫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a tapered bristle and a tapered bristle that has a soft touch to the gums as a tapered hair, has excellent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has an excellent brushing feel, and is difficult to crack during hair transplantation or use. It is an objec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ovision of a toothbrush having the tapered brist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테이퍼 강모는 개개의 선단을 테이퍼부로 한 3개 이상의 수지제의 테이퍼 강모체를 인접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와,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을 접합하도록 피착해서 이들 인접하는 테이퍼 강모체끼리의 측면을 일체적으로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측면끼리를 접합함과 아울러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 외단 가장자리를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에 피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pered bristle assembly formed by adjacently disposing three or more resin-made tapered bristle bodies with each tip as a tapered por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It consists of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that is adhered to be bonded and integrally covers the side surfaces of the adjacent tapered bristle bodies, and the covering portion joins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s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posi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so that the outer edg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ther body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본 발명의 테이퍼 강모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와 상기 피복부가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가 용해액에 의한 침지에 의해 형성된 테이퍼부이며, 상기 피복부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가 상기 테이퍼 강모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보다 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In 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covering portion are made of different resins,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is a tapered portion formed by immersion with a solution, and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portion is dissolved. A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ubility in the liquid is greater than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in the dissolved liquid may be adopted.

본 발명의 테이퍼 강모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가 그 중심측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를 밀착 일체화해서 구성되고, 상기 피복부가 상기 3개 이상의 테이퍼 강모체의 밀착 일체화 부분의 측면을 덮도록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에 피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is formed by intimately integrating side surfaces of the three or more tapered bristle bodies at the center side thereof, and the covering portion is a tightly integrated portion of the three or more tapered bristle bodies. It can b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so as to cover the side of the.

본 발명의 테이퍼 강모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가 상기 인접 배치된 3개 이상의 테이퍼 강모체를 덮는 강모 형상의 피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 강모체가 그 측면 외단 가장자리를 상기 피복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나머지의 부분을 상기 강모 형상의 피복부에 매설해서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includes a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covering the three or more adjacent tapered bristle bodies, and the tapered bristle body protrudes its side outer edge from the side of the covering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embedded in the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and provided.

본 발명의 테이퍼 강모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돌출 폭이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지름의 5∼50%, 돌출 높이가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지름의 10∼80%이어도 된다.In 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is 5-50% of the diameter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protrusion height is 10 of the diameter of the tapered bristle body. It may be -80%.

본 발명의 테이퍼 강모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이 횡단면 다각형상 또는 횡단면 대략 타원형상의 3개 이상의 테이퍼 강모체에 의해 형성된 횡단면 대략 꽃잎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petal-shaped cross-section formed by three or more tapered bristle bodies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or an approximately elliptical cross-section.

본 발명의 칫솔은 앞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가 헤드부에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ed bristles described in any one of the preceding items are planted in the head.

본 발명의 테이퍼 강모의 제조방법은 개개의 선단을 테이퍼부로 한 3개 이상의 수지제의 테이퍼 강모체를 인접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와,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인접하는 측면부끼리에 일체화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인접하는 측면부를 덮는 수지제의 피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측면측에 피복되고,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측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테이퍼 강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apered brist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apered bristle assembly comprising three or more resin-made tapered bristle bodies having each tip as a tapered portion, and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comprising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It is made of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that covers the adjacent side portion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adjacent side portion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covering portion is covered on the side surfaces except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tapered bristle body is tapered. As a method for producing a tapered bristles with an outer edge portion of a side surface excluding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ing portion,

3개 이상의 강모 소재를 인접 배치한 소재 강모부를 수지제의 피복 부재로 피복해서 강모 피복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강모 소재를 구성하는 수지와 상기 피복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어느 것이나 용해액에 대한 용해성을 구비한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피복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가 상기 강모 소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보다 큰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강모 소재에 상기 피복 부재를 피착해서 강모 피복체를 형성한 후 상기 강모 피복체를 상기 용해액에 침지하고나서 끌어 올림으로써 상기 각 강모 소재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형성해서 테이퍼 강모체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테이퍼부의 주위의 피복 부재를 용해 제거해서 상기 테이퍼부를 제외한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측에 피복하는 피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forming a bristle cover by covering a material bristle part in which three or more bristle material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resin-made coating member, the resin constituting the bristle material and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ating member are either A resin having solubility is used, and a resin having a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member in the solution solution higher than that in the solution solution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ristle material is used, and After attaching a covering member to form a bristle cover, the bristle cover is immersed in the solution and then pulled up to form a tapered bristle body by forming a tapered portion at the tip of each bristle material, and the tapere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rounding covering member is dissolved and removed to form a covering portion covering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except for the tapered portion.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ollowing.

[1] 개개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갖는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수지제의 테이퍼 강모체를 인접해서 배치하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와, [1] an assembly of tapered bristle bodies in which 3 or more and 10 or less resin tapered bristle bodies having a tapered portion at each tip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를 접합해서 일체화하도록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부를 포함하고,And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covering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so as to join and integrate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상기 피복부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해서 상기 측면끼리를 접합하고 있고,The covering portion covers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side surfaces are joined together,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테이퍼 강모.Tapered bristles in which an outer edge portion of each tapered bristle body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2] 상기 테이퍼 강모체와 상기 피복부가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고,[2]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covering portion are made of different resins,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는 용해액에 침지함으로써 형성된 테이퍼부이며,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is a tapered portion formed by immersion in a solution,

상기 피복부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가 상기 테이퍼 강모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보다 큰 [1]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The tapered bristle according to [1], wherein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portion in the dissolved solution is greater than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body in the dissolved solution.

[3]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는 그 횡단면의 중심측에 있어서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가 밀착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고,[3]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are in close contact and integrated at the center side of the cross section,

상기 피복부는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밀착 일체화 부분에 있어서의 측면을 피복하고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The tapered bristl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covering portion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tightly integrated portion of each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4] 상기 피복부는 상기 인접 배치된 각 테이퍼 강모체를 덮는 강모 형상의 피복부이며,[4] the covering portion is a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covering each of the adjacently disposed tapered bristle bodies,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vering portion,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강모 형상의 피복부에 매설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The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1] or [2], wherein a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except for the outer edge portion, is embedded in the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5] 상기 피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돌출 폭이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지름의 5∼50%, 돌출 높이가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지름의 10∼80%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5] 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is 5-50% of the diameter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protrusion height is 10 to 80% of the diameter of the tapered bristle body. The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6]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에 있어서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은 횡단면 다각형상 또는 횡단면 오벌형상의 3개 이상 10개 이하의 테이퍼 강모체가, 상기 테이퍼 강모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집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6]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ree or more and ten or less tapered bristle bodies having a cross-sectional polygonal shape or a cross-sectional oval shape are aggregat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The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가 헤드부에 식설된 칫솔.[7] A toothbrush in which the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are planted in the head.

[8] 개개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갖는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수지제의 테이퍼 강모체를 인접해서 배치하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와,[8] a tapered bristle assembly section in which 3 or more, 10 or less resin tapered bristle bodi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having a tapered part at each tip;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를 접합해서 일체화하도록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부를 포함하고,And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covering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so as to join and integrate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상기 피복부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해서 상기 측면끼리를 접합하고 있고,The covering portion covers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side surfaces are joined together,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테이퍼 강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producing a tapered bristle in which an outer edge portion of each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protrudes outward of the covering portion,

상기 제조방법은,The manufacturing method,

3개 이상 10개 이하의 강모 소재를 인접 배치한 소재 강모부를 수지제의 피복 부재로 피복함으로써 강모 피복체를 형성하는 것;Forming a bristle coating body by covering a material bristle portion in which 3 or more and 10 or less bristle materials are arranged adjacently with a resin-made coating member;

상기 강모 피복체의 선단측을 용해액에 침지하고나서 끌어올림으로써, 상기 각 강모 소재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부의 주위의 피복 부재를 용해 제거하여, 상기 테이퍼부를 갖는 강모 소재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기체부의 측면을 피복하는 피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A bristle material having the tapered part by dissolving and removing the covering member around the tapered part while forming a tapered part at the tip of each bristle material by immersing the tip side of the bristle cover in a solution and then pulling it up. Including; forming a covering portion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삭제delete

상기 강모 소재를 구성하는 수지와 상기 피복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는 모두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성을 구비한 수지이며, The resin constituting the bristle material and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member are both resins having solubility in the solution,

상기 피복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가 상기 강모 소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보다도 큰 테이퍼 강모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tapered bristle having a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member in the solution solution higher than that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ristle material in the solution solution.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테이퍼 강모체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3개 이상의 테이퍼 강모체를 피복부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1개씩의 테이퍼 강모체가 독립된 구조에 비하여 모 탄력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칫솔질 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를 제외하도록 피복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피복부의 선단측이며 테이퍼부에 둘러싸인 부분에 치약을 유지할 수 있어 치주 포켓의 안쪽까지 확실하게 치약의 유효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tapered bristle body has a tapered portion at the tip end, it has excellent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and since three or more tapered bristle bodies are integrated by the covering portion, each tapered bristle body is Compared to an independen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lasticity of the hair, thereby improving the feeling of brushing. In addition, since the covering portion is configured to exclude the tapered portion, the toothpaste can be held in a portion surrounded by the tapered portion at the tip of the covering portion, thereby reliably supply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toothpaste to the inside of the periodontal pocket.

또한, 칫솔을 제조할 경우에 헤드부에 평선식의 식모기를 이용하여 식모할 경우, 3개 이상의 테이퍼 강모체를 피복부에서 합쳐진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식모시 또는 사용시에 모끝이 갈라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toothbrush, when the hair is transplanted using a flat wire hair transplanter on the hea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ree or more tapered bristle bodies are joined at the covering part, so the hair tip is said to be liable to be cracked during transplantation or use. It is difficult to have problems.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를 구비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용해 처리 전의 강모 피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용해 처리 후의 테이퍼 강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한 그 밖의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의 사시도이다.
1A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with tapered bristles,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plan view of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stle coating body before dissolution treatment in a method for producing a tapered bris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apered bristles after a dissolution treatment in a method for producing a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of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lan view of tapered bristle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apered bristle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lan view of tapered bristle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plan view of tapered bristle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lan view of tapered bristle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퍼 강모를 식설한 칫솔(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칫솔(A)은 복수의 모다발(1)이 식설된 헤드부(2)와, 수부(首部)(3)와, 파지부(4)를 갖고, 상기 헤드부(2), 수부(3), 및 파지부(4)가 경질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Fig. 1A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 having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toothbrush (A) has a head portion (2) in which a plurality of hair bundles (1) are installed, a hand portion (3), and a grip portion (4), and the head portion (2), the hand portion (3) ), and the gripping portion 4 are made of a hard resin material.

헤드부(2), 수부(3), 및 파지부(4)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경질 수지의 주위를 연질 수지로 피복한 2색 성형품으로 해도 좋다.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head part 2, the hand part 3, and the holding part 4 can be polypropylene resin or polyester resin, but it is a two-color molded product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se hard resins is covered with a soft resin. You can do it.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oft resin include an elastomer resin such as a polyolefin elastomer, a styrene elastomer, or a polyester elastomer.

여기에서 사용하는 수지는 일반적인 칫솔에 적용할 수 있는 어느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The resin used here may be any resin applicable to a general toothbrush.

칫솔(A)의 헤드부(2)에 식설되어 있는 모다발(1)은, 이하에 설명하는 테이퍼 강모(5)를, 예를 들면 식모(植毛) 구멍의 면적에 대하여 충전율이 70∼95%로 되도록 복수개 묶고, 도시 생략의 평선을 이용하여 테이퍼 강모(5)의 다발을 V자 형상으로 변형시켜서 헤드부(2)의 도시 생략의 식모 구멍에 박아넣음으로써 식설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강모(5)의 다발을 헤드부(2)에 식모하는 방법은 상술한 평선에 의한 식모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칫솔에 있어서 식모하는 방법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The hair bundle 1 installed in the head portion 2 of the toothbrush A has a tapered bristle 5 described below, for example, with a filling rate of 70 to 95%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hair growth hole. A plurality of bundles are bundled so as to be, and a bundle of tapered bristles 5 is deformed into a V-shape using a flat line (not shown) and inserted into a hair transplant hole (not shown) in the head portion 2 to be planted. In addition, the method of transplanting the bundles of the tapered bristles 5 to the head part 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lat line, and any of the methods of transplanting in a general toothbrush may be us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이퍼 강모(5)는, 도 1b, 및 도 1c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의 4개의 테이퍼 강모체(6)을 갖는다.The tapered bristle 5 in this embodiment has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made of a resin as enlarged and shown in FIGS. 1B and 1C.

상기 테이퍼 강모체(6)는 테이퍼 강모(5)의 횡단면의 중심측에 있어서 인접 일체화하고, 이 인접 일체화한 부분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수지제의 피복부(7)로 피복되어 있다.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adjacently integr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5, and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adjacently integrated portion are covered with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7, respectively.

테이퍼 강모체(6)의 선단측에는 선단이 좁아지는 형상의 테이퍼부(6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강모체(6)에 있어서 이 테이퍼부(6A)를 제외한 부분이 기체부(6B)이다. 기체부(6B)는 축방향의 임의의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되고, 예를 들면 횡단면의 면적에 있어서 0% 이상 15% 이하의 상위가 있어도 허용된다.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provided with a tapered portion 6A having a narrowed tip.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6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6A is the base portion 6B. The base portion 6B has the same arbitrary cross-sectional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used herei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of 0% or more and 15% or less in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t is allowed.

본 실시형테의 테이퍼 강모체(6)에 있어서의 기체부(6B)는, 예를 들면 기체부(6B)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5)의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6a)의 폭과 테이퍼 강모(5)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6b)의 폭을, 그것들 사이의 중간부(6c)의 폭보다 작게 형성한 횡단면 오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ase portion 6B of the tapered bristle body 6 of the present embodiment frame is, for example, of the inner edge portion 6a loc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5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portion 6B. It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oval shape in which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6b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5 ar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c therebetween.

또한, 본원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오벌형」이라는 것은 원형, 난형, 장원형, 타원형 등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대칭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val shape"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ircle, an oval shape, an ellipse shape, an ellipse, and the like,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t least one axis of symmetry.

또한, 여기에서 하는 「내측 가장자리부(6a)의 폭」이란 테이퍼 강모(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7)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을 그리고, 이 가상 원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의 중점과 테이퍼 강모(5)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긋고, 이 보조선에 대하여 테이퍼 강모(5)의 중심으로부터 50∼90㎛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직교하는 직선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간을 연결한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art 6a" here refers to a virtual circle form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art 7 which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and this virtual circle and the base part Draw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midpoint of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edge of (6B)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and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is auxiliary line at a position 50 to 90 μm away from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It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sections of the outer edge of the base part 6B.

「외측 가장자리부(6b)의 폭」이란 테이퍼 강모(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7)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그었을 때, 기체부(6B)의 이 보조선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즉, 기체부(6B)의 이 보조선에 대하여 테이퍼 강모(5)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와, 이 보조선에 대하여 평행한 임의의 직선의 교점을 연결한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The width of the outer edge part 6b" is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circle form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art 7 which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art 6B. When the auxiliary line is drawn, th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auxiliary line of the base 6B (that is, the side opposite to the central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5 with respect to this auxiliary line of the base 6B) It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dge of [part] and the intersection of an arbitrary straight line parallel to this auxiliary line.

「중간부(6c)에 있어서의 폭」이란 테이퍼 강모(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7)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을 그리고, 이 가상 원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의 중점과 테이퍼 강모(5)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긋고, 내측 가장자리부(6a)와 외측 가장자리부(6b) 사이의 중간부(6c)에 있어서 이 보조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임의의 직선을 그었을 때, 이 직선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간을 연결한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The "width in the middle part 6c" is a virtual circle form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art 7 which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and the virtual circle and the base part 6B are Draw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midpoint of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edge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and at the middle portion 6c between the inner edge 6a and the outer edge 6b are orthogonal to this auxiliary line. When an arbitrary straight line is drawn, it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section of the lin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6B.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 강모(5)는 4개의 기체부(6B)를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 강모체(6)가 테이퍼 강모(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집합되고, 이것들이 일체화해서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9)를 구성하고, 이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9)의 측면부를 피복부(7)로 부분적으로 피복함으로써 테이퍼 강모(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c에는 테이퍼 강모(5)의 일단측의 형상만이 그려져 있지만, 테이퍼 강모(5)의 타단측도 테이퍼부(6A)를 형성해서 도 1c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5)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테이퍼부(6A)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 강모(5)의 다발을 V자형으로 변형시켜서 평선에 의해 헤드부(2)에 식모하여 모다발(1)을 구성함으로써, 도 1a에 나타내는 구성의 모다발(1)을 복수 구비한 칫솔(A)을 구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for the tapered bristle 5, 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gather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5 as shown in FIG. 1C with four base parts 6B, and these are integrated. Thus,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9 is formed,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9 are partially covered with the covering portion 7 to form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9. 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shape of one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5 is drawn in FIG. 1C, the other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5 also forms the tapered part 6A, and is the same shape as FIG. 1C. Therefore, the tapered portion 6A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tapered bristle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undle of the tapered bristle 5 is deformed into a V-shape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d portion 2 is formed by a flat line. The toothbrush A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air bundles 1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A can be configured by forming the hair bundle 1 by transplanting the hair.

테이퍼 강모체(6)의 강모 지름(a)(도 1b의 a에 상당)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테이퍼 강모체(6)가 테이퍼 강모(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집합하고, 접합된 형상에 있어서의 중심위치로부터 1개의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부(6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즉, 테이퍼 강모(5)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7)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을 그리고, 이 가상 원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에 있어서의 중점과 테이퍼 강모(5)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그었을 때, 이 보조선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으로부터 테이퍼 강모(5)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라고 정의하면, 이 강모 지름(a)은 50㎛∼150㎛ 정도로 할 수 있고, 강모 지름(a)은 70㎛∼130㎛ 정도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6 (corresponding to a in Fig. 1B)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are aggregat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5,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sition in the joined shape to the tip end of the outer edge part 6b of one base part 6B (that is, the center and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in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s 5). Draw a virtual circle constitut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ortion 7 as the same, and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with the midpoint at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circl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ortion 6B. In this case, it means the distance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auxiliary lin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art 6B to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the bristles diameter (a) can be about 50 μm to 150 μm.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a bristle diameter (a) of about 70 μm to 130 μm.

또한, 테이퍼 강모체(6)의 선단측의 테이퍼부(6A)의 길이(즉, 테이퍼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거리)는0.5㎜∼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테이퍼 강모의 중심」이란 테이퍼 강모의 기체부의 횡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테이퍼 강모체의 외측 가장자리에 외접하고, 상기 테이퍼 강모의 기체부의 횡단면의 전부를 내포하며 또한 최소 반경이 되도록 가상 원을 그렸을 때의 상기 가상 원의 중심을 의미한다.Further,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6A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6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red portion) is preferably about 0.5 mm to 5.0 mm. In addition, the term ``center of tapered bristles'' here is circumscribed to the outer edge of at least one tapered bristle in the cross-section of the base of the tapered bristles, encompassing all of the cross-section of the base of the tapered bristles, and is virtual to have a minimum radius. It means the center of the virtual circle when a circle is drawn.

또한, 테이퍼 강모체(6)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5)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8)의 지름을 테이퍼 강모(5)의 강모 지름(b)(즉, b=2a)이라고 하면, 강모 지름(b)은 100㎛∼3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250㎛ 정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suppose that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8 connecting the outermost part of the tapered bristles 6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is the bristles diameter b of the tapered bristles 5 (that is, b=2a) , The bristle diameter (b)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0 µm to 300 µ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50 µm to 250 µm.

또한, 테이퍼부(6A)의 최선단부에는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폭은 10㎛∼1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테이퍼 강모(5)를 구성하기 위한 테이퍼 강모체(6)의 개수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4개에는 한정하지 않지만, 3개 내지 5개 정도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most end portion of the tapered portion 6A has a rounded shape, and the maximum width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ed shape to which the rounding is appli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 µm to 100 µm. The number of tapered bristle bodies 6 for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5 is not limited to fou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s preferably about three to five.

테이퍼 강모(5)로서의 강모 지름(b)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 강모체(6)의 개수가 많아지면 테이퍼 강모(5)를 그 만큼 가늘게 할 필요가 생겨서 모 탄력 강도가 약해지고, 치간의 간극 청소성이 저하된다. The bristle diameter (b) as the tapered bristles 5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mber of tapered bristle bodies 6 increases, the tapered bristles 5 need to be thinned by that amount, resulting in weakened hair elasticity, and interdental gaps. Cleanability decreases.

4개의 테이퍼 강모체(6)를 구성하는 4개의 기체부(6B)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2개의 기체부(6B)의 내측 가장자리부(6a)의 부분으로부터 중간부(6c)의 부분까지의 외측(즉, 측면)을 덮도록 피복부(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2개의 기체부(6B)의 내측 가장자리부(6a)로부터 중간부(6c)의 부분이 기체부(6B)끼리의 인접하는 측면부에 상당하고, 이 측면부를 덮도록 피복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피복부(7)의 외주면은 상기 테이퍼 강모(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원주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만곡면으로 되고,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피복부(7)의 외주면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원주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our base parts 6B constituting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the outer side from the part of the inner edge part 6a of the two adjacent base parts 6B to the part of the middle part 6c The covering portion 7 is formed to cover (that is, the side surface). That is, th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c from the inner edge portion 6a of the two adjacent base portions 6B corresponds to the adjacent side portions of the base portions 6B, and the covering portion 7 covers the side portions. ) Is formed. Furth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ing portion 7 is a curved surface so as to constitute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 5, and in the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our covering portions 7 ar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so as to constitute the same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1b.

테이퍼 강모체(6)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외측 가장자리부(6b)로 되고, 이 외측 가장자리부(6b)의 돌출 폭(W1)은 10∼100㎛ 정도로 형성되고, 상기 피복부(7)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6b)의 돌출 높이(H1)는 10∼80㎛ 정도로 형성된다.In the tapered bristle body 6,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7 becomes an outer edge portion 6b, and the protruding width W1 of the outer edge portion 6b is formed to be about 10 to 100 μm. Then, the protruding height H1 of the outer edge portion 6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7 is formed to be about 10 to 80 μm.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돌출 폭」이란 테이퍼 강모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과 기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그었을 때, 기체부의 이 보조선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즉, 기체부의 이 보조선에 대하여 테이퍼 강모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와, 이 보조선에 대하여 평행한 임의의 직선의 교점을 연결한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term ``protrusion widt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when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base part and the virtual circle constitut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art which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is drawn. The outer edge of the part located outside of this auxiliary line of the negative (that is, the part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central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with respect to this auxiliary line of the base), and any arbitrary parallel to this auxiliary line. It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connecting the intersections of straight line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란 테이퍼 강모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을 그리고, 이 가상 원과 기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에 있어서의 중점과 테이퍼 강모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그었을 때, 이 보조선과 기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과 테이퍼 강모의 중심을 연결한 거리로부터, 테이퍼 강모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피복부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의 외주까지의 거리를 뺀 길이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term ``protrusion height'' refers to a virtual circle constitut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or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s, and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circl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ortion When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is drawn,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section of the auxiliary lin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art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art is constructed from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It means the length minus the distanc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rtual circle.

또한, 돌출 폭(W1)은 테이퍼 강모체(6)의 강모 지름(a)을 50∼150㎛ 정도로 하기 때문에 테이퍼 강모체(6)의 강모 지름(a)의 5∼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width (W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50% of 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6 because 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about 50 to 150 μm. Do.

또한, 돌출 높이(H1)는 테이퍼 강모체(6)의 강모 지름(a)의 1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height H1 is in the range of 10 to 80% of 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6.

상기 테이퍼 강모체(6)와 피복부(7)를 구성하는 수지는 가공성의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TT(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N(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612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가공이 용이한 것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2종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제조 설비의 투자 비용, 메인터넌스성, 외관품질의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모두 단재질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퍼 강모체(6)와 피복부(7)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각각 모노필라멘트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다층 구조로 된 멀티필라멘트로 구성해도 좋다.The resin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body 6 and the covering portion 7 is preferably a polyester-based resin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Further, polyesters such a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T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BN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amides such as 612 nylon and 610 nylon; And resins such as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and among them, polyester is preferable because processing is easy. These resins can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types, but from the viewpoints of investment cost of manufacturing equipment, maintainability, and stability of appearance qua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ll monofilaments made of a single material. The resin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body 6 and the covering portion 7 is not limited to a monofilament, and may be composed of a multifilament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또한, 이들 테이퍼 강모체(6)에 테이퍼부(6A)를 형성할 경우, 용해액에 침지하고나서 끌어 올려서 테이퍼 가공해도 좋고, 이 경우의 용해액으로서는 수산화나트륨이나 가수분해 용액을 사용하므로, 이들 용해액에 대하여 용해도가 다른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ming the tapered portion 6A on these tapered bristle bodies 6, it may be immersed in a solution and then pulled up and tapered. As the solution in this case, sodium hydroxide or a hydrolysis solution is used.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resin having a different solubility for the solut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합의 예로서, 테이퍼 강모체(6)를 (PBT)로 형성했을 경우, 피복부(7)를 (PET)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조합의 예로서 테이퍼 강모체(6)를 (PBN)으로 형성했을 경우, 피복부(7)를 (PBT)로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combin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formed of (PBT), the covering portion 7 can be formed of (PET). Further, as an example of another combination, when 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formed of (PBN), the covering portion 7 can be formed of (PBT).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5)를 구비한 칫솔(A)이면, 테이퍼부(6A)를 구비한 테이퍼 강모체(6)를 4개 구비한 구성의 테이퍼 강모(5)를 다수 구비하기 때문에, 테이퍼 강모체(6)의 치주 포켓에 대한 진입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치주 포켓의 칫솔질성이 뛰어나 청소 실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 강모체(6)를 4개 합쳐서 피복부(7)로 피복하여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4개의 테이퍼 강모체(6)를 합친 테이퍼 강모(5)로 해서 1개 1개의 테이퍼 강모체(6)를 독립적으로 식모한 테이퍼 강모체를 구비한 구조보다 모 탄력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치간이나 치아싹(tooth bud)의 칫솔질 실감이 뛰어나다.In the case of a toothbrush (A) provided with a tapered bristle 5 shown in FIGS. 1A to 1C, a number of tapered bristle 5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with a tapered portion 6A are provided. For this reason, the tapered bristle body 6 has excellent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toothbrushing property of a periodontal pocket is excellent, and the cleaning feeling is excell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are joined together and covered with the covering part 7 and integrated,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are combined into tapered bristle 5, and one by on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hair elasticity than a structure having a tapered bristle body in which 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independently planted, and the brushing feeling of the interdental or tooth bud is excellent.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5)를 구비한 칫솔(A)을 사용할 경우, 4개의 테이퍼부(6A) 사이의 공간이며, 4개의 피복부(7)의 선단 전방 공간의 부분에 치약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약을 테이퍼 강모(5)의 선단측에 유지하면서 확실하게 치주 포켓의 안쪽 깊숙한 부분에 치약의 유효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toothbrush (A) with tapered bristles 5 shown in FIGS. 1A to 1C, it is a space between the four tapered portions 6A, and toothpaste is placed in a portion of the space in front of the tips of the four covering portions 7 Can keep.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ective ingredient of the toothpaste can be reliably supplied to the deeper portion of the periodontal pocket while holding the toothpaste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5.

또한, 도 1b∼도 1c, 도 2a∼도 2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5)를 식모할 경우, 4개의 테이퍼 강모체(6)의 측면의 일부를 피복부(7)로 덮어서 구속하고 있으므로, 평선을 이용하여 테이퍼 강모체(6)를 절곡함으로써 테이퍼 강모체(6)를 식모할 때에 4개의 테이퍼 강모체(6)가 개별적으로 갈라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식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tapered bristles 5 shown in FIGS. 1B to 1C and 2A to 2B are planted, a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are covered with a covering portion 7 to be constrained. By bending the tapered bristle body 6 by using, there is an effect that when 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transplanted,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can be planted while suppressing individual splitting.

또한, 칫솔(A)의 사용 중, 피복부(7)로 테이퍼 강모체(6)의 주위를 구속해서 덮은 구조로 하는 것보다, 이닦기 중에 테이퍼 강모(5)가 갈라질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ar of cracking of the tapered bristles 5 during tooth brushing can be suppressed rather tha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tapered bristle body 6 is restrained and covered with the covering portion 7 during use of the toothbrush A.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도 1b, 도 1c에 나타내는 구성의 테이퍼 강모(5)는, 일례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tapered bristles 5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B and 1C can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우선, 테이퍼 강모체(6)를 구성하기 위해서 (PBT) 수지와 (PET) 수지를 이용하여 이형의 2재질 방사를 함으로써 도 2a에 나타내는 횡단면 형상의 강모 피복체(10)를 방사한다. 이 방사체로부터 컷 길이 25∼35㎜ 정도의 컷 피스로 해서 필요 길이의 강모 피복체(10)를 얻는다. 이 강모 피복체(1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오벌형의 4개의 강모 소재(11)를 강모 피복체(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집합하도록 인접시켜서 일체 성형한 소재 강모부(12)와, 이 소재 강모부(12)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소재 강모부(12)의 측면에 일체 성형된 (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4개의 피복 부재(13)로 구성된다.First, in order to constitute the tapered bristle body 6,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ristle covering body 10 shown in Fig. 2A is spun by performing two-material spinning of a release type using (PBT) resin and (PET) resin. From this radiator, a cut piece having a cut length of about 25 to 35 mm is used to obtain a bristle covering 10 having a required length. This bristle coat 10 is a material bristle formed by making four bristle materials 11 of cross-section oval-shaped made of (PBT) resin in the present embodiment adjoining so as to gather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bristle coat 10 It is composed of a portion 12 and four covering members 13 made of (PET) resin integrally mol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bristle portion 12 so as to partiall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bristle portion 12.

이어서, 강모 피복체(10)의 선단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산이나 알칼리 용액 등의 용해액을 준비하고, 강모 피복체(10)의 일단부를 필요 시간 용해액에 침지하여 끌어올림, 중화, 수세 처리 등을 거치는 용해액 처리를 행한다. Next, a solution such as an acid or alkali solution is prepared in order to form a tapered portion at the tip of the bristle cover 10, and the one end of the bristle cover 10 is immersed in the solution for a required time to raise, neutralize, and wash with water. The solution treatment is performed through treatment or the like.

용해액 처리의 일례로서, 소재 강모부(12)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경우, 용해액으로서 가열 알칼리 또는 가열 산, 바람직하게는 40∼50중량%의 NaOH 수용액을 사용한 액온 120∼140℃의 용해층에 강모 피복체(10)의 일단부를 침지하고나서 끌어올리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olution treatment, when a polyester resin is used as the resin constituting the bristle part 12, a solution temperature of 120 to 120 using a heating alkali or a heating acid, preferably 40 to 50% by weight of NaOH aqueous solution as the solution After immersing one end of the bristle covering 10 in the 140°C melting layer, a treatment for pulling up can be performed.

용해액은 사용하는 수지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용액 이외에 수산화칼륨 용액 등의 알칼리 용액, 황산욕 등의 산성 용액, 유기용매 등을 들 수 있다.The solution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resin to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lkali solutions such as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in addition to sodium hydroxide solution, acidic solutions such as sulfuric acid bath, and organic solvents.

그 후, 중화, 수세, 건조 공정을 거침으로써 테이퍼 가공한 강모 컷 피스로 할 수 있다. After that, it can be set as a tapered bristle cut piece by going through neutralization, water washing, and drying processes.

상술의 조건보다 용해액의 용액 농도 또는 가열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가열 효율이 저하하고, 상술의 조건보다 용해액의 용액 농도 또는 가열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첨예 가공 형상의 제어가 어렵게 된다.When the solution concentration or heating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s low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the heat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when the solution concentration or heating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s too high than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harp processing shape.

예를 들면, 상술의 NaOH 용액으로 도 2a에 나타내는 구조의 강모 피복체(10)를 용해액 처리하면, (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강모 소재(11)의 용해성보다 (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13)의 용해성 쪽이 높기 때문에 강모 소재(11)의 선단에 테이퍼부(6A)를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퍼부(6A)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피복 부재(13)를 용해해서 제거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도 2b에 나타내는 형상의 테이퍼 강모(5)를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ristles coating body 1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A is treated with a solution of the above-described NaOH solution, the solubility of the bristle material 11 made of (PBT) resin is higher than the solubility of the (PET) resin coating member ( Since the solubility of 13) is higher, the tapered portion 6A can be formed at the tip of the bristle material 11, and the covering member 13 existing between the tapered portions 6A can be dissolved and removed. In this way, the tapered bristles 5 of the shape shown in Fig. 2B can be obtain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모 피복체(10)의 일단부를 용해액에 침지함으로써 테이퍼부(6A)의 가공과 피복부(7)의 가공을 동시에 행하면서, 도 2b에 나타내는 형상의 테이퍼 강모(5)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테이퍼부(6A)를 구성하는 수지의 용해액에 대한 용해성보다 피복부(7)를 구성하는 수지의 용해액에 대한 용해성 쪽이 높기 때문이며, 테이퍼 강모체(6)를 구성하는 재료와 피복부(7)를 구성하는 재료의 재료 선택과 용해액의 조합에 의해, 도 2b에 나타내는 구조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apered bristles 5 of the shape shown in Fig. 2B are simultaneously processed by processing the tapered portion 6A and the processing of the covering portion 7 by immersing one end of the bristle coating body 10 in a solution. Can be obtained. This is because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portion 7 in the dissolved solution is higher than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tapered portion 6A in the dissolved solution, and the material and the covering portion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body 6 (7)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shown in Fig. 2B can be easily and reliably manufactur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aterial selection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7) and the solution.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3a∼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1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테이퍼 강모(15)의 선단 부분의 평면도, 도 3b는 테이퍼 강모(15)의 사시도이다.3A to 3B are views showing the tapered bristles 1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of the tip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s 15,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pered bristles 15.

도 3a∼도 3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15)는, 앞의 제 1 실시형태인 테이퍼 강모(5)와 마찬가지로 경질 수지제의 헤드부에 식모되어서 칫솔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he tapered bristles 15 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A to 3B are planted in the hard resin head portion, similarly to the tapered bristles 5 in the first embodiment, to constitute a toothbrush. Used.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15)는, 도 3b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의 4개의 테이퍼 강모체(16)를 테이퍼 강모(15)의 횡단면 중심측에 있어서 일체화해서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19)를 구성하고, 이 일체화한 부분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수지제의 피복부(17)로 덮여져 있다. 테이퍼 강모체(16)의 선단측에는 선단이 좁아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강모체(16)에 있어서 이 테이퍼부(16A)를 제외한 부분이 기체부(16B)이다. 기체부(16B)는 축방향의 임의의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되고, 예를 들면 횡단면의 면적에 있어서 0% 이상 15% 이하의 상위가 있어도 허용된다.In the tapered bristle 15 of this embodiment, as enlarged and shown in FIG. 3B, four tapered bristle bodies 16 made of resin are integrated at the center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15, and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art ( 19) is constituted, and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integrated portion are covered with resin-made covering portions 17, respectively. The tapered bristle body 16 is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16A having a narrowed tip.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16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16A is the base portion 16B. The base portion 16B has the same arbitrary cross-sectional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used herei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of 0% or more and 15% or less in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t is allowed.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체(16)에 있어서의 기체부(16B)는, 예를 들면 기체부(16B)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15)의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6a)의 폭보다 중간부(16c)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16b)의 폭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한 횡단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ase portion 16B of the tapered bristle body 1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example, of the inner edge portion 16a loc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15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portion 16B. It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polygonal shape so that the width of the middle portion 16c and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16b gradually increase sequentially rather than the width.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다각형상으로서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4개의 기체부(16B)가 테이퍼 강모(15)의 횡단면의 중심부측에서 일체화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ross-sectional polygonal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base portions 16B having a quadrangular cross-section are disposed so as to be integrated at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cross-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s 15.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6a)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16b)의 폭」, 「중간부(16c)의 폭」이라는 것은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6a)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6b)의 폭」, 「중간부(6c)의 폭」과 같은 의미이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art 16a",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art 16b", and "the width of the middle part 16c" referred to herein refer to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art 6a", It has the same meaning as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art 6b" and "the width of the middle part 6c".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 강모(15)는 4개의 기체부(16B)를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 강모체(16)가 테이퍼 강모(1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집합해서 일체화하고, 이것들의 측면을 피복부(17)로 부분적으로 덮어서 테이퍼 강모(15)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부(17)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16b)의 돌출 폭은 W2이며, 또한 돌출 높이는 H2로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for the tapered bristle 15, the tapered bristle body 16 is gathered and integrat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15, as shown in FIG. 3A with four base parts 16B. Tapered bristles 15 are formed by partially covering the side of the with a covering portion 17. 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16b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ing portion 17 is W2, and the protruding height is H2.

또한, 도 3b에는 테이퍼 강모(15)의 일단측만 그려져 있지만, 테이퍼 강모(15)의 타단측도 테이퍼부(16A)를 형성해서 도 3b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15)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테이퍼부(16A)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 강모(15)의 다발을 V자형으로 변형시켜서 평선에 의해 칫솔의 헤드부에 식모함으로써 칫솔이 구성된다.In Fig. 3B, only one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15 is drawn, but the other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15 is also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16A to have the same shape as in Fig. 3B. Therefore, the tapered portions 16A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tapered bristle 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undle of the tapered bristle 15 is deformed into a V-shape, and the toothbrush is planted on the head of the toothbrush by a flat line. Is composed.

테이퍼 강모체(16)의 강모 지름(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테이퍼 강모체(6)가 테이퍼 강모(1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집합하고, 접합된 형상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로부터 1개의 기체부(16B)의 외측 가장자리부(16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즉, 테이퍼 강모(15)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1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17)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을 그리고, 이 가상 원과 기체부(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에 있어서의 중점과 테이퍼 강모(15)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그었을 때, 이 보조선과 기체부(1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으로부터 테이퍼 강모(5)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라고 정의하면, 이 강모 지름(a)은 50㎛∼150㎛ 정도로 할 수 있고, 강모 지름(a)은 70㎛∼130㎛ 정도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 강모체(16)의 선단측의 테이퍼부(16A)의 길이(즉, 테이퍼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는 0.5㎜∼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16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central position in the shape in which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are gather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15 and joined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edge portion 16b of one base portion 16B (that i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15, the center of the covering portion 17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 15). When a virtual circle constituted by the outer periphery is drawn, and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15 and the midpoint at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circl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ortion 6B is drawn, this auxiliary line and the base portion It means the distance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edge of (16B) to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5], the bristles diameter (a) can be about 50 μm to 150 μm, and the bristles diameter (a) is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a range of about 70 μm to 130 μm.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16A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16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red portion) is preferably about 0.5 mm to 5.0 mm.

또한, 4개의 테이퍼 강모체(16)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15)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18)의 지름을 테이퍼 강모(15)의 강모 지름(b)이라 하면, 강모 지름(b)은 100㎛∼3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250㎛ 정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18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15 with the outermost portions of the four tapered bristles 16 is the bristles diameter b of the tapered bristles 15, the bristles diameter b )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0 µm to 300 µ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50 to 250 µm.

또한, 테이퍼부(16A)의 최선단부에는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폭은 10㎛∼1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Further, the uppermost end of the tapered portion 16A has a round shape with rounding, and the maximum width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 shape with the rounding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 µm to 100 µm.

도 3a∼도 3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15)에 있어서도 앞의 제 1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5)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모이기 때문에 치주 포켓에 테이퍼부(16A)를 삽입하기 쉽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15)는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뛰어나고, 치주 포켓 내의 칫솔질성이 뛰어나 청소 실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테이퍼 강모체(16)를 일체화해서 테이퍼 강모(15)를 구성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모 탄력 강도가 높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테이퍼부(16A) 사이의 공간부에 치약을 유지할 수 있고, 앞의 테이퍼 강모(5)와 마찬가지로 치주 포켓의 안쪽부에 치약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 및 식모나 사용시에 테이퍼 강모(15)가 갈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15 shown in Figs. 3A to 3B, similarly to the tapered bristle 5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y are tapered bristle, it is easy to insert the tapered portion 16A into the periodontal pocket. Therefore, the tapered bristle 15 has excellent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excellent brushing property in the periodontal pocket, and excellent cleaning feeling.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16 are integrated to form the tapered bristle 15, the effect of having high hair elasticity strength can be obtain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oothpaste can be held in the space between the four tapered portions 16A, and the toothpaste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eriodontal pocket as in the previous tapered bristles 5, and when hair transplantation or use There is also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cracking of the tapered bristles (15).

또한, 도 3a∼도 3b에 나타내는 구조의 테이퍼 강모(15)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앞의 도 2a∼도 2b를 바탕으로 설명한 제조방법과 동등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apered bristles 15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S. 3A to 3B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equivalent to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ased on FIGS. 2A to 2B.

또한, 테이퍼 강모(15)를 구성하기 위한 테이퍼 강모체(16)의 개수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고, 예를 들면 2∼10개라도 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apered bristle bodies 16 for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15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it h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2 to 10, for example.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4a∼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2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테이퍼 강모(25)의 선단 부분의 평면도, 도 4b는 테이퍼 강모(25)의 사시도이다.4A to 4B are views showing the tapered bristles 25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lan view of the tip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s 25,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pered bristles 25. .

도 4a∼도 4b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25)는 앞의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의 테이퍼 강모와 마찬가지로 경질 수지제의 헤드부에 식모되어서 칫솔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he tapered bristles 25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4A to 4B are used to form a toothbrush by being planted on a hard resin head, similar to the tapered bristl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25)는, 도 4a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의 3개의 테이퍼 강모체(26)를 테이퍼 강모(25)의 횡단면의 중심측에 있어서 일체화해서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29)를 구성하고, 이 일체화한 부분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수지제의 피복부(27)로 덮여져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25 of this embodiment, as enlarged and shown in FIG. 4A, three tapered bristle bodies 26 made of resin are integrated at the center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25, and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art (29) is constituted, and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integrated portion are covered with resin-made covering portions 27, respectively.

테이퍼 강모체(26)의 선단측에는 선단이 좁아지는 형상의 테이퍼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강모체(26)에 있어서 이 테이퍼부(26A)를 제외한 부분이 기체부(26B)이다. 기체부(26B)는 축방향의 임의의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The tapered bristle body 26 is provided with a tapered portion 26A having a narrowed tip.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26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26A is the base portion 26B. The base portion 26B has the same arbitrary cross-sectional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되고, 예를 들면 횡단면의 면적에 있어서 0% 이상 15% 이하의 상위가 있어도 허용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used herei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of 0% or more and 15% or less in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t is allowed.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체(26)에 있어서의 기체부(26B)는, 예를 들면 기체부(26B)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25)의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26a)의 폭보다 중간부(26c)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26b)의 폭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한 횡단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단면 다각형상으로서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3개의 기체부(26B)가 테이퍼 강모(25)의 횡단면의 중심부측에서 일체화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base portion 26B of the tapered bristle body 2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example, of the inner edge portion 26a loc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25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portion 26B. It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polygonal shape so that the wid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6c and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26b are sequentially increased rather than the width. In addition, in the cross-sectional polygonal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base portions 26B having a quadrangular cross-section are disposed so as to be integrated at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cross-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s 25.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가장자리부(26a)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26b)의 폭」, 「중간부(26c)의 폭」이란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6a)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6b)의 폭」, 「중간부(6c)의 폭」과 같은 의미이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ortion 26a",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26b", and "the width of the middle portion 26c"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ortion 6a" "",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art 6b", and "the width of the middle part 6c" have the same meaning.

이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체(26)에 있어서는, 테이퍼 강모(25)는 3개의 기체부(26b)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 강모체(26)가 테이퍼 강모(2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집합해서 일체화하고, 이것들의 측면을 피복부(27)로 부분적으로 덮어서 테이퍼 강모(25)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tapered bristle body 26 of this embodiment, the tapered bristle 25 has three base parts 26b, and as shown in FIG. 4A, the tapered bristle body 26 centers on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25. As a result, they are assembled and integrated, and the side surfaces of these are partially covered with the covering portion 27 to form tapered bristles 25.

피복부(27)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26b)의 돌출 폭은 W2이며, 또한 돌출 높이는 H2로 되어 있다.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26b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ing portion 27 is W2, and the protruding height is H2.

또한, 도 4a에는 테이퍼 강모(25)의 일단측만 그려져 있지만, 테이퍼 강모(25)의 타단측도 테이퍼부(26A) 등을 형성해서 도 4b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25)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테이퍼부(26A)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 강모(25)의 다발을 V자형으로 변형시켜서 평선에 의해 칫솔의 헤드부에 식모함으로써 칫솔이 구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25 is drawn in FIG. 4A, the other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25 also forms a tapered part 26A, etc., and has the same shape as FIG. 4B. Therefore, the tapered portions 26A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tapered bristle 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undle of the tapered bristle 25 is deformed into a V-shape, and the toothbrush is planted on the head of the toothbrush by a flat line. Is composed.

도 4a∼도 4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25)의 구조는, 도 3a∼도 3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15)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기체부(16B)로 이루어지는 테이퍼 강모체(16) 대신에 3개의 기체부(26B)로 구성한 예이다.The structure of the tapered bristle 25 shown in Figs. 4A to 4B is 3 instead of the tapered bristle body 16 composed of four base portions 16B provided on the tapered bristle 15 shown in Figs. 3A to 3B. This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wo base portions 26B.

테이퍼 강모체(26)의 강모 지름(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3개의 테이퍼 강모체(26)가 테이퍼 강모(2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집합하고, 접합된 형상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로부터 1개의 기체부(26B)의 외측 가장자리부(26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즉, 테이퍼 강모(25)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2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27)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을 그리고, 이 가상 원과 기체부(2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에 있어서의 중점과 테이퍼 강모(25)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그었을 때, 이 보조선과 기체부(2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으로부터 테이퍼 강모(25)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라고 정의하면, 이 강모 지름(a)은 50㎛∼150㎛ 정도로 할 수 있고, 강모 지름(a)은 70㎛∼130㎛ 정도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 강모체(26)의 선단측의 테이퍼부(26A)의 길이(즉, 테이퍼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는 0.5㎜∼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26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central position in the shape in which the three tapered bristle bodies 26 are gather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25 and jo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edge portion 26b of one base portion 26B (that i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25, the center of the covering portion 27 is equal to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 25). When a virtual circle constituted by the outer periphery is drawn, and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25 and the midpoint at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circl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ortion 26B is drawn, this auxiliary line and the base portion It means the distance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edge of (26B) to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25], the bristles diameter (a) can be about 50 μm to 150 μm, and the bristles diameter (a) is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a range of about 70 μm to 130 μm. Further,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26A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26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red portion) is preferably about 0.5 mm to 5.0 mm.

또한, 3개의 테이퍼 강모체(26)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25)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28)의 지름을 테이퍼 강모(25)의 강모 지름(b)이라 하면, 강모 지름(b)은 100㎛∼3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250㎛ 정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부(26A)의 최선단은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폭은 10㎛∼1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28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25 with the outermost portions of the three tapered bristles 26 is the bristles diameter b of the tapered bristles 25, the bristles diameter b )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0 µm to 300 µ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50 to 250 µm. Further, the uppermost end of the tapered portion 26A has a round shape to which rounding is applied, and the maximum width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 shape to which rounding is appli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 μm to 100 μm.

도 4a∼도 4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25)에 있어서도 앞의 제 1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5)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모이기 때문에 치주 포켓에 테이퍼부(26A)를 삽입하기 쉽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25)는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뛰어나고, 치주 포켓 내의 칫솔질성이 뛰어나 청소 실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퍼 강모(25)를 3개의 테이퍼 강모체(26)로 일체화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모 탄력 강도가 높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테이퍼부(26A)의 사이에 치약을 유지할 수 있고, 앞의 테이퍼 강모(5)와 마찬가지로 치주 포켓의 안쪽부에 치약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 및 식모시에 테이퍼 강모가 갈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25 shown in Figs. 4A to 4B, similarly to the tapered bristle 5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y are tapered bristle, it is easy to insert the tapered portion 26A into the periodontal pocket. Therefore, the tapered bristle 25 has excellent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and excellent brushing property in the periodontal pocket, and excellent cleaning feeling.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apered bristle 25 is integrated into the three tapered bristle bodies 26, the effect of high hair elasticity strength can be obtained like the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oothpaste can be held between the three tapered portions 26A, the toothpaste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eriodontal pocket like the previous tapered bristle 5, and the tapered bristle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suppress cracking.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도 5a∼도 5b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3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는 테이퍼 강모(35)의 선단 부분의 평면도, 도 5b은 테이퍼 강모(35)의 사시도이다.5A-5B are views showing the tapered bristles 35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lan view of the tip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s 35,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pered bristles 35. .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35)는 앞의 실시형태 1∼3의 테이퍼 강모와 마찬가지로 경질 수지제의 헤드부에 식모되어서 칫솔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he tapered bristles 35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s. 5A to 5B are planted in the hard resin head portion and used to constitute a toothbrush, similar to the tapered bristles of the previous embodiments 1 to 3.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35)의 구조는 도 1b∼도 1c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5)에 설치되어 있던 4개의 테이퍼 강모체(6) 대신에 3개의 테이퍼 강모체(36)를 설치한 예이다.The structure of the tapered bristle 35 shown in Figs. 5A to 5B is three tapered steels instead of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6 provided in the tapered bristle 5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B to 1C.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mother body 36 is installed.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35)는, 도 5b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의 3개의 테이퍼 강모체(36)를 테이퍼 강모(35)의 횡단면의 중심부측에 있어서 일체화해서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39)를 구성하고, 이 일체화한 부분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수지제의 피복부(37)로 덮여져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35 of this embodiment, as enlarged and shown in FIG. 5B, three tapered bristle bodies 36 made of resin are integr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35, and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art (39) is constituted, and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integrated portion are covered with resin-made covering portions 37, respectively.

테이퍼 강모체(36)의 선단측에는 선단이 좁아지는 형상의 테이퍼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강모체(36)에 있어서 이 테이퍼부(36A)를 제외한 부분이 기체부(36B)이다. 기체부(36B)는 축방향의 임의의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The tapered bristle body 36 is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36A having a narrowed tip.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36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36A is the base portion 36B. The base portion 36B has the same arbitrary cross-sectional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되고, 예를 들면 횡단면의 면적에 있어서 0% 이상 15% 이하의 상위가 있어도 허용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referred to herei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of 0% or more and 15% or less in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t is allowed.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체(36)에 있어서의 기체부(36B)는, 예를 들면 기체부(36B)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35)의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36a)의 폭과 외측 가장자리부(36b)의 폭보다 중간부(36c)의 폭 쪽이 커지도록 형성한 횡단면 오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ase portion 36B of the tapered bristle body 3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example, of the inner edge portion 36a loc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35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portion 36B. It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oval shape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36c is larger than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36b.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가장자리부(36a)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36b)의 폭」, 「중간부(36c)의 폭」이란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6a)의 폭」, 「외측 가장자리부(6b)의 폭」, 「중간부(6c)의 폭」과 같은 의미이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art 36a",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art 36b", and "the width of the middle part 36c" in this embodiment means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art 6a" "", "the width of the outer edge part 6b", and "the width of the middle part 6c" have the same meaning.

이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체(36)에 있어서는, 테이퍼 강모(35)는 3개의 외측 가장자리부(36b)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 강모체(36)가 테이퍼 강모(3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집합해서 일체화하고, 이것들의 측면을 피복부(37)로 부분적으로 덮어서 테이퍼 강모(35)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부(37)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36b)의 돌출 폭은 W1이며, 또한 돌출 높이는 H1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는 테이퍼 강모(35)의 일단측만 그려져 있지만, 테이퍼 강모(35)의 타단측도 테이퍼부(36A)를 형성해서 도 5b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35)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테이퍼부(36A)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 강모(35)의 다발을 V자형으로 변형시켜서 평선에 의해 칫솔의 헤드부에 식모함으로써 칫솔이 구성된다.In the tapered bristle body 36 of this embodiment, the tapered bristle body 36 is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35 as shown in FIG. 5A with three outer edge parts 36b of the tapered bristle 35 As a result, they are assembled and integrated, and their side surfaces are partially covered with the covering portion 37 to form tapered bristles 35. 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36b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ing portion 37 is W1, and the protruding height is H1. 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35 is drawn in FIG. 5B, the other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35 also forms the taper part 36A, and has the same shape as FIG. 5B. Therefore, the tapered portion 36A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tapered bristle 3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undle of the tapered bristle 35 is deformed into a V-shape, and the toothbrush is planted on the head of the toothbrush by a flat line. Is composed.

테이퍼 강모체(36)의 강모 지름(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3개의 테이퍼 강모체(36)가 테이퍼 강모(3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집합하고, 접합된 형상의 중심 위치로부터 1개의 기체부(36B)의 외측 가장자리부(36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즉, 테이퍼 강모(35)의 횡단면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35)의 중심과 중심을 같이 하는 피복부(37)의 외주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원을 그리고, 이 가상 원과 기체부(3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에 있어서의 중점과 테이퍼 강모(35)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조선을 그었을 때, 이 보조선과 기체부(36B)의 외측 가장자리의 교점으로부터 테이퍼 강모(35)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라고 정의하면, 이 강모 지름(a)은 50㎛∼150㎛ 정도로 할 수 있고, 강모 지름(a)은 70㎛∼130㎛ 정도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 강모체(36)의 선단측의 테이퍼부(36A)의 길이(즉, 테이퍼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거리)는 0.5㎜∼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36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ree tapered bristle bodies 36 gather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35, and is 1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joined shape. The distance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edge portion 36b of the base portion 36B of the dog (that i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35,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portion 37 which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 35 When a virtual circle constituted by the virtual circle is drawn, and an auxili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35 and the midpoint at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circle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ortion 36B is drawn, this auxiliary line and the base portion 36B ) Means the distance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outer edge to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35], the bristles diameter (a) can be about 50 μm to 150 μm, and the bristles diameter (a) is 70 μm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a range of about -130 μm. Further,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36A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36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red portion) is preferably about 0.5 mm to 5.0 mm.

또한, 3개의 테이퍼 강모체(36)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35)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38)의 지름을 테이퍼 강모(35)의 강모 지름(b)이라 하면, 강모 지름(b)은 100㎛∼3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250㎛ 정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38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35 with the outermost portions of the three tapered bristles 36 is the bristles diameter b of the tapered bristles 35, the bristles diameter b )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0 µm to 300 µ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50 to 250 µm.

또한, 테이퍼부(36A)의 최선단은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폭은 10㎛∼1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most end of the tapered portion 36A has a round shape to which rounding is applied, and the maximum width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 shape to which rounding is appli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 μm to 100 μm.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35)에 있어서도 앞의 제 1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5)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모이기 때문에 치주 포켓에 테이퍼부(36A)를 삽입하기 쉽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뛰어나고, 치주 포켓 내의 칫솔질성이 뛰어나 청소 실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퍼 강모(35)를 3개의 테이퍼 강모체(36)로 일체화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모 탄력 강도가 높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테이퍼부(36A)의 사이에 치약을 유지할 수 있고,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치주 포켓의 안쪽부에 치약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 및 식모시에 테이퍼 강모가 갈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35 shown in Figs. 5A to 5B, similarly to the tapered bristle 5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y are tapered bristle, it is easy to insert the tapered portion 36A into the periodontal pocke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is excellent, and the toothbrushing property in the periodontal pocket is excellent, and the cleaning feeling is excell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apered bristle 35 is integrated into the three tapered bristle bodies 36, the effect of high hair elasticity strength can be obtained like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oothpaste can be held between the three taper portions 36A, an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oothpaste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eriodontal pocket, and the taper bristles are prevented from splitting during transplantation. There is also a suppressive effect.

<제 5 실시형태><Fifth Embodiment>

도 6a∼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4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테이퍼 강모(45)의 선단 부분의 평면도, 도 6b는 테이퍼 강모(45)의 사시도이다.6A to 6B are views showing the tapered bristles 45 of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plan view of the tip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s 45,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pered bristles 45. .

도 6a∼도 6b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45)는 앞의 실시형태 1∼4의 테이퍼 강모와 마찬가지로 경질 수지제의 헤드부에 식모되어서 칫솔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he tapered bristles 45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s. 6A to 6B are planted on the hard resin head portion, similarly to the tapered bristles of the previous embodiments 1 to 4, and are used to constitute a toothbrush.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45)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 강모체(46)는 테이퍼 강모(45)의 횡단면의 중심측에 있어서 인접 일체화하고, 이 인접 일체화한 부분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수지제의 피복부(47)로 덮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부(47)는 강모 형상의 피복부이다.In the tapered bristle 45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tapered bristle body 46 is adjacently integr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45, and the adjacently integrated portion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are covered with resin-made covering portions 47,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vering portion 47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강모 형상의 피복부」란 테이퍼 강모를 일부 노출하도록 노출부를 제외하고 강모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bristle-shaped covering part" as used herein means a part covered with bristle or the like except for the exposed part so as to partially expose the tapered bristles.

테이퍼 강모체(46)의 선단측에는 선단이 좁아지는 형상의 테이퍼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강모체(46)에 있어서 이 테이퍼부(46A)를 제외한 부분이 기체부(46B)이다. 기체부(46B)는 축 방향의 임의의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The tapered bristle body 46 is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46A having a narrowed tip.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46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46A is the base portion 46B. The base portion 46B has the same arbitrary cross-sectional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되고, 예를 들면 횡단면의 면적에 있어서 0% 이상 15% 이하의 상위가 있어도 허용된다. 기체부(46B)는 횡단면 삼각형상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삼각형상」이란 동일 직선 상에 없는 3점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3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을 의미하고, 상기 3점을 삼각형의 정점으로 하고, 정점부는 둥금을 갖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used herei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of 0% or more and 15% or less in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t is allowed. The base portion 46B is triangular in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term "triangular shape" as used herein means a polygon consisting of three points that are not on the same straight line and three line segments connecting them, and the three points are triangular vertices, and the vertex may have a round shape. .

기체부(46B)에서는 그 삼각형에 있어서의 저변측의 부분을 내측 가장자리부(46a)로 해서, 내측 가장자리부(46a)는 테이퍼 강모(45)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심부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삼각형에 있어서의 저변측과는 반대에 위치하는 정점측의 부분을 외측 가장자리부(46b)로 해서, 외측 가장자리부(46b)는 테이퍼 강모(45)의 횡단면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부(46B)는 외측 가장자리부(46b)가 피복부(47)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피복부(47)에 매설되어 있다.In the base portion 46B, the portion on the bottom side of the triangle is an inner edge portion 46a, and the inner edge portion 46a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s 45, The portion on the apex side opposite to the bottom side of the triangle is used as the outer edge portion 46b, and the outer edge portion 46b is disposed in the outer direct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s 45. Further, the base portion 46B is buried in the covering portion 47 with the outer edge portion 46b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ing portion 47.

피복부(47)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46b)의 돌출 폭은 W3이며, 또한 돌출 높이은 H3이다.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46b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ing portion 47 is W3, and the protruding height is H3.

도 6a의 예에서는 원형 단면의 강모 형상의 피복부(47)의 내부에 둘레로 테이퍼 강모체(46)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of Fig. 6A, tapered bristle bodies 46 are arranged at 90 degree intervals around the inside of the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47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테이퍼 강모(45)를 구성하기 위한 테이퍼 강모체(46)의 개수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다.Further, the number of tapered bristle bodies 46 for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45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it h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테이퍼 강모체(46)의 배치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고, 예를 들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부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46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it h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ample, they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at uneven intervals.

또한, 도 6b에는 테이퍼 강모(45)의 일단측만 그려져 있지만, 테이퍼 강모(45)의 타단측도 테이퍼부(46A) 등을 형성해서 도 6b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45)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테이퍼부(46A) 등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 강모(45)의 다발을 V자형으로 변형시켜서 평선에 의해 칫솔의 헤드부에 식모함으로써 칫솔이 구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45 is drawn in FIG. 6B, the other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45 also forms a tapered part 46A, etc., and has the same shape as FIG. 6B. Therefore, the tapered portion 46A, etc.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tapered bristle 4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undle of the tapered bristle 45 is deformed into a V-shape, and the toothbrush is planted on the head of the toothbrush by a flat line It is composed.

테이퍼 강모체(46)의 강모 지름(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테이퍼 강모체(46)의 개개에 있어서 횡단면 삼각형상의 기체부(46B)의 저변으로부터 정점까지의 거리에 상당하고, 강모 지름(a)은 50㎛∼150㎛ 정도로 할 수 있고, 강모 지름(a)은 70㎛∼130㎛ 정도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 강모체(46)의 선단측의 테이퍼부(46A)의 길이(즉, 테이퍼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는 0.5㎜∼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46 corresponds to the distance from the base of the base portion 46B of the triangular cross-section to the apex in each of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46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ristle diameter (a) may be about 50 μm to 150 μm, and the bristle diameter (a)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 μm to 130 μm. Further,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46A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46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red portion) is preferably about 0.5 mm to 5.0 mm.

또한, 각 테이퍼 강모체(46)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45)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48)의 지름을 테이퍼 강모(45)의 강모 지름(b)이라고 하면, 강모 지름(b)은 100㎛∼3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250㎛ 정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suppose that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48 connecting the outermost part of each tapered bristle body 46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 45 is the bristle diameter (b) of the tapered bristle 45, the bristle diameter (b) Silv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0 µm to 300 µ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50 to 250 µm.

또한, 테이퍼부(46A)의 최선단은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폭은 10㎛∼1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Further, the uppermost end of the tapered portion 46A has a round shape to which rounding is applied, and the maximum width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 shape to which the rounding is appli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 μm to 100 μm.

도 6a∼도 6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45)에 있어서도 앞의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모이기 때문에 치주 포켓에 테이퍼부(46A)를 삽입하기 쉽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뛰어나고, 치주 포켓 내의 칫솔질성에 뛰어나 청소 실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 강모(45)를 4개의 테이퍼 강모체(46)로 일체화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모 탄력 강도가 높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테이퍼부(46A)의 사이에 치약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치주 포켓의 안쪽부에 치약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 및 식모시에 테이퍼 강모가 갈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45 shown in Figs. 6A to 6B, it is easy to insert the tapered portion 46A into the periodontal pocket because it is a tapered bristle similar to 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is excellent, and the toothbrushing property in the periodontal pocket is excellent, and the cleaning feeling is excell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apered bristle 45 is integrated with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46, the effect of high hair elasticity strength can be obtained like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othpaste can be held between the four tapered portions 46A,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upply the toothpaste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eriodontal pocket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apered bristles during transplanta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suppress cracking.

<제 6 실시형태><Sixth embodiment>

도 7a∼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6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5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는 테이퍼 강모(55)의 선단 부분의 사시도, 도 7b는 테이퍼 강모(55)의 평면도이다.7A to 7B are views showing the tapered bristles 55 of the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p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s 55, and FIG. 7B is a plan view of the tapered bristles 55. .

도 7a∼도 7b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55)는 앞의 실시형태 1∼5의 테이퍼 강모와 마찬가지로 경질 수지제의 헤드부에 식모되어서 칫솔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he tapered bristles 55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s. 7A to 7B are planted in the hard resin head portion, similarly to the tapered bristles of the previous embodiments 1 to 5, and are used to constitute a toothbrush.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55)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테이퍼 강모체(56)가 테이퍼 강모(55)의 횡단면의 중심측에 있어서 인접 일체화하고, 이 인접 일체화한 부분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수지제의 피복부(57)로 덮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부(57)는 강모 형상의 피복부이다.In the tapered bristle 55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56 are adjacently integra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55, and this adjacently integrated portion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each are covered with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57. In addition, the covering portion 57 in this embodiment is a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강모 형상의 피복부」란 테이퍼 강모를 일부 노출하도록 노출부를 제외하고 강모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bristle-shaped covering part" as used herein means a part covered with bristle or the like except for the exposed part so as to partially expose the tapered bristles.

테이퍼 강모체(56)의 선단측에는 선단이 좁아지는 형상의 테이퍼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강모체(56)에 있어서 이 테이퍼부(56A)를 제외한 부분이 기체부(56B)이다. 기체부(56B)는 축 방향의 임의의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The tapered bristle body 56 is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56A having a narrow tip.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56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56A is the base portion 56B. The base portion 56B has the same arbitrary cross-sectional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횡단면 형상이 동일」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되고, 예를 들면 횡단면의 면적에 있어서 0% 이상 15% 이하의 상위가 있어도 허용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used herei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of 0% or more and 15% or less in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t is allowed.

기체부(56B)는 횡단면 원형상이다. 기체부(56B)에서는 원형에 있어서 테이퍼 강모(55)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심부측 방향의 부분을 내측 가장자리부(56a)라고 하고, 그 반대측의 부분을 외측 가장자리부(56b)라고 한다, 기체부(56B)는 외측 가장자리부(56b)가 피복부(57)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피복부(57)에 매설되어 있다. 피복부(57)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56b)의 돌출 폭은 W4이며, 또한 돌출 높이는 H4이다.The base portion 56B is circular in cross section. In the base portion 56B, the por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in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55 in the circle is called the inner edge portion 56a, and the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is called the outer edge portion 56b. 56B is embedded in the covering portion 57 with the outer edge portion 56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57. 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portion 56b protruding outward of the covering portion 57 is W4, and the protruding height is H4.

도 7a의 예에서는 원형 단면의 강모 형상의 피복부(57)의 내부에 둘레로 테이퍼 강모체(56)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of Fig. 7A, tapered bristle bodies 56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round the inside of the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57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테이퍼 강모(55)를 구성하기 위한 테이퍼 강모체(56)의 개수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apered bristle bodies 56 for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55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it h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테이퍼 강모체(56)의 배치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고, 예를 들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부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tapered bristle body 56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it h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ample, it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at uneven intervals.

또한, 도 7b에는 테이퍼 강모(55)의 일단측만 그려져 있지만, 테이퍼 강모(55)의 타단측도 테이퍼부(56A)를 형성해서 도 7b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강모(55)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 테이퍼부(56A)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 강모(55)의 다발을 V자형으로 변형시켜서 평선에 의해 칫솔의 헤드부에 식모함으로써 칫솔이 구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55 is drawn in FIG. 7B, the other end side of the tapered bristle 55 also forms the tapered part 56A, and has the same shape as FIG. 7B. Therefore, the tapered portions 56A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tapered bristle 5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undles of the tapered bristle 55 are deformed into a V-shape and are planted in the head of the toothbrush by a flat line. do.

테이퍼 강모체(56)의 강모 지름(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테이퍼 강모체(56)의 개개에 있어서 횡단면 원형상의 기체부(56B)의 지름에 상당하고, 강모 지름(a)은 50㎛∼150㎛ 정도로 할 수 있고, 강모 지름(a)은 70㎛∼130㎛ 정도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 강모체(56)의 선단측의 테이퍼부(56A)의 길이(즉, 테이퍼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거리)는 0.5㎜∼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56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al circular base portion 56B in each of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56 in this embodiment, and the bristle diameter (a) The silver can be set to about 50 µm to 150 µm,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a range of about 70 µm to 130 µm for the bristle diameter (a). Further,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56A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56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red portion) is preferably about 0.5 mm to 5.0 mm.

또한, 4개의 테이퍼 강모체(56)가 구성하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59)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55)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58)의 지름을 테이퍼 강모(55)의 강모 지름(b)이라고 하면, 강모 지름(b)은 100㎛∼300㎛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250㎛ 정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58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 55 an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59 constituted by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56 is the bristles of the tapered bristle 55 As for the diameter (b), the bristle diameter (b)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0 to 300 µ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50 to 250 µm.

또한, 테이퍼부(56A)의 최선단은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라운딩이 부여된 둥근 형상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폭은 10㎛∼100㎛ 정도의 범위로 하고 있다.Further, the uppermost end of the tapered portion 56A has a rounded shape, and the maximum width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ed shape to which the rounding is applied is in the range of about 10 µm to 100 µm.

도 7a∼도 7b에 나타내는 테이퍼 강모(55)에 있어서도 앞의 실시형태의 테이퍼 강모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모이기 때문에 치주 포켓에 테이퍼부(56A)를 삽입하기 쉽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뛰어나고, 치주 포켓 내의 칫솔질성이 뛰어나 청소 실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퍼 강모(55)를 4개의 테이퍼 강모체(56)로 일체화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모 탄력 강도가 높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테이퍼부(56A)의 사이에 치약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치주 포켓의 안쪽부에 치약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 및 식모시에 테이퍼 강모이 갈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tapered bristle 55 shown in Figs. 7A to 7B, it is easy to insert the tapered portion 56A into the periodontal pocket because it is a tapered bristle similar to the tapered bristle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is excellent, and the toothbrushing property in the periodontal pocket is excellent, and the cleaning feeling is excell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apered bristle 55 is integrated with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56, the effect of high hair elasticity strength can be obtained like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othpaste can be held between the four tapered portions 56A,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upply toothpaste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eriodontal pocket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o prevent the taper bristles from splitting during transplantation. There is also a suppressive effect.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도 1b∼도 1c에 나타내는 형상의 테이퍼 강모이며, 구체적으로는 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오벌형의 4개의 테이퍼 강모체가 테이퍼 강모의 횡단면의 중심측에서 접합하고, 그 4개의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일부를 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으로 덮은 구조이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테이퍼부를 구비한 구조의 테이퍼 강모를 사용했다. 상기 테이퍼 강모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칫솔 번들의 헤드부에 식모했다. 테이퍼 강모체의 강모 지름(a)은 100㎛, 테이퍼 강모체의 선단측의 테이퍼부의 길이는 2㎜로 했다.It is a tapered bristle of the shape shown in FIGS. 1B to 1C. Specifically, four tapered bristle bodies of cross-sectional oval shape made of PBT resin are joined at the center side of the cross-section of the tapered bristl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are joined. Tapered bristl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art was covered with a coating layer made of PET resin and each having a tapered portio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used. The tapered bristles were planted on the head of a toothbrush bundle made of polypropylene resin. 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was set to 100 µm, and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was 2 mm.

또한, 4개의 테이퍼 강모체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의 지름인 테이퍼 강모(5)의 강모 지름(b)을 200㎛로 했다. 테이퍼 강모체의 내측 가장자리부의 폭은 80㎛, 피복층으로부터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의 폭(W1)을 80㎛, 돌출 높이를 30㎛로 했다.Further, the bristle diameter (b) of the tapered bristles 5, which is the diameter of a virtual circle connecting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four tapered bristles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was set to 200 µm.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was 80 mu m, the width W1 of the outer 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ating layer was 80 mu m, and the protrusion height was 30 mu m.

또한,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약 50%를 피복체로 덮은 구조로 했다.In addition, about 50%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were covered with a covering body.

1개의 모다발당의 강모수가 40개가 되도록 20개의 테이퍼 강모체를 둘로 접어서 4열×7단으로 평선을 이용하여 식모해서 시험용의 실시예 1의 칫솔을 제조했다.A toothbrush of Example 1 for testing was prepared by folding 20 tapered bristle bodies in two so that the number of bristles per hair bundle was 40, and planting them in 4 rows by 7 layers using a flat wire.

<실시예 2><Example 2>

도 3a∼도 3b에 나타내는 형상의 테이퍼 강모이며, 구체적으로는 PBT 수지로 이루어지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4개의 테이퍼 강모체가 테이퍼 강모의 중심축측에서 접합하고, 그 4개의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일부를 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으로 덮은 구조이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테이퍼부를 구비한 구조의 테이퍼 강모를 사용했다. 상기 테이퍼 강모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헤드부에 식모했다. 테이퍼 강모체의 강모 지름(a)은 90㎛, 테이퍼 강모체의 선단측의 테이퍼부의 길이는 3㎜로 했다.It is a tapered bristle of the shape shown in FIGS. 3A to 3B. Specifically, four tapered bristle bodies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made of PBT resin are joined at the central axis side of the tapered bristle, 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is Tapered bristles having a structure covered with a coating layer made of PET resin and having tapered portion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ere used. The tapered bristles were planted on a head made of polypropylene resin. The bristle diameter (a) of the tapered bristle body was 90 µm, and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on the tip sid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was 3 mm.

또한, 4개의 테이퍼 강모체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의 지름인 테이퍼 강모(5)의 강모 지름(b)을 190㎛로 했다. 테이퍼 강모체의 내측 가장자리부의 폭은 60㎛, 피복층으로부터 돌출한 외측 가장자리부의 폭(W2)을 80㎛, 돌출 높이(H2)를 10㎛로 하고 있다. 또한,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약 50%를 피복부로 덮은 구조로 했다.Further, the bristle diameter (b) of the tapered bristles 5, which is the diameter of a virtual circle connecting the outermost portions of the four tapered bristle bodies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was set to 190 µm. The width of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is 60 mu m, the width W2 of the outer 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ating layer is 80 mu m, and the protrusion height H2 is 10 mu m. Further, about 50% of the side surfac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was covered with a covering portion.

1개의 모다발당의 강모수가 40개가 되도록 20개의 테이퍼 강모체를 둘로 접어서 4열×7단으로 평선을 이용하여 식모해서 시험용의 실시예 2의 칫솔을 제조했다.The toothbrush of Example 2 for testing was prepared by folding 20 tapered bristle bodies in two so that the number of bristles per hair bundle was 40, and planting them in 4 rows by 7 layers using a flat wire.

<실시예 3∼6><Examples 3 to 6>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의 테이퍼 강모로서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의 테이퍼 강모를 이용하여 칫솔을 구성했다. 실시예 3∼6의 테이퍼 강모의 설명에 대해서 대비 가능하도록 실시예 1, 실시예 2의 테이퍼 강모의 형상, 테이퍼 강모체의 수지 종별(수지 1), 피복층의 수지 종별(수지 2), 강모 지름(a)(㎛), 강모 지름(b)(㎛), 테이퍼 길이(㎜), 내측 가장자리부 폭(W)(㎛), 외측 가장자리부 폭(W)(㎛), 돌출 높이(H)(㎛), 피복율(%), 강모수(개), 배열(열)도 아울러 이하의 표 1에 병기한다.As the tapered bristles of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and Example 6, a toothbrush was constructed using the tapered bristles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Table 1 below. The shape of the tapered bristle of Example 1 and Example 2, the resin typ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resin 1), the resin type of the coating layer (resin 2), and bristle diameter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tapered bristle of Examples 3 to 6 can be compared. (a) (㎛), bristles diameter (b) (㎛), taper length (mm), inner edge width (W) (㎛), outer edge width (W) (㎛), protrusion height (H) ( Μm), coverage (%), number of bristles (pcs), and sequence (row) are also listed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5002808525-pct00001
Figure 112015002808525-pct0000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의 테이퍼 강모로서 앞의 횡단면 오벌형의 테이퍼 강모체의 최외측부와 테이퍼 강모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원과 동일 지름의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와 그 선단에 3개의 테이퍼 분기모를 형성한 테이퍼 강모를 작성했다. 이 테이퍼 강모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개 1개가 3잎의 클로버형 단면을 한 필라멘트를 복수개 묶어서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소정의 길이(25∼35㎜ 정도)로 컷팅한 후, 그 선단부를 가성소다 수용액 등의 가수분해 약제 중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As the tapered bristles of Comparative Example 1, a cylindrical body of the same diameter as a virtual circle connecting the outermost part of the tapered bristles of the front cross-section oval-shaped tapered bristles and the center of the tapered bristles, and a taper in which three tapered bifurcations were formed at the tip Made bristles. A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the tapered bristles are formed by bundling a plurality of filaments each having a three-leaf clover-shaped cross section to form a hair bundle, and then cutting the hair bundle to a predetermined length (about 25 to 35 mm). And the tip portion thereof was prepared by a method of immersing it in a hydrolysis agent such as an aqueous solution of caustic soda.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의 테이퍼 강모로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브리슬용 섬유를 사용한 칫솔을 제작했다. 특허문헌 2의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나일론제의 외경 190㎛의 스킨층의 내부에 지름 60㎛의 3개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코어층으로 이루어지는는 복합 수지를 복합된 브리슬용 섬유를 방사했다. 이 브리슬 섬유의 양단을 각각 모끝 연마해서 테이퍼부의 길이가 3㎜가 되도록 테이퍼 가공하고, 특허문헌 2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에 6개의 테이퍼 강모부를 구비한 강모를 얻었다. 이 강모를 앞의 실시형태와 동등한 개수 사용하고, 식모해서 비교예 2의 칫솔을 구성했다.As the tapered bristles of Comparative Example 2, a toothbrush using the fibers for bristl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was produced. As shown in Figs. 5 and 6 of Patent Document 2, a fiber for bristle was spun with a composite resin composed of three polyester core layers having a diameter of 60 µm inside a skin layer made of nylon with an outer diameter of 190 µm. . Both ends of this bristle fiber were each bristle polished to tapered so that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became 3 mm, and as shown in Fig. 1 of Patent Document 2, bristles having six tapered bristle portions at the tip portion were obtained. The toothbrush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constituted by using the same number of bristle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ransplanting them.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과 동등 구조이지만, 피복층으로부터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의 폭(W2)을 10㎛, 돌출 높이(H2)를 1㎛로 한 형상의 테이퍼 강모를 작성하고, 헤드부에 식모해서 비교예 3의 칫솔을 얻었다.Although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in Example 1, a tapered bristles having a width (W2) of 10 μm and a height of protrusion (H2) of 1 μm and a width (W2) of the outer edge protruding from the coating layer was prepared, and planted on the head, I got a toothbrush.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과 동등 구조이지만, 피복층으로부터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의 폭(W2)을 130㎛, 돌출 높이(H2)를 80㎛로 한 형상의 테이퍼 강모를 작성하고, 헤드부에 식모해서 비교예 4의 칫솔을 얻었다.Although the structure is equivalent to that of Example 1, a tapered bristles having a width (W2) of 130 µm and a protrusion height (H2) of 80 µm of the outer edge protruding from the coating layer was prepared, and planted on the head, I got a toothbrush.

이상 설명의 각 칫솔에 대해서 식모 적정으로서 모갈라짐의 상태, 치면 청소 실감, 간극 청소 실감, 외관 인식성, 접촉 느낌, 및 종합 평가에 대해서 이하의 표 2에 정리해서 기재한다.For each of the toothbrushes described above, as appropriate for hair transplantation, the state of shaving, feeling of cleaning teeth, feeling of cleaning gaps, perception of appearance, feeling of contact,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Figure 112015002808525-pct00002
Figure 112015002808525-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평가 항목과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The evaluation items and evaluation criteria shown in Table 2 are as follows.

<식모 적성><Floating aptitude>

강모의 모다발을 둘로 접어지게 하고, 그 반환 부분에 평선을 끼워, 헤드부에 형성한 식모 구멍에 삽입해서 모다발을 식모했다. 그 때의 강모의 갈라짐 발생율을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생산성을 평가했다.The hair bundles of the bristles were folded in two, and a flat wire was inserted into the return portion, and the hair bundles were planted by inserting them into the hair transplant holes formed in the head. The crack incidence rate of the bristles at that time was measured, and produ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는다(갈라짐 발생율 10ppm 미만)A: No cracking occurs (less than 10 ppm cracking occurrence rate)

B: 갈라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갈라짐 발생율 10ppm 이상 50ppm 미만)B: Almost no cracking (cracking occurrence rate of 10 ppm or more and less than 50 ppm)

C: 갈라짐이 약간 발생한다(갈라짐 발생율 50ppm 이상 100ppm 미만)C: Some cracking occurs (cracking occurrence rate of 50 ppm or more and less than 100 ppm)

D: 갈라짐이 발생(갈라짐 발생율 100ppm 이상)D: Cracking occurs (cracking occurrence rate of 100 ppm or more)

<치면 청소 실감><The feeling of cleaning the tooth surface>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치면의 청소 효과를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모니터 10명의 평균점이 4.0점 이상을 「A」,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B」,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C」, 평균점 2.0점 미만을 「D」라고 했다.Ten monitors cleaned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brush of each case, and the cleaning effect of the tooth surface at that time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average score of 10 monitors was 4.0 or more as "A", the average score was 3.0 or more and less than 4.0 points as "B", the average score was 2.0 or more and less than 3.0 points as "C", and the average score was less than 2.0 as "D".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5점: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매우 느낀다.5 points: The texture of the tooth surface is very dirty.

4점: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강하게 느낀다.4 points: The texture of the tooth surface is strongly felt.

3점: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낀다.3 points: I feel the texture that the dirt on the tooth surface fell off.

2점: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2 points: I don't feel the texture that the tooth surface has fallen off very much.

1점: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1 point: I do not feel the feeling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tooth surface fell off.

<간극 청소 실감><Experience cleaning the gap>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간극의 청소 효과를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모니터 10명의 평균점이 4.0점 이상을 「A」,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B」,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C」, 평균점 2.0점 미만을 「D」라고 했다.Ten monitors cleaned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brush of each case, and the cleaning effect of the gap at that time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average score of 10 monitors was 4.0 or more as "A", the average score was 3.0 or more and less than 4.0 points as "B", the average score was 2.0 or more and less than 3.0 points as "C", and the average score was less than 2.0 as "D".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5점: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매우 느낀다.5 points|pieces: The feeling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gap fell off is very felt.

4점: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강하게 느낀다.4 points|pieces: The feeling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gap fell off is strongly felt.

3점: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낀다.3 points|pieces: I feel the feeling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gap fell off.

2점: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2 points: I do not feel very much the feeling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gap fell off.

1점: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1 point: I do not feel the feeling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gap fell off.

<외관 인식성><Appearance recognition>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때의 모끝의 형상의 식별성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모니터 10명의 평균점이 4.0점 이상을 「A」,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B」,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C」, 평균점 2.0점 미만을 「D」라고 했다.Ten monitors visually observed the toothbrush of each example,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shape of the hair tip at that time evaluated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average score of 10 monitors was 4.0 or more as "A", the average score was 3.0 or more and less than 4.0 points as "B", the average score was 2.0 or more and less than 3.0 points as "C", and the average score was less than 2.0 as "D".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5점: 모끝이 분기되어 있는 형상을 매우 느낀다.5 points|pieces: The shape in which the hair tip is branched is very felt.

4점: 모끝이 분기되어 있는 형상을 강하게 느낀다.4 points: Strongly feels the shape in which the hair tip is branched.

3점: 모끝이 분기되어 있는 형상을 느낀다.3 points: A shape in which the hair tip is branched is felt.

2점: 모끝이 분기되어 있는 형상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2 points: I do not feel very much the shape where the hair tip is branched.

1점: 모끝이 분기되어 있는 형상을 느끼지 않는다.1 point: It is not felt that the hair tip is branched.

<접촉 느낌><Touch feeling>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잇몸에의 접촉 느낌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모니터 10명의 평균점이 4.0점 이상을 「A」,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B」,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C」, 평균점 2.0점 미만을 「D」라고 했다.Ten monitors cleaned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brush of each case, and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 at that time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average score of 10 monitors was 4.0 or more as "A", the average score was 3.0 or more and less than 4.0 points as "B", the average score was 2.0 or more and less than 3.0 points as "C", and the average score was less than 2.0 as "D".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5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접촉 느낌이 매우 좋다.5 points: There is no pain in the gums, and the feeling of contact is very good.

4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접촉 느낌이 대단히 좋다.4 points: There is no pain in the gums, and the feeling of contact is very good.

3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접촉 느낌이 좋다.3 points: There is no pain in the gums, and the touch feels good.

2점: 잇몸에 약한 통증을 느낀다.2 points: I feel mild pain in my gums.

1점: 잇몸에 강한 통증을 느낀다.1 point: I feel strong pain in my gums.

<종합 평가><Comprehensive evaluation>

상기 각 평가로부터 판정되는 종합 평가는 이하와 같다.The general evaluation determined from each of the above evaluations is as follows.

A: A가 2개 이상이고 다른 것은 BA: 2 or more A, the other B

B: A가 1개 이하이고 다른 것은 BB: 1 or less A and B

C: D가 없고, 어느 1개가 CC: There is no D, and one of them is C

D: 어느 1개가 DD: Which one is D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의 선단측에 복수의 테이퍼부를 구비한 구조의 테이퍼 강모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구조이면 식모 적정이 우수하고, 치면 청소력이 우수하며, 간극 청소력에 있어서도 우구한 있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clearly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2, with respect to the tapered bristles having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tapered portions on the tip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xcellent hair removal and excellent tooth surface cleaning pow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gap cleaning power is also excellent.

이것은 피복부의 외측에 테이퍼 강모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치면 청소력과 간극 청소력이 향상된 것에 의한다. 또한, 피복층으로부터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의 돌출 폭(W)은 20∼120㎛의 범위가 적절하고, 돌출 높이(H)는 10∼70㎛의 범위가 적절하다고 생각된다.This is because the tooth surface cleaning power and the gap cleaning power are improved because the outer edg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ing part. Further,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trusion width W of the outer 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ating layer is appropriate in the range of 20 to 120 µm, and the protrusion height H is in the range of 10 to 70 µm.

또한, 피복층으로부터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의 돌출 폭(W)은 강모 지름(b)의 10%∼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상기 피복부(7)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외측 가장자리부(6b)의 돌출 높이(H1)는 강모 지름(b)의 5%∼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width (W) of the outer 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vering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30% of the bristles diameter (b), and the outer edge portion 6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7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trusion height H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40% of the bristle diameter b.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퍼모로서 잇몸에 대하여 소프트한 접촉 느낌이면서 치주 포켓에의 진입성이 뛰어나 칫솔질 실감이 우수함과 아울러, 식모시 또는 사용시에 강모가 갈라지기 어려운 테이퍼 강모와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테이퍼 강모를 구비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red bristles are tapered bristles, which have a soft touch to the gums, have excellent accessibility to the periodontal pocket, and have an excellent brushing feel, and the bristles are difficult to crack during planting or use, and the tapered brist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It is very useful in industry because it can provide a toothbrush with bristles.

A : 칫솔 1 : 모다발
2 : 헤드부 5 : 테이퍼 강모
6 : 테이퍼 강모체 6A : 테이퍼부
6a : 내측 가장자리부 6B : 기체부
6b : 외측 가장자리부 7 : 피복부
9 :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 15, 25, 35, 45, 55 : 테이퍼 강모
16, 26, 36, 46, 56 : 테이퍼 강모체
16A, 26A, 36A, 46A, 56A : 테이퍼부
16a, 26a, 27a, 37a, 47a, 57a : 내측 가장자리부
16B, 26B, 36B, 46B, 56B : 기체부
16b, 26b, 36b, 46b, 56b : 외측 가장자리부
17, 27, 37, 47, 57 : 피복부
A: Toothbrush 1: Hair bundle
2: head part 5: tapered bristle
6: tapered bristle body 6A: tapered portion
6a: inner edge portion 6B: base portion
6b: outer edge portion 7: covering portion
9: tapered bristle assembly part 15, 25, 35, 45, 55: tapered bristle
16, 26, 36, 46, 56: tapered bristle
16A, 26A, 36A, 46A, 56A: taper part
16a, 26a, 27a, 37a, 47a, 57a: inner edge
16B, 26B, 36B, 46B, 56B: gas part
16b, 26b, 36b, 46b, 56b: outer edge
17, 27, 37, 47, 57: cover part

Claims (8)

개개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갖는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수지제의 테이퍼 강모체를 테이퍼 강모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인접해서 배치하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와,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를 접합해서 일체화하도록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기체부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여 상기 기체부의 인접하는 측면끼리를 접합하고 있고,
상기 기체부는,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의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테이퍼 강모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를 가지며,
2개의 기체부의 인접하는 측면에 있어서, 기체부의 내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중간부의 측면끼리가 상기 피복부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기체부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강모.
A tapered bristle assembly in which 3 or more and 10 or less resin tapered bristle bodies each having a tapered portion at each tip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And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covering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so as to join and integrate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The covering portion covers all or a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to join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in a cross section, has an inner edge portion positioned at the center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an outer edge portion position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and a middle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ner edge portion and the outer edge portion. ,
In the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two base parts, side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part from the inner edge part of the base part are joined by the covering part,
A tapered bristle, characterized in that an outer edg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each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와 상기 피복부가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는 용해액에 침지함으로써 형성된 테이퍼부이며,
상기 피복부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가 상기 테이퍼 강모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강모.
The method of claim 1,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covering part are made of different resins,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is a tapered portion formed by immersion in a solution,
A tapered bris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portion in the dissolved solution is greater than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tapered bristle body in the dissolved solu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는 그 횡단면의 중심측에 있어서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가 밀착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복부는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밀착 일체화 부분에 있어서의 측면을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강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are closely integrated and integrated at the center side of the cross section,
The tapered bris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ing portion covers a side surface of each tapered bristle body in an intimately integrated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상기 인접 배치된 각 테이퍼 강모체를 덮는 강모 형상의 피복부이며,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이 상기 강모 형상의 피복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강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vering portion is a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covering each of the adjacently disposed tapered bristle bodies,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vering portion,
A tapered bristle, wherein a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except for the tapered portion is buried in the bristle-shaped covering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돌출 폭이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지름의 5∼50%, 돌출 높이가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지름의 1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강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width of the outer edge of the tapered bristle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is 5 to 50% of the diameter of the tapered bristle body, and the protrusion height is 10 to 80% of the diameter of the tapered bristle body Tapered bristl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에 있어서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부분은, 횡단면 다각형상 또는 횡단면 오벌형상의 3개 이상 10개 이하의 테이퍼 강모체가 상기 테이퍼 강모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집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강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assembly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ree or more and ten or less tapered bristle bodies having a cross-sectional polygonal shape or a cross-sectional oval shape are aggregated around a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Tapered bristl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테이퍼 강모가 헤드부에 식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A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ed bristles according to claim 1 or 2 are planted on the head. 개개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갖는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수지제의 테이퍼 강모체를 테이퍼 강모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인접해서 배치하는 테이퍼 강모체 집합부와,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끼리를 접합해서 일체화하도록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는 상기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기체부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여 상기 기체부의 인접하는 측면끼리를 접합하고 있고,
상기 기체부는,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강모의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테이퍼 강모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를 가지며,
2개의 기체부의 인접하는 측면에 있어서, 기체부의 내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중간부의 측면끼리가 상기 피복부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각 테이퍼 강모체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기체부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테이퍼 강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3개 이상 10개 이하의 강모 소재를 인접 배치한 소재 강모부를 수지제의 피복 부재로 피복함으로써 강모 피복체를 형성하는 것;
상기 강모 피복체의 선단측을 용해액에 침지하고나서 끌어올림으로써, 상기 각 강모 소재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부의 주위의 피복 부재를 용해 제거하여, 상기 테이퍼부를 갖는 강모 소재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기체부의 측면을 피복하는 피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강모 소재를 구성하는 수지와 상기 피복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는 어느 것이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성을 구비한 수지이며,
상기 피복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가 상기 강모 소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상기 용해액에 대한 용해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강모의 제조방법.
A tapered bristle assembly in which 3 or more and 10 or less resin tapered bristle bodies each having a tapered portion at each tip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tapered bristle;
And a resin-made covering portion covering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so as to join and integrate the side surfaces of the tapered bristle body,
The covering portion covers all or a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ed bristle body to join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in a cross section, has an inner edge portion positioned at the center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an outer edge portion position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of the tapered bristles, and a middle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ner edge portion and the outer edge portion. ,
In the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two base parts, side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part from the inner edge part of the base part are joined by the covering part,
A method of producing a tapered bristle in which an outer edg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each of the tapered bristle bodies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ing por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Forming a bristle coating body by covering a material bristle portion in which 3 or more and 10 or less bristle materials are arranged adjacently with a resin-made coating member;
A bristle material having the tapered part by dissolving and removing the covering member around the tapered part while forming a tapered part at the tip of each bristle material by immersing the tip side of the bristle cover in a solution and then pulling it up. Including; forming a covering portion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excluding the tapered portion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ristle material and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member are both resins having solubility in the solution,
A method for producing tapered bristles, wherein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member in the solution is greater than the solubility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ristle material in the solution.
KR1020157000684A 2012-09-25 2013-09-25 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 KR1021832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1159 2012-09-25
JPJP-P-2012-211159 2012-09-25
PCT/JP2013/075860 WO2014050863A1 (en) 2012-09-25 2013-09-25 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661A KR20150060661A (en) 2015-06-03
KR102183281B1 true KR102183281B1 (en) 2020-11-26

Family

ID=5038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684A KR102183281B1 (en) 2012-09-25 2013-09-25 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01702B2 (en)
KR (1) KR102183281B1 (en)
CN (1) CN104661563B (en)
MY (1) MY194080A (en)
WO (1) WO201405086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7870A1 (en) * 2013-05-08 2014-11-13 Pedex Gmbh Monofilament of plastic and toothbrush bristle of a corresponding monofilament
DE102015205265A1 (en) * 2015-03-24 2016-09-29 Pedex Gmbh Plastic filament
JP6579691B2 (en) 2015-06-16 2019-09-25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bristle and toothbrush
US10743647B2 (en) 2015-07-07 2020-08-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monofilament bristle for use with the same
KR101882179B1 (en) * 2015-10-27 2018-07-27 비비씨 주식회사 Dual structure filament
WO2017130900A1 (en) * 2016-01-25 2017-08-03 東レ・モノフィラメント株式会社 Bristle material for brush, and brush using same
KR101826632B1 (en) * 2016-03-09 2018-02-07 비비씨 주식회사 Dual structure filament
KR101826720B1 (en) * 2016-03-09 2018-02-07 비비씨 주식회사 Dual structure filament
KR101874948B1 (en) * 2016-03-09 2018-07-10 비비씨 주식회사 Dual structure filament
EP3351142B1 (en) 2017-01-24 2019-10-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Tuft picker for a brush making machine
EP3351143B1 (en) * 2017-01-24 2019-11-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Tuft picker for a brush making machine
KR20190021786A (en) * 2017-08-24 2019-03-06 비비씨 주식회사 Polyketone toothbrush bristles and toothbrush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094A (en) * 2008-09-30 2010-04-15 Sunstar Inc Toothbrush filament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837A (en) 1995-10-09 1997-04-15 Shiseido Co Ltd Fiber for brush bristle
JP3547672B2 (en) 1999-12-16 2004-07-28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DE10212701B4 (en) * 2002-03-21 2015-05-13 Geka Gmbh Bristle, method and device for its manufacture, and bristles
JP2003339445A (en) * 2002-05-29 2003-12-02 Lion Corp Tapered bristle and toothbrush using it
JP2011125583A (en) * 2009-12-21 2011-06-30 Toray Monofilament Co Ltd Bristle material for toothbrush and tooth bru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094A (en) * 2008-09-30 2010-04-15 Sunstar Inc Toothbrush filament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0863A1 (en) 2014-04-03
CN104661563A (en) 2015-05-27
KR20150060661A (en) 2015-06-03
JP6101702B2 (en) 2017-03-22
JPWO2014050863A1 (en) 2016-08-22
CN104661563B (en) 2016-08-24
MY194080A (en)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281B1 (en) Tapered bristle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provided with tapered bristles
CA2631552C (en) A toothbrush made of synthetic resin
JP5401154B2 (en) Tooth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099200A (en) Toothbrush
JP2012511943A (en) toothbrush
JP2018019876A (en) toothbrush
KR102013966B1 (en) Bristle for toothbrush,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JP6226618B2 (en) toothbrush
JP5338233B2 (en) Toothbrush filament and toothbrush in which the filament is implanted
JP4619396B2 (en) toothbrush
JP6621497B2 (en) toothbrush
KR20180100148A (en) Brush base material and brush using it
JP2001218623A (en) Toothbrush
JP2003339445A (en) Tapered bristle and toothbrush using it
JP5401162B2 (en) Toothbrush bristle and toothbrush
JP5557591B2 (en) toothbrush
JP6858123B2 (en) toothbrush
JP2007000519A (en) Bristle for toothbrush, and toothbrush
JP2006136524A (en) Bristle material for brush, and brush
JP3120845U (en) Roll toothbrush
JP2019071985A (en) toothbrush
JP2008067768A (en) Brush for cleaning scalp pore
KR20180020947A (en) Toothbrushes and toothbrushes
JP2015126819A (en) Oral cavity cleaning tool for dog and c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