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911B1 - 피부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진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2911B1 KR102182911B1 KR1020180109700A KR20180109700A KR102182911B1 KR 102182911 B1 KR102182911 B1 KR 102182911B1 KR 1020180109700 A KR1020180109700 A KR 1020180109700A KR 20180109700 A KR20180109700 A KR 20180109700A KR 102182911 B1 KR102182911 B1 KR 102182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unit
- frame element
- fixing
- vari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대상체가 놓인 테이블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체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대상체의 피부를 촬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사이즈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에는 암막 커튼이 덮이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획득된 피부의 이미지를 통해서 병변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곰팡이성 피부병 진단을 위해서는 주로 우드라이트(또는 우드 램프) 검사 방법으로 암실에서 피부 전체에 자외선을 비추어 확인하고 있다. 이때, 동물 등 촬영 대상을 움직이지 못하게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육안으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병변의 촬영이 힘든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우드 램프는 365nm 이상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램프에 산화니켈을 포함시킨 인공자외선 광학분석기로서,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렵거나 보이지 않는 피부의 결점이 우드 램프 광선을 받게 되면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우드 램프를 통해서 피부 보습, 피지, 염증, 여드름, 색소침착 등에 따라서 나타나는 색상으로 환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2년 9월 24일에 출원된 국내등록특허 KR 20-0300133에는 '피부 진단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XYZ 방향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하여 공간 제약 없이 피부를 진단할 수 있는 피부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피부의 진단 및 치료의 복합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피부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풋 스위치 형태로 마련된 제어부를 이용하여 광조사부 및 촬상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피부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는, 대상체가 거치되는 테이블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대상체의 피부를 촬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사이즈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에는 암실 커튼이 덮이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획득된 피부의 이미지를 통해서 병변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고정 프레임 요소;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요소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가변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요소에 대한 상기 가변 프레임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 요소의 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가변 프레임 요소에 구비되어 제1 고정 요소와 결합 가능한 제2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가 상기 가변 프레임 요소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암실 커튼을 수납하는 수납부; 및 풋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외부에서 상기 광조사부 또는 상기 촬상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확인된 병변 위치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는 피부 치료기가 더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에 의하면, XYZ 방향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하여 공간 제약 없이 피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에 의하면, 피부의 진단 및 치료의 복합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에 의하면, 풋 스위치 형태로 마련된 제어부를 이용하여 광조사부 및 촬상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프레임부의 사이즈 조절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프레임부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광조사부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도시한다.
도 2는 프레임부의 사이즈 조절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프레임부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광조사부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프레임부의 사이즈 조절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고, 도 3은 프레임부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광조사부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는 프레임부(100), 광조사부(200), 촬상부(300), 제어부(400) 및 수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 공간에는 피부 진단을 위한 대상체가 거치되는 테이블(T)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테이블(T)은 사이즈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테이블(T) 상에 거치되는 대상체의 크기에 따라서 테이블(T)의 사이즈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T)은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테이블(T) 상에 거치되는 대상체의 무게를 지지하기에 적절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0)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부(100)는 12개의 프레임 부재(110)로 구성된 육면체 골격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부(100)의 골격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내부에 테이블(T) 및 대상체를 배치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프레임부(100)가 육면체 골격을 이루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110)는 XYZ 방향으로 사이즈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110)는 각각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각각의 프레임 부재(110)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110)가 2개의 가변 프레임 요소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프레임 부재(110)의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가변 프레임 요소가 2개 이외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프레임 부재(110)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 및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를 포함하거나, 각각의 프레임 부재(110)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 및 제3 가변 프레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110)가 고정 프레임 요소(112),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 요소(112)는 내부에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가 연결되지 않는 단부에는 인접한 프레임 부재(110)의 고정 프레임 요소(112) 또는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 요소(112)는 프레임부(100)의 코너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부(100)의 사이즈 조절 시에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대하여 인입 또는 입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또한 내부에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단면적은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단면적보다 작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는 프레임부(100)의 사이즈 조절 시에 고정 프레임 요소(11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가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내부에 인입됨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고 프레임부(100)의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반면,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가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내부로부터 인출됨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고 프레임부(100)의 사이즈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는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단부에연결되어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대하여 인입 또는 입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 또한 중공의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단면적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단면적보다 작게 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가 연결되지 않는 단부에는 인접한 프레임 부재(110)의 고정 프레임 요소(112) 또는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는 프레임부(100)의 사이즈 조절 시에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6)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내부에 인입됨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고 프레임부(100)의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반면,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내부로부터 인출됨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고 프레임부(100)의 사이즈가 확장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0)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대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대한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20)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요소(122)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 요소(124)는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요소(122)는 1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단부에 인접하게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요소(124)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외측면에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1개의 제1 고정 요소(122)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복수 개의 제1 고정 요소(122)가 구비되어서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는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요소(122)가 돌기 형상으로 되고 제2 고정 요소(124)가 홈 형상으로 되어,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가 요철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요소(122)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일부가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돌기 형상이 구현될 수 있고, 제2 고정 요소(124)는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일부가 외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홈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된 제2 고정 요소(124)가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대해서는 홈 형상으로 될 수 있으나,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돌기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된 제2 고정 요소(124)가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대해서는 제1 고정 요소(122)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대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대하여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면서,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구비된 제1 고정 요소(122)에 결합되는 제2 고정 요소(124)를 변화시킬 수 있고,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는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의 이격 거리의 정수배만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 요소(112) 및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의한 최대 길이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구비된 제1 고정 요소(122)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2) 중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가장 인접한 제2 고정 요소(122)와 결합한 경우의 길이이고, 다시 말해서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길이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의 합에서 고정 프레임 요소(112) 및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겹침 길이를 뺀 길이가 될 수 있다.
반면, 고정 프레임 요소(112) 및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의한 최소 길이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구비된 제1 고정 요소(122)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2) 중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가장 멀리 위치된 제2 고정 요소(122)와 결합한 경우의 길이이고, 다시 말해서 대략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길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 요소(112) 및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고정 부재(120)가 구비됨으로써,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대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가 조절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요소(122)는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고정 요소(124)는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요소(122)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내측면에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요소(124)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외측면에서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고정 요소(122) 및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의 개수가 동일하고 복수 개의 제1 고정 요소(122)의 이격 거리와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의 이격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제1 고정 요소(122) 및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는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요소(122)가 돌기 형상으로 되고 제2 고정 요소(124)가 홈 형상으로 되어,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가 요철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요소(122)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일부가 외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 고정 요소(122)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요소(124)는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일부가 외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홈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가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대한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대하여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26)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면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된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26)에 구비된 제2 고정 요소(124)를 변화시킬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고정 요소(122)의 이격 거리와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경우 프레임 부재(110)의 전체 길이를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4)의 이격 거리의 정수배만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의한 최대 길이는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고정 요소(122) 중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가장 인접한 제1 고정 요소(122)가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2) 중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가장 인접한 제2 고정 요소(122)와 결합한 경우의 길이이고, 다시 말해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와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길이의 합에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겹침 길이를 뺀 길이가 될 수 있다.
반면,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의한 최소 길이는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고정 요소(122) 중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가장 멀리 위치된 제1 고정 요소(122)가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122) 중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가장 인접한 제2 고정 요소(122)와 결합한 경우의 길이이고, 다시 말해서 대략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길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에 고정 부재(120)가 구비됨으로써, 제1 프레임 요소(114)에 대한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가 조절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가 돌기 및 홈 형상으로 되어 요철 결합 구조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의 형상 또는 결합 구조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고정 요소(122) 및 제2 고정 요소(124)가 결합되어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대한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에 대한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①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경우, 고정 프레임 요소(112) 내에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가 인입됨으로써 1단 조절되고, 이때, ①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2) 내에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가 인입됨으로써 2단 조절되고, 이때, ①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① 방향으로 프레임부(100)의 전체 사이즈가 1단 또는 2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②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경우, 고정 프레임 요소(112) 내에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2)가 인입됨으로써 1단 조절되고, 이때 ②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 및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가변 프레임 요소(114) 내에 제2 가변 프레임 요소(116)가 인입됨으로써 2단 조절되고, 이때, ②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는 고정 프레임 요소(112)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② 방향으로 프레임부(100)의 전체 사이즈가 1단 또는 2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③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110)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때, ①, ② 및 ③ 방향은 각각 XYZ 방향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XYZ 방향으로 다양하게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대상체의 크기에 따라서 프레임부(100)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보다 다양한 대상체에 대한 피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프레임부(100)에는 광조사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200)는 테이블(T), 특히 테이블(T)에 거치된 대상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광조사부(200)는 UV 광원으로 마련되어서, 대상체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조사부(200)는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는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에서 조사된 광이 대상체를 향하도록 프레임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는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장착된 3개의 광 조사 부재(210) 및 프레임부(100)의 하면에 장착된 3개의 광 조사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는 프레임부(100)의 상면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110)에서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장착될 수 있고, 프레임부(100)의 하면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110)에서 고정 프레임 요소(11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는 프레임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100)에 대한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의 장착 위치는 복수 개의 광 조사 부재(210)에서 조사된 광이 대상체를 향할 수 있다면 어느 곳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부(100)에는 대상체의 피부를 촬영하는 촬상부(3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촬상부(300)는 프레임부(10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부(300)는 지지 부재(310) 및 촬상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10)는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 부재(110)를 가로질러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310)는 프레임부(10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100)의 사이즈 조절이 완료된 후에 프레임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의 사이즈 조절에 따라서 지지 부재(310) 또한 사이즈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촬상 부재(320)는 예를 들어 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310)에 장착되어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310) 및 촬상 부재(320)는 프레임부(100)의 사이즈 조절이 완료된 후에 대상체의 피부를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위치 또는 피부에 대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촬상부(300)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0)의 외부에는 제어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광조사부(200) 및 촬상부(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풋 스위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는 광조사부(200)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는 제1 스위치(410) 및 촬상부(300)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는 제2 스위치(42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어부(400), 특히 제1 스위치(410) 및 제2 스위치(420)를 이용하여 광조사부(200) 및 촬상부(300)의 작동을 ON으로 하여 광조사부(200)를 통해 대상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고 촬상부(300)를 통해 병변의 위치를 확인한 후 대상체의 피부에 대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300)를 통해 대상체의 피부에 대한 이미지를 확보한 후에는 제2 스위치(420)를 이용하여 광조사부(200) 및 촬상부(300)의 작동을 OFF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풋 스위치 형태로 마련된 제어부(4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광조사부(200) 및 촬상부(300)의 작동을 원격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가 촬상부(300)에서 획득된 피부에 대한 이미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촬상부(300)에서 획득된 피부에 대한 이미지에 기반하여 피부의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프레임부(100)의 일측에는 수납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500)는 암실 구현을 위하여 프레임부(100)를 덮도록 마련된 암실 커튼이 수납되거나, 피부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피부 치료기, 예를 들어 플라스마 치료기가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500)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복수 개의 수납부(500)에 암실 커튼 및 플라즈마 치료기가 각각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10)는 프레임부(100)의 사이즈 조절이 완료된 후에 수납부(500)로부터 암실 커튼을 꺼내서 프레임부(100)를 덮음으로써 빛이 스며들지 못하게 할 수 있고, 피부 병변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에 플라즈마 치료기를 이용하여 병변의 치료를 수행하여 복합적인 업무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피부 진단 장치
100: 프레임부
200: 광조사부
300: 촬상부
400: 제어부
500: 수납부
100: 프레임부
200: 광조사부
300: 촬상부
400: 제어부
500: 수납부
Claims (4)
- 대상체가 거치되는 테이블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대상체의 피부를 촬영하는 촬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XYZ 방향으로 사이즈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에는 암실 커튼이 덮이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획득된 피부의 이미지를 통해서 병변 위치가 확인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고정 프레임 요소;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요소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가변 프레임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요소에 대한 상기 가변 프레임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더 포함하고,
풋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외부에서 상기 광조사부 또는 상기 촬상부의 작동을 원격으로 ON/OFF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피부 진단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 요소의 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가변 프레임 요소에 구비되어 제1 고정 요소와 결합 가능한 제2 고정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제2 고정 요소가 상기 가변 프레임 요소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피부 진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암실 커튼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확인된 병변 위치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는 피부 치료기가 더 수납되는 피부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82055 | 2018-07-16 | ||
KR1020180082055 | 2018-07-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8485A KR20200008485A (ko) | 2020-01-28 |
KR102182911B1 true KR102182911B1 (ko) | 2020-11-25 |
Family
ID=6937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9700A KR102182911B1 (ko) | 2018-07-16 | 2018-09-13 | 피부 진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91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0614B1 (ko) * | 2015-08-12 | 2017-06-23 | 이동준 |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8417B1 (ko) * | 2015-07-20 | 2017-05-22 | 서울대학교병원 | 피부 상태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2018
- 2018-09-13 KR KR1020180109700A patent/KR1021829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0614B1 (ko) * | 2015-08-12 | 2017-06-23 | 이동준 |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8485A (ko) | 2020-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336630A1 (en) | Cellscope apparatus and methods for imaging | |
KR101385544B1 (ko) | 화상해석장치, 화상해석방법, 평가방법 및 화상해석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KR101429068B1 (ko) |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4171625B2 (ja) | 人体の一部分のイメージを取得する方法及び装置 | |
JP4608684B2 (ja) | 皮膚疾患の光学診断および治療のための装置および光源システム | |
US20160139039A1 (en) |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 |
JP5951916B1 (ja) | パノラマ臓器イメージング | |
EP2514193B1 (de) |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von ortsaufgelösten messergebnissen und korrespondierende messanordnung | |
JP2000079112A5 (ko) | ||
ITFI20130255A1 (it) | "dispositivo per la rilevazione non invasiva di predeterminate strutture biologiche" | |
EP1906833A4 (en) | PROJECTION OF A SURFACE STRUCTURE ON THE SURFACE OF AN OBJECT | |
WO2016011611A1 (zh) | 内窥式光学分子影像导航系统和多光谱成像方法 | |
EP2967329B1 (en) | Device for use in skin and scalp diagnosis, and method using said device | |
WO2021119520A1 (en) | Polarized imaging apparatus for use with a mobile device | |
KR102182911B1 (ko) | 피부 진단 장치 | |
CN110833399A (zh) | 近红外二区单通道分时复用成像系统及其使用方法 | |
JP4882019B2 (ja) | 照明装置 | |
JP2022170900A (ja) | 分析装置 | |
CN107961025A (zh) | 移动x射线成像设备 | |
KR20150045131A (ko) | 검사장비에 사용되는 동축 조명장치 | |
JP4125511B2 (ja) | X線診断装置 | |
JP6882764B2 (ja) | 照明装置 | |
KR102648059B1 (ko) | 모바일 오토스코프 시스템 | |
DE102017002064A1 (de) | Ganzkörperbildaufnahme- und Bildverarbeitungssystem zur Auswertung des Hautbildes eines Menschen sowie Verfahren zu dessen Betrieb | |
RU53552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диагностики и манипулято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