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717B1 -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 Google Patents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717B1
KR102182717B1 KR1020170034394A KR20170034394A KR102182717B1 KR 102182717 B1 KR102182717 B1 KR 102182717B1 KR 1020170034394 A KR1020170034394 A KR 1020170034394A KR 20170034394 A KR20170034394 A KR 20170034394A KR 102182717 B1 KR102182717 B1 KR 10218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osts
ranking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890A (ko
Inventor
강용직
Original Assignee
강용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직 filed Critical 강용직
Publication of KR2017010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단말의 입력에 따라 게시물을 업로드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업로드 시간 및 누적점수를 포함하는 게시물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시물과 게시물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업로드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들에게, 상기 게시물을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시간 순서에 따라 노출시키는 게시물 노출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누적점수에 저장하는 평가단계; 및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 및 상기 게시물의 누적점수 순서에 따라, 상기 추출한 게시물들의 랭킹을 재설정하는 랭킹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Method for determining ranking of bulletin contents and service server for the same}
본 출원은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웹(web) 상의 게시물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랭킹을 설정할 수 있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웹사이트 등에서는 이미지나 텍스트, 동영상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의 게시물을 게시할 수 있는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단순한 소셜 네트워킹에 더하여 검색 서비스, 게시물 제공 서비스, 특정 상품이나 광고 등의 부가 정보 제공 서비스 등으로 그 서비스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이러한 게시물 제공 서비스에서는 게시물을 확인한 다른 사용자들이 '좋아요'와 같은 평가를 달수 있도록 되어있다. 검색 서비스의 경우 검색어 로그(log)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검색어 상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8800
본 출원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웹(web) 상의 게시물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랭킹을 설정할 수 있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단말의 입력에 따라 게시물을 업로드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업로드 시간 및 누적점수를 포함하는 게시물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시물과 게시물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업로드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들에게, 상기 게시물을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시간 순서에 따라 노출시키는 게시물 노출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누적점수에 저장하는 평가단계; 및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 및 상기 게시물의 누적점수 순서에 따라, 상기 추출한 게시물들의 랭킹을 재설정하는 랭킹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상기 랭킹순으로 정렬된 상기 게시물을 상기 제2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는 랭킹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시물은,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동영상, 음성파일, 음향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로드 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게 상기 게시물의 카테고리, 키워드, 본문텍스트 및 첨부파일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하는 게시물 작성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게시물에 대하여 긍정평가하는 경우에는 1, 부정평가를 하는 경우에는 0을 입력하는 평가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 UX는, 상기 게시물이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상부영역을 터치하여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긍정평가로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하부영역을 터치하여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부정평가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 UX는, 상기 상부영역을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 상에 긍정평가에 대응하는 식별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하부영역을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 상에 부정평가에 대응하는 식별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를 상기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및 직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평가점수가 동일한 게시물에 대한 중복입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중복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상기 평가점수를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랭킹설정단계는, 상기 정렬조건이 급상승 랭킹이면, 기 설정된 시작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기준시간간격 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상기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급상승 랭킹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시작시점을 기 설정된 리셋시간 간격이 도과할 때마다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랭킹설정단계는, 상기 정렬조건이 설정기간별 랭킹이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설정기간설정 UX(user experience)를 이용하여 설정기간을 설정하면, 상기 설정기간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상기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설정기간별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기간설정 UX는, 상기 게시물이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하여 아래로 드래그(drag)하여 내리는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설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기간설정 UX는, 상기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설정기간의 시작시점을 상기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한 시점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랭킹설정단계는, 상기 정렬조건이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별 랭킹이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검색 카테고리 또는 검색 키워드와 설정기간을 설정하면, 상기 설정기간 내에 업로드된 게시물들 중에서 상기 검색 카테고리에 포함되거나 상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들 중에서 상기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카테고리별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서버는, 제1 사용자단말의 입력에 따라 게시물을 업로드 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업로드 시간 및 누적점수를 포함하는 게시물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시물과 게시물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업로드수신부;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들에게, 상기 게시물을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시간 순서에 따라 노출시키는 게시물 노출부;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누적점수에 저장하는 평가부; 및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을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 및 상기 게시물의 누적점수 순서에 따라, 상기 추출한 게시물들의 랭킹을 재설정하는 랭킹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서버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제1 사용자단말로부터 게시물을 업로드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업로드 시간 및 누적점수를 포함하는 게시물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들에게 상기 게시물을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시간 순서에 따라 노출시키며;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누적점수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한 후,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 및 상기 게시물의 누적점수 순서에 따라 상기 추출한 게시물들의 랭킹을 재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의하면, 게시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이슈가 되는 게시물의 정보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의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도가 반영된 게시물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설정기간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기간 내의 게시물에 대하여 랭킹별로 게시물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게시물의 성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화된 게시물들을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들이 각자 게시물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집단지성에 의한 게시물 평가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은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검증된 게시물에 대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검증된 게시물들을 설정기간과 결합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정기간의 설정에 따라 최신의 트랜드나 이슈 등을 확인하거나, 역사적이거나 기록적인 게시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시스템의 평가 UX(user experience)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시스템의 설정기간설정 UX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기간에 따른 게시물 랭킹 설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작성 UX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의 댓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즈니스 기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설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시스템은, 제1 사용자단말(1), 제2 사용자단말(2), 서비스서버(10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0) 및 게시물관리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시스템을 설명한다.
사용자단말(1, 2)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기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스크탑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도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 2)을 이용하여 서비스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들은 서비스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회원가입 등의 절차를 거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단말(1, 2)을 이용하여 서비스서버(100)에 사용자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사용자정보에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직업, 언어, 관심사항, 취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단말(1, 2)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사용자단말(1, 2)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1, 2)은 게시물을 서비스서버(100)에 업로드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물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게시물을 서비스서버(100)에 업로드하는 사용자단말을 제1 사용자단말(1),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사용자단말을 제2 사용자단말(2)로 구별하여 설명한다.
제1 사용자단말(1)은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게시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게시물을 서비스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물은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동영상, 음성파일, 음향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등에 저장된 게시물을 "공유하기"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서버(100)에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사용자단말(2)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1 사용자단말(1)이 업로드한 게시물들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단말(2)을 이용하여 게시물들을 확인하고, 각각의 게시물들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단말(2)은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가 반영된 게시물들의 랭킹을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는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게시물이나 과거 이슈가 되었던 게시물, 또는 많은 사용자에게 검증받은 게시물 등을 용이하게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제1 사용자단말(1), 제2 사용자단말(2)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단말(1), 제2 사용자단말(2)과의 통신을 통하여 게시물 공유, 게시물 랭킹 설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10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로드수신부(110), 게시물 노출부(120), 평가부(130) 및 랭킹설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서버(100)를 설명한다.
업로드수신부(110)는 제1 사용자단말(1)이 업로드하는 게시물들을 업로드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다양한 게시물 등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게시물들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단말(1)을 이용하여 게시물을 서비스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업로드수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게시물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업로드수신부(110)는 수신한 게시물들에 대한 게시물관리정보를 생성하고, 게시물관리정보를 게시물과 함께 게시물 관리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게시물관리정보에는 해당 게시물을 작성한 제1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업로드시간, 누적점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최초에 생성된 누적점수는 0일 수 있다.
한편, 업로드수신부(110)는 제1 사용자가 게시물을 용이하게 업로드할 수 있도록, 게시물 작성 UX(user experience)를 제1 사용자 단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업로드수신부(110)는 도8에 도시한 템플릿을 포함하는 게시물 작성 UX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게시물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이야기", "로드" 등을 선택하는 영역과, 이미지 등 첨부파일을 삽입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탬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탬플릿 내에 키워드를 입력하는 "검색어"영역과, "why", "what", "how" 등 본문텍스트를 입력하는 영역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는 업로드수신부(110)가 제공하는 게시물 작성 UX를 활용하여 손쉽게 게시물을 생성하고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게시물 노출부(120)는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한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2)들에게 게시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물 노출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게시물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을 확인한 후, 각각의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 순서에 따라 게시물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한 모든 제2 사용자단말(2)들은 동일한 게시물을 확인하고, 각각의 게시물들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게시물 노출부(120)가 게시물을 노출하는 모드에는 실시간 모드와 미래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실시간 모드의 경우, 제2 사용자단말(2)들이 접속한 기준시점 이전에 업로드된 게시물들을,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실시간모드의 경우에는 제2 사용자단말(2)이 접속한 기준시점부터 1분전에 업로드된 게시물을 먼저 출력하고, 이후 기준시점부터 5분전, 10분전에 업로드된 게시물 등이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미래모드인 경우에는 제2 사용자단말(2)이 접속한 기준시점 이후로 업로드되는 게시물들을 차례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2)이 접속한 기준시점부터 1분이 지난 시점에 업로드된 게시물이 먼저 출력되고, 이후 5분, 10분 이후에 업로드된 게시물 등이 차례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게시물 노출부(120)는 각각의 모드의 기준시점을 리셋하는 리셋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는 상기 리셋UX를 활용하여, 리셋된 기준시점에 따라 게시물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리셋 UX는 게시물의 우측상단에 표시되는 누적점수를 활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적점수를 터치하면 상기 기준시점이 리셋되어, 상기 누적점수를 터치한 시점부터 새롭게 게시물들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누적점수를 터치한 후 위로 드래그(drag)하면 "실시간 모드"로 동작하고, 우로 드래그하면 "미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게시물 노출부(120)는 제2 사용자의 선호사항에 따라, 각각의 제2 사용자단말(2)에게 노출하는 게시물 등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2)의 사용자는 게시물에 대한 선호사항 등을 서비스서버(100)에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시물 노출부(1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사항의 내용을 포함하는 게시물들을 우선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가 선호사항에 "낚시"를 포함시킨 경우, 게시물에 포함된 키워드나, 제목 등에 "낚시"가 포함된 게시물들이 상기 제2 사용자단말(20)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게시물 노출부(120)에 미래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업로드되는 게시물들 중에서 제2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한 카테고리나 선호사항에 대응하는 게시물들이 제2 사용자단말(2)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평가부(130)는 제2 사용자단말(2)로부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단말(2)을 이용하여 게시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한 게시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부(130)는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게시물에 대한 누적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평가부(130)는 개별 게시물에 대하여 각각의 제2 사용자단말(2)들이 입력하는 평가점수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후 수집한 평가점수를 실시간으로 누적점수에 합하여 누적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누적점수는 게시물관리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사용자단말(2)은 게시물 노출부(120)가 제공하는 실시간 모드 또는 미래모드에서 게시물들을 확인하고 각각의 게시물들에 대하여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평가부(130)는 제2 사용자의 평가점수를 입력받는 평가 UX를 제2 사용자단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가 게시물에 대하여 입력하는 평가에는 긍정평가와 부정평가가 있을 수 있으며, 긍정평가의 경우에는 평가점수 1점, 부정평가의 경우에는 평가점수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사용자단말(2)이 부여하는 평가점수를 긍정평가의 경우 +1, 부정평가의 경우 -1로 설정하는 등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긍정평가, 부정평가 이외에 관심없음 등의 항목을 더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평가 UX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단말(2)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가 게시물에 대한 긍정평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시물이 표시된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 중에서 기 설정된 상부영역을 터치하여 우에서 좌로 넘기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부(130)는 제2 사용자단말(2)에 인가된 상기 입력을 감지하여 긍정평가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 설정된 하부영역을 터치하여 우에서 좌로 넘기는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부정평가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게시물을 넘기는 방향은 우에서 좌, 좌에서 우, 위에서 아래, 아래에서 위 등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추가적으로, 평가부(130)는 제2 사용자가 자신이 긍정평가를 입력하는지 아니면 부정평가를 입력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식별콘텐츠를 제2 사용자단말(2)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단말(2)의 상부영역을 우에서 좌로 넘기거나, 하부영역을 우에서 좌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제2 사용자단말(2)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는 긍정평가 또는 부정평가에 대응하는 식별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콘텐츠는 캐릭터나 이미지, 영상, 색상 등일 수 있으며, 예를들어, 긍정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부영역을 푸른 색상으로 표시하고 부정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하부영역을 붉은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식별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UX 등을 통하여 제2 사용자단말(2)로부터 평가점수를 입력받은 경우, 평가부(130)는 평가점수를 입력한 제2 사용자단말(2)의 사용자정보를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게시물에 대하여 긍정평가를 한 사용자들의 성별이나 연령, 관심사항 등이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게시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등은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의 합이 동일하더라도 각각 평가점수를 준 사용자들의 연령이나 성별 등이 확연하게 구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10대 여성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게시물과 40대 남성 직장인이 좋아하는 게시물이 상이할 수 있으며, 낚시를 좋아하는 사용자와 자동차를 좋아하는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게시물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부(130)에서는 단순히 각각의 사용자로부터 평가점수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게시물에 대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한 사용자들의 사용자정보를 함께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하여, 이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평가부(130)는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게시물에 대하여 중복하여 평가점수를 입력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1명의 사용자가 평가점수를 반복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게시물에 대한 평가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평가부(130)는 각각의 사용자가 하나의 게시물에 대하여 평가점수를 한번만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사용자단말(2)로부터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평가부(130)는 해당 게시물의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게시물관리정보에 상기 제2 사용자단말(2)의 식별정보 등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2)이 동일한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중복입력하는 경우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평가부(130)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2)이 입력한 평가점수를 누적점수에 합산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평가부(130)는 해당 게시물의 누적점수가 게시물에 표시되도록 하여 각각의 제2 사용자단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게시물에 대한 누적점수(P)가 디스플레이영역의 우측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누적점수(P)를 통하여 해당 게시물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선호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누적점수(P)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UX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누적점수(P)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사용자들의 사용자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해당 게시물에 긍정평가를 부여한 사용자들의 성별 비율이나 연령대, 지역별 비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해당 게시물에 대하여 어떤 사용자들이 주로 긍정평가를 하는지 어떤 사용자들이 해당 게시물을 선호하는지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누적점수(P)를 짧게 터치하는 경우, 실시간 모드 또는 미래모드의 기준시간을 리셋하여, 상기 누적점수를 터치한 때를 기준으로 새로운 게시물들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랭킹설정부(150)는 제2 사용자단말(2)이 입력하는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게시물들의 업로드 시간 또는 누적점수에 따라 랭킹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랭킹설정부(150)는 설정된 랭킹에 따라 제2 사용자단말(2)에게 게시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설정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렬조건에 따라 게시물들을 정렬할 때,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과 누적점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단말(2)은 급상승 랭킹을 정렬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랭킹설정부(150)는 기 설정된 시작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기준시간간격 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작시점을 기 설정된 리셋시간 간격이 도과할 때마다 재설정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급상승 랭킹이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랭킹설정부(150)는 사용자단말(2)이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한 시점으로부터 6시간 전까지 업로드된 게시물들을 추출한 후, 각각의 게시물들의 누적점수를 비교하여 누적점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할 수 있으며, 10분의 리셋시간 간격이 도과하면 다시 시작시점을 설정하여 급상승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다수의 사용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순서로 게시물들이 정렬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게시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누적점수를 터치하면, 상기 누적점수를 터치하는 시점을 상기 시작시점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사용자단말(2)이 설정기간별 랭킹 또는 검색기간별 랭킹을 정렬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기간은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점까지의 기간이고, 검색기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사용자단말(2)이 설정한 설정기간 또는 검색기간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설정기간 또는 검색기간별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2)은 설정기간을 정렬조건이 설정된 때로부터 12시간, 1일, 일주일, 한달, 일년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기간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누적점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6시간 동안의 설정기간의 경우 431의 누적점수를 가지는 게시물이 랭킹 1위로 표시되어 정렬되지만, 설정기간을 12시간으로 확장하게 되면 627의 누적점수를 가지는 게시물이 랭킹 1위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설정기간을 24시간으로 확장한 경우에는 여전히 627의 누적점수를 가지는 게시물이 랭킹 1위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랭킹설정부(150)는 제2 사용자 단말(2)에게 설정기간설정 UX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는 설정기간설정 UX를 활용하여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설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기간설정 UX는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우측상단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적점수(P)가 표시된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즉, 랭킹설정부(150)는 제2 사용자가 우측상단영역의 누적점수(P)를 터치하여 아래로 드래그(drag)하여 내리는 거리를 감지한 후, 상기 거리에 비례하는 만큼을 설정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아래로 내리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12시간, 24시간, 3일, 일주일, 한달, 일년 등으로 설정기간이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기간의 시작시점은 제2 사용자단말(2)이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한 시점일 수 있으며, 이후 제2 사용자가 누적점수(P)를 터치한 시점으로 상기 시작시점을 리셋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사용자가 누적점수(P)로 표시된 부분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상기 검색기간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설정하는 UX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UX를 통하여 검색기간의 시작시점과 종료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UX는 달력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하는 달력의 날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우측상단영역(P)을 터치한 후 위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실시간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우측상단영역(P)을 터치한 후 우로 드래그하면 미래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등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제2 사용자단말(2)은 정렬조건을 카테고리별 랭킹 또는 키워드별 랭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랭킹설정부(150)는 제2 사용자단말(2)로부터 제2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 카테고리 또는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게시물들 또는 상기 선택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여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카테고리별 랭킹 또는 키워드별 랭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는 제1 사용자가 게시물을 업로드할 때 해당 게시물에 대하여 설정한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일 수 있다. 한편, 랭킹설정부(150)는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별 랭킹을 설정하는 경우에, 각각의 게시물의 업로드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설정기간 내에 포함되는 게시물들 중에서 상기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게시물들 중에서 누적점수에 따른 랭킹을 설정하여, 상기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별 랭킹으로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가 3개월의 설정기간을 미리 설정한 후, "신발"의 키워드를 검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랭킹설정부(150)는 "신발"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게시물들 중에서 3개월 내에 업로드된 게시물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게시물들을 누적점수 순서로 정렬하여 "신발" 키워드의 랭킹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랭킹설정부(150)는 각각의 게시물에 대해 평가점수를 입력한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정보에 따른 랭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정보에는 각각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관심사항, 취미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20대 여성이 선호하는 게시물"에 대하여 랭킹을 설정하여 제공하거나, "테니스를 취미로 하는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게시물"에 대한 랭킹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랭킹설정부(150)는 각각의 게시물관리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정보로부터 각각의 정렬조건에 해당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여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랭킹설정부(150)가 복수의 정렬조건을 적용하여 랭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정렬조건으로 급상승 랭킹과 사용자 정보에 따른 랭킹을 결합하거나, 카테고리별 랭킹과 키워드별 랭킹을 결합하는 등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연령별에 대한 급상승 랭킹"이나 "드라마 카테고리 내에 공유와 관련된 랭킹"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랭킹설정부(150)는 제2 사용자단말(2)이 입력한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게시물들을 각각의 게시물들의 업로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랭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2)이 정렬조건으로 3월 16일부터 3월 17일까지의 검색기간을 설정한 경우, 랭킹설정부(150)는 3월 16일부터 3월 17일까지 업로드된 게시물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게시물들을 최신순으로 정렬하는 방식으로 랭킹을 설정하여 제2 사용자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카테고리별 랭킹, 키워드별 랭킹, 급상승 랭킹 등을 누적점수 순서가 아닌 업로드 시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들은 랭킹설정부(150)가 제공하는 게시물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한 게시물들에 대하여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부(140)에서는 사용자들의 입력을 확인하여 게시물의 누적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설정부(150)에서 추출한 각각의 게시물들의 누적점수가 동일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랭킹설정부(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점인 게시물의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2)들이 각각의 게시물을 열람한 열람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열람시간의 평균을 계산하여, 평균열람시간이 긴 게시물을 우선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들이 각각의 게시물에 대하여 댓글이나 댓글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는 UX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은 게시물에 대하여 댓글을 남김으로써 게시물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인상 등을 남길 수 있으며, 댓글을 확인한 다른 사용자들은 게시물 이외에 댓글에 대한 평가도 남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댓글과 함께 표시되는 댓글선호점수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댓글에 대한 긍정평가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댓글선호점수가 1 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댓글은 입력한 순서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거나,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댓글을 댓글선호점수 순서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들이 각각의 게시물을 통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매매할 수 있는 비즈니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들에게 비즈니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즈니스 UX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즈니스 UX는 디스플레이부의 상단에 바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 상단을 쓸어내리는 방식으로 입력하여, 상기 바형태의 비즈니스 UX가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동산 중개업자는 서비스서버(100)에 자신이 판매할 부동산 매물을 게시물로 업로드 할 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에 대한 누적점수도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누적점수는 게시물 자체에 대한 각각의 사용자들의 평가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게시물을 올린 부동산 중개업자에 대한 평가일 수 있다. 만약, 누적점수가 부동산 중개업자에 대한 평가인 경우에는, 실제 해당 부동산 중개업자와 거래를 수행한 사용자에 한하여 누적점수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부동산중개업자와 사용자 사이의 메시지 전송을 중계하여, 부동산 거래가 성사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채 등의 중고상품을 사용자들이 직거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서비스서버(100)는 거래 요청서 등을 입력하는 탬플릿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들 사이의 메시지를 중계하여, 거래가 성사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서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즉,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100)는 프로세서(p), 메모리(m) 등의 물리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m) 내에는 상기 프로세서(p)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에는, 업로드수신모듈, 게시물노출모듈, 평가모듈 및 랭킹설정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메모리(m)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변인터페이스부(i)는, 컴퓨터 장치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p), 메모리(m)에 연결할 수 있으며, 메모리 제어기(c)는 프로세서나 컴퓨터 장치의 구성요소가 메모리(m)에 접근하는 경우에, 메모리 액세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p), 메모리 제어기(c) 및 주변인터페이스부(i)를 단일 칩 상에 구현하거나, 별개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m)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메모리(m)에는, 프로세서(p)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장치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 저장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메모리(m)에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응용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업로드모듈, 게시물 노출모듈, 평가모듈, 랭킹설정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모듈들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집합으로 메모리(m)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서버(100)는, 프로세서(p)가 상기 메모리(m)에 액세스하여 각각의 모듈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결과로 제2 사용자단말(2)에게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반영한 게시물들의 랭킹을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업로드모듈, 게시물 노출모듈, 평가모듈 및 랭킹설정모듈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방법은 업로드단계(S100), 게시물 노출단계(S200), 평가단계(S300), 랭킹설정단계(S400) 및 랭킹제공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시물 랭킹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업로드 단계(S1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단말의 입력에 따라 게시물을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파일, 음향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게시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게시물들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게시물을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게시물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업로드 단계(S100)에서 서비스서버는 수신한 게시물들에 대한 게시물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게시물관리정보는 게시물과 함께 게시물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물관리정보에는 해당 게시물을 업로드한 제1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업로드시간, 누적점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업로드 단계(S100)에서는, 제1 사용자가 게시물을 용이하게 업로드할 수 있도록, 게시물 작성 UX가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게시물 노출단계(S2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들에게 게시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물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을 확인한 후, 각각의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 순서에 따라 게시물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 이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모든 제2 사용자단말들은 동일한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게시물들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게시물에는 평가단계(S300)에서 평가한 평가점수가 반영된 누적점수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게시물 노출단계(S200)에서는, 게시물을 노출시키는 모드로 실시간 모드 또는 미래모드를 활용할 수 있다. 먼저, 실시간 모드의 경우, 제2 사용자단말들이 접속한 기준시점 이전에 업로드된 게시물들을,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실시간모드의 경우에는 제2 사용자단말이 접속한 기준시점부터 1분전에 업로드된 게시물이 먼저 출력되고, 이후 순차적으로 기준시점부터 5분전, 10분전에 업로드된 게시물들이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미래모드인 경우에는 제2 사용자단말이 접속한 기준시점 이후로 업로드되는 게시물들을 차례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이 접속한 기준시점부터 1분이 지난 시점에 업로드된 게시물이 먼저 출력되고, 이후 5분, 10분 이후에 업로드된 게시물 등이 차례대로 노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게시물 노출단계(S200)에서는 각각의 모드의 기준시점을 리셋하는 리셋UX(user experience)를 제2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는 상기 리셋UX를 활용하여, 리셋된 기준시점에 따라 게시물들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리셋 UX는 게시물의 우측상단에 표시되는 누적점수를 활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적점수를 터치하면 상기 기준시점이 리셋되어, 상기 누적점수를 터치한 시점부터 새롭게 게시물들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누적점수를 터치한 후 위로 드래그(drag)하면 "실시간 모드"로 동작하고, 우로 드래그하면 "미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게시물 노출단계(S200)에서는 제2 사용자의 선호사항에 따라, 각각의 제2 사용자단말에게 노출하는 게시물 등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는 게시물에 대한 선호사항 등을 서비스서버에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비스서버는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사항의 내용을 포함하는 게시물들을 우선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가 선호사항에 "낚시"를 포함시킨 경우, 게시물에 포함된 키워드나, 제목 등에 "낚시"가 포함된 게시물들이 상기 제2 사용자단말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업로드되는 게시물들 중에서 제2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한 카테고리나 선호사항에 대응하는 게시물들만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평가단계(S3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게시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한 게시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단계(S300)에서는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게시물에 대한 누적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평가단계(S3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각각의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평가점수들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가 게시물에 대하여 입력하는 평가에는 긍정평가와 부정평가가 있을 수 있으며, 긍정평가의 경우에는 평가점수 1점, 부정평가의 경우에는 평가점수 0점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평가단계(S300)에서 제2 사용자의 평가점수를 입력하는 평가 UX를 제2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단말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가 게시물에 대한 긍정평가를 입력하고자 할 때, 게시물이 표시된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상부영역을 터치하여 우에서 좌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는 제2 사용자단말에 인가된 상기 입력을 감지하여 긍정평가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 설정된 하부영역을 터치하여 우에서 좌로 넘기는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부정평가로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평가단계(S300)에서는 제2 사용자가 자신이 긍정평가를 입력하는지 아니면 부정평가를 입력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식별콘텐츠를 제2 사용자단말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단말의 상부영역을 우에서 좌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긍정평가에 대응하는 식별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단말의 하부영역을 우에서 좌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부정평가에 대응하는 식별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콘텐츠는 캐릭터나 이미지, 영상, 색상 등일 수 있다. 예를들어, 긍정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부영역을 푸른 색상으로 표시하고 부정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하부영역을 붉은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식별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가 평가 UX 등을 통하여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평가점수를 입력받는 경우, 평가점수를 입력한 제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를 해당 게시물에 대응하는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정보는, 제2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직업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게시물에 대하여 긍정평가를 한 사용자들의 성별이나 연령, 관심사항 등이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게시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등은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의 합이 동일하더라도 각각 평가점수를 준 사용자들의 연령이나 성별 등이 확연하게 구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평가단계(S300)에서는 단순히 각각의 사용자로부터 평가점수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게시물에 대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한 사용자들의 사용자정보를 함께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하여, 이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가단계(S300)에서는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게시물에 대하여 중복하여 평가점수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평가단계(S300)에서는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해당 게시물의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들을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평가점수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 등이 포함된 경우에는, 동일한 게시물에 대한 중복입력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해당 평가점수의 입력은 제외시킬 수 있다.
한편, 평가단계(S300)에서는 해당 게시물의 누적점수가 게시물에 표시되도록 하여 각각의 제2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누적점수(P)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UX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누적점수(P)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사용자들의 사용자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해당 게시물에 긍정평가를 부여한 사용자들의 성별 비율이나 연령대, 지역별 비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해당 게시물에 대하여 어떤 사용자들이 주로 긍정평가를 하는지 어떤 사용자들이 해당 게시물을 선호하는지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누적점수(P)를 짧게 터치하는 경우, 실시간 모드 또는 미래모드의 기준시간을 리셋하여, 상기 누적점수를 터치한 때를 기준으로 새로운 게시물들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랭킹설정단계(S4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한 게시물들의 업로드 시간 또는 누적점수에 따라 랭킹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정렬조건에 따라 게시물들을 정렬할 때,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과 누적점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단말은 급상승 랭킹을 정렬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서버는 기 설정된 시작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기준시간간격 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작시점을 기 설정된 리셋시간 간격이 도과할 때마다 재설정하여, 지속적으로 급상승 랭킹을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랭킹설정단계(S500)에서는 현재로부터 6시간 전까지 업로드된 모든 게시물들을 추출한 후, 각각의 게시물들의 누적점수를 비교하여 누적점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할 수 있으며, 5분의 리셋시간 간격이 도과하면 다시 시작시점을 설정하여 급상승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다수의 사용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순서로 게시물들이 정렬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게시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누적점수를 터치하면, 상기 누적점수를 터치하는 시점을 상기 시작시점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사용자단말이 정렬조건으로 설정기간별 랭킹 또는 검색기간별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기간은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점까지의 기간이고, 검색기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사용자단말이 설정한 설정기간 또는 검색기간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설정기간별 또는 검색기간별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은 설정기간을 12시간, 1일, 일주일, 한달, 일년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기간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누적점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설정기간설정 UX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단말은 설정기간설정 UX를 활용하여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설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설정기간설정 UX는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우측상단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서비스서버는 제2 사용자가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하여 아래로 드래그(drag)하여 내리는 거리를 감지한 후, 상기 거리에 비례하는 만큼을 설정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아래로 내리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12시간, 24시간, 3일, 일주일 등으로 설정기간이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기간의 시작시점은 제2 사용자단말이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시점일 수 있으며, 이후 제2 사용자가 누적점수를 터치한 시점으로 상기 시작시점을 리셋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사용자가 누적점수로 표시된 부분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검색기간의 시작시점과 종료지점을 설정하는 UX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UX를 통하여 검색기간의 시작시점과 종료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UX는 달력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하는 달력의 날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한 후 위로 드래그 경우에는 실시간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한 후 우로 드래그하면 미래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등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제2 사용자단말은 정렬조건으로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별 랭킹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서비스서버는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 카테고리 또는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여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카테고리별 랭킹 또는 키워드별 랭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는, 제1 사용자가 게시물을 업로드할 때 해당 게시물에 대하여 설정한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일 수 있다. 한편, 랭킹설정단계(S500)에서는 카테고리별 랭킹 또는 키워드별 랭킹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게시물의 업로드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설정기간 내에 포함되는 게시물들 중에서 상기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게시물들 중에서 누적점수에 따른 랭킹을 설정하여, 상기 카테고리별 랭킹 또는 키워드별 랭킹으로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비스서버는 각각의 게시물에 대해 평가점수를 입력한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정보에 따른 랭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20대 여성이 선호하는 게시물에 대하여 랭킹을 설정하여 제공하거나, 테니스를 취미로하는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게시물에 대한 랭킹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서비스서버는 각각의 게시물관리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정보로부터 각각의 정렬조건에 해당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여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랭킹설정단계(S500)에서는 복수의 정렬조건을 적용하여 랭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랭킹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급상승 랭킹과 사용자 정보에 따른 랭킹을 결합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랭킹설정단계(S500)에서는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한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게시물들을 각각의 게시물들의 업로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랭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2 사용자단말이 정렬조건으로 3월 16일부터 3월 17일까지의 검색기간을 설정한 경우, 서비스서버는 3월 16일부터 3월 17일 사이에 업로드된 게시물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게시물들을 최신순으로 정렬하는 방식으로 랭킹을 설정하여 제2 사용자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카테고리별 랭킹, 키워드별 랭킹, 급상승 랭킹 등을 누적점수 순서가 아닌 업로드 시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설정단계(S500)에서 추출한 각각의 게시물들의 누적점수가 동일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서버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점인 게시물의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들이 각각의 게시물을 열람한 열람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열람시간의 평균을 계산하여, 평균열람시간이 긴 게시물을 우선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랭킹 제공단계(S5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랭킹순으로 정렬된 게시물을 제2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는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게시물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정렬조건을 설정하여 게시물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는 설정기간을 짧게 설정하여 최신의 트랜드나 최신 핫 이슈가 반영된 게시물들을 선별적으로 확인하거나, 설정기간을 길게 설정하여 장기간 이슈된 게시물이나 역사적 기록적인 게시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들은 랭킹제공단계(S500)에서 제공하는 게시물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한 게시물들에 대하여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단계(S400)로 진행하여 사용자들의 평가점수에 대응하는 누적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제1 사용자단말 2: 제2 사용자단말
100: 서비스 서버 110: 업로드수신부
120: 게시물 노출부 130: 평가부
140: 랭킹설정부
S100: 업로드단계 S200: 게시물 노출단계
S300: 평가단계 S400: 랭킹설정단계
S500: 랭킹제공단계

Claims (17)

  1.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단말의 입력에 따라 게시물을 업로드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업로드 시간 및 누적점수를 포함하는 게시물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시물과 게시물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업로드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사용자단말들에게, 상기 게시물을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시간 순서에 따라 노출시키는 게시물 노출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상기 게시물에 대한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누적점수에 저장하는 평가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정렬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시간 및 상기 게시물의 누적점수 순서에 따라, 상기 추출한 게시물들의 랭킹을 재설정하는 랭킹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시물 노출단계는 실시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접속한 기준시점 이전에 업로드된 게시물들을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노출시키고, 미래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접속한 기준시점 이후로 업로드되는 게시물들을 차례대로 노출시키며;
    상기 평가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게시물에 대하여 긍정평가하는 경우에는 1, 부정평가를 하는 경우에는 0을 입력하고,
    상기 게시물이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상부영역을 터치하여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긍정평가로 인식하고, 상기 상부영역을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상부영역을 긍정평가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하부영역을 터치하여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부정평가로 인식하며, 상기 하부영역을 옆으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하부영역을 부정평가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평가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평가점수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를 상기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가, 해당 게시물의 누적점수가 게시물에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제2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며, 상기 누적점수를 소정 시간 이상 누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게시물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사용자들의 사용자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누적점수를 짧게 터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실시간 모드 또는 미래모드의 기준시간을 리셋하여 상기 누적점수를 터치한 때를 기준으로 새로운 게시물들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랭킹설정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각각의 상기 게시물들의 누적점수가 동일한 경우, 복수의 상기 제2 사용자단말들이 각각의 상기 게시물을 열람한 열람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열람시간의 평균을 계산하여, 평균 열람시간이 긴 게시물을 우선순위로 설정하며;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및 직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가, 상기 랭킹순으로 정렬된 상기 게시물을 상기 제2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는 랭킹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은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동영상, 음성파일, 음향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게 상기 게시물의 카테고리, 키워드, 본문텍스트 및 첨부파일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하는 게시물 작성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게시물관리정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평가점수가 동일한 게시물에 대한 중복입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중복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입력하는 상기 평가점수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설정단계는
    상기 정렬조건이 급상승 랭킹이면, 기 설정된 시작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기준시간간격 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상기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급상승 랭킹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시작시점을 기 설정된 리셋시간 간격이 도과할 때마다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설정단계는
    상기 정렬조건이 설정기간별 랭킹이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설정기간설정 UX(user experience)를 이용하여 설정기간을 설정하면, 상기 설정기간동안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상기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설정기간별 랭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간설정 UX는
    상기 게시물이 표시된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기 설정된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하여 아래로 드래그(drag)하여 내리는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설정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간설정 UX는
    상기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설정기간의 시작시점을 상기 우측상단영역을 터치한 시점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설정단계는
    상기 정렬조건이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별 랭킹이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검색 카테고리 또는 검색 키워드와 설정기간을 설정하면, 상기 설정기간 내에 업로드된 게시물들 중에서 상기 검색 카테고리에 포함되거나 상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게시물들을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들 중에서 상기 누적점수가 높은 게시물의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카테고리별 랭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34394A 2016-03-18 2017-03-20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102182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976 2016-03-18
KR20160032976 2016-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890A KR20170108890A (ko) 2017-09-27
KR102182717B1 true KR102182717B1 (ko) 2020-11-24

Family

ID=5985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394A KR102182717B1 (ko) 2016-03-18 2017-03-20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2717B1 (ko)
WO (1) WO20171601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25B1 (ko) * 2018-03-27 2020-10-06 주식회사 데이터블 해시태그 기반 이미지 콘테스트를 통한 마케팅 방법
CN111144973B (zh) * 2019-11-29 2023-07-25 深圳市嘀哒知经科技有限责任公司 问题排名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73916B1 (ko) * 2021-03-04 2022-12-06 주식회사 텐원더스 인플루언서 채널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517321B1 (ko) * 2022-01-03 2023-04-03 (주)엠디에스인텔리전스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7098B1 (ko) * 2022-11-17 2023-02-07 주식회사 스케줄코퍼레이션 재고량을 고려한 제품 주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11B1 (ko) * 2010-02-09 2011-06-08 김경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035745A (ja) * 2014-07-31 2016-03-17 エヌエイチエヌ 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コーポレーション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アプリストアとタイムラインを連携させて掲示物を推薦する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351A (ko) * 2006-02-21 2007-08-24 이동훈 컨텐츠 유통을 이용한 연예인 후보 캐스팅 방법
KR100859918B1 (ko) * 2007-08-09 2008-09-23 김서준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하여 검색된 컨텐츠를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105586A (ko) * 2011-03-03 2012-09-26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순위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순위 목록 제공 방법
KR101415184B1 (ko) * 2012-02-23 2014-07-07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15867A (ko) * 2012-07-26 2014-02-07 류승훈 인터넷을 이용한 저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8504B1 (ko) * 2013-06-28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34400B1 (ko) * 2013-07-08 2021-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616843B1 (ko) * 2014-06-17 2016-05-02 김강호 타겟 컨텐츠 등록, 평가와 보상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서버와 방법
KR101568800B1 (ko) 2014-08-25 2015-11-16 주식회사 카카오 실시간 이슈 검색어 선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11B1 (ko) * 2010-02-09 2011-06-08 김경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035745A (ja) * 2014-07-31 2016-03-17 エヌエイチエヌ 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コーポレーション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アプリストアとタイムラインを連携させて掲示物を推薦する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0133A2 (ko) 2017-09-21
WO2017160133A3 (ko) 2018-08-02
KR20170108890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717B1 (ko)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Zimmerman et al. Social media marketing all-in-one for dummies
US107282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a question
US20150242525A1 (en) System for referring to and/or embedding posts within other post and posts within any part of another post
US116758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tity extraction and disambiguation
US20170097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US20190332605A1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ranking blended content retrieved from multiple disparate content sources
US9720974B1 (en) Modifying user experience using query fingerprints
US11232522B2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blending online content from multiple disparate content sources including a personal content source or a semi-personal content source
US20230179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ard
KR102453535B1 (ko)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0836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online research
US201700981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completing a task
US8725795B1 (en) Content segment optimization techniques
US97674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ard based on intent
US201700981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nthetic answers to a personal question
US10929905B2 (en) Method, system and machine-readable medium for online task exchange
US10997254B1 (en) 1307458USCON1 search engine optimization in social question and answer systems
US20140310200A1 (en) Social Investing Network (SIN) that use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or personal computers to conduct business investments and social connectivity for the Crowd Funding Industry from within a single Network configuration by means of CrowdBoarding
US9760930B1 (en) Generating modified search results based on query fingerprints
US9218399B2 (en) Global value networks
KR102358495B1 (ko) 큐레이션을 통한 동영상 및 카드 뉴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304111B1 (en) Category ranking based on query fingerprints
US20200159798A1 (en) Optimized artificial intelligence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response to search queries
US9727614B1 (en) Identifying query fingerpr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