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411B1 -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411B1
KR101039411B1 KR1020100012096A KR20100012096A KR101039411B1 KR 101039411 B1 KR101039411 B1 KR 101039411B1 KR 1020100012096 A KR1020100012096 A KR 1020100012096A KR 20100012096 A KR20100012096 A KR 20100012096A KR 101039411 B1 KR101039411 B1 KR 10103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traffic information
drag
information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서
Original Assignee
김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서 filed Critical 김경서
Priority to KR102010001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3Systems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passive traffic signs by mean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스마트폰 및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 상의 제1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IN REAL TIME}
개시된 기술은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로 정의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일반 전화 서비스는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통해서 이용될 수 있고, 데이터 서비스는 무선랜(Wireless LAN)을 통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개인 정보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스마트폰 및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 상의 제1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폰 및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 상의 제1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스마트폰 및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 상의 제1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10),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 및 교통 정보 수집 서버(13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10)과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 및/또는 무선랜(WLAN, Wireless LAN)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와 교통 정보 수집 서버(130)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Navigation 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10)은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고 다운로드받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에 상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스마트폰(110)의 화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폰(110)은 사용자 제어 하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을 터치하는 경우 스마트폰(110)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스마트폰(110)의 부팅시에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의 제어 하에 지도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통해 얻은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의 제어 하에 지도를 디스플레이한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지도를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도 상의 소정의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해당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터치된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두번 연속으로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지도를 줌아웃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디스플레이된 지도에서 제1 영역(310)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제1 영역(310)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영역(310)을 중심으로 줌인한 지도를 나타낸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control)들을 통해 지도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인 컨트롤이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줌아웃 컨트롤이 터치된 경우에는 지도를 줌아웃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drag)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교통 정보 확인 컨트롤이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 외의 다른 영역이 터치된 후 드래그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방향으로 지도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를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지도 상에 드래그 경로를 디스플레이한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드래그 경로(510)는 '서울대입구역'에서부터 시작하여 '낙성대입구역'을 경유하여 '사당역'까지 드래그된 경우의 드래그 경로이다.
드래그가 종료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로 설정 완료 컨트롤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를 결정하고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를 결정하고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드래그 경로(510)의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인 '서울대입구역'의 위치 정보,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인 '사당역'의 위치 정보 및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인 '낙성대역'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가 시작된 때부터 드래그가 종료될 때까지 위치 정보 또는 경유지 정보를 인식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후 드래그 경로 상의 소정의 위치가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후 드래그 경로 상의 소정의 위치가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의 드래그 시작 위치에서부터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된 위치까지의 기 설정된 경로와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된 위치에서부터 도로를 따라 새롭게 드래그된 새로운 경로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의 드래그 종료 위치에서부터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된 위치까지의 기 설정된 경로와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된 위치에서부터 도로를 따라 새롭게 드래그된 새로운 경로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시작 위치 또는 드래그 종료 위치 중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된 위치와 가까운 위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위치 및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드래그 경로가 다시 설정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다시 설정된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경로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대한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도로 정보 제공 서버(120)에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지도에서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대한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스마트폰(11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 정보는 도로명, 도로의 길이, 도로 주변의 업체, 연결된 도로, 도로의 종착지, 카메라 위치, 정규 속도, 도로의 날씨 및/또는 도로 노면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교통 정보는 정체 구간, 사고 구간, 공사 구간, 통제 구간, 구간별 상황 및/또는 구간별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교통 정보 수집 서버(130)에 저장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검색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스마트폰(110)에 전송한다. 교통 정보 수집 서버(130)는 도로에 대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교통 정보 수집 서버(130)에 저장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스마트폰(110)에 전송한다. 지도에서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교통 정보 수집 서버(130)에 저장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스마트폰(110)에 전송한다.
도 6은 도 1의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입출력부(610), 도로 정보 검색부(620), 교통 정보 검색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610)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의 외부에 있는 장치와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110)과 교통 정보 수집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 정보 검색부(620)는 제어부(640)의 제어 하에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도로 정보를 검색한다. 또는, 도로 정보 검색부(620)는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도로 정보를 검색한다. 교통 정보 검색부(630)는 제어부(640)의 제어 하에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실시간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 또는, 교통 정보 검색부(630)는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교통 정보 정보를 검색한다. 제어부(640)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이 드래그 경로에 대한 실시간 교통 정보 중 구간별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에 대한 구간별 상황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제1 구간(710)은 현재 정체되고 있고, 제2 구간(720)은 현재 지체되고 있으며, 제3 구간(730)은 현재 교통이 원활하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 중 설정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에 진입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경로 진입을 알리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GPS 모듈을 통해 얻은 현재 위치와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경로 진입 여부를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현재 위치에 대한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폰(110)은 사용자의 제어 하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단계 S810),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지도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820).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를 통해 경로를 입력받는다(단계 S830). 일 실시예에서, 교통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교통 정보 확인 컨트롤이 터치된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후 드래그 경로 상의 소정의 위치가 터치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드래그 경로에 관한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전송한다(단계 S840).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경로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경로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에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수신된 드래그 경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S850). 일 실시예에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 일 실시예에서,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기초로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
교통 정보 제공 서버(120)는 스마트폰(110)에 검색된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전송하고(단계 S860),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870).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에 진입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경로 진입을 알리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10)은 현재 위치에 대한 도로 정보 및/또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하여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경로에 대한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에 대한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스마트폰 및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지도 상의 제1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함-;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 상에 상기 드래그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소정의 위치가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터치된 위치에서부터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시작 위치 또는 상기 드래그 종료 위치에서부터 상기 터치된 위치까지의 기 설정된 경로와 상기 터치된 위치에서부터 드래그된 새로운 경로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경로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지도에서 상기 폐곡선과 만나는 도로에 관한 식별자, 상기 폐곡선과 도로가 만나는 위치 및 상기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에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경로 진입을 알리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8. 스마트폰 및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 상의 제1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드래그 경로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폐곡선 안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10. 스마트폰 및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도로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스마트폰; 및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 상의 제1 영역이 소정의 시간동안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를 줌인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지도 상에서 도로를 따라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시작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상기 지도에서 드래그 종료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경유지 정보를 포함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도로의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도로 정보 및/또는 상기 도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00012096A 2010-02-09 2010-02-09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96A KR101039411B1 (ko) 2010-02-09 2010-02-09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96A KR101039411B1 (ko) 2010-02-09 2010-02-09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411B1 true KR101039411B1 (ko) 2011-06-08

Family

ID=4440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96A KR101039411B1 (ko) 2010-02-09 2010-02-09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4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829A1 (en) * 2014-08-01 2016-02-04 Mobile Data Labs, Inc. Mobile device distance tracking
KR20160017164A (ko) * 2014-07-31 2016-02-1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교통 정보 생성 방법
KR20160041031A (ko) * 2016-03-24 2016-04-15 네이버 주식회사 실시간 교통정보 음성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08890A (ko) * 2016-03-18 2017-09-27 강용직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CN114094694A (zh) * 2021-10-20 2022-02-25 深圳市微信联科技有限公司 一种拖拽式智能断路器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684A (ko) * 2003-05-10 2004-11-17 팅크웨어(주) 네비게이션 용 지도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40105389A (ko) * 2003-06-09 2004-12-16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2245A (ko) * 2004-07-01 2006-01-09 (주) 만도맵앤소프트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684A (ko) * 2003-05-10 2004-11-17 팅크웨어(주) 네비게이션 용 지도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40105389A (ko) * 2003-06-09 2004-12-16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2245A (ko) * 2004-07-01 2006-01-09 (주) 만도맵앤소프트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164A (ko) * 2014-07-31 2016-02-1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교통 정보 생성 방법
KR102197197B1 (ko) * 2014-07-31 2021-01-04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교통 정보 생성 방법
WO2016018829A1 (en) * 2014-08-01 2016-02-04 Mobile Data Labs, Inc. Mobile device distance tracking
US9721305B2 (en) 2014-08-01 2017-08-01 Mobile Data Labs, Inc. Mobile device distance tracking
US11017481B2 (en) 2014-08-01 2021-05-25 Mileiq Llc Mobile device distance tracking
US11972492B2 (en) 2014-08-01 2024-04-30 Mileiq Inc. Mobile device distance tracking
KR20170108890A (ko) * 2016-03-18 2017-09-27 강용직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102182717B1 (ko) * 2016-03-18 2020-11-24 강용직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20160041031A (ko) * 2016-03-24 2016-04-15 네이버 주식회사 실시간 교통정보 음성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1699064B1 (ko) * 2016-03-24 2017-01-23 네이버 주식회사 실시간 교통정보 음성 안내 방법 및 시스템
CN114094694A (zh) * 2021-10-20 2022-02-25 深圳市微信联科技有限公司 一种拖拽式智能断路器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895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KR102612963B1 (ko) 대안 경로들
US9739632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US10612935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KR102400593B1 (ko) 트래픽 혼잡 경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N112683287A (zh) 路径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039411B1 (ko)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4762A (ko) 다중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80062444A (ko) 길 안내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차량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