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560B1 - Loading apparatus for a car - Google Patents

Loading apparatus for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560B1
KR102182560B1 KR1020190042657A KR20190042657A KR102182560B1 KR 102182560 B1 KR102182560 B1 KR 102182560B1 KR 1020190042657 A KR1020190042657 A KR 1020190042657A KR 20190042657 A KR20190042657 A KR 20190042657A KR 102182560 B1 KR102182560 B1 KR 10218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extension frame
exten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0149A (en
Inventor
고인영
Original Assignee
고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영 filed Critical 고인영
Priority to KR102019004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560B1/en
Publication of KR2020012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1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짐을 받치는 연장 프레임이 차량 입구 밖까지 슬라이딩식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짐을 차량 밖 또는 안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짐의 무게로 인해 연장 프레임이 휘어지는 경우, 연장 프레임의 앞단 및 뒷단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그 휘어짐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연장 프레임을 상부로 올려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 프레임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작업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인력을 줄이고 혼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인력이 감소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oading device capable of moving a load using a sl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frame supporting the luggage is slidably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entrance, and thus,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luggage outside or inside the vehic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the extension frame is bent due to the weight of the luggage, the extension frame The degree of warpage can be detected by sensor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frame can be raised upward using a hydraulic cylinder, and thus the extension frame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ly,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work safety can be improved, manpower inside the vehicle can be reduced, work can be performed alone, and manpower can be reduced.

Description

차량용 적재장치{LOADING APPARATUS FOR A CAR}Vehicle loading device {LOADING APPARATUS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oading device.

차량용 적재장치에 짐을 올리거나, 차량용 적재장치에서 짐을 내리기 위해서는, 한 사람이 차량의 적재장치에 들어가서 짐을 밖으로 내어주거나, 짐을 차량 내부로 올려주어야 한다. In order to load a load on a vehicle loading device or unload a load from a vehicle loading device, a person must enter the vehicle loading device and unload the luggage outside or put the luggage inside the vehicle.

따라서, 짐을 차량에 싣거나 차량 밖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특히, 많은 짐을 옮기거나 무거운 짐을 옮기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Therefore, a lot of manpower is required to load a load on or off the vehicle. In particular, more manpower is required to carry a large amount of load or to carry a heavy load.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998-082750호 "트렁크실의 슬라이딩패널"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082750 "Sliding panel of trunk room"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66026호 "픽업차량 적재함용 슬라이딩 선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266026 "Sliding shelf for pickup vehicle loading box"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provide a vehicle loading device capable of moving luggage using a sliding metho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3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짐이 올려지는 적재 프레임(140); 및A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main frame 110 mounted on a vehicle; An auxiliary frame 120 that moves in a sliding manner within the main frame 110; An extension frame 130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main frame 110 along the main frame 110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loading frame 140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and on which luggage is placed; And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It includes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130, and the auxiliary frame 12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the extension frame 130 or inside the main frame 110. It is inserted, and two main frames 1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vehicle.

본 발명에 의하면 짐을 받치는 연장 프레임이 차량 입구 밖까지 슬라이딩식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짐을 차량 밖 또는 안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frame for supporting the luggage is slidably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entr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luggage outside or inside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짐의 무게로 인해 연장 프레임이 휘어지는 경우, 연장 프레임의 앞단 및 뒷단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그 휘어짐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연장 프레임을 상부로 올려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 프레임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작업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nsion frame is bent due to the weight of the luggage, the degree of bending can be detected by sensor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extension frame.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frame can be raised upward using a hydraulic cylinder, and thus the extension frame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Therefore,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work safe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인력을 줄이고 혼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력이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power inside the vehicle can be reduced and the work can be performed alone, and thus, the manpower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짐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1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ugg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the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짐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특히, 도 3의 (a)는 짐이 차량의 외부로 빠져 나오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차량의 외부로 빠져 나온 짐을 나타내고, 도 4의 (a)는 차량용 적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차량용 적재장치의 끝단을 나타낸다. 즉,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우측에서 차량용 적재장치를 바라본 옛도이다. Figure 1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 is discharged from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the vehicle loading device,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uggage comes ou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FIG. 3 (b) shows the load that comes out of the vehicle, and FIG. 4 (a) shows the side of the vehicle loading device. 4(b) shows the end of the vehicle loading device. That is, (b) of FIG. 4 is an old view of the vehicle loading device from the right side of (a) of FIG. 4.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0)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3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짐이 올려지는 적재 프레임(14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main frame 110 mounted on the vehicle 300, the auxiliary frame that moves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main frame 110 ( 120), an extension frame 130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main frame 110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moving along the main frame 110,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and loads It includes a loading frame 140 and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130, and the auxiliary frame 12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the extension frame 130 or the The main frame 11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two main frames 1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첫째,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차량(300)의 오픈된 배면 방향으로 배치된다.First, the main frame 110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vehicle 300.

상기 차량(300)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Two main frames 1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hicle 30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차량(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차량(300)의 오픈된 배면이 배면 도어에 의해 닫혀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는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00. That is, the length of the main frame 11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vehicle 300 can be closed by the rear door.

둘째,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이동한다.Second, the auxiliary frame 120 reciprocates in a sliding manner within the main frame 110.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속이 빈 육면체일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양쪽 끝단들, 특히, 상기 메인 프레임(110) 중 상기 차량(300)의 외부와 인접되어 있는 끝단은 개방되어 있다.For example, the main frame 110 may be a hollow hexahedron, and both ends of the main frame 110, particularly, an end of the main frame 110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00 Is open.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차량(30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Since the auxiliary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110 and the end of the main frame 110 is open, the auxiliary frame 12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00 Can be.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을 가이드하는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가 장착되어 있다.An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that guides the extension frame 130 is mounted at an end of the auxiliary frame 120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10.

즉, 상기 연장 프레임(130)은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the extension frame 130 is guided by the groove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to reciprocate.

이 경우, 상기 차량(300)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는 보조 프레임 지지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ehicle 300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frame support 310 capable of supporting the auxiliary frame 120.

셋째, 상기 연장 프레임(13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Third, the extension frame 130 may move from the top of the main frame 110 along the main frame 110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은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13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에 인접한 외부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가이드핀(131)이 구비된다.A first guide pin 131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130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특히,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회전축(122)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된다. In particular, the first guide pin 131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과 인접할 때,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한다. The first guide pin 131 contacts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when the end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is adjacent to the end end of the auxiliary frame 120.

즉,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기 차량(300)의 외부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차량(300) 내부로 복귀할 때,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축(122)을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the first guide pin 131 contacts the rotation shaft 122 when the extension frame 13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00 and then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300, It performs a function of pushing the rotation shaft 122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 가이핀(131)과 이격되어 있는 제2 가이드핀(134)이 구비된다.A second guide pin 134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pin 13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frame 130.

상기 제2 가이드핀(134)과 상기 제1 가이드핀(131) 사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이 구비된다.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guide pin 134 and the first guide pin 131.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한다. The second guide pin 134 contacts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when the end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is away from the end end of the auxiliary frame 120.

즉,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기 차량(300)의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축(122)을 상기 차량(300)의 외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when the extension frame 130 extends outside of the vehicle 300, the second guide pin 134 contacts the rotation shaft 122 and connects the rotation shaft 122 to the vehicle 30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ushing it outward.

넷째, 상기 적재 프레임(14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프레임(130)과 함께 왕복 이동한다.Fourth, the loading frame 14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and moves reciprocally together with the extension frame 130.

상기 적재 프레임(140)의 상단면에는 짐이 올려진다. 따라서, 상기 적재 프레임(140)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두 개의 상기 연장 프레임(130)들을 가로지르는 막대(bar) 형태의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A load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loading frame 140. Accordingly, the loading frame 14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r may be composed of at least two frames in a bar shape crossing the two extension frames 130.

다섯째,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90)는 유압 펌프, 유압 실린더,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Fifth,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130.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a hydraulic pump, a hydraulic cylinder, a motor,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control signals from a user.

즉,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들에 따라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from a user's wireless terminal or wired terminal and control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13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여섯째,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을 가이드하는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를 포함하는 지지부(160)가 장착될 수 있다. Sixth, a support unit 160 including an auxiliary frame guide roller 161 for guiding the auxiliary frame 120 may be mounted at an end of the main frame 110.

즉,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의 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the auxiliary frame 120 may be guided by the groove of the auxiliary frame guide roller 161 to reciprocate.

일곱째,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150a)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0) 중 상기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센서(150a) 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150b)가 구비된다.Seventh, a first sensor 150a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110 and the extension frame 1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the main frame 110 A second sensor 150b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110 and the extension frame 130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end spaced farther than the first sensor 150a. do.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 센서(150a) 및 상기 제2 센서(150b)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들에 따라, 상기 지지부(160)를 회전시켜 상기 연장 프레임(1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90 rotates the support unit 16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nsor 150a and the second sensor 150b to provide the extension frame 130 and the main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pacing between the frames 110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160)의 타측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17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축(162)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된다.To this end, the auxiliary frame guide roller 16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60, and a hydraulic cylinder 170 is mounted between the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unit 160.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60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10 by a support part shaft 162 provide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즉,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지지부축(162)에 의해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at is, the support unit 160 may rotate in the one side or the other direction by the support unit shaft 162.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170)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기 지지부축(16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160)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상승하여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승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hydraulic cylinder 170 is increased by the control unit 190, the support unit 160 rotates using the support unit shaft 162 as a rotation axis, and the auxiliary frame guide The roller 161 may rise so that the extension frame 130 may rise.

또한,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170)의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감소되면, 상기 지지부축(16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160)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하강하여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하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hydraulic cylinder 170 is reduced to the original length by the control unit 190, the support unit 160 rotates using the support unit shaft 162 as a rotation axis, and the support unit 160 rotates by the rotation. The frame guide roller 161 may descend so that the extension frame 130 may descend.

여덟째,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프레임(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Eighth, in the two main frames 110, at least one fixed frame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wo main frames 11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two main frames 110 18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고정 프레임(18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일(133)이 장착되어 있다. Rails 133 arranged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0 are mounted on the fixed frame 18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32)가 장착되어 있다.At least one roller 132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13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frame 130.

상기 롤러(132)는 상기 레일(133)을 따라 이동한다. The roller 132 moves along the rail 133.

즉, 상기 롤러(132)는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 뿐만 아니라, 상기 레일(133)에 의해서도 가이드될 수 있다.That is, the roller 132 may be guided not only by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but also by the rail 133.

특히, 상기 레일(133)은 상기 롤러(132)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ㄷ'자 형태의 개방된 면을 통해 삽입된 상기 롤러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ㄷ'자 형태의 개방된 면에는 일정한 높이의 차단벽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132)는 상기 개방된 면을 통해 상기 레일(133)에 삽입되며, 상기 차단벽에 의해 상기 롤러(132)로부터 빠지지 않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ail 133 may be formed in a'C' shape to wrap the roller 132. In particular, a barrier wall having a certain height may be formed on the open surface of the'c' shape so that the roller inserted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c' shape does not fall out. That is, the roller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rail 133 through the open surface, and may not be removed from the roller 132 by the blocking wal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First, the vehicl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vehicle in the form as shown in Fig. 4A.

다음,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90)로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연장을 요청하면, 도 5의 (a),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다.Next, when the user requests the control unit 190 to extend the extension frame 130, as shown in Figs. 5(a), 6(a), and 6(b), the extension The frame 13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main frame 110, that is, in a direction outside the vehicle.

다음,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지속적으로 연장되면,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이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한다. Next, when the extension frame 130 is continuously extended, the second guide pin 134 contacts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다음,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더 연장되면, 도 5의 (b) 및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이 상기 회전축(122)을 밀면서 전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 있던 상기 보조 프레임(120)이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을 따라,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의 (b)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연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일 수도 있으며,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최대로 연장된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Next, when the extension frame 130 is further extended, the second guide pin 134 advances while pushing the rotation shaft 122 as shown in FIGS. 5B and 6C. . Accordingly, the auxiliary frame 120 inside the main frame 110 move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long the second guide pin 134. FIG. 5B may represent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frame 130 is extended, or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frame 130 is maximally extended.

다음, 짐이 놓여져 있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연장되면,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은 상기 짐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며,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기 끝단과 반대되는 끝단은 상승하게 된다.Next, when the extension frame 130 on which the load is placed is extended,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descends by the weight of the load, and the end opposite to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rises. do.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 센서(150a) 및 상기 제2 센서(150b)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들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may check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by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150a and the second sensor 150b.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유압 실린더(170)를 구동시켜 상기 유압 실린더(170)의 길이를 증가시킨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90 drives the hydraulic cylinder 170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hydraulic cylinder 170.

이에 따라, 도 6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60)가 상기 지지부축(162)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C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12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높이가 상승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적재 프레임(140)의 높이가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적재 프레임(140)이 지면에 대해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c) and (d) of FIG. 6, the support part 160 rotates based on the support part shaft 162, and the auxiliary frame 120 and the extension frame 130 By moving in the C direction, the heights of the auxiliary frame 120 and the extension frame 130 are increased, and finally, the height of the loading frame 140 is increased. Accordingly, the loading frame 140 can maintain an equilibrium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즉, 상기 지지부(1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간격이 A에서 B로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적재 프레임(140)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due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unit 160,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110 and the extension frame 130 is increased from A to B, so that the loading frame 140 may be prevented from tilting. I can.

다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짐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b) of FIG. 5, the operation of loading or unloading a load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frame 130 is maximally extended.

이 후,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차량 내부로 복귀하면,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핀(131) 및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과 함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reafter, when the extension frame 130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s shown in (e) of FIG. 6, the first guide pin 131 and the second guide pin 134 are formed in the extension frame ( 130) together with the main frame 110.

다음,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하던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회전축(122)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축(122)을 밀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프레임(120) 역시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한다.Next, the first guide pin 131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0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ded frame guide roller 121, as shown in FIG. 5(c),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0 while pushing the rotation shaft 122. Accordingly, the auxiliary frame 120 also moves toward the main frame 110.

마지막으로, 상기 연장 프레임(130) 및 상기 보조 프레임(120)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면, 어느 순간, 도 5의 (d) 및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이 완전히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삽입된다. Finally, when the extension frame 130 and the auxiliary frame 120 continuousl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0, at a certain moment, as shown in FIGS. 5(d) and 6(f) Likewise, the auxiliary frame 1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110.

상기 연장 프레임(130), 상기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연장된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 센서(150c)가 구비될 수 있다.In at least one of the extension frame 130, the auxiliary frame 120, and the main frame 130, a length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extended length of the extension frame 130 or the auxiliary frame 120 ( 150c) may be provided.

상기 보조프레임(120)이 도 5의 (d) 및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연장 프레임(130)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연장된 길이는 최소가 된다.When the auxiliary frame 1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110, as shown in Figs. 5(d) and 6(f), the extension frame 130 or the auxiliary frame 120 The extended length of is the minimum.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연장된 길이가 최소가 되었음을 상기 길이 감지 센서(150c)를 통해 확인한 후, 상기 유압 펌프, 상기 유압 실린더, 상기 모터 등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confirms through the length detection sensor 150c that the extended length of the extension frame 130 or the auxiliary frame 120 is minimum, and then the hydraulic pump, the hydraulic cylinder, the motor, etc. You can stop the driv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메인 프레임 120: 보조 프레임
130: 연장 프레임 140: 적재 프레임
110: main frame 120: auxiliary frame
130: extension frame 140: loading frame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3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짐이 올려지는 적재 프레임(14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에 인접한 외부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가이핀(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회전축(122)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과 인접할 때,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하는 차량용 적재장치.
A main frame 110 mounted on a vehicle;
An auxiliary frame 120 that moves in a sliding manner within the main frame 110;
An extension frame 130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main frame 110 along the main frame 110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loading frame 140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and on which luggage is placed;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130,
The auxiliary frame 12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the extension frame 130 or is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110,
Two main frames 1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vehicle,
A first guiding pin 131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130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The first guide pin 131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The first guide pin 131 is for a vehicle that contacts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when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30 is adjacent to the end of the auxiliary frame 120 Loa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 가이핀(131)과 이격되어 있는 제2 가이드핀(134)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핀(134)과 상기 제1 가이드핀(131) 사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이 구비되는 차량용 적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econd guide pin 134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pin 13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frame 130,
A vehicle loading device provided with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extension frame guide roller 121 between the second guide pin 134 and the first guide pin 13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42657A 2019-04-11 2019-04-11 Loading apparatus for a car KR102182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57A KR102182560B1 (en) 2019-04-11 2019-04-11 Loading apparatus for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57A KR102182560B1 (en) 2019-04-11 2019-04-11 Loading apparatus for a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49A KR20200120149A (en) 2020-10-21
KR102182560B1 true KR102182560B1 (en) 2020-11-24

Family

ID=7303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57A KR102182560B1 (en) 2019-04-11 2019-04-11 Loading apparatus for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5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772B1 (en) * 2022-07-18 2022-11-07 주식회사 세건산업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233B1 (en) * 2020-12-17 2022-12-07 (주)우신특장 Rechargeable Loading Cart for Vehicle
KR102370689B1 (en) * 2021-07-15 2022-03-08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Autonomous smart library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0599A1 (en) * 2006-03-07 2007-09-13 Arnold Ronald S Retractable sliding cargo b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29U (en) * 1995-12-01 1997-07-26 Equipment take-out and storage device of work vehicle
KR19980082750A (en) 1997-05-09 1998-12-05 김영귀 Sliding panel of the luggage compartment
KR101266026B1 (en) 2012-10-31 2013-05-21 조현 Sliding carrier for loading case of pickup tru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0599A1 (en) * 2006-03-07 2007-09-13 Arnold Ronald S Retractable sliding cargo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772B1 (en) * 2022-07-18 2022-11-07 주식회사 세건산업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49A (en)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560B1 (en) Loading apparatus for a car
KR102432628B1 (en) Article support deviec
JP4777770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door device
CN111170217A (en) Unmanned forklift
KR20060107533A (en) Lifting cabinet
ITPN20130052A1 (en) LOCKING HOLDING WITH AT LEAST ONE SLIDING DOOR
US20140008156A1 (en) Lift door with a door panel guide
KR101349756B1 (en) Apparatus for scanning goods of shelf and method thereof
JP5311783B2 (en) Door guide rail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CN111115515A (en) Unmanned forklift
JP5869849B2 (en) Elevator lifting device
KR102081653B1 (en) Pallet type movable loading device
JP2007045544A (en) Falling prevention device for cargo in automated warehouse
KR20160076199A (en) Fork Camera Mounting Structure of Forklift
KR200340446Y1 (en) Loading box of trucks with ascent and descent
JP2005145610A (en) Apron device for elevator
JP6468092B2 (en) Mechanical bicycle parking equipment and method
CN105460720B (en) Elevator
US20080029350A1 (en) Elevator Car Guiding Device for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2008189399A (en) Stacker crane
JP5149040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90006385U (en) Apparatus for providing gradient to materials box
JP3809139B2 (en) Base device for elevators for seismic isolation buildings
KR102607524B1 (en) Dedicated loading box for trucks with easy height adjustment
JP3801495B2 (en) Warehousing posture correction device in multistory p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