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453B1 -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453B1
KR102182453B1 KR1020190019221A KR20190019221A KR102182453B1 KR 102182453 B1 KR102182453 B1 KR 102182453B1 KR 1020190019221 A KR1020190019221 A KR 1020190019221A KR 20190019221 A KR20190019221 A KR 20190019221A KR 102182453 B1 KR102182453 B1 KR 10218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complex
ethanol
present
absorption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062A (ko
Inventor
나건
배수경
이창주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4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체는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지질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5 내지 50 중량부;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지질 5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는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 의해 가용화되어 진세노사이드의 흡수가 증진될 수 있고, 향상된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이용하면 난용성 진세노사이드의 수용해도 및 수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COMPLEX FOR HEIGHTENING ABSORPTION RATE OF GINSENOS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의 경구 투여시 흡수율 증진을 위한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예로부터 동양의학에서 약재로 많이 사용되던 식물이다.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스테로이드 유래의 글리코사이드로서 트라이터펜 사포닌의 일종이다. 홍삼(Korean red ginseng)은 인삼을 고열을 이용하여 찐 것을 말린 것으로 이 과정에서 인삼의 성분이 농축되고 특이 사포닌인 Rg3, Rh2의 비율이 높아진다.
진세노사이드는 수백 가지 종류가 존재하며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Rb는 중추신경 억제 작용, 진정 및 진통 작용, 해열 작용, 항당뇨 작용을 나타내며, Rc는 혈청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Rg3와 Rh2는 항면역 및 산화 스트레스의 감소, 항암 작용 등의 생리 활성을 주로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진세노사이드는 수용해도가 낮고 경구 투여시 체내 흡수율이 3 내지 5%로 매우 낮아 실질적으로 상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의 진세노사이드는 배당체 형태의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배당체 형태의 사포닌은 그 자체로는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장내 특정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야 흡수가 가능하다. 즉. 진세노사이드 자체의 인체 흡수는 장내 세균에 의한 대사체로 전환된 이후에 이루어지거나 사포닌 수용체에 의한 흡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장내 특정 미생물의 개인차에 의해 사포닌의 생리 활성에도 개인차가 생길 수 있고, 매스컴에서는 홍삼 섭취에 따른 효능에 대한 문제점이 이슈화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발효 홍삼을 개발하는 등 진세노사이드의 수용해도 및 흡수율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2174호 (2006년07월10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지질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5 내지 50 중량부;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지질 5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을 에탄올에 용해시켜 혼합한 후, 상기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이 제거된 혼합물을 수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화된 수화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수상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 의해 가용화되어 진세노사이드의 흡수가 증진될 수 있고, 향상된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위장관 내 점막과의 우수한 상호작용에 의해 위장관 체류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지질 성분에 의하여 카일로마이크론을 형성하여 그 수송 경로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진세노사이드의 경구 투여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이용하면 난용성 진세노사이드의 수용해도 및 수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세노사이드가 용해된 다양한 용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다당류의 용해 정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복합체의 크기 분포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비율별 복합체의 크기 분포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복합체의 크기 분포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라 형성된 복합체 외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복합체 형성 이미지이다.
도 8은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그대로를 수상 용액에 분산시킨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결과로, (1)은 상기 실험예 4에 따른 혈중 진세노사이드의 농도 변화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실험예 4에 따른 결과 파라미터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양친매성 분자를 난용성 분자와 함께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용매를 제거하고 가수하여 물에 분산시키면 난용성 분자의 수용해도 및 수분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양친매성 분자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선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는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지질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5 내지 50 중량부;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지질 5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수득할 수도 있고, 상기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 예를 들어, 홍삼, 흑삼 및 상기 인삼, 홍삼, 흑삼 등으로부터 가공된 사포닌 제품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생전환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은 인삼 또는 홍삼을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은 80% 에탄올 수용액에서 상기 인삼을 실온에서 90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파우더 형태로 회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은 예를 들어, PPD(protopanaxadiol) 계열의 진세노사이드, PPT(protopanaxatriol) 계열의 진세노사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는, Rb1, Rb2, Rb3, Rc, Rd, Re, Rf, Rg1, Rg2 및 Rg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는 셀룰로오스 유래 합성 다당류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양친매성 분자이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안정성이 우수하고, 생체 내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거나 분해되더라도 그 속도가 매우 느린 생체 불활성 특성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의 체내 제형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 및 사용 성분에 따라 천연 다당류 중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에탄올에 용해될 수 있는 반면, 이외의 다당류는 에탄올에 녹지 않으며 소장의 아밀라아제 등과 같은 소화 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어 부적합할 수 있다. 또한, 합성 계면활성제는 장 점막 손상, 염증 등을 야기할 수 있어 투여량이 높아질 경우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 의해 가용화되어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의 흡수가 증진될 수 있고, 위장관 내 체류 시간이 증가하여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위장관 중에서도 소장의 중성 내지 약염기성 pH 환경 하에서 장내 점막과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뛰어나, 위장관 내 체류 시간이 상승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체를 경구 투여한 경우, Rg3의 혈장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Rg3의 Tmax값은 240분인 대조군에 비해 상기 복합체 실험군은 420분으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성분에 의해 Rg3의 위장관 흡수 속도가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상세한 것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후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오메가-3 지방산, 올레산 및 리놀렌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체내 흡수율이 낮은 진세노사이드는 상기 지질과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여 경구 투여하면, 위장관 내에서 담즙산에 의해 유화되어 카일로마이크론 흡수경로(Chylomicron pathway)를 경유해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은 DHA(Docosahexaeno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여 혈액 내 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조절하고 심혈관계 질환 및 혈전을 예방하는 효과도 뛰어나, 상기 지질로 오메가-3 지방산을 사용한다면 상기의 약리학적 활성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이 모두 용해될 수 있는 용매로, 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한 상기 복합체에서 잔류 용매의 독성 등에 대한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의 중량비는 1:1:(0.1 내지 1)이거나 1:(1 내지 10):(1 내지 1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7 내지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의 중량비가 1:1:1로 제조된 복합체는 -64.9 mV의 표면 전하(제타 전위), 262.88 nm의 평균 크기, 0.187의 PDI 값을 나타냈다. 상기 PDI, 즉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가 0.25보다 작은 경우, 안정한 상태의 단분산에 가까운 입자 분포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기에, 상기 복합체는 안정한 상태의 입자 분포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지질 없이 진세노사이드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만으로 상기 복합체를 제조한 경우에는 일정한 크기 분포로 복합체를 형성하였으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없이 진세노사이드 및 지질만으로 상기 복합체를 제조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분산상을 이루는 것으로 보아, 상기 복합체의 제형 안정성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적절한 비율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는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에 적절한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는 크기나 모양이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0nm 내지 10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나노 입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제조 방법은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을 에탄올에 용해시켜 혼합한 후, 상기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이 제거된 혼합물을 수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화된 수화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수상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양친매성 분자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난용성 물질인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및 지질과 함께 상기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가수하여 물에 분산시키면, 상기 난용성 물질의 수용해도 및 수분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오메가-3 지방산, 올레산 및 리놀렌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체내 흡수율이 낮은 진세노사이드는 상기 지질과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여 경구 투여하면, 위장관 내에서 담즙산에 의해 유화되어 카일로마이크론 흡수경로(Chylomicron pathway)를 경유해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은 1:1:(0.1 내지 1)이거나 1:(1 내지 1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은 1:1:1의 중량비로 에탄올에 용해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제거 단계는 용매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또는 열풍 건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5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5℃에서 100 내지 200rpm,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0rpm으로 상기 에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화 단계는 상기 에탄올이 제거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화된 수화물은 상기 분산 단계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수상에 분산시킬 수 있으며, 실온의 수상에서 2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복합체 제조시 적합한 용매의 선정
진세노사이드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대략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1mg의 진세노사이드를 계량하여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이하, DMSO), 메탄올(MeOH), 에탄올(EtOH),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이하, DMF), 클로로포름(Chloroform), 아세톤(Acetone) 및 헥세인(Hexane) 용매 1mL에 상기 진세노사이드를 1mg/mL의 농도로 녹인 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세노사이드가 용해된 다양한 용매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DMSO, 메탄올, 에탄올, DMF 용매에서는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상기 클로로포름, 아세톤, 헥세인에는 녹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복합체 제조시 적합한 다당류의 선정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진세노사이드가 잘 용해된 용매 중 DMSO 및 DMF는 끓는점이 각각 189℃, 153℃로 메탄올 및 에탄올에 비해 높아 열을 가하여 용매를 휘발하는 과정에서 진세노사이드에 물리·화학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고, 용해도를 고려하여 고농도의 복합체를 제조함에 있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서 녹는 다당류를 선정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진세노사이드와의 비율을 고려하여 최소 10mg/mL의 농도로 용해되어야 하므로, 다당류 중 계면활성제의 역할이 가능하고 독성이 없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HP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알긴산(Alginic acid, Alg), 덱스트란(Dextran, Dex) 및 키토산(Chitosan, Chi)을 선정하였다. 이를 각각 메탄올과 에탄올 2mL에 20mg씩 계량하여 10mg/mL의 농도 상에서 용해도를 관찰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다당류의 용해 정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의 도면은 메탄올에 용해된 여러 다당류를 나타내고, 아래의 도면은 에탄올에 용해된 여러 다당류를 나타낸다. 두 경우 모두,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다당류 중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만이 용해되었고, 이를 제외한 모든 다당류가 용해되지 않고 침전이 발생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복합체 제조의 적합한 다당류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선정하였다.
더불어, 지방산은 에탄올에 잘 용해되어 상기 진세노사이드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함께 세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는 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기에 잔류 용매의 독성 등에 대한 우려 없이 먹을 수 있는 용매로서 에탄올을 선정하였다.
<실시예 3> 진세노사이드 복합체 제조
2g의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2g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g의 오메가-3 지방산을 반응기에 넣고 20mL의 에탄올에 녹였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은 실온의 80% 에탄올 수용액에서 인삼을 90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한 것으로, 상기 추출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을 파우더 형태로 회수하여 사용하였다.
다음,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55℃, 160rpm 조건 하에서 에탄올을 증발시키면 반응기에 막이 형성되는데, 여기에 20mL의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첨가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막을 떼어줌과 동시에 고르게 분산시켰다. 실온(25℃)의 수상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진세노사이드 복합체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메가-3 지방산 대신 올레산(oleic acid)을 사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진세노사이드 복합체 형성 확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의 형성을 동적광산란법 나노입자분석장비를 통해 확인하였다. 수상에 분산된 복합체를 측정하기 위해 100분의 1로 희석한 용액 1 mL을 취해 Zetasizer Nano ZS(Malvern Instruments)를 이용하여 크기, 표면 전하를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복합체의 크기 분포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의 비가 1:1:1로 제조된 상기 복합체는 -64.9 mV의 표면 전하, 262.88 nm의 평균 크기, 0.187의 PDI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진세노사이드 복합체 비율의 최적화
진세노사이드 복합체의 비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진세노사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의 비율을 1:1:1부터 1:10:1, 1:1:10, 1:10:10 및 1:1:0.7 내지 1:1:0.1까지로 조절하여 제형을 제조한 후, 동적광산란법 나노입자분석장비를 통하여 입자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율은 중량비로서, 진세노사이드 1(100mg) 기준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지질 없이 진세노사이드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만으로 제조하거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없이 진세노사이드 및 지질만으로 상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비율별 복합체의 크기 분포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각 복합체의 비율은 진세노사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 순서로 나타내었고, 각 비율별에 따라 상기 복합체의 크기 분포 또한 다양하게 나타났고, 일부는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하나 일부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분산상을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복합체의 크기 분포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왼쪽의 도면은 지질 없이 제조한 경우, 오른쪽 도면은 다당류 없이 제조한 경우로, 상기 실험예 2에 따라 지질 없이 진세노사이드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만으로 상기 복합체를 제조한 경우에는 일정한 크기 분포로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없이 진세노사이드 및 지질만으로 상기 복합체를 제조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분산상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의 제형 안정성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적당한 비율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라 형성된 복합체 외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복합체의 외형 이미지로, 상기 비율별 복합체의 평균 직경, 제타 전위 및 PDI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진세노사이드 복합체의 형성 확인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복합체의 형성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상에 분산된 복합체 10 ㎕를 취해 커버글라스에 떨어뜨린 후, 페트리디쉬에 넣어 먼지가 닿지 않게 한 후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루 동안 후드에 놓아두었다. 이를 그리드에 설치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복합체 형성 이미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3에 따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상기 동적광산란법 나노입자분석장비를 통한 크기 분석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의 크기를 가진 입자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 분포가 균일함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그대로를 수상 용액에 분산시킨 상태의 이미지이다.
<실험예 4> 경구투여 흡수율 평가
1. 실험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의 진세노사이드 경구 투여 흡수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 웅성 랫드를 사용하여 약물동태학적 분석을 하였다. 랫드를 약 12시간(수술 전날 오후 7시부터 수술 당일 오전 7시까지) 절식하였다. 흡입 마취제인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유도 마취시키고 폴리에틸렌 50(polyethylene 50(PE50) tubing, Clay Adams, Becton Dickinson, NJ, USA)을 사용하여 경동맥(혈액 채취용)에 삽입하여 봉합사로 봉합하고 그 끝부분을 목 뒤로 고정하였다. 수술 중에는 에더(ether)를 이용하여 마취를 유지하였으며, 헤파린이 (20 units/mL) 함유된 생리식염수를 약 0.5 mL를 주입하여 캐뉼라(cannula)에 혈액이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수술이 끝난 뒤 랫드를 대사케이지(metabolic cage)에 넣고 마취제로부터 완전히 회복되게 한 후(4 내지 5 시간), 진세노사이드 대조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 실험군으로 나누어 1 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을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트윈 80(tween 80) 및 3차 증류수(2%: 5%: 93%, w/v/v)에 체중 kg 당 10 mL로 현탁시켜 경구 투여하였다. 두 군에서 투여 직전, 투여 후 15, 30, 60, 90, 120, 180, 300, 420, 540, 720 및 1440 분에 경동맥을 통해서 혈액 0.22 mL를 채취하고 4℃에서 즉시 원심분리 하여 혈장을 에펜도르프 튜브에 100μL씩 분주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직렬 질량 분광계(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이하, LC-MS/MS)분석 시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지표 성분으로는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항암 활성 등의 탁월한 약리효과를 지녔지만 흡수율이 매우 낮은 Rg3를 선정하였다. 혈장 시료의 Rg3의 분석은 미리 확립된 액-액 추출(liquid-liquid extraction) 방법으로 전처리 한 후, LC-MS/MS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LC-MS/MS 분석 적합성 판단
LC-MS/MS 분석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료 처리 중에 매 분석 시료 배치마다 검량선 작성용 시료 분석 후 분석 적합성 시료(저농도: QC1, 중농도: QC2 및 고농도: QC3)를 2 회씩 분석하였다. 분석 적합성 시료는 Rg3의 저장 용액에서 검량선용 표준 용액과는 별개로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분석 적합성 시료용 표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랫드 공혈장으로 희석하여 Rg3의 농도가 QC1에서는 각각 8 ng/mL, QC2에서는 80 ng/mL, QC3에서는 800 ng/mL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분석 적합성 시료 분석도 표준혈장시료 분석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적합성 시료 6 개 중 최소 67%(예: 6 개 중 4개)가 이론값의 ±15% 이내이어야 하고, 동일 농도에서 50% 이상이 이론값의 ±15% 이내인지 확인하였다.
3. 농도 계산
혈중 약물 농도의 계산은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내부 표준물질의 피크 면적에 대한 지표 물질인 Rg3의 피크 면적 비를 구하여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혈장 중 Rg3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경구 투여 후 활성성분 Rg3의 약동학 파라미터는 Winnonlin Professional(Pharsight, Mountain View, CA,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혈장농도-시간곡선하면적 (AUCt)값은 약물 투여 후 최종 정량시점까지의 혈장농도-시간 곡선들로부터 log-linear 사다리꼴 공식에 의해 구하였다. 경구 투여 후, 혈장농도-시간 곡선으로부터 최고 혈장농도(Cmax)와 최고 혈장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Tmax)을 구하였다. 말단소실속도상수(γZ)와 반감기(t1/2)는 혈장농도 추이의 소실상의 기울기로부터 구하였다.
4. 실험 결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결과로, (1)은 상기 실험예 4에 따른 혈중 진세노사이드의 농도 변화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실험예 4에 따른 결과 파라미터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 실험군을 경구 투여시 Rg3의 혈장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Rg3의 Tmax값은 240분인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은 420분으로 느려졌고, 이는 상기 복합체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성분에 의한 Rg3의 위장관 흡수 속도가 느려졌음을 의미한다.
또한, Cmax값은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179% 증가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를 투여한 실험군은 Rg3의 AUCt값 및 AUC값은 진세노사이드만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01.7%(67.4±11.9μg min/mL versus 136±36.0μgmin/mL) 및 199%(73.8±14.5μg min/mL versus 147±33.8μg min/mL)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Rg3의 혈장 반감기(t1/2) 값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를 경구 투여시 증가된 진세노사이드의 Cmax, AUCt 및 AUC 값은 Rg3의 간 대사효소 또는 간 유출 수송체 저해로 인한 현상이 아님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의 흡수율 증가는 난용성 물질인 진세노사이드의 용해도가 증가됨으로 인해 위장관 내 흡수가 증가되어 생체 이용률이 증가된 것에 기인하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 따른 위장관 내 체류시간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9)

  1.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지질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5 내지 50 중량부;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지질 5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은 인삼 또는 홍삼을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된 것으로, Rb1, Rg1 및 Rg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고, 상기 지질은 오메가-3 지방산 또는 올레산이며,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의 중량비는 1:1:(0.7 내지 5)이거나 1:(5 내지 1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 의해 가용화되어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의 흡수가 증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위장관 내 체류 시간이 증가하여 체내 흡수율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7.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을 에탄올에 용해시켜 혼합한 후, 상기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이 제거된 혼합물을 수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화된 수화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수상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은 인삼 또는 홍삼을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된 것으로, Rb1, Rg1 및 Rg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고, 상기 지질은 오메가-3 지방산 또는 올레산이며,
    상기 진세노사이드 추출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지질의 중량비가 1:1:(0.7 내지 5)이거나 1:(5 내지 10):(5 내지 10)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90019221A 2019-02-19 2019-02-19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8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21A KR102182453B1 (ko) 2019-02-19 2019-02-19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21A KR102182453B1 (ko) 2019-02-19 2019-02-19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62A KR20200101062A (ko) 2020-08-27
KR102182453B1 true KR102182453B1 (ko) 2020-11-24

Family

ID=7223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21A KR102182453B1 (ko) 2019-02-19 2019-02-19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6691A (zh) * 2020-12-18 2022-06-21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同时定量大鼠血浆中丹七通脉片15种人参皂苷类成分的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174B1 (ko) 2004-02-17 2006-07-19 주식회사 진플러스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는 산삼배양근처리방법
KR20140043580A (ko) * 2012-09-24 2014-04-10 한국콜마주식회사 무복계면 진세노사이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62A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cancer activity of a novel puerarin nanosuspension against colon cancer, with high efficacy and low toxicity
US20020013292A1 (en) Formulation of amphiphilic heparin derivatives for enhancing mucosal absorption
Zheng et al. Proliposomes containing a bile salt for oral delivery of Ginkgo biloba extract: formulation optimization, characterization, oral bioavailability and tissue distribution in rats
Suo et al. Lentinan as a natural stabilizer with bioactivities for preparation of drug–drug nanosuspensions
JP7286191B2 (ja) 高いバイオアベイラビリティを有する水溶性クルクミン混合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と応用
US20130150335A1 (en) Paclitaxel/steroidal complex
Massimino et al. Curcumin bioactive nanosizing: Increase of bioavailability
Vijayakumar et al. Ginsenoside improv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availability of curcumin-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Jain et al. Whey protein based electrosprayed nanospheres for encapsulation and controlled release of bioactive compounds from Tinospora cordifolia extract
Mi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green synthesized chitosan/compound K‑gold nanoparticles
Sasongko et al.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tter melon extract (momordica charantia) loaded phytosomes
KR102182453B1 (ko) 진세노사이드 흡수율 증진용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Shi et al. Construction of inulin-based selenium nanoparticles to improve the antitumor activity of an inulin-type fructan from chicory
Abhilash et al. Enhanced absorption of curcuminoids and 3-Acetyl-11-keto-β-boswellic acid from fenugreek galactomannan hydrogel beadlets: A natural approach to the co-delivery of lipophilic phytonutrients
Zheng et al. Inositol hexanicotinate self-micelle solid dispersion is an efficient drug delivery system in the mouse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N103933016B (zh) 一种辣椒碱三元纳米胶束及其制法和用途
Wang et al. Curcumin nanocrystals self-stabilized Pickering emulsion freeze-dried powder: Development, characterization, and suppression of airway inflammation
Luo et al. Improving the in vivo bioavailability and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anshinone IIA by alginate solid dispersion
KR101740136B1 (ko) 혈행 개선용 홍삼 함유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Ren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controlled-release property of CS crosslinked MWCNT based on Hericium erinaceus polysaccharides
KR20180085239A (ko) 진세노사이드 및 인지질 기반 지질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72966B (zh) 辣椒碱-维生素e前药自组装纳米粒及其制法和用途
KR101143363B1 (ko) 키토산을 이용한 병풀의 면역 증진용 성분의 식용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그 나노입자를 함유한 식품
KR100487083B1 (ko) 양친성 헤파린 유도체의 점막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제조방법
JP2007505847A (ja) ツタの葉抽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抽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