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210B1 -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210B1
KR102182210B1 KR1020190001916A KR20190001916A KR102182210B1 KR 102182210 B1 KR102182210 B1 KR 102182210B1 KR 1020190001916 A KR1020190001916 A KR 1020190001916A KR 20190001916 A KR20190001916 A KR 20190001916A KR 102182210 B1 KR102182210 B1 KR 10218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unit
caption
area
cap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591A (ko
Inventor
이완행
Original Assignee
이완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행 filed Critical 이완행
Priority to KR102019000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2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거울을 통해 반사된 텔레비전 화면을 보다 정확하고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좌우 반전 시키고, 좌우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영상 신호에 적용시켜 TV로 출력하는 셋톱 박스; 및 상기 TV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비추기 위한 거울을 포함하는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1000: 문제집 채점 시스템
100: OMR 카드
110: 인쇄영역
120: 마커
200: 채점 프로그램부
210: 코드식별정보 인식부
220: 문제집표지이미지 생성부
230: 답안 저장부
240: OMR 인식부
241: 이미지 안정화부
242: 이미지 분할부
243: 추론 인식부
250: OMR 채점 수행부
260: 채점정보 제공부
270: 채점결과 업로드부
280: 성적정보 제공부
290: 수동 채점 가이드부
291: OMR 인쇄영역 인식 캡처부
292: OMR 답안 그래픽 생성부
293: OMR 답안 표시부
294: 점수 계산 가이드부
300: 채점 서버
310: 답안 데이터베이스부
320: 정답정보 제공부
330: 성적정보 제공부
10: 휴대통신단말
A: OMR 답안 그래픽
B: 선택된 OMR 답안 그래픽 문항

Description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IMAGE DISPLAY DEVICE USING MIRRORS}
본 발명은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원실의 환자나 기타 특수한 환경에 처해 있는 일부 시청자는 종종 실내에 설치된 텔레비전을 직접 보지 못하고, 거울 등의 반사 면을 통해 간접적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텔레비전의 화면을 거울로 시청하게 되면, 거울에 비친 화면은 거울의 반사 상에 의해 실제 텔레비전 화면에서 좌우 반전된 역상의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역상으로 보이는 텔레비전 화면 중 영상은 실제 영상에서 좌우가 반전되어 있더라도 시청자가 보고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을 없지만, 자막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는 좌우가 반전되는 경우 해당 방송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8517호(공개일자: 2001년08월21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208호(공개일자: 2016년03월03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2303호(공개일자: 2018년08월1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거울을 통해 반사된 텔레비전 화면을 보다 정확하고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한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좌우 반전 시키고, 좌우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영상 신호에 적용시켜 TV로 출력하는 셋톱 박스; 및 상기 TV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비추기 위한 거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셋톱 박스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자막 추출부; 상기 자막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좌우 반전 시키는 자막 반전 실행부; 상기 자막 반전 실행부를 통해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적용시키는 자막 적용 실행부; 및 상기 자막 적용 실행부를 통해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TV로 출력하는 방송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자막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에 맞도록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여 거울 상으로 투영하는 극단초점 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울은,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제1 영역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거울부;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는 볼록 거울부;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상기 제1 영역보다 낮은 위치에 정의된 제2 영역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거울부; 및 상기 제2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의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며, 상기 극단초점 프로젝터에 의해 자막이 투영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면 거울부는, 양면 거울 형태로 이루어진 제1 평면 거울 면; 상기 제1 평면 거울 면의 전면에 형성된 제1 고정 돌기;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상기 제1 평면 거울 면의 개방 시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제1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거울부는,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볼록 거울 면; 및 상기 볼록 거울 면의 후면과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거울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된 상기 볼록 거울 면의 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프링 캐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평면 거울부는, 양면 거울 형태로 이루어진 제2 평면 거울 면; 상기 제2 평면 거울 면의 전면에 형성된 제2 고정 돌기;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상기 제2 평면 거울 면의 개방 시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제2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2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후면과 상기 제2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거울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스크린의 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프링 캐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울을 통해 반사된 텔레비전 화면을 보다 정확하고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한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 채점 가이드부는, 상기 OMR 답안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OMR 답안 그래픽을 각 문항 별로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여, 선택된 문항과 선택되지 않은 문항에 기초하여 점수정보를 자동 계산하여 제공하는 점수 계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0)은 셋톱 박스(100)와 거울(200)을 포함한다.
상기 셋톱 박스(100)는 외부(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 등)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좌우 반전 시키고, 좌우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영상 신호에 적용시켜 TV(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 신호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와 더불어 자막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자막 데이터는 방송 영상 내 포함되어 있는 모든 텍스트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기존의 영상 신호에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셋톱 박스(100)는 방송 신호 수신부(110), 자막 추출부(120), 자막 반전 실행부(130), 자막 적용 실행부(140) 및 방송 신호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110)는 외부(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 등)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추출부(120)는 방송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자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셋톱 박스(100)는 거울 전용 셋톱 박스로, 시청자가 자막 반전 기능을 선택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의 자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자막 반전 기능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막 데이터가 디지털 방송 신호에 그대로 적용되어 TV(10)를 통해 일반 화면과 같은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자막 데이터의 추출 시 텍스트나 기호 등의 그래픽적인 요소 자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거나, 텍스트 요소만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자막 반전 실행부(130)는 자막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좌우 반전 시킬 수 있다.
상기 자막 적용 실행부(140)는 자막 반전 실행부(130)를 통해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150)는 자막 적용 실행부(140)를 통해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TV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자막 데이터는 최초 영상에 표시될 자막의 그래픽적인 요소까지 그대로 반전되어 표시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텍스트 요소만 추출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 정보만 반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전된 자막 데이터는 기존 영상 내에 표시되는 자막 영역에 반전된 상태로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거울(200)은 TV(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비춤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거울(200)은 중앙부분에 볼록거울과 그 외에 평면거울이 혼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록거울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된 구성을 갖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거울의 단면 구성으로 제1 평면 거울부의 개폐 방식과 볼록 거울부의 움직임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II-II'선을 따라 절취한 거울의 단면 구성으로 제2 평면 거울부의 개폐 방식과 스크린부의 움직임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울을 통해 표시되는 텔레비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0)은 셋톱 박스(100)에 무선 통신부(160)가 추가되고, 거울(200)의 하부에 설치된 극단초점 프로젝터(300)가 추가되며, TV(10) 시청 시 평면거울에서 볼록거울로의 전환 및 극단초점 프로젝터(300)을 통해 자막이 투영되기 위한 스크린 구성이 거울(200)에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60)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자막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해당 영상 신호의 출력에 맞도록 극단초점 프로젝터(3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셋톱 박스(100)와 극단초점 프로젝터(300) 간이 무선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유선으로도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거울(200)은 제1 평면 거울부(210), 제2 볼록 거울부(220), 제2 평면 거울부(230) 및 스크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 거울부(210)는 거울(200)의 전면 중 제1 영역(201)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면 거울부(210)는 2개의 도어 즉, 쌍여닫이 방식으로 제1 영역(20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평면 거울부(210)는 제1 평면 거울 면(211), 제1 고정 돌기(212), 제1 고정 홈(213) 및 제1 힌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 거울 면(211)은 제1 영역(201) 중 절반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면 거울 형태를 갖는다. 즉, 전면과 후면 모두 평면 거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돌기(212)는 제1 평면 거울 면(21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평면 거울 면(211)의 개방 시 제1 고정 홈(213)에 끼워짐으로써 제1 평면 거울 면(211)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홈(213)은 거울(200)의 전면 중 제1 평면 거울 면(210)의 개방 시 제1 고정 돌기(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평면 거울 면(210)의 개방 시 제1 고정 돌기(212)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 돌기(212)와 제1 고정 홈(213)에는 극성이 서로 다른 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돌기와 홈의 형태가 아닌 극성이 다른 자성체가 제1 고정 돌기(212)와 제1 고정 홈(213)를 대신하여 자성체가 제1 고정 돌기(212)와 제1 고정 홈(213) 자리에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힌지(214)는 제1 평면 거울 면(211)과 거울(200)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평면 거울 면(211)이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 거울부(220)는 제1 영역(20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영역(201)의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볼록 거울부(220)는 볼록 거울 면(221), 제1 스프링 캐치(222) 및 제1 가이드 돌기(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록 거울 면(221)은 TV(10)의 화면이 실제로 비춰지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평면거울보다 확대된 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볼록 거울 면(221)은 제1 영역(201)과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 캐치(222)는 볼록 거울 면(221)의 후면과 제1 영역(201)과 대응되는 거울(200)의 내벽(내부 후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된 볼록 거울 면(22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프링 캐치(222)는 힘에 의해 밀리면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튀어나오게 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스프링 캐치는 도어가 닫혀질 때만 자석에 의해 부착되어 물림쇠 또는 멈춤쇠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나, 본 실시예의 제1 스프링 캐치(222)는 일측이 볼록 거울 면(221)의 후면에 고정 또는 결합되고, 타측이 제1 영역(201)과 대응되는 거울(200)의 내벽(내부 후측면)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 캐치(222)는 볼록 거울 면(221)을 거울(200) 내부에서 홀딩함과 동시에 볼록 거울 면(221)을 한 번 밀면 제1 영역(201)의 안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위치를 고정하며, 볼록 거울 면(221)을 다시 한번 밀면 제1 영역(20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223)는 볼록 거울 면(2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돌기(223)는 제1 영역(201)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 가이드 홈(201a)에 삽입된 상태로 볼록 거울 면(221)이 전후방으로 움직일 때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제1 가이드 홈(201a)의 가장 바깥쪽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볼록 거울 면(221)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볼록 거울 면(221)이 제1 영역(20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평면 거울부(230)는 거울의 전면 중 제1 영역(201)보다 낮은 위치에 정의된 제2 영역(202)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평면 거울부(230)는 2개의 도어 즉, 쌍여닫이 방식으로 제2 영역(20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평면 거울부(230)는 제2 평면 거울 면(231), 제2 고정 돌기(232), 제2 고정 홈(233) 및 제2 힌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평면 거울 면(231)은 제2 영역(202) 중 절반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면 거울 형태를 갖는다. 즉, 전면과 후면 모두 평면 거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돌기(232)는 제2 평면 거울 면(23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평면 거울 면(231)의 개방 시 제2 고정 홈(233)에 끼워짐으로써 제2 평면 거울 면(231)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홈(233)은 거울(200)의 전면 중 제2 평면 거울 면(230)의 개방 시 제2 고정 돌기(2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 평면 거울 면(230)의 개방 시 제2 고정 돌기(232)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 돌기(232)와 제2 고정 홈(233)에는 극성이 서로 다른 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돌기와 홈의 형태가 아닌 극성이 다른 자성체가 제2 고정 돌기(232)와 제2 고정 홈(233)를 대신하여 자성체가 제2 고정 돌기(232)와 제2 고정 홈(233) 자리에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힌지(234)는 제2 평면 거울 면(231)과 거울(200)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어 제2 평면 거울 면(231)이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240)는 제2 영역(202)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 영역(202)의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며, 극단초점 프로젝터(300)에 의해 자막이 투영될 수 있다. 스크린부(240)는 제2 영역(202)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 영역(202)의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부(240)는 스크린(241), 제2 스프링 캐치(242) 및 제2 가이드 돌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41)은 극단초점 프로젝터(300)으로부터 조시되는 빔을 받아 자막이 투영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241)은 제2 영역(202)과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 캐치(242)는 스크린(241)의 후면과 제2 영역(202)과 대응되는 거울(200)의 내벽(내부 후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된 스크린(24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프링 캐치(242)는 힘에 의해 밀리면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튀어나오게 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스프링 캐치는 도어가 닫혀질 때만 자석에 의해 부착되어 물림쇠 또는 멈춤쇠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나, 본 실시예의 제2 스프링 캐치(242)는 일측이 스크린(241)의 후면에 고정 또는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영역(202)과 대응되는 거울(200)의 내벽(내부 후측면)에 고정 또는 결합된 상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스프링 캐치(242)는 스크린(241)을 거울(200) 내부에서 홀딩함과 동시에 스크린(241)을 한 번 밀면 제2 영역(202)의 안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위치를 고정하며, 스크린(241)을 다시 한번 밀면 제2 영역(202)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시킨 후 그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돌기(243)는 스크린(2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돌기(243)는 제2 영역(202)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 가이드 홈(202a)에 삽입된 상태로 스크린(241)이 전후방으로 움직일 때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제2 가이드 홈(202a)의 가장 바깥쪽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크린(241)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스크린(241)이 제2 영역(20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0: 셋톱 박스
110: 방송 신호 수신부
120: 자막 추출부
130: 자막 반전 실행부
140: 자막 적용 실행부
150: 방송 신호 출력부
160: 무선 통신부
200: 거울
210: 제1 평면 거울부
211: 제1 평면 거울 면
212: 제1 고정 돌기
213: 제1 고정 홈
214: 제1 힌지
220: 볼록 거울부
221: 볼록 거울 면
222: 제1 스프링 캐치
223: 제1 가이드 돌기
230: 제2 평면 거울부
231: 제2 평면 거울 면
232: 제2 고정 돌기
233: 제2 고정 홈
234: 제2 힌지
240: 스크린부
241: 스크린
242: 제2 스프링 캐치
243: 제2 가이드 돌기
201: 제1 영역
201a: 제1 가이드 홈
202: 제2 영역
202a: 제2 가이드 홈
203: 제3 영역
300: 극단초점 프로젝터
TV: 10

Claims (5)

  1.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좌우 반전 시키고, 좌우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영상 신호에 적용시켜 TV로 출력하는 셋톱 박스; 및
    상기 TV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비추기 위한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셋톱 박스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자막 추출부;
    상기 자막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좌우 반전 시키는 자막 반전 실행부;
    상기 자막 반전 실행부를 통해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적용시키는 자막 적용 실행부;
    상기 자막 적용 실행부를 통해 반전된 자막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TV로 출력하는 방송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자막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에 맞도록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여 거울 상으로 투영하는 극단초점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울은,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제1 영역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거울부;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는 볼록 거울부;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상기 제1 영역보다 낮은 위치에 정의된 제2 영역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거울부; 및
    상기 제2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의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며, 상기 극단초점 프로젝터에 의해 자막이 투영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거울부는,
    양면 거울 형태로 이루어진 제1 평면 거울 면;
    상기 제1 평면 거울 면의 전면에 형성된 제1 고정 돌기;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상기 제1 평면 거울 면의 개방 시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제1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거울부는,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볼록 거울 면; 및
    상기 볼록 거울 면의 후면과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거울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된 상기 볼록 거울 면의 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프링 캐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평면 거울부는,
    양면 거울 형태로 이루어진 제2 평면 거울 면;
    상기 제2 평면 거울 면의 전면에 형성된 제2 고정 돌기;
    상기 거울의 전면 중 상기 제2 평면 거울 면의 개방 시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제2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2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후면과 상기 제2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거울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스크린의 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프링 캐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01916A 2019-01-07 2019-01-07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16A KR102182210B1 (ko) 2019-01-07 2019-01-07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16A KR102182210B1 (ko) 2019-01-07 2019-01-07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91A KR20200085591A (ko) 2020-07-15
KR102182210B1 true KR102182210B1 (ko) 2020-11-27

Family

ID=7160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916A KR102182210B1 (ko) 2019-01-07 2019-01-07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6132A (zh) * 2021-08-17 2021-11-1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显示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2132A (ja) * 2006-07-11 2008-01-31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1053468A (ja) * 2009-09-02 2011-03-17 Sony Corp 映像/文字同時表示装置及び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517A (ko) 1999-12-23 2001-08-21 신현준 좌우가 반전된 영상을 출력하는 텔레비젼
KR20040085336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프로젝터 위치 제어 장치
KR20060071056A (ko) * 2004-12-21 2006-06-26 박방열 시력보호용 텔레비전
KR20160023208A (ko) 2014-08-21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12043B1 (ko) 2018-08-06 2019-08-19 주식회사 매직내니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2132A (ja) * 2006-07-11 2008-01-31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1053468A (ja) * 2009-09-02 2011-03-17 Sony Corp 映像/文字同時表示装置及び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91A (ko)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5531B1 (en) Single lens stereoscopic imaging system
US5541641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950006457B1 (ko) 입체 텔레비젼 수상기
US7777679B2 (en) Mobile terminal
US788152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KR102182210B1 (ko)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134603A1 (en)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utput method
US20160205432A1 (en) Methods of display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TW201206162A (en) Shutter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utter glasses
CN102387380A (zh) 立体眼镜、立体视频显示装置及立体视频显示系统
SE8007147L (sv) Bildatergivningsanordning utford att aterge en blandad bildsignal, sasom en interfolierad televisionsbild
TR201707707A2 (tr) Bi̇r altyazi yerleşti̇rme i̇çi̇n aparat ve bunun bi̇r yöntemi̇
US2438022A (en) Projection device for television apparatus
US2014004345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display system, video generation appar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1644900B1 (ko)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DE102004004806B4 (de) Elektronische Laufbildkamera
JP2007004031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Brauers et al. Modeling differential screen-camera data transmission for parallel video presentation
US20130021454A1 (en) 3d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13099193B (zh) 投影仪、沉浸式投影系统及方法
CN113890964B (zh) 光处理装置、相机模组、电子设备、拍摄方法及存储介质
KR100703156B1 (ko) 영화 자막 시스템
US20220137717A1 (en) Push-button switch and input device
AU2012327246B2 (en) 3D intelligent terminal and system based on glasses
Mason et al. Factors affecting perception of audio-video synchronization in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