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208A -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208A
KR20160023208A KR1020140109158A KR20140109158A KR20160023208A KR 20160023208 A KR20160023208 A KR 20160023208A KR 1020140109158 A KR1020140109158 A KR 1020140109158A KR 20140109158 A KR20140109158 A KR 20140109158A KR 20160023208 A KR20160023208 A KR 2016002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isplay
recommended
information
us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상
이지현
김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3208A/ko
Publication of KR2016002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춰지는 사용자에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를 인식한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MIRROR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는 화면의 크기가 커지거나 화질이 좋아지는 것 이외에도, 새로운 소재가 적용되거나 특이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뒷면에 있는 물체가 보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사각형이 아닌 형태를 갖는 이형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전면에 있는 물체를 거울처럼 비출 수 있는 미러 디스플레이가 있다.
특히 미러 디스플레이는 거울처럼 물체를 비추면서도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서,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적절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제공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정보는 상품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에 불과하고, 나열된 정보를 단순히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없어서, 사용자 개개인에 적절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단순히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사용에게 다양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춰지는 사용자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추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영상 획득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획득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추천 의상 착용 모습 표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추천 의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 표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공유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에 대한 위치 정보 표시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인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의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면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획득부(110), 영상 획득부(120), 방송 수신부(13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통신부(160), 제어부(170), 미러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1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획득부(110)는 획득된 음성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0)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21)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카메라(121)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20)는 획득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terminal)를 포함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connecter)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연결된 외부 장치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가 송신한 동작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제어부(170)가 송신한 음성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획득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 또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주변 기기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기기는 후술할 단말기(200),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 및 스마트 체중계(50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넷 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기기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6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 외부 장치의 연결에 대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구동 전원이 전달되도록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음성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한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복수의 음성 신호를 비교하고, 가장 품질 좋은 음성 신호의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마이크가 구비된 음성 획득부(110)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음성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마이크 각각이 획득한 음성을 비교하여, 음성을 발화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미러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미러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미러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음성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음성을 기초로 발화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상품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기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판단하고, 판단된 신체 조건을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있는 사물을 비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러 디스플레이부(180)는 일면이 거울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코팅, 필름, 적층 구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일면의 전면에 있는 물체를 비출 수 있다. 그리고 미러 디스플레이부(180)는 타면 방향에서 빛이 나오면 투명하게 비춰지며, 타면 방향에서 나오는 빛을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기(200)와 네트워크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222)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40)는 근접센서(2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2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2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2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건강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240)는 단말기(200)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의 방위,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및 햅틱 모듈(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244)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244)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244)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244)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244)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3)는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센싱부(240)로부터 획득한 센싱값을 기초로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 이동 속도 등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단말기(2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2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단말기(2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단말기(200)를 검색한다(S101).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단말기(200)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단말기(200)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색 신호를 통신부(160)를 통해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검색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200)가 전송한 응답 신호를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복수의 통신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검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검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복수의 통신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검색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검색된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103).
제어부(17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검색된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200)의 종류, 이용 가능한 통신 방식, 제어 코드, 동작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200)의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105).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영상 획득부(12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면 방향에 있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20)는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영상 획득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면 방향에 있는 사용자의 모습을 비출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20)에 포함된 카메라(121)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일면 방향의 사용자를 비추며,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면 방향에 있는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며,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에 정보창(530, 535)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정보창(535)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날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다양한 정보를 정보창(530)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정보창(530)을 통해 세일 정보, 매장 안내 정보, 최신 스타일 정보 등과 같이 상품,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창(530, 535)의 크기, 표시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정보창(530, 535) 이외에도 다양한 영상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영상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물체 또는 사용자의 모습과 겹쳐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를 인식한다(S107).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기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획득된 영상의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획득된 영상의 얼굴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신체 정보, 상품 구매 내역에 대한 정보,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획득한다(S109).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40),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계된 단말기(200), 서버(3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의상 정보에서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연계된 단말기(200)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연계된 단말기(200)는 단계 S101에서 검색된 단말기(200)일 수도 있고, 다른 단말기(200)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연계된 서버(300)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의상 정보는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의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 의상 정보는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의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추천 의상 정보는 인식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의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추천 의상 정보는 인식된 사용자가 기 저장한 의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추천 의상 정보는 인식된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과 유사한 스타일인 의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70)의 추천 의상 정보 획득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데이터 획득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60)를 통해 단말기(200), 서버(300)와 같은 다양한 다른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통신부(160)를 통해 단말기(200)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통신부(160)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는 사용자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저장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구매 내역, 구매 패턴, 결재 정보, 선호하는 제품에 대한 통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데이터는 상품 정보, 가격 정보, 매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데이터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백업 공간, 다양한 기기 또는 다양한 사용자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추천 의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한다(S111).
제어부(170)는 획득된 추천 의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에 대한 영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추천 의상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의상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이미지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의상을 해당 의상이 대응하는 신체 주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모습 주변에 복수의 추천 의상 각각에 대한 이미지(401, 411, 421, 43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머리 주변에 추천 모자에 대한 이미지(401), 머리 장신구에 대한 이미지(421)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상체 주변에 추천 코트에 대한 이미지(411)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발 주변에 추천 구두에 대한 이미지(431)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를 추천 의상의 매장 내 위치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매장 내에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가까이 있는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의상 이미지는 기준 크기보다 크게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고,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의상 이미지는 기준 크기보다 작게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매장 내에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가까이 있는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의상 이미지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상단 레이어에 표시하고,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의상 이미지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하단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 중 매장 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가장 가까이 있는 추천 구두에 대한 이미지(431)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가장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 중 매장 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가장 멀리 있는 추천 모자에 대한 이미지(401)를 가장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 중 매장 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가장 가까이 있는 추천 구두에 대한 이미지(431)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첫번째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 중 매장 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두번째 가까이 있는 추천 코트에 대한 이미지(411)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레이어 중 두번째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 중 매장 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세번째 가까이 있는 추천 모자에 대한 이미지(401)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세번째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때, 추천 의상의 매장 내 위치에 비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이미지에 겹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추천 의상을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추천 의상 착용 모습 표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추천 모자에 대한 이미지(401)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이미지의 머리 부분에 겹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추천 모자를 착용한 모습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동일한 종류의 복수의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추천 의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자켓류에 대한 복수의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411, 413, 415)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411, 413, 415) 중 하나의 추천 의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 또는 선택된 추천 의상을 착용한 사용자 모습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에 대한 상품 정보, 재고 정보, 가격 정보, 관련 상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의 사이즈 종류, 색상 종류, 출시 정보, 재고 정보, 가격 정보, 할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 표시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추천 상품인 추천 모자(401)의 다른 색상에 대한 이미지(402, 403)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천 모자(401)에 대한 사이즈 정보, 출시 정보, 재고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창(510)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천 모자(401)의 최저가 정보, 가격 추세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정보창(520)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매장 세일 정보, 상품 할인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창(540)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 추천 의상을 착용한 사용자 모습에 대한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연계된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200)는 전송된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 추천 의상을 착용한 사용자 모습에 대한 이미지 중 하나 이상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표시된 추천 의상에 대한 이미지,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 추천 의상을 착용한 사용자 모습에 대한 이미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기초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데이터 공유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를 통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조작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연계된 단말기(200)에 추천 모자(401)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에 대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200)의 제어부(280)는 추천 모자(401)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에 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인 추천 모자(401, 402, 403)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60)를 통해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전송된 복수의 추천 모자에 대한 이미지(401, 402, 403)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복수의 추천 모자(401, 402, 403) 중 하나(40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기초로 선택된 추천 모자(401)를 착용한 사용자 모습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음성 명령 중 하나 이상뿐만 아니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계된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에 대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13), 추천 의상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한다(S115).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음성 명령 및 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 입력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추천 의상에 대한 매장 내 위치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의상의 매장 내 위치에 대한 안내도, 복수의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이동 경로 중 하나 이상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이동 경로는 사용자의 의상 착용 순서, 이동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의상 착용 순서를 고려하여 추천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최단 거리를 이동하도록 추천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에 대한 위치 정보 표시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의상인 추천 모자(401), 추천 코트(411), 추천 구두(431)에 대한 추천 이동 경로(550)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추천 구두(431), 추천 코트(411), 추천 모자(401) 순서로 이동하도록 하는 추천 이동 경로(550)을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복수의 추천 의상 각각을 나타내는 이미지(401, 411, 431)에 이동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추천 이동 경로(550)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의상에 대한 추천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추천 이동 경로(550)에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복수의 추천 의상 각각의 위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복수의 추천 의상 각각에 최단 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미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추천 의상에 대한 위치 정보 표시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17),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119).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를 다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단말기(200), 서버(300)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를 다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단말기(200), 서버(300)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0는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천 의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200), 서버(300)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단말기(200), 서버(300)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선택된 추천 의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계된 단말기(200)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를 벗어나면,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다.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계된 단말기(200)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를 벗어나면,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의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의상에 대한 예시를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상 이외에도 다양한 상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모습에 다양한 정보 또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겹치도록 표시할 수 있어서, 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상품을 이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선호, 취향 등을 고려한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뿐만 아니라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다양한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상품 정보를 다른 기기, 다른 사용자와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춰지는 사용자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추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추천 상품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추천 상품의 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거리에 비례하는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추천 상품의 종류, 재고 정보, 가격 정보, 할인 정보, 매장 내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도달하기 위한 추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도달하기 위한 최단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최단 거리를 기초로 상기 추천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추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 적용하는 순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적용 순서를 기초로 상기 추천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추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계된 단말기,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상품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천 상품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단말기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 거리 내의 일정 영역을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말기가 상기 일정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검색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와 연계된 단말기, 서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구매 내역, 구매 패턴, 결재 정보, 통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구매 내역, 구매 패턴, 결재 정보, 통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미러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추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비춰지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추천 상품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에 비례하는 크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추천 상품의 종류, 재고 정보, 가격 정보, 할인 정보, 매장 내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도달하기 위한 최단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최단 거리를 기초로 상기 추천 상품에 도달하기 위한 추천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이동 경로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 적용하는 순서를 판단하고, 판단된 적용 순서를 기초로 상기 추천 상품에 도달하기 위한 추천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이동 경로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계된 단말기,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이미지,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단말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상품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천 상품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단말기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 거리 내의 일정 영역을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상기 검색된 단말기가 상기 일정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검색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09158A 2014-08-21 2014-08-2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23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58A KR20160023208A (ko) 2014-08-21 2014-08-2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58A KR20160023208A (ko) 2014-08-21 2014-08-2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208A true KR20160023208A (ko) 2016-03-03

Family

ID=5553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158A KR20160023208A (ko) 2014-08-21 2014-08-2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320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10A (ko) * 2016-09-08 2018-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92303A (ko) * 2018-08-06 2018-08-17 주식회사 매직내니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9117463A1 (ko) * 2017-12-13 2019-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WO2020054957A1 (ko) * 2018-09-14 2020-03-19 나모웹비즈주식회사 상품과 관련된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서버
KR20200085591A (ko) 2019-01-07 2020-07-15 이완행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10A (ko) * 2016-09-08 2018-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17463A1 (ko) * 2017-12-13 2019-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180092303A (ko) * 2018-08-06 2018-08-17 주식회사 매직내니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054957A1 (ko) * 2018-09-14 2020-03-19 나모웹비즈주식회사 상품과 관련된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서버
KR20200031216A (ko) * 2018-09-14 2020-03-24 나모웹비즈주식회사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서버
CN112703524A (zh) * 2018-09-14 2021-04-23 纳摸网业有限公司 提供与商品相关的增强现实、虚拟现实或混合现实内容的显示装置、方法及服务器
KR20200085591A (ko) 2019-01-07 2020-07-15 이완행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5774B2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speech and text captions
CN111652678B (zh) 物品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US1049587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3866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image through HMD device
US9418481B2 (en) Visual overlay for augmenting reality
EP3198376B1 (en) Image display method performed by device including switchable mirror and the device
US9563057B2 (en) Eyewear 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093081A1 (en) Image display method performed by device including switchable mirror and the device
KR20160016263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1447B1 (ko) 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3208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44665A (ko)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71184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210932B2 (en) Discovery of and connection to remote devices
KR20170025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199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030578B (zh) 搜索系统以及搜索系统的控制方法
CN108464020A (zh) 用于使用近场通信提供信息的系统和方法
KR201800006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280434A (zh) 显示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00265233A1 (en)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5191554A (ja) 電子機器
CN109889655A (zh) 移动装置与用于建立无线链路的方法
KR20160019741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1460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