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303A -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303A
KR20180092303A KR1020180091287A KR20180091287A KR20180092303A KR 20180092303 A KR20180092303 A KR 20180092303A KR 1020180091287 A KR1020180091287 A KR 1020180091287A KR 20180091287 A KR20180091287 A KR 20180091287A KR 20180092303 A KR20180092303 A KR 2018009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ser
mirror
distance
mirr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043B1 (ko
Inventor
김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내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내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내니
Priority to KR1020180091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0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 1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 및 미러 모드 중 하나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제 2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미러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거울상을 표시하는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MIRROR DISPLAY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미러 모드 또는 화면 모드에서 동작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러(mirror)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미러는,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반사상을 제공하였는데, 이러한 반사상은 실체에 대하여 좌우가 반전된 화상, 즉 거울상(mirror image)이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손을 들어올리더라도, 미러에서는 오른손을 들어올리는 거울상만을 확인할 수 밖에 없었으며, 따라서 실체에 가까운 화상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종래의 미러에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미러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미러에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미러 화면에서 함께 제공할 뿐이며, 사용자는 좌우가 반전된 거울상을 통해서만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은 잔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와의 이격 거리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러 모드 또는 화면 모드에서 동작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 1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 및 미러 모드 중 하나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생성되는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미러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거울상을 표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상이면, 상기 화면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내이면, 상기 미러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모드는 액자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 거리가 제 2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액자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액자 모드이면,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제스처에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소정의 제스처와 매치되면, 상기 미러 모드 및 상기 화면 모드 사이에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 이내이면, 상기 화면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소정의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미러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기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 거리에 부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 1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 및 미러 모드 중 하나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제 2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미러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거울상을 표시하는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상이면, 상기 화면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내이면, 상기 미러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모드는 액자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제 2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액자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액자 모드이면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제스처에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소정의 제스처와 매치되면 상기 미러 모드 및 상기 화면 모드 사이에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 이내이면, 상기 화면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소정의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미러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상기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 거리에 부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러 디스플레이부가 화면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표시함으로써, 거울상이 아니라, 실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러 디스플레이부가 미러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거울상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러 디스플레이부가 액자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 영상이나, 거울상이 아니라,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액자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제스처, 이격 거리 등에 따라 사용자 영상의 배율 등을 조절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있거나, 시력이 나쁜 경우에도, 확대된 영상을 확인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로 근접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소정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미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카메라부(230), 미러 디스플레이부(240), 감지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2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제어부(260), 저장부(22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26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220)에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소정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부(23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 1 사용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방에 있는 것이 통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230)는 실시예에 따라 특정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거나, 회전 및/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부(240)는, 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정하여, 다양한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 모드에서, 미러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60)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고, 액자 모드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며, 미러 모드에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특히, 미러 디스플레이부(240) 전면)에 있는 사물(사용자 등)을 반사하여 거울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감지부(25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는 사용자의 위치, 거리, 접촉 등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감지부(250)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60)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그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24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부(24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화면 모드 및 미러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액자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 모드에서, 제어부(260)는, 제 1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생성되는 제 2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미러 디스플레이부(240)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고, 액자 모드에서, 제어부(260)는, 저장부(22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소정의 컨텐츠를 미러 디스플레이부(240)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액자 모드에서, 제어부(260)는 예를 들어, 미러 디스플레이부(240)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거울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6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다.
먼저, 카메라부(230)는 제 1 사용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310 단계). 여기서 제 1 사용자 영상은 카메라부(230)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방에 있는 것이 통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20 단계에서, 제어부(26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24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화면 모드 및 미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S320 단계에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미러 디스플레이부(2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모드가 미러 모드이면, 미러 디스플레이부(240)는 통상의 미러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거울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4의 (a) 참조), 동작 모드가 화면 모드이면, 미러 디스플레이부(240)는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여기서 제 2 사용자 영상은 제 1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거울상과 반대되는, 즉 실제상(real image)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러를 보면서도 사용자가 거울상이 아니라 실제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미러 디스플레이부(240)의 동작 모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20 단계는, 사용자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S320 단계는 사용자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상이면, 화면 모드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내이면, 미러 모드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는 미러 모드로 동작하고(도 5의 (a) 참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는 화면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상기 이격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제 1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감지부(250)에 의한 사용자 감지 결과를 함께 분석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20 단계는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20 단계는, 사용자 제스처에 인식하는 단계; 및 사용자 제스처가 소정의 제스처와 매치되면, 미러 모드 및 화면 모드 사이에서 미러 디스플레이부(24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제스처는 제어부(260)가 제 1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거나, 이에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감지부(250)에 의한 사용자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 인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한 패턴의 동작, 미러 디스플레이부(240) 및/또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표면이나 스위치 등에 대한 터치 동작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제스처가 인식되면, 이에 따라 제어부(260)는 미러 디스플레이부(24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동작 모드를 미러 모드와 화면 모드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변경하거나, 사용자 제스처가 지시하는 특정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20 단계는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S320 단계는 제 1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움직임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 이내이면, 화면 모드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움직임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 이상이면, 미러 모드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움직임이 많으면 옷을 입거나 특정 부위에 집중하는 등의 동작을 의미하므로, 이를 위해 거울상을 표시하고, 반대로 움직임이 적으면 좌우 반전 영상인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20 단계에서 결정되는 동작 모드는 화면 모드 및 미러 모드에 부가하여 액자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자 모드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미러가 아닌 액자로 동작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S320 단계에서 동작 모드가 액자 모드로 결정되면, S330 단계에서, 미러 디스플레이부(240)가 제 2 사용자 영상이나 거울상이 아니라,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기준에 따라 동작 모드가 액자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보다 큰 제 2 거리 이상인 경우에 액자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것은 사용자가 미러를 통해 사용자를 확인하려 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이때에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액자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제스처는 제 1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거나, 이에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감지부(250)에 의한 사용자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 인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한 패턴의 동작, 미러 디스플레이부(240) 및/또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표면이나 스위치 등에 대한 터치 동작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의 방법(600)은, 도 3의 방법(300) 중 S320 단계에서 미러 디스플레이부(240)의 동작 모드가 화면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S330 단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S610 단계는, 사용자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격 거리가 크면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이격 거리가 작으면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260)는 제 2 사용자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S620 단계). 이와 같이 변환된 제 2 사용자 영상이 화면 모드 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이격 거리가 먼 경우에도,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가 증가함으로써,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접근하지 않고도 제 2 사용자 영상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610 단계는, 이격 거리에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제 1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찡그림 등이 인식되는 경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눈 찡그림 외의 다른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S62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다.
방법(700)은 도 3의 방법(300), 도 6의 방법(600) 등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먼저 S710 단계에서,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미러 디스플레이부(240)는 S710 단계에서 수신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 중인 컨텐츠를 끊김 없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시청할 수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대화면인 미러 디스플레이부(240)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드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장치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카메라부
240 미러 디스플레이부 250 감지부
260 제어부

Claims (9)

  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 1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 미러 모드 및 액자 모드 중 하나로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생성되는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미러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거울상을 표시하며,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액자 모드이면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상기 이격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내이면, 상기 미러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 내지 제 2 거리 이내이면, 상기 화면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제 2 거리 이상이면, 상기 액자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보다 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기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 거리에 부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방법.
  5.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 1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 미러 모드 및 액자 모드 중 하나로 미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 1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제 2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미러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거울상을 표시하며,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액자 모드이면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상기 이격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제 1 거리 이내이면, 상기 미러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 내지 제 2 거리 이내이면, 상기 화면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이격 거리가 제 2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액자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보다 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상기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을 변환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 거리에 부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영상의 배율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091287A 2018-08-06 2018-08-06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87A KR102012043B1 (ko) 2018-08-06 2018-08-06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87A KR102012043B1 (ko) 2018-08-06 2018-08-06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464A Division KR20170132699A (ko) 2017-08-01 2017-08-0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303A true KR20180092303A (ko) 2018-08-17
KR102012043B1 KR102012043B1 (ko) 2019-08-19

Family

ID=6340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87A KR102012043B1 (ko) 2018-08-06 2018-08-06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591A (ko) 2019-01-07 2020-07-15 이완행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559A (ko) * 2004-02-19 2005-08-24 주식회사 소니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댄스 학습 시스템, 이를 이용한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시스템과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댄스 학습 방법및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023208A (ko) * 2014-08-21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37074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환 거울을 구비한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559A (ko) * 2004-02-19 2005-08-24 주식회사 소니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댄스 학습 시스템, 이를 이용한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시스템과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댄스 학습 방법및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023208A (ko) * 2014-08-21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37074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환 거울을 구비한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591A (ko) 2019-01-07 2020-07-15 이완행 거울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043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735B1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96696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systems for acquiring imag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41607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odifica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67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in electronic device
CN107690649B (zh) 数字拍摄装置及其操作方法
US11531458B2 (en) Video enhancement control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733763B2 (en) Portable device using passive sensor for initiating touchless gesture control
AU20142215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in device
US20140168054A1 (en) Automatic page turning of electronically displayed content based on captured eye position data
US9535604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US9922250B2 (en) Method of capturing iris imag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method, and iris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2655625B1 (ko) 피사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영 장치.
SE1450769A1 (sv) Förbättrad spårning av ett objekt för styrning av ett beröringsfritt användargränssnitt
US92773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all termination based on gaz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20190111034A (ko) 특징 이미지 획득 방법 및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423364B1 (ko)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92303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32699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65526B1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2402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user
US10242279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7120324A (ja) 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68932A (ja) 視線検出装置及び視線検出プログラム
CN118092774A (zh) 配置手势响应区域的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3497957A (zh) 从远程电子设备的外部显示器捕获图像的电子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