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82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824B1
KR102181824B1 KR1020130159730A KR20130159730A KR102181824B1 KR 102181824 B1 KR102181824 B1 KR 102181824B1 KR 1020130159730 A KR1020130159730 A KR 1020130159730A KR 20130159730 A KR20130159730 A KR 20130159730A KR 102181824 B1 KR102181824 B1 KR 102181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light
display
path changing
optic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274A (ko
Inventor
서병혁
김지곤
박형수
임주상
진미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8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 표시영역에 중첩되는 광 변경 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상기 비 표시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용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영역(10a)과 표시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비 표시영역(10b)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 표시영역(10b)은 베젤(Bezel)이라 불리우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과 측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모듈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부분은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때 몰입감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 표시영역에 중첩되는 광 변경 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상기 비 표시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 경로 변경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영역이 확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라 광 경로 변경 부재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을 감쌀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면적 전체가 사용자의 시청 영역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몰입감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베젤(Bezel)을 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종류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B - B' 방향에 대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f는 도 2에 도시된 광 변경 변경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 - A'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고,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에 중첩되는 광 변경 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고, 광 경로 변경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비 표시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거나 높이 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 제2 기판, 제1 기판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 편광부재 및 제2 기판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제2 편광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경로 변경 부재는 기재층 및 기재층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미세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광 변경 패턴을 포함하고, 광 변경 패턴은 외각 영역으로 갈수록 패턴의 경사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재층은 높이 차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경로 변경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경로 변경 부재는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패턴 또는 사선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경로 변경 부재는 표시영역과 대응하는 일부 영역으로 중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경로 변경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고,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의 광 변경 패턴과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의 광 변경 패턴은 서로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는 기재층 및 기재층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미세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광 변경 패턴을 포함하고, 광 변경 패턴은 외각 영역으로 갈수록 패턴의 경사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의 기재층은 높이 차를 보상하는 단차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제2 편광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는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제1 편광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는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패턴 또는 사선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는표시영역과 대응하는 일부 영역으로 중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재층은 1.0mm 이상 3.0 mm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재층은 1.49 이상 1.52 이하의 굴절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변경 패턴은 구배각은 0°이고, 기재층의 상부의 최 외각에 위치하는 패턴의 경사각이 45°이상 60°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변경 패턴은 1.49 이상 1.54 이하의 굴절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경로 변경 부재는 표시영역의 영상 대비 비 표시영역의 영상의 비율이 1.4 이하가 되도록 표시영역의 영상을 비 표시영역으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는 표시영역의 영상 대비 비 표시영역의 영상의 비율이 1.4 이하가 되도록 표시영역의 영상을 비 표시영역으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의 종류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B - B'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영역(A/A_Active Area)과 비 표시영역(NA/A_Non Active Are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및 광 경로 변경 부재(130)를 포함하고 광 경로 변경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영역(A/A)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비 표시영역(NA/A)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광 변경 패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TFT(Thin Fli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는 제1 기판(111), 제1 기판(111)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 편광부재(112), 컬러필터(Color Filter)가 형성될 수 있는 제2 기판(113) 및 제2 기판(113)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 편광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3) 사이에는 액정층(미도시)가 결합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20)은 일반적으로 광원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직하(Direct)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엣지(Edge)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120)을 구비한 보더리스(Borderless)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부(121), 도광판(122), 반사부재(123), 커버버텀(124), 광학시트(125) 및 가이드 패널(12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121)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21a)와 인쇄회로기판(12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22)는 광원부(121)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재(123)는 도광판(122)의 외부로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122)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커버버텀(124)은 광원부(121), 도광판(122), 반사부재(123) 및 광학시트(125)를 수납하기 위하여 수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시트(125)는 도광판(122)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산란 및 집광하기 위하여 확산시트 및 집광시트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시트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패널(126)은 커버버텀(124)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고 광학시트(125)를 고정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패널(126)의 상부에 폼 패드(foam pad) 또는 접착성을 구비한 탄성 레진과 같은 접착부재(126a)를 배치하여 가이드 패널(126)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광 경로 변경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영역(A/A)과 비 표시영역(NA/A)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즉, 광 경로 변경 부재(130b)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외측으로 연장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외부를 감싼 후 백라이트 유닛(120)의 배면 방향으로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s)를 이용하여 광 경로 변경 부재(130b)를 디스플레이 장치(100b)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c는 직하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120c)을 구비한 보더리스(Borderless)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c)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20c)은 광원부(121c), 반사부재(123c), 커버버텀(124c), 광학시트(125c) 및 가이드 패널(126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경로 변경 부재(130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c)의 표시영역(A/A)과 비 표시영역(NA/A)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c)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로 광 경로 변경 부재(130c)는 디스플레이 패널(110c)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c) 및 백라이트 유닛(120c)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도 3d는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120d)을 구비한 베젤(Bezel)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d)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20d)은 광원부(121d), 도광판(122d), 반사부재(123d), 커버버텀(124d), 광학시트(125d), 가이드 패널(126d) 및 케이스 탑(127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경로 변경 부재(130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d)의 표시영역(A/A)과 비 표시영역(NA/A)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d)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경로 변경 부재(130d)는 디스플레이 패널(110d)의 전면에 평평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표시영역(A/A)과 베젤이 위치하는 비 표시영역(NA/A)과의 높이 차(G)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 의해 형성되는 비 표시영역(NA/A)이 표시영역(A/A)보다 높을 경우 광 경로 변경 부재(130d)는 높이 차(G)를 보상하기 위하여 단차부(137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d와 달리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에 의해 형성되는 비 표시영역(NA/A)이 표시영역(A/A)보다 낮을 경우 광 경로 변경 부재(130e)는 높이 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돌출부(137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로 광 경로 변경 부재(130d, 130e)는 디스플레이 패널(110d, 110e)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d, 110e) 및 백라이트 유닛(120d, 120e)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도 3f는 직하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120f)를 구비한 베젤(Bezel)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f)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20f)은 광원부(121f), 반사부재(123f), 커버버텀(124f), 광학시트(125f) 및 가이드 패널(126f)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경로 변경 부재(130f)는 디스플레이 장치(100f)의 표시영역(A/A)과 비 표시영역(NA/A)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f)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광 경로 변경 부재(130f)는 디스플레이 패널(110f)의 전면에 평평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표시영역(A/A)과 베젤이 위치하는 비 표시영역(NA/A)과의 높이 차(G)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도 3d를 참고로 광 경로 변경 부재(130d)와 동일하게 베젤 의해 형성되는 비 표시영역(NA/A)이 표시영역(A/A)보다 높을 경우 광 경로 변경 부재(130f)는 높이 차(G)를 보상하기 위하여 단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e을 참조로 베젤에 의해 형성되는 비 표시영역(NA/A)이 표시영역(A/A)보다 낮을 경우 광 경로 변경 부재(130f)는 높이 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로 광 경로 변경 부재(130f)는 디스플레이 패널(110f)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f) 및 백라이트 유닛(120f)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B - B' 방향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는 도 3a에 도시 광 경로 변경 부재(130)의 단면도와 동일하다.
즉, 광 경로 변경 부재(130)의 광 변경 패턴(1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고,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b 내지 도 3f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b, 100c, 100d, 100e, 100f)에 있어서도 광 변경 패턴(131b, 131c, 131d, 131e, 131f)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고,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130)는 광학접착부재(Optical Clear Adhesive_OCA)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영역(A/A)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비 표시영역(NA/A)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경로 변경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영역(A/A)과 비 표시영역(NA/A)에 중첩되는 광 변경 패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는 광 변경 패턴(131)과 광 변경 패턴(131)이 형성되는 기재층(133)을 포함하고 제2 편광부재(114)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층(133)은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1.0mm 이상 3.0mm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133)은 표시영역(A/A)의 영상을 비 표시영역(NA/A)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1.49 이상 1.52 이하의 굴절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 변경 패턴(131)은 기재층(133)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변경 패턴(131)은 마이크로 프리즘 어레이 패턴(Micro Prismatic Array Pattern)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변경 패턴(131)은 기재층(133)의 최 외각 영역으로 갈수록 패턴의 경사각(θ)이 증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패턴(131)의 구배각은 위치에 상관없이 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안쪽 방향을 향하는 패턴의 면은 9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변경 패턴(131)에 있어서 최 외각에 위치하는 패턴(131a)의 경사각(θ')은 45°이상 60°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 경로 패턴(131)의 굴절률은 1.49 이상 1.54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광 경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영역(A/A)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를 통해 비 표시영역(NA/A)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시청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되어 영상 시청시 극대화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즉, 광 경로 변경 부재(130)의 광 변경 패턴(131)과 중첩하는 표시영역(A/A)의 영상이 광 변경 패턴(131)과 중첩하는 비 표시영역(MA/A)까지 늘어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 표시영역(NA/A)에도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광 변경 패턴(131)과 중첩하는 표시영역(A/A)의 영상과 광 변경 패턴(131)과 중첩하는 비 표시영역(NA/A)의 영상 사이에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표시영역(A/A)의 픽셀(Pixel) 대비 비 표시영역(NA/A)의 픽셀의 확대 비율이 1.4 이하이로 확대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1.30 이하의 비율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비율은 광 변경 패턴(131)과 중첩하는 표시영역(A/A)과 비 표시영역(NA/A)에 있어서 비 표시영역(NA/A)에서 보여지는 픽셀 크기를 표시영역(A/A)에서의 픽셀 크기로 나눈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b)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b) 및 백라이트 유닛(120b)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즉, 광 경로 변경 부재(130b)와 디스플레이 장치(100b)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120b)의 배면 방향으로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s)를 이용하여 광 경로 변경 부재(130b)와 백라이트 유닛(120b)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광 경로 변경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5a 및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의 모서리 영역의 광 변경 패턴은 다양한 미세 패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 경로 변경부재(130)의 일부 영역으로는 중공홀(h)이 형성되거나 단차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의 모서리 영역의 광 변경 패턴은 라운드 패턴(135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비 표시영역(NA/A)보다 상대적으로 영상의 확장이 어려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자리(즉, 모서리 영역)까지 영상을 원활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의 모서리 영역의 광 변경 패턴은 사선 패턴(135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미세 패턴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비 표시영역(NA/A)보다 상대적으로 영상의 확장이 어려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자리(즉, 모서리 영역)까지 영상을 원활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는 중앙 영역으로 중공홀(h)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모서리 영역으로는 라운드 패턴(미도시) 또는 사선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d, 130e)는 도 3d 및 도 3e를 참조로 베젤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110d, 110e)의 전면에 평평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베젤이 위치하는 비 표시영역(NA/A)과 대응하는 기재층(133d, 133e) 영역으로 단차부(137d) 또는 돌출부(137e)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130f)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영역(A/A)과 대응하는 일부 영역 즉, 중앙 영역으로 중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 - A'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백라이트 유닛(220) 및 광 경로 변경 부재(230)을 포함하고 광 경로 변경 부재(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표시영역(A/A)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비 표시영역(NA/A)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광 변경 패턴(23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제1 기판(211), 제1 기판(211)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 편광부재(212), 제2 기판(213) 및 제2 기판(213)의 일 측면에 결합 될 수 있는 제2 편광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20)은 엣지 타입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221), 도광판(222), 반사부재(223), 커버버텀(224), 광학시트(225) 및 가이드 패널(226)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백라이트 유닛(220)이 직하 타입일 경우 도 3c를 참조로 설명한 백라이트 유닛(120c)와 동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변경 부재(230)는 광 변경 패턴(231)과 광 변경 패턴(231)이 형성되는 기재층(233)을 포함하고 광학접착부재(OCA_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 편광부재(214)의 하부에 결합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 경로 변경 부재(230)는 제2 편광 부재(214)와 제2 기판(213) 사이에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 편광부재(214)가 광 경로 변경 부재(230)의 광 변경 패턴(231)을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광 변경 패턴(231)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변경 부재(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 및 백라이트 유닛(2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광 경로 변경 부재(230)의 모서리 영역의 광 변경 패턴은 라운드 패턴 또는 사선 패턴과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c를 참조로 표시영역(A/A)과 대응하는 일부 영역으로는 중공홀(h)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d 및 도 5f를 참조로 베젤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할 경우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의 높이 차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 백라이트 유닛(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와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a, 330b)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표시영역(A/A)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비 표시영역(NA/A)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광 변경 패턴(33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제1 기판(311), 제1 기판(311)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 편광부재(312), 제2 기판(313) 및 제2 기판(313)의 일 측면에 결합 될 수 있는 제2 편광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320)은 엣지 타입이고 광원부(321), 도광판(322), 반사부재(333), 커버버텀(324), 광학시트(325) 및 가이드 패널(32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320)은 직하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는 광 변경 패턴(331a)과 광 변경 패턴(331a)이 형성되는 기재층(333a)을 포함하고 광학접착부재(OCA_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 편광부재(314)의 상부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는 광 변경 패턴(331b)과 광 변경 패턴(331b)이 형성되는 기재층(333b)을 포함하고 광학접착부재(OCA_미도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0) 하부 즉, 제1 편광부재(312)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는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와 동일한 팽창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a를 참고로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는 제1 편광부재(312)의 하부에 결합되고, 도 7b를 참고로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는 제1 편광부재(312)의 상부 즉, 디스플레이 패널(310)과 제1 편광부재(312)의 사이에 결합 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고온 또는 고습의 환경에 노출되어도 동일한 팽창률을 갖고 디스플레이 패널(310)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 하도록 결합된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한 방향으로만 팽창 또는 수축을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의 광 변경 패턴(331a)과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의 광 변경 패턴(331b)은 서로 역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는 디스플레이 패널(3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10) 및 백라이트 유닛(3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b)는 디스플레이 패널(3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10) 및 백라이트 유닛(3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a, 330b)의 모서리 영역의 광 변경 패턴은 라운드 패턴 또는 사선 패턴과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d 및 도 5f를 참조로 제2 편광부재(314)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는 베젤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평평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베젤이 위치하는 비 표시영역(NA/A)과 대응하는 기재층 영역에 단차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c 및 도 5f를 참조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330a, 330b) 중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는 표시영역(A/A)과 대응하는 일부 영역으로 중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 백라이트 유닛(420) 및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430a)와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b)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a, 430b)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표시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비 표시영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광 변경 패턴(431a, 431b)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제1 기판(411), 제1 기판(411)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 편광부재(412), 제2 기판(413) 및 제2 기판(413)의 일 측면에 결합 될 수 있는 제2 편광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420)은 엣지 타입이고 광원부(421), 도광판(422), 반사부재(433), 커버버텀(424), 광학시트(425) 및 가이드 패널(2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420)은 직하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430a)는 광 변경 패턴(431a)과 광 변경 패턴(431a)이 형성되는 기재층(433a)을 포함하고 광학접착부재(OCA_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 편광부재(414)의 하부 즉, 제2 편광부재(41)와 제2 기판(413) 사이에 결합 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편광부재(414)가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430a)의 광 변경 패턴(431a)을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광 변경 패턴(431a)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b)는 광 변경 패턴(431b)과 광 변경 패턴(431b)이 형성되는 기재층(433b)을 포함하고 광학접착부재(OCA_미도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10) 하부 즉, 제1 편광부재(412)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고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430a)와 동일한 팽창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a를 참고로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b)가 제1 편광부재(412)의 하부에 결합되고, 도 8b를 참고로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b)가 제1 편광부재(412)의 상부 즉,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제1 편광부재(412)의 사이에 결합 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고온 또는 고습의 환경에 노출되어도 동일한 팽창률을 갖고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 하도록 결합된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430a)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b)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한 방향으로만 팽창 또는 수축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430a)의 광 변경 패턴(431a)과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b)의 광 변경 패턴(431b)은 서로 역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430a)는 디스플레이 패널(4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10) 및 백라이트 유닛(4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b)는 디스플레이 패널(4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10) 및 백라이트 유닛(4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a, 430b)의 모서리 영역의 광 변경 패턴은 라운드 패턴 또는 사선 패턴과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d 및 도 5f를 참조로 제1 편광부재(41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330a)는 베젤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평평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베젤이 위치하는 비 표시영역(NA/A)과 대응하는 기재층 영역에 높이 차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c 및 도 5f를 참조로 제1 및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430a, 430b) 중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는 표시영역과 대응하는 일부 영역으로 중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광 경로 변경 부재

Claims (23)

  1. 영상이 제공되는 표시영역과 상기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 표시영역 상에 중첩되어 배치되는 광 변경 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굴절시켜 상기 비 표시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상기 광 변경 패턴의 상기 표시영역에서의 경사각은 상기 비표시영역에서의 경사각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 표시영역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거나 높이 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 변경 패턴은 상기 기재층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미세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 표시영역은 높이 차를 가지고,
    상기 기재층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 표시영역 사이의 높이 차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패턴 또는 사선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표시영역과 대응하는 일부 영역으로 중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의 광 변경 패턴과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의 광 변경 패턴은 서로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 편광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2 편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제2 편광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제1 편광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1.0mm 이상 3.0 mm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1.49 이상 1.52 이하의 굴절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 변경 패턴은 구배각은 0°이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의 최 외각에 위치하는 패턴의 경사각이 45°이상 60°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 변경 패턴은 1.49 이상 1.54 이하의 굴절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표시영역의 영상 대비 상기 비 표시영역의 영상의 비율이 1.4 이하가 되도록 상기 표시영역의 영상을 상기 비 표시영역으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 부재는 상기 표시영역의 영상 대비 상기 비 표시영역의 영상의 비율이 1.4 이하가 되도록 상기 표시영역의 영상을 상기 비 표시영역으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30159730A 2013-12-19 2013-12-1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1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30A KR102181824B1 (ko) 2013-12-19 2013-12-1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30A KR102181824B1 (ko) 2013-12-19 2013-12-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274A KR20150072274A (ko) 2015-06-29
KR102181824B1 true KR102181824B1 (ko) 2020-11-24

Family

ID=5351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730A KR102181824B1 (ko) 2013-12-19 2013-12-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6981A (zh) * 2019-09-30 2020-01-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365A (ko) * 2009-05-06 2010-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47566B1 (ko) * 2012-05-01 2014-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274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259B2 (e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panel fixed relative to optical member solely by elastic fixing member
KR102003038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6797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TWI615656B (zh) 液晶顯示裝置
US20130263488A1 (en)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11352262A (zh) 电子装置
US2012016996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10795192B2 (en) Display device
KR102174819B1 (ko) 표시장치
US20130077343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80157090A1 (en) Mold fram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device
JP5355920B2 (ja) 収納容器とそれ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具備する液晶表示装置
US20140056031A1 (en) Bend-resistant bottom chassi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3026110A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929378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60146569A1 (en) Backlight module with filler portion
KR1021818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115445A1 (en) Light guid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and recycling methods thereof
TWI390302B (zh) 背光模組及包含其之光電裝置
US20190196089A1 (en) Display apparatus with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fabricating backlight unit
CN109917567A (zh) 视角控制膜和包括该视角控制膜的液晶显示装置
KR101737799B1 (ko) 차광테이프와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1279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041739A1 (en) Display device
KR20150060070A (ko)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