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714B1 -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714B1
KR102181714B1 KR1020180169741A KR20180169741A KR102181714B1 KR 102181714 B1 KR102181714 B1 KR 102181714B1 KR 1020180169741 A KR1020180169741 A KR 1020180169741A KR 20180169741 A KR20180169741 A KR 20180169741A KR 102181714 B1 KR102181714 B1 KR 10218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plasma
salt
heat
receiv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974A (ko
Inventor
최승모
Original Assignee
최승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모 filed Critical 최승모
Priority to KR102018016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7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상태에서 열을 방출하도록 된 플라즈마히트판넬을 통해 갯벌 바닷물을 가열하여 소금을 제조하도록 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고품질의 소금을 얻도록;
외부에서 해수를 펌프하여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통해 펌프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수용조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로 인가되는 열을 통해 상기 수용조에 수용된 해수를 가열증발시켜 소금결정을 형성하도록 된 증발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탱크는, 상기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의 하부에 적층되어 상기 수용조로 열을 인가하도록 되는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은, 내부에 플라즈마가 수용되는 플라즈마공간이 구비되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도록 된 '중공판넬'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Salt production equipment with plasma heat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상태에서 열을 방출하도록 된 플라즈마히트판넬을 통해 갯벌 바닷물을 가열하여 소금을 제조하도록 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고품질의 소금을 얻도록 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화학명은 염화나트륨이며 분자식은 NaCl으로,나트륨과 염소가 동일한 비율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정입방체의 결정이다.
이러한 소금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 중 하나이며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써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한편 소금은 인류가 이용해온 조미료 중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음식의 기본적인 맛을 낼 뿐 아니라 단맛이나 신맛을 내는 감미료와 산미료와는 달리 다른 물질로 거의 대체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음식을 통해 체내에 흡수된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 이온으로 분리되며, 인체 내 나트륨 양은 체중 1kg당 1,550∼1,380mg으로 체중이 60kg인 사람의 경우 체내에 70∼80g의 나트륨을 보유하고 있으며 25∼40%가 골격조직에, 나머지는 세포외액에 존재한다.
그리고 소금은 위액의 구성성분인 염산을 만들고 근육, 신경 등의 작용을 조절하는 등 여러가지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게 되며, 특히 나트륨은 세포외액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으로 세포외액량, 산·염기 평형, 세포막 전위 등의 조절 및 세포막에서 물질의 능동수송을 수행하는 우리 몸에 필수적인 무기질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소금은 지구상의 어느 곳에나 존재하고 있으나, 자원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암염과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해염이며, 그 밖에 염호·염천·염정 등에서 산출된 소금이 있다.
상기에서 바닷물을 이용하여 소금을 만드는 방법으로는 천일제염법이 있는데, 이것은 태양과 바람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소금을 결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천일제염법은 기후풍토의 조건만 좋으면 해변에서 쉽게 소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는 열대지방에 인접한 위치에 있지는 않으나 국토의 3면에 해안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염법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천일제염법은 염전에 해수를 도입시켜 햇볕과 풍력(風力)만으로 해수를 농축시켜 소금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방법으로, 천일식전오법은 염전에서 얻은 진한 함수(鹹水)를 인공적으로 가열 농축시켜 소금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함수를 인공적으로 가열 농축시켜 소금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방법에는 직화식(直火式), 증기식(蒸氣式), 진공증발식(眞空蒸發式) 및 증기가압식(蒸氣加壓式)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한편, 전기제염법(電氣製鹽法)은 해수의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해수 또는 함수를 발열시켜 농축하는 방법으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해수의 농축은 전기로 가열하고, 소금의 석출은 진공식 증발법으로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냉동제염법(冷凍製鹽法)은 해수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대신에 동결시켜 염분 농도가 진한 함수를 남기는 방법으로, 농축한 함수는 가열에 의해 제염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리고 이온교환막법은 이온교환막을 이용하여 해수를 농축시켜 함수를 만들고, 이 함수를 다시 진공식 증발법으로 제염하는 방법이다.
보통 소금에는 염화나트륨 이외에 여러 가지 불순물이 섞여 있는데, 이들 중 특히 마그네슘 염류는 소금의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원인 물질이 된다.
즉, 마그네슘 염류는 소금의 맛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소금에 조해성(潮解性)을 갖게 하여 저장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또 칼슘 염류도 마찬가지로 소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불순물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소금을 정제할 때는 주로 이들 마그네슘 염류와 칼슘 염류를 제거하는 동시에 흙·유기물, 그 밖의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세정법, 재결정법, 산화칼슘과 탄산나트륨을 이용하는 법, 소염법(燒鹽法) 등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1625호(명칭: 해수를 이용한 소금 제조장치/2013.05.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해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되는 직사각형상의 해수 가열탱크와; 상기 해수 가열탱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써,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열을 내부로 투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열 투입구와 열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고온의 열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가열하여 해수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열 투입구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열원과 연결되며, 상기 가열부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관; 및 상기 열 배출구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열원과 연결되며, 열 배출구로부터 회수되는 열을 열원으로 재투입하기 위한 열 회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금 제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31351호(명칭: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2015.03.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해수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에 구비된 지붕을 포함한 해수조와, 상기 해수조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증발에 의해 농축시키기 위해 해수가 고이는 일정 면적을 갖는 증발부와, 상기 증발부로부터 공급된 해수가 고이고 증발에 의해 소금결정이 형성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소금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지면에 설치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제1증발수조와, 상기 제1증발수조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증발수조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2증발수조와, 상기 제2증발수조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2증발수조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3증발수조로 이루어진 증발수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발수조와 상기 제3증발수조는 고인 해수가 하측의 제1증발수조 및 제2증발수조로 흐르도록 저면에 타공된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증발부의 해수를 펌핑하고, 상기 증발부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상기 증발부로 분사하는 과정으로 상기 증발부의 해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금 제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1621호(명칭: 해수 건조를 통한 담수 및 소금 제조장치/2013.05.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 내에 투입된 해수를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으로 투입된 해수를 가열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열풍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하 다단으로 복수개로 결합되되 상부는 해수를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소금결정체를 형성하는 수분 제거부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소금 결정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소금 결정체 내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로 이루어지는 건조판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해수를 교반하여 건조판 상에 투입된 해수의 원활한 건조를 유도하고, 해수 및 해수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면서 형성되는 소금 결정체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에 형성된 소금 결정체를 상기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복수의 날개가 결합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각 건조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서 해수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수증기 포집관과; 상기 수증기 포집관을 통해 포집된 수증기를 응축하여 담수화하는 응축기; 및 상기 각 건조판 상의 해수 및 소금 결정체를 하단의 건조판으로 떨어뜨리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에 형성되는 배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날개 가운데 스크래퍼의 끝단에 결합되는 날개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소금 제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2019호(명칭: 해수로부터 미네랄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2013.03.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해수를 농축하는 해수 농축조; 상기 농축된 해수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가열조; 공기 가열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조;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가열된 해수를 건조시키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해수가열조에서 공급되는 가열된 해수가 유입되는 제1유로와 상기 공기 공급조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유입관; 및 일단부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해수가 서로 부딪치는 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각각 연결되는 해수 배출부 및 공기 배출부가 형성되는 혼합노즐;로 이루어지는 해수 미립화 장치;를 포함하는 소금 제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1625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31351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1621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2019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금제조장치들은, 해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수행할 수 없어 비경제적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용절감을 통한 경제적인 이익의 구현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상태에서 열을 방출하도록 된 플라즈마히트판넬을 통해 갯벌 바닷물을 가열하여 소금을 제조하도록 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고품질의 소금을 얻도록 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는, 외부에서 해수를 펌프하여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통해 펌프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수용조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로 인가되는 열을 통해 상기 수용조에 수용된 해수를 가열증발시켜 소금결정을 형성하도록 된 증발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탱크는, 상기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의 하부에 적층되어 상기 수용조로 열을 인가하도록 되는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은, 내부에 플라즈마가 수용되는 플라즈마공간이 구비되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도록 된 '중공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조와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의 사이에는, 세라믹판넬이 적층되어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수용조로 전달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조의 내부에서 바닥면에서 상부 부위에는, 다수의 광산화램프들이 배치되어 증발되는 해수에 광산화광을 조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을 통해 제어수단에서 제어된 전원을 통해 발생된 열을 플라즈마상태에서 방출하도록 되어, 균일한 온도로 열을 방출함은 물론, 플라즈마상태에 의한 잠열을 통한 가열에 의한 급속건조 및 불순물의 제거에 따라, 에너지의 사용효율의 극대화를 구현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실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증발탱크의 내부에서 증발되는 해수로 광산화램프에 의한 광산화광의 조사를 통해 태양보다 1000배 이상 강한 광산화(光酸化)에 의한 살균 및 불순물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고품질의 소금을 얻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증발탱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여과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증발탱크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1)는, 갯벌 바닷물을 펌프하여 열을 통한 가열에 의한 소금결정을 생성함으로서, 소금을 제조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염화나트륨의 성분은 적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날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우리나라의 갯벌에서 해수를 공급받아 증발시켜 소금결정을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고품질의 소금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1)는, 외부에서 해수를 펌프하여 공급하는 펌프(2)와; 상기 펌프(2)를 통해 펌프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수용조(31)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31)로 인가되는 열을 통해 상기 수용조(31)에 수용된 해수를 가열증발시켜 소금결정을 형성하도록 된 증발탱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펌프(2)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상기 수용조(31)에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소금결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수용조(31)는, 상부가 개방된 '통(桶;bucket)'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일측에서 내측에 상기 펌프(2)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해수공급관(4)의 종단이 위치하도록 시설되어, 상기 해수공급관(4)을 통해 해수를 공급받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1)에서, 상기 증발탱크(3)는, 상기 수용조(31)와; 상기 수용조(31)의 하부에 적층되어 상기 수용조(31)로 열을 인가하도록 되는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32)을 통해 상기 수용조(31)에 수용된 해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킴으로서 소금결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플라즈마히트판넬(32)은, 내부에 플라즈마가 수용되는 플라즈마공간(S)이 구비되며 제어수단(미도시됨)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도록 된 '중공판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수단에서 제어된 전원을 통해 발생된 열을 플라즈마상태를 통해 방출하도록 되어, 균일한 온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32)의 플라즈마상태에 의한 잠열을 통한 가열에 의한 급속건조 및 불순물의 제거에 따라, 에너지의 사용효율의 극대화를 구현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실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플라즈마는, 초고온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 상태로. 이때 전하 분리도가 상당히 높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음과 양의 전하 수가 같아서 중성을 띠게 되며; 기체상태에 높은 에너지를 가하면 수만℃에서 기체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분리되어 플라즈마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를 형성하기 위히여 직류·초고주파·전자빔 등 전기적 방법을 가해 플라즈마를 생성한 다음, 자기장 등을 사용해 이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플라즈마히트판넬에 형성되는 플라즈마는, 종래 공지된 플라즈마발생장치 및 방법이 적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한 방치 및 방법이 채용되어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1)는, 균일한 온도제어 및 잠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를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32)을 통해 제공하여, 에너지의 사용효율의 극대화를 통한 해수의 급속건조 및 불순물의 안정적인 제거를 구현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실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조(31)의 바닥면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가 공급되는 부위가 타 단부위보다 높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조(31)로 공급되는 해수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용조(31)의 바닥면을 통해 타단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조(31)의 바닥면에 대하여 전면적에 걸여 열을 공급받아 증발효율이 극대화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용조(31)의 바닥면과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32)의 사이에는, 세라믹을 재질로 하는 '판(板;sheet)'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세라믹판넬(33)이 적층되어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수용조로 전달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해수로 방사하도록 되어 건조효율을 증대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1)에서, 상기 수용조(31)의 내부에서 바닥면에서 상부 부위에는, 다수의 광산화램프(34)들이 배치되어 증발되는 해수에 광산화광을 조사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조(3 1)의 내부에서 증발되는 해수로 상기 광산화램프(34)에 의한 광산화광의 조사를 통해 태양보다 1000배 이상 강한 광산화(光酸化)에 의한 살균 및 불순물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고품질의 소금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1)에서, 상기 펌프(2)와 상기 증발탱크(3)의 사이를 연결하는 해수공급관(4)에는, 상기 펌프(2)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여과하는 여과수단(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해수공급관(4)에는, 다수의 상기 여과수단(5)들이 해수가 직렬상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펌프(2)에서 펌프되는 해수를 다단으로 여과한 후, 상기 증발탱크(3)로 공급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펌프(2)를 통해 펌프되는 불순물이 다량 함유된 갯벌 바닷물을 다수의 상기 여과수단(5)들을 통해 필터링하여 인체에 무익한 물질의 제거 및 상기 증발탱크(4)에서의 가열시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약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수단(5)은, 상기 해수공급관(4)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결속되는 스테인레스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에 적층되어 해수가 경유하여 상기 증발탱크(4)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여과하도록 된 활성탄층(52)과 제올라이트층(53)과 귀양토층(54)과 규조토층(55)으로 이루어지는 여과필터부재(56)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로 광산화광을 조사하도록 된 여과광산화램프(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소금제조장치 2 : 펌프
3 : 증발탱크 31 : 수용조
32 : 플라즈마히트판넬 33 : 세라믹판넬
34 : 광산화램프 4 : 해수공급관
5 : 여과수단 51 : 케이스
52 : 활성탄층 53 : 제올라이트층
54 : 귀양토층 55 : 규조토층
56 : 여과필터부재 57 : 여과광산화램프
S : 플라즈마공간

Claims (4)

  1. 외부에서 해수를 펌프하여 공급하는 펌프(2)와; 상기 펌프(2)를 통해 펌프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수용조(31)와, 상기 수용조(31)의 하부에 적층되며 내부에 플라즈마가 수용되는 플라즈마공간(S)이 구비되고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여 상기 수용조(31)로 열을 인가하도록 된 '중공판넬'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히트판넬(32)을 각각 가지어 해수를 가열증발시켜 소금결정을 형성하도록 된 증발탱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31)와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32)의 사이에는,
    세라믹판넬(33)이 적층되어 상기 플라즈마히트판넬(32)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수용조(31)로 전달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31)의 내부에서 바닥면에서 상부 부위에는,
    다수의 광산화램프(34)들이 배치되어 증발되는 해수에 광산화광을 조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증발탱크(3)로 공급되는 해수는,
    갯벌 바닷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KR1020180169741A 2018-12-26 2018-12-26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KR10218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41A KR102181714B1 (ko) 2018-12-26 2018-12-26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41A KR102181714B1 (ko) 2018-12-26 2018-12-26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74A KR20200079974A (ko) 2020-07-06
KR102181714B1 true KR102181714B1 (ko) 2020-11-23

Family

ID=7157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741A KR102181714B1 (ko) 2018-12-26 2018-12-26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7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8007A (ja) * 2015-11-20 2017-06-01 矢嶋 龍彦 プラズマ発生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マグネシウム回収方法、海水成分回収装置、マグネシウム循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80B1 (ko) * 2004-07-12 2008-02-04 서희동 갯벌로부터 소금 및 간수의 생산방법
CN102471022B (zh) 2009-07-02 2015-07-15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救援系统
KR101296714B1 (ko) 2011-11-10 2013-08-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이 특성이 반영된 정원창 구동 진동체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
KR20130051625A (ko) 2011-11-10 2013-05-21 주식회사 벤투스솔루션 세탁내구성과 공기투과도, 드레이프성이 뛰어난 의류 및 침구용 복사열 반사 원단 및 제조방법
KR20150031351A (ko) 2013-09-13 2015-03-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의 수절방법
KR101527930B1 (ko) * 2013-05-08 2015-06-10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해수를 이용한 소금 제조장치
KR101775423B1 (ko) * 2016-01-25 2017-09-06 (주)나노피엔씨 게르마늄 소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8007A (ja) * 2015-11-20 2017-06-01 矢嶋 龍彦 プラズマ発生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マグネシウム回収方法、海水成分回収装置、マグネシウム循環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상호 외 3명, 여과 및 UV-전해 복합살균공정에 의한 발라스트수 처리, 대한환경공학회 2003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KAIST,2003. 5.1~3. pp.965-97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74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272B2 (en) Water sepa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CN111818979A (zh) 用于从盐水中连续提取盐的方法和装置
WO2012127081A1 (es) Planta desalinizadora solar de agua de mar, salmueras o aguas residuales y procedimiento de desalinizacion
US10954138B2 (en) Liquid purification with film heating
KR101527929B1 (ko) 해수 건조를 통한 담수 및 소금 제조장치
JP2008264748A (ja) 海水の淡水化装置
TR201313617A2 (tr) Yeni nesil su üretim ve arıtma sistemi.
JP2012091108A (ja) 太陽熱を用いた減圧蒸留装置
KR102181714B1 (ko) 플라즈마히트판넬이 적용된 소금제조장치
US10202292B2 (en) System and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utilizing an ionomer membrane
US11753313B2 (en) Rapid evaporation of water for desalination and dewatering using nanobubbles and micro-droplets
WO2023097008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water, organics, and/or mineral recovery
Ullah et al. An overview of solar thermal desalination technologies
Kapnichor A review on solar still water purification
US20160122206A1 (en) Solar still countercurrent flow system and apparatus
Kazemi et al. A review of solar energy driven HDH and solar still desalination technologies
US20170166455A1 (en) Solar powered thermal distillation with zero liquid discharge
US11986752B2 (en) System and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utilizing an ionomer membrane
CN217077262U (zh) 海水淡化零排放系统
NL2026420B1 (en) Desalination unit, desalination plant, method for desalination of saline water in order to obtain freshwater, and desalinated water
Mechell et al. Desalination methods for producing drinking water
JP7053218B2 (ja) 水処理装置
Sánchez Carceller Concentrate treatments in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plants: Status and innovative proposals
RU2666425C2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карбонатной жесткост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Jenkins Fresh water from sa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