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599B1 -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599B1
KR102181599B1 KR1020200033605A KR20200033605A KR102181599B1 KR 102181599 B1 KR102181599 B1 KR 102181599B1 KR 1020200033605 A KR1020200033605 A KR 1020200033605A KR 20200033605 A KR20200033605 A KR 20200033605A KR 102181599 B1 KR102181599 B1 KR 10218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eodorant
activated carbon
tourmali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찬
Original Assignee
필리아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리아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리아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599B1/ko
Priority to KR1020200137787A priority patent/KR102301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과 실생활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악취를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참나무로부터 추출한 목초액을 주재료로 하여 목초액의 탈취효능을 개선한 액상 탈취제 제조방법과 상기의 액상 탈취제를 탈취효과가 장기간(2개월 이상)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고안한 고체 탈취제의 제조방법과 상기의 제조방법 들에 의해 제조된 액상 탈취제 및 고체 탈취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Deodorant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참나무로부터 추출한 목초액(이하 “목초액”이라 한다)을 주재료로 하여 목초액의 탈취효능을 개선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목초액과 여기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고농도의 악취성분인 염기성 화합물이나 산성 화합물의 구분 없이 상승적 작용에 기해 높은 탈취효율을 갖고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과 실생활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악취를 다른 종류의 냄새로 상쇄시키는 마스킹 효과에 의한 제거방법과 악취분자를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서 악취분자의 구조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 효과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등이 있다.
마스킹 효과에 의한 악취 제거방법은 악취가 그다지 심하지 않거나 악취발생 장소가 많이 넓지 않고 폐쇄된 공간(옷장, 냉장고 안, 자동차 내부, 화장실 등)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심한 악취가 나는 장소나 외부에 노출된 개방된 장소 또는 넓은 공간의 장소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제거방법이다. 악취가 심하게 나는 장소(하수처리장 및 분뇨처리장, 음식물 쓰레기 저장고와 반입장 및 소각장 등)에서는 탈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기 포집장치와 탈취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공기 포집장치의 경우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면서도 탈취효율은 그다지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시설을 유지 보수하는데도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들어가는 비경제적인 제거방법이다.
그리고, 악취 제거를 위하여 탈취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재 화학탈취제와 미생물에 의한 탈취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악취제거의 기전은 악취 생성 미생물의 증식억제 또는 미생물의 발효산물에 의한 악취 원인물질의 분해작용에 의거하고 있다. 미생물 탈취제는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호응을 얻고 있으나 악취제거에 미생물을 사용할 경우 유용한 미생물의 증식을 위해서는 영양분(주로 당밀)을 계속적으로 미생물에게 공급하여서 미생물을 증식시켜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상기의 미생물을 증식시키는 과정에서 영양분으로 공급되는 당밀은 하수 중에 항시 존재하는 악취 발생 미생물에게도 함께 영양분으로 사용되어서 유용 미생물이 증식되는 것과 동시에 악취 발생 미생물의 증식도 같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악취생성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절대 악취량의 증가가 동시에 일어나므로 유용미생물이 증식되더라도 악취제거 효과는 서로 상쇄되어서 별다르게 향상된 악취제거 효과로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유용 미생물에 의한 악취 원인물질의 분해작용에 의한 탈취효과는 미생물의 성장에 비례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탈취 효과가 나타날 때 까지는 비교적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비점이 낮은 악취들<표 1>은 미생물에 의해서 미처 처리되기 전에 대기 중으로 빠르게 증발하고 확산되어서 악취를 발생하기 때문에 미생물처리에 의한 악취제거는 화학탈취제보다 탈취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Figure 112020028917980-pat00001
상기와 같은 이유로 미생물처리에 의한 악취제거보다는 화학탈취제가 각종 악취에 대해서 효율이 좋으며 효과도 빠르게 나타나지만 화학탈취제의 경우에는 그 살포 후에 화학탈취제의 확산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화학탈취제가 살포된 산업현장이나 살포된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과 가축들에게 환경에 유해한 2차 오염이 발생할 수도 있어서 화학탈취제의 사용을 기피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탈취제가 제조되어 점차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천연물탈취제의 한 종류인 참나무 목초액은 참나무의 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증류하여 얻어지는 대표적인 친환경 천연물질로 예로부터 각종 농산물의 경작이나 축산 농가의 장내 세균활성화 물질로 사용되어 왔으며, 시중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목초액이 상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참나무 목초액은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로도 사용되어 왔는데 참나무 목초액의 탈취작용은 목초액에 포함되어 있는 초산으로 대표되는 각종 유기산들이 추출과정에서 고온 저압 하에서 반응성이 높은 이온성 물질로 변화되어 목초액을 살포하였을 경우에 악취분자와 작용하여서 분자구조에 변형을 일으켜 탈취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나무 목초액의 탈취효과는 염기성 화합물(암모니아, 트리메탈아민 등)에 의한 악취에는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산성 화합물(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에 의한 악취에는 제거효과가 거의 없다.
Figure 112020028917980-pat00002
현재 우리들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산업현장과 다중이 모여서 살아가는 실생활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들은 각종 화학물질(환경부 분류 약 260여종)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특정한 몇 종류의 화학물질에 의한 악취보다는 수많은 종류의 악취들이 서로 섞여있는 복합악취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악취는 악취물질의 농도보다는 사람들이 실제로 악취를 느끼는 악취강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수많은 악취물질 중에서도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암모니아, 트리메탈아민이 전체 악취강도의 9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일상생활에서 산성계열의 악취인 메틸메르캅탄(최소 감지값 0.0001 ppm;암모니아의 1,500배)과 황화수소(최소 감지값 0.0005 ppm;암모니아의 300배)는 악취강도가 매우 높으면서도 비점이 낮아서 연중계절에 관계없이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다. 예로 환경부의 합류식 하수관거 악취개선 매뉴얼(2011. 9)에서는 하수관거 악취저감 약품을 투입할 경우 일차적으로 황화수소의 발생을 방재해야 할 것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매뉴얼을 제시해 놓았다. 이와 같이 여러 종류의 악취가 섞여서 발생하는 복합악취의 경우에는 주로 황계열의 화학물질인 산성계열의 악취를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목초액이 가지고 있는 탈취능력으로는 산성 화합물(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 데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으며, 화학탈취제는 현재 사용되는 각종 탈취제 중에서 탈취 효율은 좋으나 사용할 시에는 악취원에 직접 분사하거나 분무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실제로 하수토구를 대상으로 살포하였을 경우에 약 20분간 정도만이 탈취 효과를 지속할 수 있고 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시 화학탈취제를 분사해야하는 과정을 되풀이하여야 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자동화시설을 설치하여 일정한 시간에 맞추어서 반복하여 분사해야하는 고비용의 자동화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촉매산화법은 촉매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악취물질을 탈취시키는 방법으로 그 처리효율은 높으나 과다한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로 그 적용범위가 제한적이며, 또한 연소법은 악취물질을 직접고온으로 연소시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처리할 량이 적고 고농도인 경우에만 적합하며 그 시설비 및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오존 탈취법은 악취물질을 오존과 접촉시켜 산화 제거하는 방법으로 오존발생기의 설치비용과 운전소요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문제점들에 대응하여 최근에는 참나무 등의 목초액에 무기물인 황토, 제올라이트, 백토 및 셀레늄, 망간, 구리, 아연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탈취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6617호, 제10-0665494호, 제10-0744342호, 공개특허공보 제1998-065152호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련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탈취제인 참나무 목초액은 그 탈취효과에 있어서 염기성 화합물(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에 의한 악취제거에는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산성 화합물(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에 의한 악취제거에는 탈취 효능이 미약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한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과 함께 액상 탈취제는 그 특성상 액상에서의 분무에 의한 살포로 공기 중에 증발 및 확산되는 등의 원인으로 단시간 동안밖에 탈취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동시에 저비용으로 용이하고 간단하면서도 장시간 동안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고체 탈취제의 제조방법과 상기의 제조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액상 및 고체 탈취제에 관한 기술구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고농도의 악취성분인 염기성 화합물이나 산성 화합물의 구분 없이 상승적 작용에 기해 양자 모두에게 높은 탈취효율을 갖고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탈취제인 참나무 목초액이 염기성 화합물(암모니아, 트리메킬아민 등)에 의한 악취제거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산성 화합물(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에 의한 악취제거에는 그 효능이 미약하다는 점과 함께 액상에서의 분무살포로는 단시간 동안에만 그 탈취효과를 발휘할 수밖에 없다는 액상 탈취제로서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을 과제 해결의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액상 탈취제인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중량부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보조성분으로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활성탄 5~10중량부, 에틸알코올 10~1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서 탈취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먼저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및 활성탄 5~10중량부를 단계에서 토루말린 분말에 포함된 광물질을 용출시킨 후, 액상 탈취제로 분사하여 사용할 경우에 목초액에 포함된 타르성분으로 인하여 분사노즐의 구멍이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활성탄으로 목초액에 포함된 타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원료들의 혼합단계에서 교반기에 넣고 섭씨 30~40도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분당 180 회전의 속도로 6시간 동안 혼합한 다음, 상기의 혼합액속에 존재하는 고형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12시간 이상 실온에서 정치하여서 혼합액속의 토루말린 분말과 활성탄 입자를 침전시킨 후에, 상기의 정치과정을 거친 혼합액의 상층액을 회수하여 투과되는 입경의 크기가 50μm 사이즈 이하의 여과 필터를 통과 시켜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제거한 다음에, 상기의 여과 필터를 통과한 용액에 발향제로서의 역할을 함께할 수 있도록 10~15중량부의 순도 95%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실온 속에서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 혼합시켜 액상 탈취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액상 탈취제를 고형화시킨 고체 탈취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의 액상 탈취제 제조공정에서 에틸알코올을 첨가하기 전까지의 공정과정을 거친 용액에 1~10중량부의 한천분말을 혼합하여 섭씨 90도에서 1~2시간 동안 한천을 용해시킨 다음에, 상기의 한천이 용해되어 혼합된 용액에 첨가되는 에틸알코올은 탈취용액의 원활한 분산을 유도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발향제로서의 역할을 함께할 수 있도록 1~20중량부의 순도 95%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다시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혼합한 후에 그 혼합된 용액을 형틀 속에 주입하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냉각시켜서 고체로 제조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고체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목초액과 여기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고농도의 악취성분인 염기성 화합물이나 산성 화합물의 구분 없이 상승적 작용에 기해 높은 탈취효율을 갖고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제는 액상 탈취제의 구성성분인 목초액, 수산화나트륨, 토루말린, 활성탄, 에틸알코올 및 고체 탈취제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는 한천은 천연물질로써 인체와 동물에 비자극성이고 무독성물질로 구성되는 친환경적인 탈취제이기 때문에, 산업현장과 다중이 모여서 살아가는 실생활 과정에서 사고 등 여러 가지의 요인으로 인하여 단시간에 발생한 악취로 민원이 발생하는 곳에는 액상 탈취제를 살포하여서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탈취제 이고, 반면에 고체 탈취제는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탈취효과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처리장, 하수관로, 폐쇄된 축사, 재래식 및 간이 화장실, 병원 등의 탈취제가 필요한 장소에 용이하게 위치시켜서 별다른 설치비용과 추가적인 운전소요비용 없이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의 액상 탈취제 및 고체 탈취제를 악취발생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탈취제에 비하여 보다 더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체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탈취제와 고체 탈취제를 혼합하여 생산하거나, 액상 탈취제와 고체 탈취제를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및 고체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재혼합교반단계(S10)와, 침전단계, 필터단계, 에틸알코올 첨가단계, 혼합교반단계(S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재혼합교반단계(S10)에서는 먼저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중량부을 혼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재료로 목초액, 수산화나트륨 이오의 보조성분은 필요없지만, 필요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및 활성탄 5~10중량부가 혼합되어질 수도 있으며, 또한 보조성분은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형에 따라 혹은 보조적인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재혼합교반단계(S10)는 상기와 같이 각 성분을 정해진 비율로 혼합 교반하여 주재를 만드는 과정이다. 목초액은 상품화되어 시중에 유통 중인 참나무 목초액 중에서 색깔은 짙은 황갈색, 비중 1.1~1.2, 당도 5~6 brix. pH 2~3의 조건에 해당하는 것을 선별하여 채택한다. 상기의 선별된 목초액 70~90중량부 및 및 수산화나트륨 5~20중량부에 추가적으로 혼합될 수 있는 토루말린 분말의 크기는 의약품의 절도 또는 분말도의 명칭 및 체의 규격에서 정의하는 제4호~제6호의 크기의 분말 5~10중량부, 입도200의 활성탄 5~10중량부를 혼합기에 넣어 교반시켜 혼합한다. 이때 토루말린에 포함된 광물질의 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용액의 온도를 섭씨 30~40도 정도를 유지하여 분당 180회전으로 6시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일부(바람직하게는 5~10중량부)를 수산화칼륨으로 대체한다. 이 경우 산성 화합물에 대한 탈취효율을 보다 증진시키게 된다.
상기 주재혼합교반단계(S10)를 거친 혼합액은 혼합 후 용액에 포함된 토루말린 분말과 활성탄을 제거하기 위해서 실온에서 12시간 이상 정치하여 고형성분을 침전시킨 다음, 혼합액 중에 존재하는 미세한 고형분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층부액을 회수하여서 투과되는 입경의 크기가 50μm 사이즈 이하의 여과 필터를 사용해서 혼합액 중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제거한 다음, 상기의 잔류하던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이 제거된 용액에 10~15중량부의 순도 95%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하며, 이때 첨가되는 에틸알코올은 탈취용액의 원활한 분산을 유도하게 할뿐만 아니라 발향제로서의 역할을 함께할 수 있도록 순도 95%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주재혼합교반단계(S10)와 침전단계, 필터단계 및 에틸알코올 첨가단계를 거쳐서 만들어진 혼합용액은 2번째의 혼합교반단계(S20)에서 실온 속에서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액상 탈취제를 제조하여서 생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재혼합교반단계(S10)와, 침전단계, 필터단계, 한천첨가단계(S30), 용해단계(S40), 에틸알코올을 첨가단계, 고형화단계 및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고체 탈취제의 제조는 상기의 액상 탈취제의 제조과정 중 입경의 크기가 50μm 사이즈 이하의 여과필터를 사용해서 혼합액 중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이 제거된 용액에 1~10중량부의 한천 또는 카르니틴을 첨가하고 섭씨 90도에서 1~2시간 동안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섭씨 60도까지 냉각시키며, 이때 첨가되는 한천 또는 카르니틴은 천연물질로써 인체와 동물에 비자극성이고 무독성물질로 구성되는 친환경적인 물질이며, 특히 한천은 바닷물에서 식생하는 홍조류의 일종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일명 우뭇가사리라고도 하며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구성되고 1%의 한천을 물에 넣고 끓이면 녹아서 질액이 되는데 이를 식히면 섭씨 40도 이하에서는 고체형상으로 굳어진다. 이때에 첨가되는 한천의 량이 1중량부 이하이면 고형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반면에 10중량부 이상이면 단단한 고형상태로 되어서 그 속에 포함된 탈취제 성분의 확산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고체 탈취제가 충분하게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기위해서는 첨가하는 한천의 량은 1~10중량부 내에서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의 잔류하던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이 제거된 용액에 한천분말을 첨가하고 용해시킨 한천분말혼합 용액에 1~20중량부의 순도 95%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 후, 상기의 한천과 에틸알코올이 혼합된 용액을 원하는 형태의 일정한 크기와 형상의 형틀 속에 주입한 다음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굳혀서 최종적으로 일정한 고체형상의 탈취제로 성형 제조하여서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된 고체 탈취제는 필요로 하는 크기나 길이별로 커팅(cutting)하여 포장하고 상품으로 유통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체 탈취제는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탈취효과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처리장, 하수관로, 축사, 재래식 및 간이 화장실, 병원 등의 탈취제가 필요한 장소에 용이하게 위치시켜서 별다른 설치비용과 추가적인 운전소요비용 없이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의 액상 탈취제 및 고체 탈취제를 악취발생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탈취제에 비하여 보다 더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S10 - 주재료인 목초액, 수산화나트륨,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
S20 - S10에서 혼합되어 정제과정을 거친 주재료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S30 - S10에서 혼합되어 정제과정을 거친 주재료에 한천분말을 첨가하는 단계
S40 - S30에서 한천분말을 첨가하여 용해시켜서 혼합하는 단계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목초액 7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30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의 혼합된 용액의 온도를 섭씨 35도로 유지하면서 분당 180회전으로 6시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 다음에 실온에서 12시간 정치시켜 액상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목초액 7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중량부, 및 활성탄 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의 혼합된 용액의 온도를 섭씨 35도로 유지하면서 분당 180회전으로 6시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 다음에 실온에서 12시간 정치시킨 후, 상기의 정치된 혼합액 중에서 상층부액을 회수하여서 입경 크기가 50μm 사이즈인 여과 필터를 사용해서 혼합액 중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제거한 용액에 순도 95%인 에틸알코올 10중량부를 첨가하고서 실온 속에서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 혼합하여 액상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목초액 7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중량부, 및 활성탄 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의 혼합된 용액의 온도를 섭씨 35도로 유지하면서 분당 180회전으로 6시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 다음에 실온에서 12시간 정치시킨 후, 상기의 정치된 혼합액 중에서 상층부액을 회수하여서 입경 크기가 50μm 사이즈인 여과 필터를 사용해서 혼합액 중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제거한 용액에 3중량부의 한천분말을 첨가하고서 섭씨 90도에서 1시간 동안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에 섭씨 60도까지 냉각시키고, 상기의 섭씨 60도까지 냉각되고 한천분말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에 순도 95%인 에틸알코올 10중량부를 첨가하고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 후, 형틀 속에 주입한 다음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굳혀서 최종적으로 고체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수산화나트륨의 5중량부를 수산화칼륨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목초액 80중량부와 토루말린 분말 5중량부, 및 활성탄 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의 혼합된 용액의 온도를 섭씨 35도로 유지하면서 분당 180회전으로 6시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 다음에 실온에서 12시간 정치시킨 후, 상기의 정치된 혼합액 중에서 상층부액을 회수하여서 입경 크기가 50μm 사이즈인 여과 필터를 사용해서 혼합액 중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제거한 용액에 순도 95%인 에틸알코올 10중량부를 첨가하고서 실온 속에서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 혼합하여 액상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비교예의 제조과정에 의해서 제조된 액상 탈취제 1㎖의 탈취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S I 2218:2009)에 따른 시험방법으로 고농도(100ppm)의 암모니아, 트리메탈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에 대해서 탈취효과를 측정하였고 그에 대한 시험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시험가스명 시간(분) 탈취율(%)
암모니아
(초기농도 100ppm)
30 70.8
60 72.5
90 72.5
120 72.6
트리메틸아민
(초기농도 100ppm)
30 71.3
60 72.7
90 73.8
120 73.8
황화수소
(초기농도 100ppm)
30 68.2
60 68.5
90 68.5
120 68.6
메틸머캅탄
(초기농도 100ppm)
30 64.3
60 68.5
90 69.2
120 69.2

이와는 달리 10%(w/v)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만을 처리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에 대한 처리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시험가스명 시간(분) 탈취율(%)
암모니아
(초기농도 100ppm)
30 12.5
60 13.2
90 13.3
120 13.3
트리메틸아민
(초기농도 100ppm)
30 11.2
60 12.0
90 12.0
120 12.1
황화수소
(초기농도 100ppm)
30 0.0
60 0.1
90 0.1
120 0.1
메틸머캅탄
(초기농도 100ppm)
30 0.0
60 0.0
90 0.1
120 0.1
상기 표 4의 실험결과 수산화나트륨만을 처리한 경우 고농도 시험가스에 대하여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에 대하여는 미미하지만 약간의 탈취효과를 보이지만,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에 대하여는 전혀 탈취효과를 보이지 않는다.
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제조과정에 의해서 제조된 액상 탈취제 1㎖의 탈취효과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실험한 결과, 하기 표 5 및 표 6에서와 같이 상기와 고농도인 100ppm에서도 98% 이상의 탈취율을 보이는 바, 특히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과 같은 황 계열 악취성분에 대하여 현저한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목초액과 수산화나트륨의 조합은 악취성분의 탈취개선에 대한 상승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황계열 악취성분에 대한 개선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1의 탈취효과
시험가스명 시간(분) 탈취율(%)
암모니아
(초기농도 100ppm)
30 98.1
60 99.0
90 99.0
120 99.0
트리메틸아민
(초기농도 100ppm)
30 97.9
60 99.1
90 99.1
120 99.1
황화수소
(초기농도 100ppm)
30 97.5
60 99.2
90 99.2
120 99.2
메틸머캅탄
(초기농도 100ppm)
30 98.0
60 99.1
90 99.1
120 99.1
실시예 2의 탈취효과
시험가스명 시간(분) 탈취율(%)
암모니아
(초기농도 100ppm)
30 98.6
60 99.5
90 99.5
120 99.5
트리메틸아민
(초기농도 100ppm)
30 98.2
60 99.6
90 99.6
120 99.6
황화수소
(초기농도 100ppm)
30 98.0
60 99.5
90 99.6
120 99.6
메틸머캅탄
(초기농도 100ppm)
30 98.2
60 99.5
90 99.7
120 99.7
반면, 실시예 4의 제조과정에 의해서 제조된 액상 탈취제 1㎖의 탈취효과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실험한 결과, 하기 표 7에서와 같이 상기와 고농도인 100ppm에서도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과 같은 황 계열 악취성분이 거의 완벽하게 제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시험가스명 시간(분) 탈취율(%)
암모니아
(초기농도 100ppm)
30 99.2
60 99.8
90 99.8
120 99.8
트리메틸아민
(초기농도 100ppm)
30 99.3
60 99.8
90 99.8
120 99.8
황화수소
(초기농도 100ppm)
30 99.3
60 99.8
90 99.8
120 99.8
메틸머캅탄
(초기농도 100ppm)
30 99.2
60 99.7
90 99.8
120 99.8

Claims (5)

  1. 목초액 및 수산화나트륨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수산화칼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및 활성탄 5~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조성물.
  4.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활성탄 5~10중량부 및 에틸알코올 10~1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서 액상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및 활성탄 5~10중량부를 혼합단계에서 용액의 온도를 섭씨 30~40도로 유지하면서 분당 180회전으로 6시간 동안 혼합한 다음에 실온에서 12시간 이상 정치시킨 후, 상기의 정치된 혼합액 중에서 상층부액을 회수하여서 투과되는 입경의 크기가 50μm 사이즈 이하의 여과 필터를 사용해서 혼합액 중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제거한 다음, 상기의 잔류하던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이 제거된 용액에 10~15중량부의 순도 95%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
  5.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3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활성탄 5~10중량부, 한천분말 1~10중량부, 및 에틸알코올 1~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서 고체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목초액 70~9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5~20중량부, 토루말린 분말 5~10중량부, 및 활성탄 5~10중량부를 혼합단계에서 용액의 온도를 섭씨 30~40도로 유지하면서 분당 180회전으로 6시간동안 혼합한 다음에 실온에서 12시간 이상 정치시킨 후, 상기의 정치된 혼합액 중에서 상층부액을 회수하여서 투과되는 입경의 크기가 50μm 사이즈 이하의 여과 필터를 사용해서 혼합액 중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을 제거한 다음, 상기의 잔류하던 미세한 토루말린 분말 및 활성탄이 제거된 용액에 1~10중량부의 한천분말을 첨가하여 섭씨 90도에서 1~2시간 동안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에 섭씨 60도까지 냉각시키고, 상기의 섭씨 60도까지 냉각되고 한천분말이 용해된 용액에 1~20중량부의 순도 95%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분당 180회전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서 혼합한 후, 상기의 한천과 에틸알코올이 혼합된 용액을 형틀 속에 주입한 다음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굳혀서 고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0200033605A 2020-03-19 2020-03-19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05A KR102181599B1 (ko) 2020-03-19 2020-03-19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0137787A KR102301390B1 (ko) 2020-03-19 2020-10-22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05A KR102181599B1 (ko) 2020-03-19 2020-03-19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787A Division KR102301390B1 (ko) 2020-03-19 2020-10-22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599B1 true KR102181599B1 (ko) 2020-11-20

Family

ID=73697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605A KR102181599B1 (ko) 2020-03-19 2020-03-19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0137787A KR102301390B1 (ko) 2020-03-19 2020-10-22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787A KR102301390B1 (ko) 2020-03-19 2020-10-22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15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443A (ko) * 1988-08-25 1990-03-26 하우프터, 라이싱어 고강도 탄소섬유로의 열변환을 위한 특히 적합하게 되는 용융 방사된 아크릴섬유의 개량된 형성방법
KR20060015950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실버리아 화학물질 과민증 억제기능을 갖는 친환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604695B1 (ko) * 2004-07-15 2006-07-31 이은재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용 조성물
KR100808094B1 (ko) * 2007-12-18 2008-02-2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새집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KR101779885B1 (ko) * 2016-05-13 2017-09-19 윤성용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상 및 고체 탈취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443A (ko) * 1988-08-25 1990-03-26 하우프터, 라이싱어 고강도 탄소섬유로의 열변환을 위한 특히 적합하게 되는 용융 방사된 아크릴섬유의 개량된 형성방법
KR100604695B1 (ko) * 2004-07-15 2006-07-31 이은재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용 조성물
KR20060015950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실버리아 화학물질 과민증 억제기능을 갖는 친환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08094B1 (ko) * 2007-12-18 2008-02-2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새집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 및 항균성 조성물
KR101779885B1 (ko) * 2016-05-13 2017-09-19 윤성용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상 및 고체 탈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390B1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8256B (zh) 一种生物抗菌除臭剂的制备方法
CN113057184A (zh) 一种复合型植物液除臭剂及其制备方法
NO124250B (ko)
CN103920379A (zh) 污水处理专用植物型除臭剂
CN110813012A (zh) 一种空气净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436882B1 (ko) 축산분뇨의 발효촉진 및 악취제거용 복합조성물
CN111821842A (zh) 一种复合植物型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03638545A (zh) 一种微生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377000B1 (ko) 나노 규산입자 혼합 수용성 규산을 유효성분으로 한 가축분뇨 유래 악취유발물질 저감제
KR20130115920A (ko) 악취제거효과가 우수한 소취제
WO2022083085A1 (zh) 一种类植物液的环保高效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779885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상 및 고체 탈취제
CN102319444B (zh) 一种微生物厕所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2181599B1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99397A (zh) 一种环保除臭药剂及其制备方法
CN111514740B (zh) 一种生物除味剂及其制备方法
JP2006296739A (ja) 悪臭発生防止剤及び悪臭発生防止方法
CN112090271A (zh) 一种适用于源头除臭的微生物除臭剂
KR101671577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JP6506524B2 (ja) カルシウムイオン錯体化液を利用する脱臭用原液による脱臭方法
KR102071928B1 (ko) 방취제 조성물
KR101671576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CN112876297A (zh) 一种利用厨余垃圾制备有机肥的方法
JP2006104426A (ja) 生ゴミ等から得られる抗酸化液、およびその活用法
KR102263854B1 (ko) 악취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