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556B1 - 건설 장비 - Google Patents
건설 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1556B1 KR102181556B1 KR1020160159670A KR20160159670A KR102181556B1 KR 102181556 B1 KR102181556 B1 KR 102181556B1 KR 1020160159670 A KR1020160159670 A KR 1020160159670A KR 20160159670 A KR20160159670 A KR 20160159670A KR 102181556 B1 KR102181556 B1 KR 102181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rail
- disposed
- fastened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0—Power-driven drivers with pressure-actuated hammer, i.e. the pressure fluid acting directly on the hamm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건설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건설 장비는 본체, 본체 상부에 설치된 레일, 일측이 레일에 장착되고, 일측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제1 붐, 제1 붐과 마주하고, 일측이 레일에 장착되고, 일측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제2 붐 그리고, 제1 붐의 타측 및 제2 붐의 타측에 장착되는 와이어드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붐을 이용하여 장비의 수평도 또는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일을 더욱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붐을 이용하여 장비의 수평도 또는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일을 더욱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붐을 이용하여 장비의 수평도 또는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건설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또는 교량과 같은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시공 토대가 되는 지반을 일정 심도만큼 굴착하는 기초 터파기 공사를 실시한다. 기초 터파기 공사 시 굴착된 지반을 통하여 지하수나 침투수가 기초터의 내부로 용출될 경우 작업이 곤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강도와 그 안전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될 우려가 있다. 기초 터파기 공사를 실시하기 전에는 반드시 개량 지반의 둘레에 걸쳐 기초 터의 내부로 흙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또한 지하수나 침투수가 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연속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예컨대 각종 건축 공사나 토목 공사에서는 구조물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터파기 공사를 먼저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터파기 공사에서는 주변 지반이 구조물의 설치 공간으로 무너내리지 않도록 연속된 형태의 지하 벽체를 설치하여 주변 지반의 토압에 견디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지하 벽체는 위와 같이 주변 지반의 토압을 견디는 기능 이외에 주변지반을 흐르는 물이 구조물의 설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보통 지하 벽체는 지반에 일정 크기의 홀을 천공한 후, 콘크리트나 몰탈을 충진시켜 형성되는 파일(Pile)의 연속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지하 벽체는 현재 다양한 형태의 시공 방법으로 건설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반 굴착 장비에 구비된 오거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일공을 연속식으로 지반에 천공한 후, 천공된 파일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 벽체를 구축하는 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관 형상으로 된 다수의 케이싱(Casing)을 지반에 일정 깊이로 삽입하여 배열시키고, 이와 같은 케이싱(Casing)이 일종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케이싱(Casing)의 내부로 콘크리트나 몰탈 등과 같은 파일 형성 물질을 주입한 후, 고화시켜 파일 연속체로 된 지하 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지반 굴착 장비는 각각의 파일공을 순차적으로 천공해야 하기 때문에, 연속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공들을 형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붐을 이용하여 장비의 수평도 또는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연약지반에 파일을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설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본체 상부에 설치된 레일, 일측이 레일에 장착되고, 일측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제1 붐, 제1 붐과 마주하고, 일측이 레일에 장착되고, 일측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제2 붐 그리고, 제1 붐의 타측 및 제2 붐의 타측에 장착되는 와이어드럼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의 일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1 붐에 연결되는 제1 유압기 그리고, 레일의 타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2 붐에 연결되는 제2 유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2 붐은 레일과 체결되는 일측에 제1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와이어드럼과 체결되는 타측에 제2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제1 연결부재는, 제1 연결바디, 제1 연결바디 하측에 배치되어 레일에 체결되는 제11 연결지지부재 및 제1 연결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와이어드럼과 체결되는 제12 연결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레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레일고정홀을 포함하고, 제11 연결지지부재는 연결고정홀을 포함하고, 레일고정홀과 연결고정홀을 관통하여 레일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레일은 본체의 수평을 체크하면서 기준 수평신호를 제공하는 기준 수평기기가 배치되고, 제1 붐은 제1 붐의 수평을 체크하면서 제1 수평신호를 제공하는 제1 수평기기 배치되고, 제2 붐은 2 붐의 수평을 체크하면서 제2 수평신호를 제공하는 제2 수평기기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이 와이어드럼의 전방에 체결되고, 하측이 본체의 전방에 체결되어 드럼해머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리더의 하측에 체결되고, 타측이 본체의 전방에 체결되어 리더를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는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리더는 리더의 평형을 체크하면서 평형신호를 제공하는 평형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두 개의 붐을 이용하여 장비의 수평도 또는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연약지반에 파일을 더욱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장비의 수평도와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일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시공할 수 있어 공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장비의 수평도와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본체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하면서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평형기기로부터 수평신호 또는 수직신호를 공급받고 장비의 수평도와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함으로써, 파일 시공에 대한 불량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체 및 붐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배치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2 붐과 고정바 간의 유기적인 동작으로 리더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형기기를 통해 용이하면서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리더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1,2 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고정바를 전후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하여 조정함으로써, 현장에 시공되는 파일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쉽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붐에 대해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와이어드럼과 붐에 대해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붐의 간격, 붐의 높이 및 붐의 활동거리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항타조정기에 배치되는 조정기기를 이용하여 제1 붐과 제2 붐을 조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항타디스플레이를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붐에 대해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와이어드럼과 붐에 대해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붐의 간격, 붐의 높이 및 붐의 활동거리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항타조정기에 배치되는 조정기기를 이용하여 제1 붐과 제2 붐을 조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항타디스플레이를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100)는 본체(110), 항타제어기(130), 항타조정기(150) 및 항타구동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되며, 이동할 수 있다. 본체(110)는 하단에 바퀴 및/또는 캐터필러(111)가 장착되며, 이들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체(110)는 상단에 항타제어기(130), 항타조정기(150) 또는 항타구동기(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항타제어기(130)는 건설 등에 사용되는 건설자재 등을 들어올려서 상하·좌우·전후로 운반시키거나 건설자재 중 하나인 파일(Pile, P) 등을 지반(Ground)에 삽입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항타제어기(130)가 건설자재를 들어올려서 상하·좌우·전후로 운반하거나 파일(Pile, P)을 지반에 삽입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항타구동기(170)는 항타제어기(130)와 항타조정기(150)가 동작하도록 이들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항타제어기(130)는 레일(131), 붐(133) 및 유압기(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31)은 본체(1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면서,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131)은 전방에 돌출되는 전방돌출부(110a)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131)은 전방돌출부(110a)의 상단면에서 본체(110)의 상단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일(131)은 본체(110)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배치될 수 있다. 레일(131)은 본체(110)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일(131)은 붐(133)의 일단과 체결되어 붐(133)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방향은 본체(110)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로지르는 수평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전후방향은 본체(110)를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로지는 수평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좌우방향은 전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은 본체(110)를 기준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가로지르는 수직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하방향은 좌우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면서, 전후방향과도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붐(133)은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본체(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붐(133)은 소정의 길이로 입체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붐(133)은 양단의 폭이 중앙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붐(133)은 중앙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붐(13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골이 조립 또는 결합된 철골구조일 수 있다. 붐(133)은 붐(133)의 뼈대를 이루는 강재 및 각종 형강을 고력 볼트(high strength bolt, high tension bolt) 또는 용접 등의 접합방식으로 조립하거나 또는 단일 형강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형강은 자르는 면이 일정한 형상으로 된 압연 강철재로 정의되고, 고력볼트는 고장력강으로 만들어진 고강도 볼트로 정의될 수 있다.
붐(133)은 일단이 레일(131)에 장착될 수 있고, 타단이 와이어드럼(139)에 장착될 수 있다. 붐(133)은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붐(133a)은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본체(110)의 상단 중 제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붐(133b)은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제1 붐(133a)과 이격되어 본체(110)의 상단 중 제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이 좌측이면, 제2 측은 우측이고, 제1 측이 우측이면, 제2 측은 좌측일 수 있다. 제1 붐(133a)과 제2 붐(133b) 각각은 레일(131)에 장착되어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붐(133)과 레일(131) 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37)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37)는 제1 연결부재(137a)와 제2 연결부재(13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연결부재(137a,137b)는 붐(133)의 일단과 레일(131)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이 서로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유압기(135)는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본체(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압기(135)는 본체(110)의 전방 양측에 배치되고, 붐(133)에 체결되어 붐(133)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유압기(135)는 실린더 안의 피스톤을 유압으로 이동시키고, 피스톤에 고정된 연접봉(135a1,135b1, 도 9 참조)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기(135)는 항타구동기(17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항타조정기(150)로부터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붐(133)을 레일(131)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유압기(135)는 제1 유압기(135a)와 제2 유압기(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압기(135a)는 본체(110)의 상단 중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붐(133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압기(135a)는 피스톤에 고정된 연접봉(135a1,135b1, 도 9 참조)이 제1 붐(133a)의 일단 근처에 결합되어, 제1 붐(133a)의 일단이 레일(131)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유압기(135a)는 제1 연결부재(137a)에 연접봉(135a1,135b1, 도 9 참조)이 체결되어 제1 붐(133a)을 레일(131)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유압기(135b)는 본체(110)의 상단 중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붐(133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유압기(135b)는 피스톤에 고정된 연접봉(135a1,135b1, 도 9 참조)이 제2 붐(133b)의 일단 근처에 결합되어, 제2 붐(133b)의 일단이 레일(131)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2 유압기(135b)는 제2 연결부재(137b)에 연접봉(135a1,135b1, 도 9 참조)이 체결되어 제2 붐(133b)을 레일(131)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유압기(135a)와 제2 유압기(135b)는 항타조정기(150)로부터 제어신호를 각각 공급받아 동작하여 제1 붐(133a)과 제2 붐(133b) 간의 간격을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압기(135a)와 제2 유압기(135b)는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이 서로 중첩되어 위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붐(133)의 타단과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와이어를 감는 동체일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순서대로 감을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양측에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제1 측이 제1 붐(133a)에 결합되고, 제2 측이 제2 붐(133b)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는 일단이 윈치크레인에 체결되고 와이어드럼(139)을 거쳐, 타단이 드럼해머 또는 후크에 체결될 수 있다. 윈치크레인은 본체(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항타제어기(130)는 제1 붐(133a)과 제2 붐(133b) 각각에 수평기기(141a,141b,141c)가 배치될 수 있다. 수평기기(141a,141b,141c)는 기준 수평기기(141c), 제1 수평기기(141a) 및 제2 수평기기(141b)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수평기기(141c)는 레일(131)의 전면 중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 수평기기(141c)는 레일(131)에서 동작하는 붐(133)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준 수평기기(141c)는 공사현장에 본체(110)가 고정되는 동안 기준 수평신호를 항타조정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기준 수평기기(141c)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항타조정기(150)에 기준 수평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수평기기(141a)는 제1 붐(133a)에 배치되되, 본체(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2 수평기기(141b)는 제2 붐(133b)에 배치되되, 본체(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1 수평기기(141a)는 제1 붐(133a)이 상하·좌우·전후로 동작되는 동안 제1 수평신호를 항타조정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수평기기(141a)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항타조정기(150)에 제1 수평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수평기기(141b)는 제2 붐(133b)이 상하·좌우·전후로 동작되는 동안 제2 수평신호를 항타조정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수평기기(141b)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항타조정기(150)에 제2 수평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항타제어기(130)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정기기(151, 도 9 참조) 및 다양한 제어신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정기기(151, 도 9 참조) 중 하나는 제1 유압기(135a)에 조정신호를 공급하여 제1 붐(133a)을 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조정기기(151, 도 9 참조) 중 다른 하나는 제2 유압기(135b)에 조정신호를 공급하여 제2 붐(133b)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신호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 유압기(135a)와 제2 유압기(135b)에 공급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기준 수평기기(141c)로부터 기준 수평신호를 공급받고, 제1 수평기기(141a)로부터 제1 수평신호를 공급받고, 제2 수평기기(141b)로부터 제2 수평신호를 공급받아,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기준 수평신호를 공급받아 본체의 수평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제1 수평신호와 제2 수평신호 각각을 공급받아 기설정된 수평범위에 포함되도록 복수의 조정기기(151, 도 9 참조)를 조작하여 제1 붐(133a) 또는 제2 붐(133b)을 조정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제1,2 수평신호를 공급받아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의 동작을 조정함으로써, 건설자재를 정확한 위치에 운반하거나 파일(Pile, P)에 대한 균형을 빠르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항타제어기(130)는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건설자재를 운반하거나 파일(Pile, P)을 연약지반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항타조정기(15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본체(110) 및 항타제어기(130) 곳곳에 배치되며,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신호가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항타구동기(170)는 외부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구동전원을 항타제어기(130) 및 항타조정기(150)에 공급할 수 있다. 항타구동기(170)는 구동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서지보호기(171)와 배터리(17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타구동기(170)는 서지보호기(171)와 배터리(173)가 더 포함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갑자기 높은 전원이 공급되는 과전원을 제한하거나 외부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구동전원을 항타제어기(130) 및 항타조정기(150)에 공급할 수 있어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붐에 대해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레일(131)은 전방에 돌출되는 전방돌출부(110a)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131)은 소정의 너비와 높이로 형성되어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레일(131)은 좌우방향을 가로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고정홀(131a)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고정홀(131a)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레일(131)이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일고정홀(131a)에는 고정핀(137a5)이 체결될 수 있다.
레일(131)은 상단면에 소정의 레일홈(131b)이 수평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레일홈(131b)은 수평방향을 따라 레일(131)에 길게 배치됨으로써, 붐(133)을 레일(131)에서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레일홈(131b)이 하나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레일홈(131b)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도 있다.
붐(133)은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 여기서는 제1 붐(133a)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붐(133a)은 일단이 레일(131)에 장착될 수 있고, 타단이 와이어드럼(139)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붐(133a)의 일단과 레일(131) 사이에는 제1 연결부재(137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7a)는 제1 붐(133a)의 일단과 레일(131)에 각각 체결되어, 이들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면서 다양한 각도로 동작하도록 관절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7a)는 제1 연결바디(137a1), 제1 연결바디(137a1) 하단에 배치되는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 및 제1 연결바디(137a1)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2 연결지지부재(137a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바디(137a1)는 소정의 폭과 소정의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폭은 전후방향에서 측정되는 길이로 정의될 수 있고, 소정의 두께는 상하방향으로 측정되는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연결바디(137a1)의 폭(wh1)은 레일(131)의 폭(wh2)보다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바디(137a1)는 하단에 다수의 붐베어링(137a2)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붐베어링홈(137a3)이 배치될 수 있다. 붐베어링(137a2)은 붐베어링홈(137a3)에 체결되며, 표면의 일부가 레일(131)의 레일홈(131b)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바디(137a1)가 레일(131)에 장착되는 동안 붐베어링홈(137a3)이 레일홈(131b)과 마주보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는 제1 연결바디(137a1)의 하단에 배치하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측과 후면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는 제1 연결바디(137a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는 레일(131)을 상단면과 레일(131)의 전후단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는 고정핀(137a5)이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레일(131)에 배치되는 레일고정홀(1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고정홀(137a5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고정핀(137a5)은 제1 연결바디(137a1)의 전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에 배치되는 연결고정홀(137a51), 레일고정홀(131a), 제1 연결바디(137a1)의 전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에 배치되는 연결고정홀(137a5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려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137a5)과 제11 연결지지부재(137a11)에 배치되는 연결고정홀(137a51) 사이에 와셔(137a7)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와셔(137a7)는 이들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고정핀(137a5)은 연결고정홀(137a51)과 레일고정홀(131a)에 체결되는 동안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137a5)의 상단에 머리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머리부재의 직경은 고정핀(137a5)의 직경보다 크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137a5)의 하단에는 고정너트(137a6)가 체결될 수 있다. 고정핀(137a5)의 하단에는 고정너트(137a6)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산과 골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137a5)은 머리부재와 고정너트(137a6)에 의해 고정핀(137a5)이 연결고정홀(137a51)과 레일고정홀(131a)에 체결되는 동안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2 연결지지부재(137a12)는 제1 연결바디(137a1)의 상단에 배치하되, 소정의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연결지지부재(137a12)는 상단면에 소정의 직경으로 붐각도조절홀(137a1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붐(133a)의 일단은 붐각도조절홀(137a121)을 통해 내부공간(Inner space, 137a4)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2 연결지지부재(137a12)와 제1 붐(133a)의 일단은 서로 접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Elasticity, ES) 또는 패턴 형상(Elasticity pattern ,EP)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ES)가 제12 연결지지부재(137a12)의 내부면에 배치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턴 형상 (EP)이 제1 붐(133a)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탄성부재(ES)가 제1 붐(133a)의 일단에 배치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턴 형상(EP)이 제12 연결지지부재(137a12)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연결지지부재(137a12)와 제1 붐(133a)의 일단 각각에 배치되는 탄성부재(ES)와 패턴 형상(EP)은 상호 접촉되며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각도로 동작한 제1 붐(133a)의 일단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37b)는 제2 연결바디(137b1), 연결바디 하단에 배치되는 제21 연결지지부재(137b11) 및 제2 연결바디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2 연결지지부재(137b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7b)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연결부재(137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가짐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와이어드럼(139)과 붐(133)에 대해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와이어드럼(139)은 드럼바디(139c)와 복수의 결합부재(139a,139b)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바디(139c)는 와이어(Wire, Wi)를 감는 동체이다. 드럼바디(139c)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Wire, Wi)를 순서대로 감을 수 있다. 드럼바디(139c)는 와이어(Wire, Wi)가 순서대로 감기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39c1)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139c1)은 드럼바디(139c)의 외부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바디(139c)의 양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부재(139a,139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39a)는 드럼바디(139c)의 제1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39a)는 일단이 드럼바디(139c)의 제1 측면에 장착되고, 타단이 제1 붐(133a)의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39a)의 타단에는 드럼결합홀(139a1)이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붐(133a)의 타단에도 붐결합홀(133a1)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139a11)은 드럼결합홀(139a1)과 붐결합홀(133a1)을 관통하여 고정너트(139a12)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핀(139a1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붐(133a)의 타단은 고정핀(139a11)을 통해 제1 결합부재(139a)에 결합되어, 제1 붐(133a)과 제2 붐(133b) 간의 간격, 또는 제1 붐(133a)과 제2 붐(133b) 간의 위치에 따라, 제1 결합부재(139a)와 다양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39b)는 드럼바디(139c)의 제2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39b)는 일단이 드럼바디(139c)의 제2 측면에 장착되고, 타단이 제2 붐(133b)의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39b)의 타단에는 드럼결합홀(139b1)이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붐(133b)의 타단에도 붐결합홀(133b1)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139b11)은 드럼결합홀(139b1)과 붐결합홀(133b1)을 관통하여 고정너트(139b12)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붐(133b)의 타단은 고정핀(139b11)을 통해 제2 결합부재(139b)에 결합되어, 제1 붐(133a)과 제2 붐(133b) 간의 간격 또는 제1 붐(133a)과 제2 붐(133b) 간의 위치에 따라 제2 결합부재(139b)와 다양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붐(133)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와이어(Wire, Wi)를 감는 동체일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Wire, Wi)를 순서대로 감을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양측에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139)은 제1 측이 제1 붐(133a)에 결합되고, 제2 측이 제2 붐(133b)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Wire, Wi)는 일단이 윈치크레인(145)에 체결되고 와이어드럼(139)을 거쳐, 타단이 드럼해머(140) 또는 후크(Hook)에 체결될 수 있다. 윈치크레인(145)은 본체(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붐제어로프(138)는 일단이 본체(110)에 체결되고, 타단이 드럼바디(139c)의 양측면의 끝단에 체결될 수 있다. 붐제어로프(138)는 본체(110)와 드럼바디(139c)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붐(133a) 및 제2 붐(133b)이 소정의 위치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제1 붐(133a) 및 제2 붐(133b)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붐의 간격, 붐의 높이 및 붐의 활동거리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항타조정기에 배치되는 조정기기를 이용하여 제1 붐과 제2 붐을 조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항타디스플레이를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기기(141a,141b,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기기(141a,141b,141c)는 기준 수평기기(141c), 제1 수평기기(141a) 및 제2 수평기기(141b)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수평기기(141c)는 레일(131)에 배치되고, 제1 수평기기(141a)는 제1 붐(133a)에 배치되고, 제2 수평기기(141b)는 제2 붐(133b)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 수평기기(141c)는 본체(110)가 공사 현장 중 파일(Pile, P)을 시공할 근처에 멈춰서면 기준 수평신호를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에 디스플레이되는 기준 수평신호를 통해 본체(110)의 수평을 체크할 수 있다. 관리자는 본체(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아웃리거(Outrigger)를 이용하여 본체(110)가 수평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는 파일(Pile, P)을 시공할 근처 중 평평한 지반으로 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수평기기(141c)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준 수평신호를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에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준 수평기기(141c)는 외부면에 수평을 체크할 수 있는 수평 표시화면을 배치할 수 있다. 수평 표시 화면은 본체(110)의 수평 여부를 본체(110)의 주변에서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설 장비(100)는 본체(110)가 공사 현장의 지반으로부터 수평을 유지한 후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을 이용하여 파일(Pile, P)을 시공할 수 있다.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은 레일(131)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좌우이동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은 좌우이동범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동안 붐(133)의 간격(w1,w2)에 따라 붐(133)의 높이(h1,h2)와 붐(133)의 활동거리(d1,d2)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붐(133)의 간격(w1,w2)은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붐(133)의 높이(h1,h2)는 와이어드럼(139)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13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만나는 지점과 와이어드럼(139) 간에 이격되는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붐(133)의 활동거리(d1,d2)는 와이어드럼(139)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13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만나는 지점과 레일(131) 간에 이격되는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붐(133)의 간격(w1,w2)은 붐(133)의 활동거리(d1,d2)와 비례하며, 붐(133)의 높이(h1,h2)와 반비례할 수 있다. 붐(133)의 간격(w1,w2)이 멀어질수록 붐(133)의 활동거리(d1,d2)도 멀어질 수 있고, 붐(133)의 높이(h1,h2)가 낮아질 수 있다. 붐(133)의 간격(w1,w2)이 좁아질수록 붐(133)의 활동거리(d1,d2)도 좁아질 수 있고, 붐(133)의 높이(h1,h2)가 높아질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지반에 파일(Pile, P)이 수직방향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을 조정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정기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기기(151, 도 9 참조)는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기기(151)는 전후,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레버로 전후, 좌우 방향의 볼륨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기기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조정기기(151a)는 제1 붐(133a)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동시에 다양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조정기기(151b)는 제2 붐(133b)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동시에 다양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조정기기(151a)와 제2 조정기기(151b)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정기기(151a)는 관리자의 오른손에 의해 핸들링되고, 제2 조정기기(151b)는 관리자의 왼손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정기기(151a)가 오른쪽방향으로 두 번 움직이면, 제어신호(커서의 포지셔닝을 두 번 이동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가 제1 유압기(135a)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유압기(135a)는 커서의 포지셔닝이 두 번 이동된 것에 대응되는 제1 거리만큼 제1 붐(133a)의 일단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붐(133a)의 일단은 레일(131)에서 제1 거리만큼 오른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정기기(151b)가 왼쪽방향으로 한번 움직이면, 제어신호(커서의 포지셔닝을 한번 이동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가 제2 유압기(135b)에 공급될 수 있다. 제2 유압기(135b)는 커서의 포지셔닝이 한번 이동된 것에 대응되는 제2 거리만큼 제2 붐(133b)의 일단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붐(133b)의 일단은 레일(131)에서 제2 거리만큼 왼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조정기기(151)들과 유압기(135)들이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항타조정기(150)는 본체(110)의 상단에 배치되되, 중앙영역 또는 중앙영역과 후방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항타조정기(150)는 본체(110)의 상단 중 전방에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이 수평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들의 활동 반경을 고려하여 본체(110)의 상단에 배치되되, 중앙영역 또는 중앙영역과 후방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살펴보면, 항타조정기(150)는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를 통해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체크할 수 있다.
항타디스플레이(153)는 기준 수평기기(141c), 제1 수평기기(141a) 및 제2 수평기기(141b)로부터 각각 수평신호(HA)를 공급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항타디스플레이(153)는 본체(110)의 수평에 대한 데이터(HA), 제1,2 붐(133)의 수평에 대한 데이터(HA)뿐만 아니라 붐(133)의 간격(W), 붐(133)의 활동거리(D), 붐(133)의 높이(H) 등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설 장비(100)가 공사 현장에서 파일(Pile, P)을 시공할 근처에 멈춰서면 기준 수평기기(141c)를 통해 기준 수평신호(SHA)가 항타디스플레이(153)에 공급할 수 있다. 관리자는 항타디스플레이(153)에 디스플레이되는 기준 수평신호(SHA)를 체크하고, 공사 현장에서 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설 장비(100)가 공사 현장에서 수평을 유지하면,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은 항타조정기(150)에 의해 조정되어 파일(Pile, P)을 시공할 수 있다.
항타디스플레이(153)는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이 움직일 때마다 제1 붐(133a) 및 제2 붐(133b)에 대한 데이터(H,W,D)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붐(133a,133b)이 움직이면, 항타디스플레이(153)는 제1,2 붐(133a,133b)에 대한 활동거리(D), 제1,2 붐(133a,133b)의 높이(H)와 제1,2붐(133)의 간격(W)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시에 제1,2 붐(133)에 대한 제1,2 수평신호(HA)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관리자는 항타조정기(150)를 이용하여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을 직접 조정할 수도 있고, 항타디스플레이(153)를 체크하면서 조정할 수도 있다. 즉, 관리자는 항타조정기(150)를 이용하여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을 조정하되, 항타디스플레이(153)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붐(133a)과 제2 붐(133b)에 대한 데이터(H,W,D)를 체크할 수 있다. 종래에는 관리자의 경험 또는 감각만을 이용하여 붐(133)을 조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항타디스플레이(15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붐(133)에 대한 데이터를 체크하면서 정확하게 제1,2 붐(133a,133b)을 조정함으로써, 제1,2 붐(133a,133b)을 보다 디테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건설 장비(100)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파일(Pile, P)을 시공하거나 건축 자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 장비(100)는 제1,2 붐(133a,133b)의 활동거리(D)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기 때문에 제1,2 붐(133a,133b)이 동작하는 동안 제1,2 붐(133a,133b)의 활동거리(D) 범위 내에 사람 또는 물체 등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건축장비(100)는 항타제어기(130)와 본체(1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제1,2 붐(133a,133b)이 동작하는 동안 제1,2 붐(133a,133b)의 활동거리 범위 내에 사람 또는 물체 등을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 장비(100)는 항타디스플레이(153)를 통해 제1,2 붐(133)의 높이를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 현장의 주변에 배치된 고압 전선 등과의 접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 장비(100)는 항타디스플레이(153, 도 10 참조)를 통해 제1,2 붐(133a,133b)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H,W,D)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어 파일(Pile, P)을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200)는 본체(210), 항타제어기(230), 항타조정기(250), 항타구동기(270) 및 리더(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체(210), 항타제어기(230), 항타조정기(250) 및 항타구동기(270)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본체(110), 항타제어기(130), 항타조정기(150) 및 항타구동기(1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더(290)는 본체(200)의 전방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더(29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더(290)는 파일(P) 또는 드럼해머(240)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더(290)는 상단에 와이어드럼(239)이 체결되고, 하단에 고정바(291)가 체결될 수 있다.
리더(290)는 일측에 드럼해머(24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해머(240)는 리더(290)의 일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드럼해머(240)는 항타구동기(2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리더(29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와이어드럼(239)은 전후방향으로 양측면의 전단에 리더가 체결되고, 후단에 붐제어로프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239)은 양측에 제1 붐(233a)과 제2 붐(233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239)은 제1 측이 제1 붐(233a)에 결합되고, 제2 측이 제2 붐(233b)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239)은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붐(233a)와 제2 붐(233b)을 이용하여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바(29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리더(290)의 하단에 체결되고, 타측이 본체의 전방에 체결되어 리더(290)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바(291)는 리더(290)의 상단이 제1 붐(233a)과 제2 붐(233b)에 의해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리더(290)의 하단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291)는 도 6a에 도시된 바 같이, 제1 붐(233a)과 제2 붐(233b)이 h1의 높이를 가질 경우 리더(290)의 하단을 전방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이에 리더(290)는 제1,2 붐(233a, 233b)과 고정바(291) 간의 유기적인 동작에 의해 파일(P)을 보다 쉽고 빠르게 수직방향으로 시공시킬 수 있다.
또한, 리더(290)는 평형기기(241)가 배치될 수 있다. 평형기기(24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리더(290)에 배치될 수 있다. 평형기기(241)는 리더(29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배치되거나, 리더(290)의 중앙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평형기기(241)는 공사현장에 리더(290)가 움직이는 동안 리더(290)에 대한 평형신호를 를 항타조정기(250)에 제공할 수 있다. 평형기기(241)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항타조정기(250)에 평형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평형신호는 리더(290)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신호와 리더(290)의 수직을 감지하는 수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장비(200)는 제1,2 붐(233a, 233b)과 고정바(291) 간의 유기적인 동작으로 리더(290)를 용이하게 수평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형기기(241)를 통해 용이하면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수평방향으로 리더(290)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2 붐(233a, 233b)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고정바(291)를 전후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하여 조정함으로써, 현장에 시공되는 파일(P)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쉽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평형기기(241)를 이용하여 리더(290)를 빠르고 정확하게 조정하여 파일(P)을 시공함으로써, 건설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건설 장비
110 : 본체
130 : 항타제어기
150 : 항타조정기
170 : 항타구동기
110 : 본체
130 : 항타제어기
150 : 항타조정기
170 : 항타구동기
Claims (8)
-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본체를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된 레일;
일측이 상기 레일의 일측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붐;
상기 제1 붐과 마주하고, 일측이 상기 레일의 타측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붐;
상기 제1 붐의 타측 및 상기 제2 붐의 타측에 장착되는 와이어드럼;
상기 레일의 일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붐에 연결되는 제1 유압기;
상기 레일의 타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붐에 연결되는 제2 유압기; 및
일단이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드럼의 양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붐 및 상기 제2 붐을 지지하는 붐제어로프;
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붐은 상기 레일과 체결되는 일측에 제1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드럼과 체결되는 타측에 제2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제1 연결바디;
상기 제1 연결바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에 체결되는 제11 연결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드럼과 체결되는 제12 연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레일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연결지지부재는 연결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고정홀과 상기 연결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건설 장비.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본체의 수평을 체크하면서 기준 수평신호를 제공하는 기준 수평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붐은 상기 제1 붐의 수평을 체크하면서 제1 수평신호를 제공하는 제1 수평기기 배치되고,
상기 제2 붐은 상기 제2 붐의 수평을 체크하면서 제2 수평신호를 제공하는 제2 수평기기가 배치되는 건설 장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와이어드럼의 전방에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체결되어 드럼해머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리더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 - 제6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리더의 하측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체결되어 상기 리더를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리더의 평형을 체크하면서 평형신호를 제공하는 평형기기를 더 포함하는 건설 장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670A KR102181556B1 (ko) | 2016-11-28 | 2016-11-28 | 건설 장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670A KR102181556B1 (ko) | 2016-11-28 | 2016-11-28 | 건설 장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313A KR20180060313A (ko) | 2018-06-07 |
KR102181556B1 true KR102181556B1 (ko) | 2020-11-23 |
Family
ID=6262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9670A KR102181556B1 (ko) | 2016-11-28 | 2016-11-28 | 건설 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155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9783A (ja) * | 2001-10-18 | 2003-04-23 | Daiei Kensetsu Kk | 杭打作業船におけるパイルキーパー装置 |
JP2012225007A (ja) * | 2011-04-18 | 2012-11-15 | Fudo Tetra Corp | 地盤改良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2095B2 (ja) * | 1996-10-25 | 2001-07-03 |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 地盤改良機 |
-
2016
- 2016-11-28 KR KR1020160159670A patent/KR1021815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9783A (ja) * | 2001-10-18 | 2003-04-23 | Daiei Kensetsu Kk | 杭打作業船におけるパイルキーパー装置 |
JP2012225007A (ja) * | 2011-04-18 | 2012-11-15 | Fudo Tetra Corp | 地盤改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313A (ko)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86340B (zh) | 沉井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034398B1 (ko) | 지하 흙막이 공법을 겸한 지하구조물 축조공법 | |
JP6618124B2 (ja) | 防護柵及び防護柵の施工方法 | |
CN211898386U (zh) | 管桩垂直度调节装置 | |
JP7093076B2 (ja) | 吊り治具、吊り姿勢制御装置及び吊り姿勢の制御方法 | |
KR102181556B1 (ko) | 건설 장비 | |
JP4934769B1 (ja) | 回転制御バネ機構付き免震装置、及び免震装置の回転量の制御方法 | |
JP6865518B1 (ja) | 山留壁及びその形成方法 | |
JP2017122358A (ja) | 山留架構 | |
WO2004081297A1 (en) | Placing elements in piles | |
CN110735394A (zh) | 索塔结构及其建造方法 | |
CN116335149A (zh) | 一种应用前置式钢支撑系统的小型超深基坑的施工方法 | |
KR102146073B1 (ko) | 변단면 수직구 시공을 위한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수직구 시공방법 | |
KR200399769Y1 (ko) | 어스앵커를 이용한 강재틀 옹벽 | |
JP4349995B2 (ja) | 橋梁の架設方法 | |
JP2003064974A (ja) | 斜面穿孔機と斜面穿孔設備と斜面穿孔工法 | |
EP1792019B1 (en) | Method of raising a building structure, in particular a building structure subject to flooding | |
JP2009203750A (ja) | 掘削装置と掘削方法 | |
KR100652525B1 (ko) | 토류판 설치 장치 | |
JP3041779B2 (ja) | 法面削孔装置及びその固定方法 | |
CN215562698U (zh) | 一种稳定边坡用防护网 | |
JP7364105B2 (ja) | 位置調整装置及び構真柱の位置調整方法 | |
CN215669529U (zh) | 一种可与钢支撑快速安装的明挖基坑连续梁 | |
JP4840297B2 (ja) | 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地中構造物 | |
CN207048350U (zh) | 基于逆作法的非焊接式钢柱脚定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