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80B1 -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80B1
KR102181280B1 KR1020180102752A KR20180102752A KR102181280B1 KR 102181280 B1 KR102181280 B1 KR 102181280B1 KR 1020180102752 A KR1020180102752 A KR 1020180102752A KR 20180102752 A KR20180102752 A KR 20180102752A KR 102181280 B1 KR102181280 B1 KR 10218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dust collecting
bridging
housing
preven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422A (ko
Inventor
김효식
류상오
황상연
서명조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8010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01D46/0065
    • B01D46/00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는, 상부에 유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유입된 유체를 필터링하는 복수의 집진 필터;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 및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탈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필터의 외주면에 침적된 분진 또는 제거 대상 입자를 브러시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어, 필터들 사이에 브리징(bridg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DUST COLLECTING DEVICE OF BRIDGING PREVENTION}
본 발명은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 중의 공기를 여과하여 분진을 포집할 때, 분진의 브리징(bridging)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분진을 배출할 수 있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집진 장치는, 오염된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집진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백필터에서 여과되어 대기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 산업현장에서 분진 제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집진 장치는, 분진 및 제거 대상 입자를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는 집진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 분진 및 제거 대상 입자가 제거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원리로 작동된다.
그런데, 이렇게 분진 및 제거 대상 입자를 포함하는 유체가 복수의 필터를 통과할 때, 필터의 외주면 및 필터 내부를 거치는 동안, 필터를 거치는 입자들은 필터의 외주면에 침적되어 유체와 분리된다. 그런데, 입자의 침적이 지속되면 필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공을 막아 차압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 내부에 노즐을 통해 청소를 위한 유체를 필터 내부에서 외부로 주입한다. 이렇게 노즐을 통해 주입된 유체에 의해 필터의 외주면에 침적된 입자들이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필터를 세정하는 장치가 역세정 장치이다.
이러한 역세정 장치를 이용하여 필터의 외주면에 침적된 입자들을 제거하는 경우, 필터 내부에 분사된 역세정 유체는 마찰에 의한 손실로 인해 노즐에서 가까운 상부에서 침적입자의 제거는 쉽게 일어나지만, 노즐에서 거리가 먼 하부에서 침적입자의 제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필터에서 역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하나의 필터에서 제거된 침적입자가 인접한 필터에 재침적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역세정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필터의 외주면에 침적된 입자들이 필터들 사이에 쌓여 필터들이 서로 연결되는 브리징(bridg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필터의 여과 면적이 감소하고, 차압 증가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7779호 (2012.03.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필터들 사이에 브리징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는, 상부에 유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유입된 유체를 필터링하는 복수의 집진 필터;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 및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탈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두 개의 전자석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두 개의 전자석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에 하나 이상의 상부돌기가 형성된 진동축; 상기 진동축의 양 끝단에 배치된 진동헤드; 및 상기 진동축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진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전자석 유닛에 교차로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진동헤드에 가해진 인력으로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를 각각 감싸도록 배치되고,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탈리유닛; 상기 탈리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탈리유닛을 지지하는 모듈받침; 상기 모듈받침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축의 상부돌기의 상부에 배치된 진동축; 및 상기 진동축의 하부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돌기와 접촉되는 주행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진동됨에 따라 상기 주행롤러가 상기 상부돌기를 넘도록 회전되어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 이상의 지지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구동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의 진동축의 양 끝단에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판은 중앙에 크기가 가장 큰 진동판이 배치되고, 양 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은 크기의 진동판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진동판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진동판을 감싸도록 배치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에 배치된 진동판은 끝단이 상기 유체 배출구로 연장되도록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슬릿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모듈받침의 양 끝단에 상기 수직 슬릿에 삽입되는 수직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 슬릿의 상부에 배치된 제어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공급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수직 슬릿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리유닛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집진 필터가 배치된 유닛몸체; 및 상기 집진 필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상기 유닛몸체의 내측면에 배치된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필터의 외주면에 침적된 분진 또는 제거 대상 입자를 브러시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어, 필터들 사이에 브리징(bridg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필터의 외주면을 브러시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분지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의 브러시를 구동할 때, 전자석을 이용하여 구동시킴에 따라 별도의 기계 장치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압의 상태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전류의 펄스 주기 및 전류방향으로 집진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어, 즉각적이고,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탈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는, 하우징(110), 집진 필터(120),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 및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유체 유입구(110a)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 배출구(110b)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상부는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반구형 형상의 중앙에 유체 유입구(11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하부는 깔때기와 같은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에 유체 배출구(110b)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형상은, 내부에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 및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 내부에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배치되고,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의 하부에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 내에 집진 필터(1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 필터(1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진 필터(12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하겠지만, 각각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필터의 상부에는 소정의 덮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덮개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다수의 홀에 복수의 필터가 끼워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유체 유입구(110a)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복수의 필터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집진 장치(100)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0c)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10c)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고정부(110c)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외부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하우징(110)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중단부의 내주면에 전자석 유닛(111), 구동롤러(113), 보호 패드(115), 수직 슬릿(117) 및 제어 유닛(119)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석 유닛(111), 구동롤러(113), 보호패드, 수직 슬릿(117) 및 제어 유닛(119)은 각각 두 개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석 유닛(111)은 하우징(110)의 중단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내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에 배치된 전자석 유닛(111)의 대향된 위치인 타 측에 다른 하나의 전자석 유닛(1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전자석 유닛(111) 중 어느 하나에만 외부에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일례로, 교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전자석 유닛(111)에 교대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두 개의 전자석 유닛(111) 중 어느 하나만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롤러(113)는 지지대(113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13a)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측에 한 쌍의 지지대(113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에 배치된 지지대(113a)의 대향된 위치에 한 쌍의 지지대(113a)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지지대(113a)에 각각 구동롤러(113)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지지대(113a)에 두 개의 구동롤러(11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롤러(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3a)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즉, 구동롤러(113)의 회전축은 지지대(113a)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13a)는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의 진동축(143)에 형성된 삽입홀(143b)에 삽입되며, 그에 따라 지지대(113a)의 상부에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의 진동축(14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 유닛(111)에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지지대(113a)의 상에서 지지대(11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5)는, 전자석 유닛(111)에 부착된다. 전자석 유닛(111)이 하우징(110)의 내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데, 보호 패드(115)는 전자석 유닛(111)의 돌출된 형상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이동하여 진동헤드(147)와 전자석 유닛(111)이 맞닿을 때의 충격을 보호 패드(115)가 흡수할 수 있다.
수직 슬릿(117)은 전자석 유닛(1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수직 슬릿(117)의 길이 방향이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수직 슬릿(1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의 수직 레일(137)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어 유닛(119)은, 수직 슬릿(117)의 상부에 배치되며, 수직 슬릿(117)과 일정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어 유닛(119)은, 내부에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9)은,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에 배치된 제어판(139)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 제어판(139)과 결합하여 제어판(139)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탈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은, 탈리유닛(131), 모듈받침(133), 주행축(135), 주행롤러(135a), 수직 레일(137) 및 제어판(139)을 포함한다.
탈리유닛(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스프링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12개의 탈리유닛(131)이 배치될 수 있다. 탈리유닛(131)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소정의 공간에 집진 필터(120)가 배치될 수 있다.
탈리유닛(131)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 탈리유닛(131)은 유닛몸체(131a)와 브러시(131b)를 포함한다. 유닛몸체(13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닛몸체(131a)의 내측에 브러시(131b)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탈리유닛(131) 내에 집진 필터(120)가 배치될 때, 브러시(131b)는 집진 필터(120)의 외주면과 맞닿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브러시(131b)는 유닛몸체(131a)의 스프링 형상의 내측면에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유닛몸체(131a)의 내부에 배치된 집진 필터(120)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탈리유닛(131)이 상하로 동작되면, 그에 따라 스프링 형상의 탈리유닛(131)이 상하로 진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측면에 배치된 브러시(131b)가 집진 필터(120)의 외주면을 쓸어낼 수 있다. 이렇게 브러시(131b)가 집진 필터(120)의 외주면을 쓸어냄에 따라 집진 필터(120)의 외주면에 있는 분진 등을 집진 필터(1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탈리유닛(131)의 하부에는 모듈받침(133)이 배치된다. 모듈받침(13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리유닛(131)을 지지하고, 이를 위해 소정의 바(bar)들이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축(135)은 모듈받침(133)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주행축(135)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주행축(13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주행축(135)은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주행롤러(135a)는 주행축(135)의 하부 끝단에 배치된다. 주행롤러(135a)는 복수개의 주행축(135)이 배치된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주행축(135)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레일(137)은 모듈받침(133)의 양측 끝단에 각각 배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레일(137)은 하우징(110)에 배치된 수직 슬릿(117)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하우징(110)에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상하로 이동할 때, 수직 레일(137)이 수직 슬릿(117)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구속할 수 있다.
제어판(139)은, 수직 레일(137)의 상단에 배치된다. 제어판(139)은 자석일 수 있고, 수직 레일(137)이 상하로 이동되는 동안 제어 유닛(119)과 접촉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9)이 내부에 전자석이 포함됨에 따라 제어 유닛(119)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어 유닛(119)과 제어판(139)은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어 유닛(119)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어판(139)이 제어 유닛(119)과 결합됨에 따라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즉,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움직이는 것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 유닛(119)에 전류를 공급하면, 제어 유닛(119)과 제어판(139)이 결합될 수 있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의 움직임이 정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은, 커버(141), 진동축(143), 진동판(145) 및 진동헤드(147)를 포함한다.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은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커버(1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너비를 가지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축(143)은 커버(14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진동축(143)은 커버(141)의 원통형 형상의 양 끝단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진동축(143)의 상면에는 상부돌기(143a)가 형성되며, 상부돌기(143a) 형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중앙부분이 상부로 돌출되고, 양측이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돌기(143a)는 진동축(143)의 길이 방향으로 세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돌기(143a)는 상부 브러시(131b) 방지모듈의 주행롤러(135a)와 접촉될 수 있으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주행롤러(135a)가 상부돌기(143a)의 좌우를 넘으면서 움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주행롤러(135a)가 상부돌기(143a)를 좌우로 넘어 이동됨에 따라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진동축(143)의 양 측단에는 각각 삽입홀(14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삽입홀(143b)에는 하우징(110)의 지지대(113a)가 삽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진동축(143)은 지지대(113a)의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진동판(145)은 커버(1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진동축(14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1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진동판(145)의 형상을 보면, 중앙에 배치된 진동판(145)의 크기가 가장 크고, 양측으로 갈수록 진동판(145)의 크기는 각각 작은 크기의 진동판(145)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에 배치된 진동판(145)의 하부 끝단의 형상은 도 1에서와 같이 유체 배출구(110b)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진동판(145)은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진동헤드(147)는 진동축(143)의 양측단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진동헤드(147)는 자성체일 수 있으며, 전자석 유닛(111)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전자석 유닛(11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집진 장치(100)가 구동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10)에 내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전자석 유닛(111)에 각각 교류가 인가되면, 두 개의 전자석 유닛(111)에 교대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두 개의 전자석 유닛(111)은 교대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에 배치된 자성체인 진동헤드(147)가 두 개의 전자석 유닛(111) 중 자기장이 형성된 전자석 유닛(11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움직이며 진동될 수 있다. 이렇게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하부에 배치된 진동판(145)들이 각각 진동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의 진동축(143) 상면에 형성된 상부돌기(143a)를 타고 주행롤러(135a)가 동작되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의 하중에 의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상하로 움직여 진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탈리유닛(131)이 진동하면서, 탈리유닛(131)의 내부에 배치된 집진 필터(120)의 외주면의 분진 등을 브러시(131b)가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이 상하로 진동하는 것은, 하우징(110)에 배치된 전자석 유닛(111)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110)에 배치된 제어 유닛(119)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어 유닛(119)과 제어판(139)이 결합되도록 하여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의 움직임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119)에 제어판(139)이 결합되면,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은 상부에 위치될 수 있어, 주행롤러(135a)와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의 상부돌기(143a)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140)이 좌우 움직임이 지속되더라도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130)은 상하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집진 장치
110: 하우징 110a: 유체 유입구
110b: 유체 배출구 110c: 고정부
111: 전자석 유닛
113: 구동롤러 113a: 지지대
115: 보호 패드 117: 수직 슬릿
119: 제어 유닛
120: 집진 필터
130: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
131: 탈리유닛 131a: 유닛몸체
131b: 브러시
133: 모듈받침
135: 주행축 135a: 주행롤러
137: 수직 레일 139: 제어판
140: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
141: 커버
143: 진동축 143a: 상부돌기
143b: 삽입홀
145: 진동판 147: 진동헤드

Claims (10)

  1. 상부에 유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유입된 유체를 필터링하는 복수의 집진 필터;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 및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탈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두 개의 전자석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두 개의 전자석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에 하나 이상의 상부돌기가 형성된 진동축;
    상기 진동축의 양 끝단에 배치된 진동헤드; 및
    상기 진동축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진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전자석 유닛에 교차로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진동헤드에 가해진 인력으로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진동되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집진 필터를 각각 감싸도록 배치되고,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탈리유닛;
    상기 탈리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탈리유닛을 지지하는 모듈받침;
    상기 모듈받침의 하부에 배치되는 주행축; 및
    상기 주행축의 하부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돌기와 접촉되는 주행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진동됨에 따라 상기 주행롤러가 상기 상부돌기를 넘도록 회전되어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 이상의 지지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구동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의 진동축의 양 끝단에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된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판은 중앙에 크기가 가장 큰 진동판이 배치되고, 양 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은 크기의 진동판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진동판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복수의 진동판을 감싸도록 배치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진동판은 끝단이 상기 유체 배출구로 연장되도록 작은 폭으로 형성된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슬릿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모듈받침의 양 끝단에 상기 수직 슬릿에 삽입되는 수직 레일을 포함하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 슬릿의 상부에 배치된 제어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공급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브리징 방지모듈은 상기 수직 슬릿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리유닛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집진 필터가 배치된 유닛몸체; 및
    상기 집진 필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상기 유닛몸체의 내측면에 배치된 브러시를 포함하는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KR1020180102752A 2018-08-30 2018-08-30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KR10218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52A KR102181280B1 (ko) 2018-08-30 2018-08-30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52A KR102181280B1 (ko) 2018-08-30 2018-08-30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22A KR20200025422A (ko) 2020-03-10
KR102181280B1 true KR102181280B1 (ko) 2020-11-20

Family

ID=6980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52A KR102181280B1 (ko) 2018-08-30 2018-08-30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341B1 (ko) * 2020-04-16 2021-11-08 주식회사 테라테크노스 규소산화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규소산화물 음극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630A (ja) * 1998-08-10 2000-02-22 Anlet Co Ltd 吸引集塵機における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434B1 (ko) 2010-09-13 2013-01-10 창신기계공업(주)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630A (ja) * 1998-08-10 2000-02-22 Anlet Co Ltd 吸引集塵機におけるフィル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22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4452B2 (en) Air purification plant
KR101769538B1 (ko) 데미스터 필터 모듈
KR102181280B1 (ko) 브리징 방지 집진 장치
KR101898890B1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KR20170000941A (ko)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KR20150015203A (ko) 집진기용 백필터의 분진 탈진장치
CN101878062B (zh) 浸没式膜分离装置以及膜盒
CN106310818A (zh) 过滤器及其滤网除杂装置
KR200321528Y1 (ko) 집진기 백필터용 이젝터
KR101726299B1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KR20150045069A (ko) 탈진 수단을 갖는 전기집진 장치
KR101732273B1 (ko) 공기유도판이 구비된 내부 포집형 집진기
KR20210106646A (ko) 섬유 디스크 여과기
US20120211429A1 (en) Magnetic discharge out of bottle cleaning machines
CN211158939U (zh) 一种空气净化设备的简易自清洁装置
KR101233914B1 (ko) 자화수를 이용한 배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204092B1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의 자동세척장치
KR102251976B1 (ko)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KR20210106649A (ko) 섬유 디스크 여과기
KR100923467B1 (ko) 스트립 그라인더 집진 설비의 스와프 필터링 장치
ES2605851T3 (es) Sistema de filtración de gas caliente
KR102043448B1 (ko) 분진 처리 능력이 증대된 백필터 장치
KR20200117629A (ko) 포켓형 데미스터 필터 모듈
US2503617A (en) Electrical precipitator
KR200141265Y1 (ko) 오염공기 및 배기가스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