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55B1 -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55B1
KR102181255B1 KR1020207004697A KR20207004697A KR102181255B1 KR 102181255 B1 KR102181255 B1 KR 102181255B1 KR 1020207004697 A KR1020207004697 A KR 1020207004697A KR 20207004697 A KR20207004697 A KR 20207004697A KR 102181255 B1 KR102181255 B1 KR 10218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xhaust gas
engine
support
diese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019A (ko
Inventor
요시유키 산도우
토모유키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591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71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59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109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65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65090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01D53/9413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01D53/9418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for removing nitrogen oxides by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using a reducing agent in a lean exhaus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59Removing one or more of nitrogen oxides,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by multiple successive catalytic functions; systems with more than one different function, e.g. zone coated catalysts
    • B01D53/9477Removing one or more of nitrogen oxides,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by multiple successive catalytic functions; systems with more than one different function, e.g. zone coated catalysts with catalysts positioned on separate bricks, e.g. exhaust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5General auxiliary catalysts, e.g.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main catalyst
    • F01N3/106Auxiliary oxidation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39Arrangements for mounting catalyst support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3/2853Arrangements for mounting catalyst support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using mats or gaskets between catalyst body and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20Reductants
    • B01D2251/206Ammonium compounds
    • B01D2251/2067U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B01D2258/012Diesel engines and lean burn gasolin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지지대(87)의 연결에 의해 지지대(87)의 부착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고, 지지대(87)의 장착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는 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한다.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킨다. 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34a)을 접합시킴과 아울러, 엔진(1)에 고착하는 지지대(87)를 구비한다. 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지지대(87)의 일부를 면접촉시키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엔진 장치{ENGINE DEVICE}
본원 발명은 농업기계(트랙터, 콤바인) 또는 건설기계(불도저, 유압셔블, 로더) 등에 탑재하는 디젤엔진 등의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매연, 파티큘레이트), 또는 배기가스중에 포함된 질소 산화 물질(NOx) 등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탑재된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 또는 휠로더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주행기체의 앞부분에 배치된 엔진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능률화를 위해서 엔진을 덮기 위한 보닛의 뒷부분에 개폐 지점축을 배치하고, 그 개폐 지점축 둘레로 보닛을 회동시키고 있었다. 또한 종래부터, 디젤엔진의 배기 경로중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로서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를 내설한 케이스(이하, DPF 케이스라고 한다)와, 요소 선택 환원형 촉매를 내설한 케이스(이하, SCR 케이스라고 한다)를 설치하고,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에 배기가스를 도입해서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9-7442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215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10439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177233호 공보
종래, 엔진에 대해서 이간시켜서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를 장착할 경우, 엔진으로부터 DPF 케이스 또는 SCR 케이스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해서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의 재생, 또는 선택 촉매 환원 작용 등의 화학반응이 불완전해지기 쉬운 점에서 SCR 케이스내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는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과 같이, 평행한 2개의 베이스 프레임에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를 부착하고, 설치 대상물에 2개의 베이스 프레임을 체결시켜서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를 부착하는 기술도 있지만, 설치 대상물의 부착면을 수평(평탄)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고, 베이스 프레임 등의 부착 부품의 가공 오차 등에 의해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의 지지 자세를 소정 자세로 지지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엔진에 근접시켜서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를 장착할 경우, 엔진의 측방에 SCR 케이스용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엔진룸을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어려움과 아울러, DPF 케이스 또는 SCR 케이스 등을 컴팩트하게 지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에 DPF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를 접속시켜서 DPF 케이스에 엔진의 배기가스를 도입시킬 경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DPF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사이에 가스 누설 방지용의 개스킷을 개재시킬 필요가 있지만, 장착 치수 오차에 대한 장착 조절 작업 등이 복잡해지기 쉽고, DPF 케이스 등의 장착 작업성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의 현상황을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엔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에 요소 혼합관을 통해 상기 제 2 케이스를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을 접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에 고착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지지대의 일부를 면접촉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지지대를 직접적으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사이에 개스킷을 협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사이에 개스킷을 협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지지대의 면접촉부 사이에 상기 개스킷을 연장 설치시키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고착하는 지지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복수의 협지체로 일체적으로 고착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협지체와, 상기 제 2 케이스측의 협지체를 상기 각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제 2 케이스를 상기 복수의 협지체로 일체적으로 고착하는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협지체와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고착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상면측에 고착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상대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통해 상기 각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고착해서 배기 정화 유닛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 상에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얹어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지지 프레임체로 일체적으로 고착해서 배기 정화 유닛을 형성 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분리한 상태에서 수송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체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시키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조립 공정중, 상기 엔진의 일부로서 상기 엔진의 외주측에 상기 지지대를 고착하고,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엔진에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착탈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곤포대에 1세트분의 상기 엔진과 배기 정화 유닛과 조립 부속 부품을 적재하고, 수송용 컨테이너에 상기 곤포대를 적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에 요소 혼합관을 통해 상기 제 2 케이스를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을 접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에 고착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지지대의 일부를 면접촉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지지대의 연결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부착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지지대를 고강성의 판금구조로 구성해서 부착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엔진에 대해서 상기 지지대의 부착 자세가 수평해지는 상기 지지대의 장착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지지대를 직접적으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사이에 개스킷을 협지시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지지대의 면접촉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부착 자세를 결정할 수 있어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지지대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개스킷을 소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사이에 개스킷을 협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지지대의 면접촉부 사이에 상기 개스킷을 연장 설치시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과 상기 지지대의 면접촉부가 면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의 지지 위치를 조절해서 상기 지지대에 제 1 케이스를 고착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의 두께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의 높이 위치와, 상기 지지대의 제 1 케이스 부착면의 높이 위치를 면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동일 평면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 1 케이스(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대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고착하는 지지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복수의 협지체로 일체적으로 고착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협지체와, 상기 제 2 케이스측의 협지체를 상기 각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사이에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협지체와 상기 제 2 케이스측의 협지체의 양쪽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오프셋 배치에 의해 상기 각 협지체의 설치 폭치수를 축소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장척인 원통형상의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부착 간격을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고, 상기 엔진의 케이스 부착부의 폭치수내에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근접 배치에 의해 상기 각 케이스 내부의 배기가스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각 케이스의 배기가스 정화 작용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제 2 케이스를 상기 복수의 협지체로 일체적으로 고착하는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협지체와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고착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상면측에 고착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의 상면측의 폭치수내에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체와 지지대의 착탈에 의해 상기 엔진의 상면측에 상기 각 케이스를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상대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통해 상기 각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고착해서 배기 정화 유닛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 상에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얹어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측의 부착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대 위치맞춤 작업 등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 프레임체의 착탈 작업으로 상기 엔진에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간단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지지 프레임체로 일체적으로 고착해서 배기 정화 유닛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분리한 상태에서 수송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 차량 등에 탑재할 때에 상기 엔진에 배기 정화 유닛을 볼트 체결 작업으로 간단하게 합체할 수 있다. 상기 엔진과 배기 정화 유닛을 낮게 곤포할 수 있어 수송용 컨테이너에의 탑재성을 향상시켜서, 수송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엔진을 탑재하는 장소에서 상기 엔진에 배기 정화 유닛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작업 차량 등의 조립 공장에서의 조립 공수(조립 비용)를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체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시키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조립 공정중, 상기 엔진의 일부로서 상기 엔진의 외주측에 상기 지지대를 고착하고,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엔진에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착탈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에 상기 지지 프레임체를 연결시키는 간단한 조립 작업에 의해 상기 엔진에 배기 정화 유닛을 적정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을 탑재하는 작업 차량 등의 조립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의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의 장착 오차를 저감해서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의 조립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곤포대에 1세트분의 상기 엔진과 배기 정화 유닛과 조립 부속 부품을 적재하고, 수송용 컨테이너에 상기 곤포대를 적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과 배기 정화 유닛과 조립 부속 부품을 조립 재료의 한세트로서 한꺼번에 수송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엔진의 전체 높이를 낮게 곤포할 수 있어 수송 컨테이너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디젤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배면도이다.
도 5는 동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저면설명도이다.
도 9는 동 정면 사시 분해도이다.
도 10은 동 배면 사시 분해도이다.
도 11은 동 우측 사시 분해도이다.
도 12는 동 좌측 사시 분해도이다.
도 13은 디젤엔진을 탑재한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동 평면도이다.
도 15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대부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지지 다리체부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동 케이스 부착 프레임체부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 1 케이스의 일부를 분해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1 케이스의 일부를 분해한 착탈 설명도이다.
도 20은 디젤엔진을 탑재한 작업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동 작업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수송용 컨테이너의 탑재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동 정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배기가스 출구관부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변형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27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면(도 1∼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디젤엔진(1)의 배기 매니폴드(6)가 설치된 좌측면도, 도 2는 디젤엔진(1)의 흡기 매니폴드(3)가 설치된 우측면도, 도 3은 디젤엔진(1)의 냉각팬(24)이 설치된 정면도이다. 또, 배기 매니폴드(6)가 설치된 측을 디젤엔진(1)의 좌측면이라고 칭하고, 흡기 매니폴드(3)가 설치된 측을 디젤엔진(1)의 우측면이라고 칭하고, 냉각팬(24)이 설치된 측을 디젤엔진(1)의 정면이라고 칭한다.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디젤엔진(1)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실린더 헤드(2)의 일측면에는 흡기 매니폴드(3)가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2)는 엔진 출력축(4)(크랭크축)과 피스톤(도시생략)이 내장된 실린더 블록(5) 상에 적재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2)의 타측면에 배기 매니폴드(6)가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5)의 정면과 배면으로부터 엔진 출력축(4)의 전단과 후단을 돌출시키고 있다.
도 1∼도 7에 나타내듯이, 실린더 블록(5)의 배면에 플라이휠 하우징(8)을 고착하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8)내에 플라이휠(9)을 설치한다. 엔진 출력축(4)의 후단측에 플라이휠(9)을 축지지시키고 있다. 플라이휠(9)을 통해 디젤엔진(1)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5)의 하면에는 오일팬(11)이 배치되어 있다.
도 2∼도 5, 도 7에 나타내듯이, 흡기 매니폴드(3)에는 재순환용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15)를 배치한다. 에어 클리너(16)(도 13 참조)가 흡기 매니폴드(3)에 접속된다. 에어 클리너(16)로 제진·정화된 외부공기는 흡기 매니폴드(3)로 보내지고, 디젤엔진(1)의 각 기통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엔진(1)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6)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15)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3)로부터 디젤엔진(1)의 각 기통으로 환류됨으로써, 디젤엔진(1)의 연소온도가 떨어지고, 디젤엔진(1)으로부터의 질소 산화물(NOx)의 배출량이 저감되고, 또한 디젤엔진(1)의 연비가 향상된다.
또, 실린더 블록(5)내와 라디에이터(19)(도 13 참조)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21)를 구비한다. 디젤엔진(1)의 냉각팬(24) 설치측에 냉각수 펌프(21)를 배치한다. 엔진 출력축(4)에 V벨트(22) 등을 통해 냉각수 펌프(21) 및 냉각팬(24)을 연결하고, 냉각수 펌프(21) 및 냉각팬(24)을 구동한다. 냉각수 펌프(21)로부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15)의 EGR 쿨러(18)를 통해 실린더 블록(5)내에 냉각수를 보내넣는 한편, 냉각팬(24) 바람으로 디젤엔진(1)을 냉각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도 8에 나타내듯이, 상기 디젤엔진(1)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로서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DPF)로서의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SCR) 시스템으로서의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듯이 DPF 케이스로서의 제 1 케이스(28)에는 산화 촉매(30)와, 매연 필터(31)가 내설된다. SCR 케이스로서의 제 2 케이스(29)에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의 SCR 촉매(32)와, 산화 촉매(33)가 내설된다.
디젤엔진(1)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6)에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7) 등을 경유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에 의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나, 입자상 물질(PM)이나, 질소 산화 물질(NOx)을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는 평면으로 볼 때에 디젤엔진(1)의 출력축(크랭크축)(4)과 교차하는 직교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척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도 3∼도 5 참조). 제 1 케이스(28)의 통형상 양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에는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DPF 입구관(34)과,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DPF 출구관(35)을 형성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스(29)의 양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에는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SCR 입구관(36)과,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SCR 출구관(37)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6)의 배기가스 출구에 디젤엔진(1)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보내어 넣는 과급기(38)와, 배기 매니폴드(6)에 볼트 체결하는 배기가스 출구관(7)을 배치하고 있다. 과급기(38)와 배기가스 출구관(7)을 통해 배기 매니폴드(6)에 DPF 입구관(34)을 연통시키고,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를 제 1 케이스(28)내에 도입하는 한편,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DPF 출구관(35)에 SCR 입구관(36)을 접속시키고,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를 제 2 케이스(29)내에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DPF 출구관(35)과, 요소 혼합관(39)은 볼트 체결시키는 DPF 출구측 플랜지체(41)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SCR 입구관(36)과, 요소 혼합관(39)은 SCR 입구측 플랜지체(40)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다기통분의 각 인젝터(도시생략)에 도 13(도 14)에 나타내는 연료탱크(45)를 접속하는 연료펌프(42)와 커먼레일(43)을 구비한다. 실린더 헤드(2)의 흡기 매니폴드(3) 설치측에 커먼레일(43)과 연료 필터(44)를 배치하고, 흡기 매니폴드(3) 하방의 실린더 블록(5)에 연료펌프(42)를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각 인젝터는 전자 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도시생략)를 갖는다.
연료탱크(45)내의 연료가 연료 필터(44)를 통해 연료펌프(42)에 흡입되는 한편, 연료펌프(42)의 토출측에 커먼레일(43)이 접속되고, 원통형상의 커먼레일(43)이 디젤엔진(1)의 각 인젝터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연료펌프(42)로부터 커먼레일(43)에 압송되는 연료 중 잉여분은 연료탱크(45)로 되돌아가고, 고압의 연료가 커먼레일(43)내에 일시 저류되며, 커먼레일(43)내의 고압연료가 디젤엔진(1)의 각 기통(실린더) 내부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연료탱크(45)의 연료가 연료펌프(42)에 의해 커먼레일(43)에 압송되고, 고압의 연료가 커먼레일(43)에 축적됨과 아울러, 상기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가 각각 개폐 제어됨으로써, 커먼레일(43)내의 고압의 연료가 디젤엔진(1)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즉 상기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를 전자 제어함으로써, 연료의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분사 기간(분사량)을 고정밀도로 컨트롤할 수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 산화물(NOx)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3∼도 14를 참조해서 상기 디젤엔진(1)을 탑재한 트랙터(5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도 14에 나타내는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5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경전 작업기 등을 장착해서 포장을 가는 경전 작업 등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은 농작업용 트랙터의 측면도, 도 14는 동 평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트랙터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3∼도 14에 나타내듯이, 작업 차량으로서의 농작업용 트랙터(51)는 주행기체(52)를 좌우 한쌍의 전차륜(53)과 좌우 한쌍의 후차륜(54)으로 지지하고, 주행기체(52)의 앞부분에 상기 디젤엔진(1)을 탑재하고, 디젤엔진(1)으로 후차륜(54) 및 전차륜(53)을 구동함으로써,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젤엔진(1)의 상면측 및 좌우 측면측은 개폐가능한 보닛(56)으로 덮여져 있다.
또한 상기 주행기체(52)의 상면 중, 보닛(56)의 후방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캐빈(5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빈(57)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조종 좌석(58)과, 조향 수단으로서의 조종 핸들(59) 등의 조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57)의 좌우 외측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기 위한 좌우 1쌍의 스텝(60)이 설치되고, 상기 스텝(60)보다 내측이며 또한 캐빈(57)의 저부보다 하측에는 디젤엔진(1)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기체(52)는 디젤엔진(1)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속해서 후차륜(54)(전차륜(53))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61)를 구비한다. 미션 케이스(61)의 뒷부분에는 로워링크(62) 및 톱링크(63) 및 리프트암(64) 등을 통해 도시가 생략된 경전 작업기 등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61)의 후측면에 상기 경전 작업기 등을 구동하는 PTO축(65)이 설치되어 있다. 또, 트랙터(51)의 주행기체(52)는 디젤엔진(1)과, 미션 케이스(61)와, 이들을 연결하는 클러치 케이스(66)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도 12, 도 15∼도 17을 참조해서 상기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부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도 12, 도 15∼도 17에 나타내듯이, 실린더 헤드(2)의 앞면 중 우측 모퉁이부에 하단측을 볼트(81) 체결하는 전방부 지지 다리체(82)와, 실린더 헤드(2)의 좌측면 중 앞측 모퉁이부에 하단측을 볼트(83) 체결하는 측부 지지 다리체(84)와, 실린더 헤드(2)의 후면에 하단측을 볼트(85) 체결하는 후방부 지지 다리체(86)를 구비하고, 실린더 헤드(2)에 각 지지 다리체(82,84,86)를 기립 설치시킨다. 판금 가공으로 형성한 직사각형상의 지지대(87)를 구비하고, 각 지지 다리체(82,84,86)의 상단측에 지지대(87)의 측면 및 상면측을 볼트(88) 체결시킨다. 또한 배기가스 출구관(7)에 대향설치하는 지지대(87)의 상면에 평판형상의 위치 결정체(89)를 용접 고정시키고, 상향으로 개구시킨 배기가스 출구관(7)의 평탄한 배기가스 출구면(7a)의 일부에 위치 결정체(89)의 평판형상 하면의 일부를 면접촉시키고, 배기가스 출구관(7)에 위치 결정체(89)를 위치 결정 볼트(90)로 체결하고 있다. 배기가스 출구관(7)과 위치 결정체(89)의 면접촉으로 디젤엔진(1)에 대해서 지지대(87)의 상면이 대략 수평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1∼도 12, 도 15∼도 17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협지체로서 한쌍의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와, 4개의 체결 밴드(97)를 구비한다.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후방측 적재부에 좌우의 체결 밴드(97)로 제 1 케이스(28)를 고착시킴과 아울러,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전방측 적재부에 좌우의 체결 밴드(97)로 제 2 케이스(29)를 고착시킨다.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장척인 원통형상의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가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디젤엔진(1) 상면의 후방측에 제 1 케이스(28)가 위치하고, 디젤엔진(1) 상면의 전방측에 제 2 케이스(29)가 위치한다.
도 9∼도 12, 도 17에 나타내듯이,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전후 단부에 전후 지지 프레임체(98)를 부착 위치(지지 자세) 조절 가능하게 볼트(99) 체결시키고, 좌우 케이스 고정체(95,96)와 전후 지지 프레임체(98)를 사각 프레임형상으로 연결시키고, 이들에 체결 밴드(97)를 통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시키고,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구성하고 있다. 또, 볼트(99)의 외경치수에 비해 지지 프레임체(98)의 볼트 관통구멍의 내경치수를 크게 형성해서 지지 프레임체(98)의 볼트 관통구멍에 볼트(99)를 유감 삽입시키는 것이며, 케이스 고정체(95,96)와 지지 프레임체(98)를 고착할 때, 케이스 고정체(95,96)에 대한 지지 프레임체(98)의 연결 자세를 소정 자세로 지지하면서, 케이스 고정체(95,96)에 볼트(99)를 나사 부착시키고, 케이스 고정체(95,96)에 지지 프레임체(98)를 볼트(99) 체결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측 케이스 고정체(95)의 전단측과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후단측에 좌우의 매달기 부재(91)를 볼트(92) 체결시키고, 좌우 케이스 고정체(95,96)와 전후 지지 프레임체(98)의 사각프레임의 대각선 위치에 좌우의 매달기 부재(91)를 배치한다. 한편, 대략 수평한 지지대(87)의 상면에 전후의 가고정 볼트체(93)를 기립 설치시키고, 좌우의 매달기 부재(91)의 대각선 배치와 반대측의 대각선 위치에 전후의 가고정 볼트체(93)를 배치한다. 즉 좌우 케이스 고정체(95,96)와 전후 지지 프레임체(98)의 사각 프레임의 정각부에 좌우의 매달기 부재(91)와, 전후의 가고정 볼트체(93)를 나누어서 배치시킨다.
다음에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배기 정화 유닛)을 장착하는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도 9∼도 12에 나타내듯이, 우선,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조립하는 것이며, 좌측 케이스 고정체(협지체)(95)와 우측 케이스 고정체(협지체)(96)의 각 양단부에 끝면 L형상의 판금제의 한쌍의 지지 프레임체(98)를 볼트(99) 체결한다. 볼트(99)를 체결할 때, 좌측 케이스 고정체(95)의 상면 높이와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상면 높이가 면일하게 되도록 각 지지 프레임체(98)의 볼트 구멍과 볼트(99)의 덜거덕거림을 이용해서 각 케이스 고정체(95,96)와 각 지지 프레임체(98)의 연결 위치를 조절하면서 볼트(99)를 체결하고, 각 케이스 고정체(95,96)와 각 지지 프레임체(98)를 사각 프레임 프레임형상으로 연결한다.
계속해서, 각 케이스 고정체(95,96) 상면측의 상향 오목형상 지지부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소정 방향(평행)으로 적재하고, DPF 출구관(35)에 DPF 출구측 플랜지체(41)를 볼트 체결시킴과 아울러, SCR 입구관(36)에 SCR 입구측 플랜지체(40)를 통해 요소 혼합관(39)의 타단측을 볼트 체결시키고,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와 요소 혼합관(39)을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각 상면측에 각 2개의 체결 밴드(97)를 반권취형상으로 각각 장착하고, 각 케이스 고정체(95,96)에 각 체결 밴드(97)의 하단측을 볼트 체결함과 아울러, 각 케이스 고정체(95,96)에 매달기 부재(91)를 볼트(92) 체결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조립을 완료한다. 또, SCR 입구측 플랜지체(40)의 볼트 체결시, 센서 브래킷(112)도 SCR 입구측 플랜지체(40)에 볼트 체결시키고 센서 브래킷(112)에 차압 센서(111)를 부착한다.
한편, 디젤엔진(1)의 조립 라인(엔진 조립 장소)의 최종 조립 공정 부근에서 조립 작업이 대략 종료한 디젤엔진(1)의 실린더 헤드(2)에 전방부 지지 다리체(82)와 측부 지지 다리체(84)와 후방부 지지 다리체(86)의 각 하단측을 볼트(81,83,85) 체결시켜서 실린더 헤드(2)에 각 지지 다리체(82,84,86)를 기립 설치시킨다. 이어서, 각 지지 다리체(82,84,86)의 상단측에 지지대(87)를 적재하고, 배기가스 출구관(7)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위치 결정체(89)의 하면을 면접촉시키고, 지지대(87)의 상면이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 상태하에서 각 지지 다리체(82,84,86)에 지지대(87)를 볼트(88) 체결시키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지지대(87)를 수평자세로 고정시킨다.
또한, 디젤엔진(1)의 조립 공정의 최종 부근의 작업 장소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매달기 부재(91)를 통해 도시가 생략된 하역(荷役) 장치(호이스트 또는 체인 블록)에 매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87)를 장착한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반송시킴과 아울러, 전후의 가고정 볼트체(93)를 통해 지지대(87)의 대략 수평한 상면에 전후 지지 프레임체(98)를 상방측으로부터 적재하고, 지지대(87)에 전후 지지 프레임체(98)를 볼트(100) 체결시키고, 디젤엔진(1) 상면측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합체시키고,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장착하는 조립 작업을 완료한다.
또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 사이에 이들에 평행하게 요소 혼합관(39)을 배치한다. 냉각팬(24)의 냉각풍로(도 1에 나타내는 슈라우드(101))보다 고위치에 지지대(87)의 상면을 통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와 요소 혼합관(39)이 지지됨과 아울러, 요소 혼합관(39)의 전측방이 제 2 케이스(29)로 폐쇄된다. 냉각팬(24)의 냉각풍 등에 의해 요소 혼합관(39)내의 배기가스 온도가 저하되고, 요소 혼합관(39)내에 공급되는 요소수가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요소 혼합관(39)내에 공급되는 요소수가 제 1 케이스(28)로부터 제 2 케이스(29)에 이르는 배기가스중에 암모니아로서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하는 케이스 고정체(95,96)를 구비하고, 케이스 고정체(95,96)에 매달기 부재(91)를 고착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 고정체(95,96)에 의해 상기 각 케이스(28,29)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배기 정화 유닛)(27)로서 일체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하역 장치 등에 매달기 부재(91)를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매달아 지지할 수 있다. 디젤엔진(1)의 상면측 등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착탈시키는 조립 분해 작업에 있어서, 대중량 부품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 케이스 고정체(95,96)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착하는 상기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간에 요소 혼합관(39)을 연결하고,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형성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외주측 중 평면으로 볼 때에 대각선 위치의 외주측에 한쌍의 매달기 부재(91)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조립 공정 중 최종 부근의 조립 공정에서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메인터넌스 작업 또는 수리 작업 등에 있어서 디젤엔진(1)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를 통해 지지대(87)의 하면측에 연결시키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지지대(87)를 배치하고, 지지대(87)의 대략 수평한 상면측에 케이스 고정체(95,96)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 상면측의 부설 부품 등과의 간섭을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는 것이면서, 디젤엔진(1)의 조립 작업성 또는 디젤엔진(1)의 메인터넌스 작업성 등을 간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일측에 냉각팬(24)을 설치하는 구조로서, 냉각팬(24)의 상부 높이보다 지지대(87)의 대략 수평한 상면 높이를 높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대(87)의 하면측에 상기 냉각팬(24) 바람을 이동시키고, 디젤엔진(1)의 공냉효율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냉각팬(24) 바람으로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소정 온도이상으로 유지해서 배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협지체로서의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 및 지지 프레임체(98)로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배기 정화 유닛(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을 형성함과 아울러,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 및 지지 프레임체(98)를 통해 디젤엔진에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동일 진동 구조로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배기 연결부 등을 방진 연결할 필요가 없고,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배출 경로를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젤엔진(1)의 조립 작업 장소와 다른 장소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미리 조립하고, 디젤엔진(1)의 조립 작업의 최종 공정 부근에서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적재할 수 있어 디젤엔진(1)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대략 수평으로 지지대(87)를 고착시키고, 지지대(87)의 상면측에 지지 프레임체(98)를 통해 케이스 고정체(95,96)를 고착시키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를 통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옆으로 넘어진 자세로 지지 함과 아울러,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 사이에서 이들의 상면측에 요소 혼합관(39)을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대(87)와 지지 프레임체(98)의 결합 분리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간단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낮고 컴팩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를 통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부착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각 케이스(28,29)간의 요소 혼합관(39) 등의 배기가스 배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 9∼도 1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실린더 헤드(2)의 외주면에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의 하단측을 고착시킴과 아울러,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의 상단측에 대략 수평한 지지대(87)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지지대(87)를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적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와 지지대(87)의 연결부를 착탈해서 지지대(87)를 떼어내고, 디젤엔진(1) 상면측을 크게 개방시켜서 디젤엔진(1) 상면측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2)에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를 통해 지지대(87)를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디젤엔진(1) 상면측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도 7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출력축(4) 심선 방향의 폭내에 지지대(87)를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지지함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출력축(4) 심선과 교차하는 방향과 상기 제 1 케이스(28) 또는 제 2 케이스(29)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배기 매니폴드(6)측에 상기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를 향하게 함으로써 디젤엔진(1)의 흡기 매니폴드(3)측에 제 2 케이스(29)의 배기가스 출구가 향하는 자세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지지할 수 있다. 디젤엔진(1)의 배기 매니폴드(6)로부터 제 2 케이스(29)의 배기가스 출구에 이르는 배기가스 경로를 단척으로 형성할 수 있고, 디젤엔진(1) 상면측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컴팩트하게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도 13∼도 14에 나타내듯이, 캐빈(57)의 앞면 중, 캐빈(57) 우측 모퉁이부의 앞면에 테일 파이프(78)를 기립 설치하고, 보닛(56) 내부를 향해서 테일 파이프(78)의 하단측을 연장 설치시키고, SCR 출구관(37)에 벨로즈관형상 가동관(79)을 통해 테일 파이프(78)의 하단측을 접속하고, 제 2 케이스(29)에서 정화된 배기가스가 테일 파이프(78)로부터 캐빈(57)의 상방을 향해서 배출된다. 가동관(79)의 접속에 의해 디젤엔진(1)측으로부터 테일 파이프(78)측에 전달되는 기계 진동이 저감된다. 또한 캐빈(57)의 앞면 중, 테일 파이프(78)가 배치된 우측부와 반대측의 보닛(56)의 좌측부에 요소수 탱크(71)를 설치하고 있다. 즉 보닛(56) 뒷부분의 우측부에 테일 파이프(78)를 배치시키는 한편, 보닛(56) 뒷부분의 좌측부에 요소수 탱크(71)를 나누어서 배치하고 있다. 또, 도 13∼도 14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측에 고착하는 테일 파이프(78a)를 구비하는 구조에서는 SCR 출구관(37)에 테일 파이프(78)를 일체적으로 연결시켜 가동관(79)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보닛(56) 좌측 후방부의 주행기체(52)(캐빈(57)의 저부 프레임 등)에 요소수 탱크(71)를 탑재한다. 캐빈(57) 좌측의 앞면 하부에 연료탱크(45)의 주유구(46)와, 요소수 탱크(71)의 주수구(72)를 인접시켜서 설치한다. 오퍼레이터의 승강 빈도가 낮은 캐빈(57) 우측의 앞면에 테일 파이프(78)가 배치되는 한편, 오퍼레이터의 승강 빈도가 높은 캐빈(57) 좌측의 앞면에 주유구(46)와 주수구(72)가 배치된다. 또, 캐빈(57)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것이라도 오퍼레이터가 조종 좌석(58)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도 5, 도 14에 나타내듯이, 요소수 탱크(71)내의 요소 수용액을 압송하는 요소수 분사 펌프(73)와, 요소수 분사 펌프(73)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74)와, 요소수 분사 펌프(73)에 요소수 분사관(75)을 통해 접속시키는 요소수 분사 노즐(76)을 구비한다. 요소 혼합관(39)에 분사 다이시트(77)를 통해 요소수 분사 노즐(76)을 설치하고, 요소 혼합관(39)의 내부에 요소수 분사 노즐(76)로부터 요소 수용액을 분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케이스(28)내의 산화 촉매(30) 및 매연 필터(31)에 의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가 저감된다. 이어서, 요소 혼합관(39)의 내부에서 디젤엔진(1)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요소수 분사 노즐(7)로부터의 요소수가 혼합된다. 그리고, 제 2 케이스(29)내의 SCR 촉매(32), 산화 촉매(33)에 의해 요소수가 암모니아로서 혼합된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NOx)이 저감되어 테일 파이프(78)로부터 기외로 방출된다.
도 1∼도 12, 도 15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상기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디젤엔진(1)으로부터 돌출시키는 지지 다리체(82,84,86)와, 지지 다리체(82,84,86)에 고착하는 지지대(87)를 구비하고, 지지대(87)의 평면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부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에 지지 다리체(82,84,86)를 통해 지지대(87)를 후부착 작업(디젤엔진(1)의 조립 공정의 최종 부근)에 의해 간단하게 고착할 수 있고, 디젤엔진(1)의 지지대(87)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적정자세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착탈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12, 도 15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외측면 중 배기가스 출구부(배기가스 출구관(7))의 수평면(배기가스 출구면(7a))에 지지대(87)의 평면(위치 결정체(89) 저면)을 면접촉시키고, 디젤엔진(1) 외측의 수평면(배기가스 출구면(7a))과 지지대(87)의 평면(위치 결정체(89) 저면)을 통해 디젤엔진(1) 외측면에 지지대(87)를 접합시켜서 지지 다리체(82,84,86)에 상기 지지대(87)를 고정했을 때에 지지대(87)의 상면측이 대략 수평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출구관(7)(배기가스 출구부)과 지지대(87)의 연결에 의해 지지대(87)의 부착 각도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면서, 지지대(87)를 고강성의 판금구조로 구성해서 부착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젤엔진(1)에 대해서 지지대(87)의 부착 각도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장착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12, 도 15에 나타내듯이, 지지대(87)에 위치 결정체(89)를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부(배기가스 출구관(7))의 개구면(배기가스 출구면(7a))에 위치 결정체(89)를 면접촉시키고, 디젤엔진(1)측에 위치 결정체(89)를 통해 상기 지지대(87)를 접합시켜서 지지대(87)의 상면측이 대략 수평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대(87)를 프레스 가공 등으로 형성한 후에, 지지대(87)와 위치 결정체(89)를 용접 가공 등으로 연결할 수 있고, 지지대(87)의 상면에 대해서 위치 결정체(89)의 하면이 고정밀도로 평행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87)의 연결 지그를 특별히 준비하지 않고, 디젤엔진(1)측과 위치 결정체(89)의 면접촉에 의해 지지대(87)의 상면측을 대략 수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87)의 연결 지그로서 위치 결정체(89)를 설치하기 때문에, 지지대(87)의 연결 지그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디젤엔진(1)의 수리 장소 등에 있어서도 상기 지지대(87)의 착탈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도 12, 도 15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배기 정화 유닛(배기가스 정화 장치(27))으로서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구조로서, 지지 다리체(82,84,86)에 하면측이 고착된 상기 지지대(87)의 평탄한 상면측에 배기 정화 유닛(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을 일체적으로 착탈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케이스(28,29)를 단일부품으로서 착탈할 수 있고, 상기 각 케이스(28,29)의 조립 분해 작업성 또는 디젤엔진(1)의 메인터넌스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8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디젤엔진(1)과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일체적으로 고착해서 디젤엔진(1)과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일체적으로 요진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과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동일 진동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디젤엔진(1)과 제 1 케이스(28)간의 배기 통로, 또는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간의 배기 통로를 방진 연결할 필요가 없어 디젤엔진(1)과 제 2 케이스(29)간의 배기가스 경로구조를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간의 배기가스 경로중에, 예를 들면 벨로즈형상의 가동성 관 또는 내열성 고무 호스 등의 방진부재를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젤엔진(1)과 제 2 케이스(29)간의 배기가스 경로 구조 등을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도 10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실린더 헤드(2)에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를 기립 설치시키고,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의 상단측에 지지대(87)를 연결하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대략 수평한 지지대(87)를 통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부설 부품으로부터 지지대(87)를 간단하게 이간시킬 수 있다. 또한 디젤엔진(1)에 대해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각 케이스(28,29)의 배기가스 배관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2)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고강성으로 고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와 지지대(87)의 연결부의 조절에 의해 지지대(87) 등의 부착 부품의 가공 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고, 지지대(87)의 부착 경사 각도 등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고,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소정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디젤엔진(1)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장착하는 조립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8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 매니폴드(6)가 설치된 측에 제 1 케이스(28)의 DPF 입구관(34)을 배치시키고, 디젤엔진(1)의 출력축심선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스(28)내의 배기가스가 이동할 수 있게 제 1 케이스(28)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 1 케이스(28)의 측방 중 디젤엔진(1)의 냉각팬(24) 설치측의 측방에 제 2 케이스(29)를 병설시키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근접시켜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한편, 냉각팬(24)과 제 1 케이스(28) 사이에 제 2 케이스(29)를 개재시켜서 냉각팬(24) 바람에 의한 제 1 케이스(28)의 온도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28)로부터 제 2 케이스(29)에 배기가스를 공급시키는 요소 혼합관(39)을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 사이에 지지시킴으로써, 냉각팬(24)과 요소 혼합관(39) 사이에 제 2 케이스(29)를 개재시켜서 냉각팬(24) 바람에 의한 요소 혼합관(39)의 온도저하도 저감할 수 있다.
도 1∼도 8, 도 13, 도 14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이 내설된 보닛(56)의 후방에 운전 캐빈(57)을 배치한 작업 차량으로서, 운전 캐빈(57) 앞부분과 디젤엔진(1) 뒷부분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용의 요소수 탱크(7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 등의 열배출에 의해 요소수 탱크(71)를 가온할 수 있고, 요소수 탱크(71)내의 요소 수용액 온도를 소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한냉지 등에 있어서 제 2 케이스(29)의 배기가스 정화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전 캐빈(57)의 오퍼레이터 승강부에 요소수 탱크(71)의 급수구(72)를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고, 요소수 탱크(71)에의 요소 수용액의 급수 작업을 오퍼레이터 승강 장소에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용의 요소 수용액의 보급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12, 도 17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하는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95,96)와,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95,96)를 고착하는 지지 프레임체(98)를 구비하고, 케이스 고정체(95,96)와 지지 프레임체(98)를 부착 각도(부착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디젤엔진(1)의 부착면에 대해서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부(34)의 자세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디젤엔진(1)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유닛화해서 장착할 때에, 케이스 고정체(95,96)와 지지 프레임체(98)를 부착 각도(부착 위치) 조절에 의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부로서의 DPF 입구관(34)의 연결면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부착 위치 결정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즉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착탈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디젤엔진(1)의 조립 작업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 각 케이스(28,29)와 케이스 고정체(95,96)와 지지 프레임체(98)에 의해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형성함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실린더 헤드(2)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 하단측을 고착시키고,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의 상단측에 지지 프레임체(98)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착탈에 의해 디젤엔진(1) 상면측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실린더 헤드(2)에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를 통해 지지 프레임체(98)를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디젤엔진(1) 상면측 등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디젤엔진(1)의 부설 부품과의 간섭을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다.
도 1∼도 12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를 통해 지지대(87)를 대략 수평으로 배치시키고, 지지대(87)의 상면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체(98)를 고착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메인터넌스 작업 또는 수리 작업 등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디젤엔진(1)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고, 디젤엔진(1) 상면측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도 12, 도 15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의 일부에 지지대(87)의 하면측의 일부를 면접촉시키고,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을 기준으로 해서, 디젤엔진(1)에 지지대(87)를 수평자세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고강성 구조의 지지대(87)를 판금 가공으로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대(87)의 상면측에 지지 프레임체(98)를 장착하는 조립시의 위치 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간략화할 수 있고, 디젤엔진(1)에 대해서 지지대(87)를 소정의 지지 자세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도 2, 도 5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 내부 중, 매연 필터(31)의 배기가스 도입측(상류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배기가스 배출측(하류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를 검출하는 차압 센서(111)를 구비한다. SCR 입구측 플랜지체(40)에 센서 브래킷(112)의 일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SCR 입구측 플랜지체(40)로부터 제 1 케이스(28) 상면측을 향해서 센서 브래킷(112)의 타단측을 돌출시키고, 센서 브래킷(112)의 타단측에 차압 센서(111)를 고착하고 있다. 제 1 케이스(28)의 상측방에 센서 브래킷(112)을 통해 차압 센서(111)가 배치된다. 또, 차압 센서(111)에는 합성 고무제의 상류측 센서 배관(113)과 하류측 센서 배관(114)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제 1 케이스(28) 중 매연 필터(31)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상기 각 센서 배관(113,114)의 타단을 각각 접속시킨다.
또한 디젤 산화 촉매(30)의 배기가스 도입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상류측 가스 온도센서(115)와, 디젤 산화 촉매(30)의 배기가스 배출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하류측 가스 온도센서(116)를 구비하는 것이며, 매연 필터(31)의 도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매연 필터(31)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111)로 검출됨과 아울러, 매연 필터(31) 배기가스 도입측의 디젤 산화 촉매(30)부의 배기가스 온도가 각 온도센서(115,116)에 의해 검출된다. 즉 매연 필터(31)에 포집된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매연 필터(31)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11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31)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매연필터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디젤엔진(1)의 연료 분사제어 또는 흡기제어)가 실행된다.
이어서, 도 18, 도 19를 참조해서, 제 1 케이스(28)의 조립 분해 구조를 설명한다. 도 18, 도 19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는 DPF 입구관(34)을 설치한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와, DPF 출구관(35)을 설치한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로 형성하고 있다.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에 산화 촉매(30)를 내설시킴과 아울러,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내통(122b)에 매연 필터(31)를 내설시키고,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외통(122c)에 내통(122b)의 배기가스 도입측을 내설시키고, 외통(122c)으로부터 내통(122b)의 배기가스 배출측을 돌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에 내통(122b)의 배기가스 배출측을 출입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의 케이스 플랜지체(121a)와, 외통(122c)의 케이스 플랜지체(122a)를 분리 가능하게 볼트(123) 체결시키고,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와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한편,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외통(122c))에 배기 출구관으로서의 DPF 출구관(35)을 설치하고,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사 방향(제 1 케이스(28)의 원통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DPF 출구관(35)의 배기가스 출구측을 연장 설치시킨다. 또한, 요소 혼합관(39)과 DPF 출구관(35)을 연결하기 위한 DPF 출구측 플랜지체(41)는 DPF 출구관(35)의 배기가스 출구측 단부의 출구관 플랜지(41a)와, 요소 혼합관(39)의 배기가스 입구측 단부의 혼합관 플랜지(41b)로 형성함과 아울러,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외통(122c))의 원통형 외주면의 외측방에 출구관 플랜지(41a)를 위치시킨다.
즉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외측 중 배기가스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측에 DPF 출구관(35)을 연장 설치시키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분리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요소 혼합관(39)과 DPF 출구관(35)의 연결부(DPF 출구측 플랜지체(41))를 배치시키고 있다. 출구관 플랜지(41a)에 혼합관 플랜지(41b)를 볼트(124) 체결하고, DPF 출구관(35)에 요소 혼합관(39)의 일단측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SCR 입구관(36)에 SCR 입구측 플랜지체(40)를 통해 요소 혼합관(39)의 타단측을 연결시키고, DPF 출구관(35)과 요소 혼합관(39)과 SCR 입구관(36)이 일체적으로 고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매연 필터(31)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차압 센서(111)의 검출값 등)이 재생 제어 가능 범위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는 볼트(123)를 풀어서 각 케이스 플랜지체(121a,122a)의 체결을 해제함과 아울러, 볼트(124)를 풀어서 출구관 플랜지(41a)와 혼합관 플랜지(41b)의 체결을 해제했을 때,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로부터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를 분리할 수 있다.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로부터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를 제 1 케이스(28)의 원통형 축심선 방향(배기가스 이동방향)으로 이반시키고,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로부터 내통(122b)을 뽑아 내어 제 1 케이스(28)를 착탈 분해한다. 다음에, 내통(122b)으로부터 매연 필터(31)를 인출하고, 매연 필터(31)의 입자상 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해진다.
또, 볼트(123)를 풀어서 각 케이스 플랜지체(121a,122a)의 체결을 해제했을 때,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가 DPF 입구관(34)을 통해 배기가스 출구관(7)에 지지됨과 아울러, 볼트(124)를 풀어서 출구관 플랜지(41a)와 혼합관 플랜지(41b)의 체결을 해제했을 때, SCR 입구측 플랜지체(40)를 통해 요소 혼합관(39)이 제 2 케이스(29)에 지지된다. 따라서, 매연 필터(31)의 메인터넌스(필터 재생) 작업에 있어서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만을 떼어내고,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 또는 요소 혼합관(39) 등을 떼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 또는 요소 혼합관(39) 등의 분해가 필요한 구조에 비해 매연 필터(31)의 메인터넌스 공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도 7, 도 18, 도 19에 나타내듯이, 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를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와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로 분할 형성하고, 엔진(1)측에 상기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28)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 전체를 떼어낼 필요가 없어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제 1 케이스)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에 필요한 착탈 부품수를 간단하게 삭감할 수 있고,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에 내설시키는 매연 필터(31) 등을 용이하게 뗄어낼 수 있어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내부 또는 매연 필터(31)의 클리닝 공수 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도 7, 도 18, 도 19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연결하는 배기 출구관으로서의 DPF 출구관(35)을 구비하고,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외측 중 배기가스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측에 DPF 출구관(35)을 연장 설치시키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분리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요소 혼합관(39)과 DPF 출구관(35)의 연결부(DPF 출구측 플랜지체(41))를 배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요소 혼합관(39)과 DPF 출구관(35)의 연결부의 체결볼트 등을 이탈해서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와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제 1 케이스(28)의 배기 이동 방향으로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를 슬라이드시켜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도 7, 도 18, 도 19에 나타내듯이,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와 제 2 케이스(29)를 고정하는 협지체로서의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와,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하는 협지체로서의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상기 각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로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와 제 2 케이스(29)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 밴드(97)를 풀음으로써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 내부를 메인터넌스할 때에, 배기 도입측 케이스(121)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하고 있는 체결 밴드(97)의 착탈 작업이 불필요하며, 배기 배출측 케이스(122) 내부의 메인터넌스(매연필터의 클리닝)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9∼도 12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일체적으로 고착하는 상기 각 케이스 고정체(95,96) 및 체결 밴드(97)와, 상기 각 케이스 고정체(95,96)를 부착하는 지지대(87)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를 기립 설치시키고, 디젤엔진(1)의 배기 매니폴드(6)와 복수의 지지 다리체(82,84,86)에 지지대(87)를 연결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다리체(82,84,86)와 지지대(87)의 연결부의 조절에 의해 지지대(87) 등의 부착 부품의 가공 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고, 지지대(87)의 부착 경사 각도 등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고,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소정 자세로 간단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부설 부품으로부터 지지대(87)를 이간시켜서 상호의 간섭을 없애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디젤엔진(1)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장착하는 조립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0, 도 21을 참조해서 상기 디젤엔진(1)을 탑재한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작업 차량으로서의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는 후술하는 로더 장치(152)를 장착하여 로더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에는 좌우의 주행 크롤러부(15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의 주행 크롤러부(154)의 상방에는 개폐가능한 보닛(155)이 배치되어 있다. 보닛(155)내에는 디젤엔진(1)이 수용되어 있다. 보닛(155) 내부 중, 디젤엔진(1)의 상면부 상에 상기 제 1 케이스(28) 및 제 2 케이스(29)가 적재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디젤엔진(1)은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가 구비하는 주행기체(156)에 방진부재 등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보닛(155)의 전방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157)이 배치되어 있고, 이 캐빈(157)의 내부에는 조종 핸들(158) 및 운전 좌석(159)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디젤엔진(1)에 의해 구동되는 로더 작업 유압펌프 장치(160)와, 좌우의 주행 크롤러부(154)를 구동하는 주행 미션 장치(161)가 구비되어 있다. 디젤엔진(1)으로부터의 동력이 주행 미션 장치(161)를 통해 좌우의 주행 크롤러부(154)에 전달된다. 운전 좌석(159)에 앉은 오퍼레이터는 조종 핸들(158) 등의 조작부를 통해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의 주행조작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로더 장치(152)는 주행기체(156)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로더 포스트(162)와, 각 로더 포스트(162)의 상단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쌍의 리프트암(163)과, 좌우 리프트암(163)의 선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킷(164)을 갖고 있다.
각 로더 포스트(162)와 이것에 대응한 리프트암(163) 사이에는 리프트암(163)을 상하 요동시키기 위한 리프트 실린더(16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우 리프트암(163)과 버킷(164) 사이에는 버킷(164)을 상하 요동시키기 위한 버킷 실린더(1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조종 좌석(159)의 오퍼레이터가 로더 레버(도시생략)를 조작함으로써, 로더 작업 유압펌프 장치(160)의 유압력이 제어되고, 리프트 실린더(166)나 버킷 실린더(168)가 신축 작동하고, 리프트암(163)이나 버킷(164)을 상하 요동시켜 로더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요소수 탱크(71)는 보닛(155)의 전측방 상부에 내설된다. 또한 냉각팬(24)에 대향시켜서 배치하는 상기 라디에이터(19)는 보닛(155)의 후방부에 내설되어 있다.
이어서, 도 22∼도 23에 나타내듯이, 컨테이너 수송 트럭 또는 콘테이너선 등에 적재하는 사각상자형의 수송용 컨테이너(131)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반송 작업을 설명한다. 수송용 컨테이너(131)의 내부에 2단 겹침형상으로 적재시키는 곤포대(132)를 구비한다. 곤포대(132)는 포크리프트 등으로 반송가능한 팰릿 구조로 구성한 것이며, 평탄면을 갖는 팰릿 본체(133)와, 팰릿 본체(133)를 지지하는 4개의 다리체(134)와, 팰릿 본체(133)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시키는 4개의 지주체(135)로 이루어지고, 지주체(135)의 상단에 다리체(134) 하면의 하향 오목부를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끼워 부착시켜 다단형상으로 적층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 수송용 컨테이너(131)의 내부 용적(상하 또는 전후 또는 좌우의 폭치수)에 맞춰 곤포대(132)의 외형 크기(상하 또는 전후 또는 좌우의 폭치수)를 형성하고, 예를 들면 수송용 컨테이너(131)에 곤포대(132)를 상하로 이단 겹쳐서 좌우 및전후 방향으로 다열로 배열시키고, 수송용 컨테이너(131) 내부에 빈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수송용 컨테이너(131) 내부에 곤포대(132)를 짐싣기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22∼도 23에 나타내듯이, 미리, 디젤엔진(1)의 조립 공정중, 디젤엔진(1)의 일부로서 디젤엔진(1)의 상면측(외주측)에 상기 각 지지 다리체(82,84,86)를 통해 지지대(87)를 고착한 상태(도 11등 참조)에서 디젤엔진(1)의 조립 완료후, 상기 디젤엔진(1)의 기관다리 부착부에 복수의 적재대 프레임체(136)의 상단측을 고착하고, 디젤엔진(1)으로부터 각 적재대 프레임체(136)의 하단측을 하향으로 연장 설치하고, 팰릿 본체(133)의 상면에 적재대 프레임체(136)의 하단을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한다. 한편, 미리, 요소 혼합관(39)이 연결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케이스 고정체(95,96)와 체결 밴드(97)를 통해 지지 프레임체(98)에 고착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유닛 구성한 상태(도 9 등 참조)에서, 상기 팰릿 본체(133)의 상면 중, 디젤엔진(1)에 인접한 상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지지 프레임체(98)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한다.
즉 동일한 팰릿 본체(133)의 상면에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인접시켜서 적재함과 아울러, 배기관으로서의 SCR 출구관(37) 또는 조립용 볼트 등의 후부착 부품이 골판지 상자(137)에 내장되고, 상기 팰릿 본체(133) 상면의 빈 스페이스에 골판지 상자(137)를 포장 테이프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동일한 곤포대(132)에 1세트분의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와 조립 부속 부품(골판지 상자(137))을 적재하고,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분리한 상태에서 동일한 곤포대(132)에 수송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수송용 컨테이너(131)의 내부에 다수의 곤포대(132)를 적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1∼도 5, 도 13 및 도 14, 도 20∼도 23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지지 프레임체(98)로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형성함과 아울러,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분리한 상태에서 수송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 차량(트랙터(51) 등의 농업기계 또는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 등의 건설기계 등) 등에 탑재할 때에,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볼트 체결 작업으로 간단하게 합체할 수 있다.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낮게 곤포할 수 있어 수송용 컨테이너(131)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면서, 디젤엔진(1)을 탑재하는 장소에서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작업 차량(트랙터(51) 또는 스키드 스티어 로더(151)) 등의 조립 공장에서의 조립 공수(조립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도 5, 도 20∼도 23에 나타내듯이, 지지 프레임체(98)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100) 체결시키는 지지대(87)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의 조립 공정중, 디젤엔진(1)의 일부로서 디젤엔진(1)의 외주측에 지지대(87)를 고착하고, 지지대(87)를 통해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착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대(87)에 지지 프레임체(98)를 연결시키는 간단한 조립 작업에 의해,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적정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디젤엔진(1)을 탑재하는 작업 차량 등의 조립 공장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장착 오차를 저감하고,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조립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도 23에 나타내듯이, 동일한 곤포대(132)에 1세트분의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와 조립 부속 부품을 적재하고, 수송용 컨테이너(131)에 상기 곤포대(132)를 적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와 조립 부속 부품을 조립 재료의 한세트로서 한꺼번에 수송할 수 있는 것이면서, 디젤엔진(1)의 전체 높이를 낮게 곤포할 수 있어 수송용 컨테이너(131)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도 5, 도 15, 도 24, 도 25를 참조해서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제 1 케이스(28))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도 24는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제 1 케이스(28))의 연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도 5, 도 24에 나타내듯이, 지지대(87)의 상면 중, 배기가스 출구관(7)에 대향설치하는 지지대(87)의 상면에 평판상의 위치 결정체(89)를 용접 고정시킨다. 상향으로 개구시킨 배기가스 출구관(7)의 평탄한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위치 결정체(89)의 평판형상 하면을 상방측으로부터 접촉시키고 있다. 평탄한 배기가스 출구면(7a)의 일부에 위치 결정체(89)의 평판형상 하면의 일부를 직접적으로 면접촉시킨다. 배기가스 출구관(7)에 위치 결정체(89)를 위치 결정 볼트(90)와 너트(90a)로 체결하고 있다.
즉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관(7)의 상면측(배기가스 출구면(7a))에 식설한 위치 결정 볼트(90)와 위치 결정 너트(90a)를 통해 배기가스 출구관(7)에 지지대(87)를 상면 방향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배기가스 출구관(7)과 위치 결정체(89)의 면접촉에 의해 디젤엔진(1)에 대해서 지지대(87)의 상면이 대략 수평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기가스 출구관(7)의 평탄한 배기가스 출구면(7a)을 기준으로 해서 지지대(87)의 부착 위치(지지 자세)가 결정되는 것이며,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지지대(87)의 일부로서의 위치 결정체(89)를 면접촉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28)의 하면측으로부터 DPF 입구관(34)을 하향으로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출구관(7)에 연결시키는 DPF 입구관(34)의 하향 개구부에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접촉시키는 입구 플랜지체(34a)를 일체적으로 고착하는 것이며,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으로서의 입구 플랜지체(34a)를 접합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출구관(7)의 평탄한 배기가스 출구면(7a) 상면에 가스 누설 방지용의 소형 개스킷(141)을 통해 입구 플랜지체(34a)의 하면을 접촉시킨다.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식설한 볼트(80)와 너트(80a)로 배기가스 출구관(7)에 입구 플랜지체(34a)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한다. 즉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지지대(87)를 직접적으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상기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입구 플랜지체(34a)) 사이에 소형 개스킷(141)을 협지시키고, 배기가스 출구관(7)에 소형 개스킷(141)을 통해 DPF 입구관(34)(입구 플랜지체(34a))을 고착하고 있다.
도 1∼도 5, 도 24, 도 25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으로서의 입구 플랜지체(34a)를 접합시킴과 아울러, 디젤엔진(1)에 고착하는 지지대(87)를 구비하고, 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지지대(87)의 일부를 면접촉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배기가스 출구관(7))과 지지대(87)의 연결로 지지대(87)의 부착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면서, 지지대(87)를 고강성의 판금구조로 구성해서 부착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젤엔진(1)에 대해서 지지대(87)의 부착 자세가 수평해지는 지지대(87)의 장착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도 5, 도 24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배기가스 출구관(7))에 지지대(87)를 직접적으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입구 플랜지체(34a)) 사이에 소형 개스킷(141)을 협지시키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지지대(87)의 면접촉에 의해 지지대(87)의 부착 자세를 결정할 수 있고, 디젤엔진(1)에 대한 지지대(87)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소형 개스킷(141)을 소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5는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제 1 케이스(28))의 연결 구조(도 2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5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입구 플랜지체(34a)) 사이에 대형 개스킷(142)을 협지시키고, 배기가스 출구관(7)에 대형 개스킷(142)을 통해 DPF 입구관(34)(입구 플랜지체(34a))을 고착함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배기가스 출구관(7)에 면접촉시키는 위치 결정체(89) 사이에, 대형 개스킷(142)을 연장 설치시키고,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에 대형 개스킷(142)을 통해 위치 결정체(89)를 고착하고 있다.
도 1∼도 5, 도 25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으로서의 입구 플랜지체(34a) 사이에 대형 개스킷(142)을 협지시킴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출구면(7a)과 지지대(87)의 면접촉부 사이에 대형 개스킷(142)을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28)의 배기가스 입구면과 지지대(87)의 면접촉부가 면일하게 되도록, 제 1 케이스(28)의 지지 위치를 조절하여 지지대(87)에 제 1 케이스(28)를 고착할 수 있다. 대형 개스킷(142)의 두께를 고려할 필요가 없이 제 1 케이스(28)의 입구 플랜지체(34a)의 높이 위치와, 지지대(87)의 제 1 케이스(28) 부착면의 높이 위치를 면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동일 평면을 기준으로 해서 지지대(87)와 제 1 케이스(28)(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상대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도 6, 도 11, 도 26, 도 27을 참조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7)(제 1 케이스(28), 제 2 케이스(29), 체결 밴드(97)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6, 도 11, 도 26, 도 27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협지체로서 4개의 체결 밴드(97)를 구비한다. 체결 밴드(97)는 띠형상의 체결 밴드 본체(97a)와, 체결 밴드 본체(97a)의 양단측에 고착하는 체결볼트(97b)를 갖는다. 제 1 케이스(28) 또는 제 2 케이스(29)에 체결 밴드 본체(97a)를 권취시킨 상태에서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에 체결볼트(97b)의 선단측을 끼우고, 그 체결볼트(97b)의 선단측에 체결 너트(97c)를 나사 부착시키고,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후측 적재부에 좌우 2개의 체결 밴드(97)를 통해 제 1 케이스(28)를 고착시킴과 아울러,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전방측 적재부에 좌우 2개의 체결 밴드(97)를 통해 제 2 케이스(29)를 고정시키고, 좌우 방향으로 장척인 원통형상의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옆으로 넘어진 자세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
즉 상기 4개의 체결 밴드(97)와 좌우의 케이스 고정체(95,96)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일체적으로 고착함과 아울러, 지지 프레임체(98)를 통해 좌우의 케이스 고정체(95,96)를 연결시키고, 상기 엔진 상면측의 지지대 상면에 지지 프레임체(98)를 고착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 협지측의 체결 밴드(97)와, 제 2 케이스(29) 협지측의 체결 밴드(97)를 체결 밴드 본체(97a)의 단척측 폭치수 이상의 위치 어긋남 간격(97d)으로 상기 각 케이스의 길이 방향(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오프셋시켜서 배치한다. 따라서, 도 27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 협지측의 체결 밴드(97)와, 제 2 케이스(29) 협지측의 체결 밴드(97)을 간섭시키지 않고,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 사이의 케이스 부착 간극(97e)를 축소할 수 있다.
도 1∼도 6, 도 11, 도 26, 도 27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28)와,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2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28)에 요소 혼합관(39)을 통해 제 2 케이스(29)를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하는 지지 프레임체(98)를 구비하고, 지지 프레임체(98)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복수의 협지체로서의 체결 밴드(97)로 일체적으로 고착함과 아울러, 제 1 케이스(28)측의 체결 밴드(97)와, 제 2 케이스(29)측의 체결 밴드(97)를 상기 각 케이스(28,29)의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 사이에 제 1 케이스(28)측의 체결 밴드(97)와 제 2 케이스(29)측의 체결 밴드(97)의 양쪽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오프셋 배치에 의해 상기 각 체결 밴드(97)의 설치 폭치수를 축소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장척인 원통형상의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부착 간격(97e)을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고, 디젤엔진(1)의 케이스 부착부의 폭치수(지지대(87)의 전후폭)내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의 근접 배치에 의해 상기 각 케이스(28,29) 내부의 배기가스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각 케이스 지지대의 배기가스 정화 작용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도 6, 도 27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스(28) 또는 제 2 케이스(29)를 상기 복수의 체결 밴드(97)로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는 복수의 좌우 케이스 고정체(95,96)를 구비하고, 복수의 체결 밴드(97)와 좌우 케이스 고정체(95,96)에 의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일체적으로 고착함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고착하는 지지대(87)를 구비하고, 지지대(87)의 상면측에 지지 프레임체(98)를 통해 좌우 케이스 고정체(95,96)를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상면측의 폭치수내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지지 프레임체(98)와 지지대(87)의 착탈에 의해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상기 각 케이스(28,29)를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내듯이, 상기 각 케이스 고정체(95,96)와 지지 프레임체(98)를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99)의 외경치수에 비해 볼트(99)를 삽입시키기 위한 지지 프레임체(98)의 볼트 관통구멍의 내경치수를 크게 형성하고, 지지 프레임체(98)의 볼트 관통구멍에 볼트(99)의 선단측을 느슨하게 삽입하고, 각 케이스 고정체(95,96)에 볼트(99)의 선단측을 나사 부착시키고, 좌측 케이스 고정체(95) 및 우측 케이스 고정체(96)의 전후 단부에 전후 지지 프레임체(98)를 부착 위치(지지 자세) 조절 가능하게 볼트(99) 체결시키고, 사각프레임형상으로 연결한 좌우 케이스 고정체(95,96)와 전후 지지 프레임체(98)에 체결 밴드(97)를 통해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29)를 고착시켜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구성한다.
즉 도 27에 나타내듯이, 상기 지지 프레임체(98)에 상기 각 케이스 고정체(95,96)를 상대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 프레임체(98)에 상기 각 케이스 고정체(95,96)를 통해 상기 각 케이스(28,29)를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배기 정화 유닛으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87) 상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얹어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측의 부착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지지대(87)와 상기 제 1 케이스(28)의 상대 위치맞춤 작업 등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87)와 상기 지지 프레임체(98)의 착탈 작업에 의해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7)를 간단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다.
1: 디젤엔진
7a: 배기가스 출구면
27: 배기가스 정화 장치(배기 정화 유닛)
28: 제 1 케이스
29: 제 2 케이스
34a: 입구 플랜지체(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39: 요소 혼합관
87: 지지대
95: 좌측 케이스 고정체
96: 우측 케이스 고정체
97: 체결 밴드(협지체)
98: 지지 프레임체
100: 볼트
131: 수송용 컨테이너
132: 곤포대
141: 소형 개스킷
142: 대형 개스킷

Claims (7)

  1.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에 요소 혼합관을 통해 상기 제 2 케이스를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을 접합 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지지대의 일부를 접촉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좌우 케이스 고정체와, 상기 좌우 케이스 고정체에 고정되는 전후 지지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측에 상기 전후 지지 프레임체를 고정하고,
    상기 좌우 케이스 고정체에 매달기 부재를 설치한, 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에 상기 지지대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사이에 개스킷을 협지시키고 있는, 엔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가스 입구면 사이에 개스킷을 협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출구면과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 사이에 상기 개스킷을 연장 설치시키고 있는, 엔진 장치.
  4.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에 요소 혼합관을 통해 상기 제 2 케이스를 접속시키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고착하는 지지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복수의 협지체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의 양단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체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협지체와, 상기 제 2 케이스측의 협지체를, 상기 각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지체와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고착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상면측에 고착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연결시키고 있는, 엔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상대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복수의 케이스 고정체를 통해 상기 각 케이스를 고착해서 배기 정화 유닛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 상에 상기 배기 정화 유닛을 얹어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엔진 장치.
  7. 삭제
KR1020207004697A 2014-03-20 2015-03-06 엔진 장치 KR102181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9114A JP6177171B2 (ja) 2014-03-20 2014-03-20 エンジン装置
JPJP-P-2014-059113 2014-03-20
JP2014059113A JP6210914B2 (ja) 2014-03-20 2014-03-20 エンジン装置
JPJP-P-2014-059114 2014-03-20
JP2014065695A JP6165090B2 (ja) 2014-03-27 2014-03-27 エンジン装置
JPJP-P-2014-065695 2014-03-27
PCT/JP2015/056657 WO2015141498A1 (ja) 2014-03-20 2015-03-06 エンジン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472A Division KR20160133409A (ko) 2014-03-20 2015-03-06 엔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19A KR20200020019A (ko) 2020-02-25
KR102181255B1 true KR102181255B1 (ko) 2020-11-20

Family

ID=541444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697A KR102181255B1 (ko) 2014-03-20 2015-03-06 엔진 장치
KR1020167018472A KR20160133409A (ko) 2014-03-20 2015-03-06 엔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472A KR20160133409A (ko) 2014-03-20 2015-03-06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52216B2 (ko)
EP (1) EP3121404B1 (ko)
KR (2) KR102181255B1 (ko)
CN (1) CN105980680B (ko)
WO (1) WO2015141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2798B1 (en) * 2017-03-08 2020-03-04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A compact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JP6731876B2 (ja) * 2017-03-24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CA3225012A1 (en) * 2019-07-29 2021-02-04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 Compact utility loa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6394A1 (en) * 2009-01-26 2010-07-29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ssembly
JP2013019286A (ja) * 2011-07-08 2013-01-31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5767B2 (ja) * 2001-06-13 2004-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系における振動吸収装置
JP4928398B2 (ja) 2007-09-20 2012-05-0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US8191668B2 (en) * 2008-08-07 2012-06-05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KR101736263B1 (ko) * 2010-02-12 2017-05-16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배기가스 정화 장치
JP5279753B2 (ja) * 2010-04-15 2013-09-04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5714844B2 (ja) 2010-07-16 2015-05-0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US8458513B2 (en) * 2010-07-30 2013-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fficient failure recovery in a distributed data storage system
JP5422528B2 (ja) * 2010-09-15 2014-02-1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とその排気処理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5649895B2 (ja) 2010-09-29 2015-01-0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KR20120052512A (ko) * 2010-11-16 2012-05-24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JP5192539B2 (ja) 2010-12-24 2013-05-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490739B2 (ja) 2011-02-25 2014-05-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2215022A (ja) * 2011-03-31 2012-11-08 Komatsu Ltd エンジンユニット
US20120273648A1 (en) * 2011-04-28 2012-11-01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treatment Support Assembly
JP2013104394A (ja) 2011-11-16 2013-05-30 Hino Motors Ltd 排気浄化装置
JP5798515B2 (ja) * 2012-03-13 2015-10-21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の立形直列多気筒エンジン
CA2904757C (en) * 2013-03-11 2016-07-12 Les Plats Du Chef Inc. Methods for preparing frozen onion soup au gratin
CN105247187B (zh) * 2013-04-11 2018-06-29 珀金斯发动机有限公司 排放物清洁模块及安装机构
EP2853704B1 (en) * 2013-09-30 2017-04-26 Kubota Corporation Diesel eng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6394A1 (en) * 2009-01-26 2010-07-29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ssembly
JP2013019286A (ja) * 2011-07-08 2013-01-31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52216B2 (en) 2019-07-16
US20170009627A1 (en) 2017-01-12
KR20160133409A (ko) 2016-11-22
EP3121404B1 (en) 2018-11-21
EP3121404A1 (en) 2017-01-25
WO2015141498A1 (ja) 2015-09-24
CN105980680B (zh) 2019-08-02
CN105980680A (zh) 2016-09-28
EP3121404A4 (en) 2017-12-27
KR20200020019A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375B2 (en) Engine device
KR101917966B1 (ko) 엔진 장치
US10436093B2 (en) Engine device
KR10218125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344825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181255B1 (ko) 엔진 장치
JP6184358B2 (ja) エンジン装置
KR101910755B1 (ko) 엔진 장치
JP2015190317A (ja) エンジン装置
JP6165090B2 (ja) エンジン装置
JP6177171B2 (ja) エンジン装置
JP6210914B2 (ja) エンジン装置
JP6096696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6074297A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