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63B1 - 절토부 옹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토부 옹벽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1163B1 KR102181163B1 KR1020200087669A KR20200087669A KR102181163B1 KR 102181163 B1 KR102181163 B1 KR 102181163B1 KR 1020200087669 A KR1020200087669 A KR 1020200087669A KR 20200087669 A KR20200087669 A KR 20200087669A KR 102181163 B1 KR102181163 B1 KR 102181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support
- overlapping
- hole
- slop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은, 절토부 비탈면의 원지반을 보강하고, 상기 비탈면으로부터의 토사(土沙) 낙하를 방지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된 채, 인장되어 상기 원지반에 정착되는 정착부, 상기 비탈면의 전방에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비탈면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관통한 채, 상기 비탈면에 지지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정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토부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절토부 비탈면의 원지반을 보강하고, 상기 비탈면으로부터의 토사(土沙) 낙하를 방지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이라 함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사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표고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의 한쪽 면 상에서 물질을 억누르는 벽체로서 정의된다. 주변의 경사, 도로, 철도 사면, 건물, 계단식 벽들 모두는 옹벽에 대한 잠재적 하중을 나타낸다. 옹벽은 주로 3가지 타입, 즉 중력식, 캔틸레버식, 보강토 옹벽으로 구분된다. "중력식 옹벽"은 블럭들 자체의 무게만으로 가두어진 흙의 하중을 견디는 보강토 없는 옹벽의 형태이다. 중력식 옹벽의 경우 각 블럭이 콘크리트 또는 석조 덩어리로 구성되므로 시공비가 더 많이 들어간다. 중력식 옹벽은 토압을 견디기 위해 구조체의 무게에 의존한다.
옹벽 배면의 토양을 굴착하는 것은 옹벽의 구조강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아니한다. 캔틸레버식 옹벽은 전형적으로 토양 속에 타설된 널말뚝의 구조를 가지며, 지지되는 토양 아래의 널말뚝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으로부터 지지력을 얻는다. 캔틸레버 옹벽은 뒷채움에 아래 묻힌 수평기저부(horizontal base section)를 가지며, 뒷채움
흙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저부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수직으로 뻗는 줄기부(stem section)갖는다. 캔틸레버식 옹벽은 벽체의 기울어짐을 막기 위해서 기저부위의 뒷채움의 중량에 의존한다.
옹벽이 갖춰야할 조건으로는 상부구조물과 토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내구성이 좋고 재료의 확보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해야 하는바, 널리 사용되는 축대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대체로 갖추고 있지만, 토압과 수압에 대한 저항능력이 떨어져 중요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안정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철근 콘크리트 옹벽으로 대체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토부 비탈면의 원지반을 보강하고, 상기 비탈면으로부터의 토사(土沙) 낙하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은, 절토부 비탈면의 원지반을 보강하고, 상기 비탈면으로부터의 토사(土沙) 낙하를 방지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된 채, 인장되어 상기 원지반에 정착되는 정착부, 상기 비탈면의 전방에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비탈면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관통한 채, 상기 비탈면에 지지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정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은, 상기 비탈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정착부가 상기 비탈면과 수직하게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널부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정착부와 제1 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비탈면과 대향한 채, 상기 정착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정착매개부 및 상기 패널부와 대향한 채, 상기 지지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지지매개부를 구비하고, 일측은 상기 정착부의 끝단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정착부를 매개하며, 상기 제1 각은, 상기 비탈면의 상기 지면에 대한 경사도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정착매개부 및 상기 지지매개부는, 상호 형성 각도가 변화되도록 위치 변화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상기 정착매개부는, 복수의 제1 쐐기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정착쐐기부, 상기 복수의 제1 쐐기를 연결하는 정착몸통부 및 상기 정착쐐기부와 상기 정착몸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정착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착쐐기부 및 상기 정착몸통부의 외주면은, 제1 수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착이동부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정착몸통부와 상기 정착쐐기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하고,상기 정착쐐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쐐기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정착이동부에 의해 방사형 내측으로 가압되어, 복수의 제1 쐐기가 밀착되는 제2 상태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정착부는, 상기 정착쐐기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상기 정착쐐기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상기 정착부는,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쐐기는,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상기 정착부와의 접촉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나사대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대응부는, 상기 정착부가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상기 지지매개부는, 복수의 제2 쐐기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쐐기부, 상기 복수의 제2 쐐기를 연결하는 지지몸통부 및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기 지지쐐기부와 상기 지지몸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지지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쐐기부 및 상기 지지몸통부의 외주면은, 제2 수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이동부는,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2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지지몸통부와 상기 지지쐐기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하고, 상기 지지쐐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쐐기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상태에서, 상기 정착이동부에 의해 방사형 내측으로 가압되어, 복수의 제2 쐐기가 밀착되는 제4 상태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쐐기부가 상기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공간으로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상기 지지쐐기부가 상기 제4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고, 상기 지지부는, 외주면을 따라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쐐기는,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상기 지지부와의 접촉면에 상기 제2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나사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대응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4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나사산과 맞물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상기 정착매개부는, 상기 정착몸통부에 연결되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중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매개부는, 상기 지지몸통부에 연결되며,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중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중첩부와 상기 제2 중첩부가 중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에 동시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중첩부와 상기 제2 중첩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제5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중첩부와 상기 제2 중첩부가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제6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정착매개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6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상기 제2 중첩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1 중첩편 및 제2-2 중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2-1 중첩편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1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2 중첩편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2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2-1 중첩편과 상기 제2-2 중첩편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삽입부에 의해 상기 제2-1 중첩편과 상기 제2-2 중첩편과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과 작거나 같은 단면적으로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중첩부 및 상기 제2 중첩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헤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2-1 중첩편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 및 상기 제2-2 중첩편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대향면은, 상기 제1 관통공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제1 관통공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중첩편은,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대응면에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1 돌출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중첩편은, 상기 제2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대응면에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2 돌출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대응부가 맞물리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대응부가 맞물리면, 상기 제2 중첩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은 상기 원지반에 형성된 다른 천공에 삽입된 제2 정착부와 상기 패널부를 관통한 채, 상기 비탈면에 지지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보강부는, 제3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보강헤드부, 제4 관통공이 형성된 제2 보강헤드부 및 상기 제1 보강헤드부와 상기 제2 보강헤드부를 연결하는 보강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보강헤드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2-1 중첩편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제3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에 종속되고, 상기 제2 보강헤드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종속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은, 상기 비탈면의 전방에 편평한 지반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립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립보조부는, 상기 지반에 정착하되, 상측에 상기 패널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립본체부 및 상기 기립본체부를 관통한 채, 상기 지반에 정착되어 상기 기립본체부가 상기 지반에 장착되도록 하는 기립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탈면과 지면에 대한 경사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패널과 정착부재의 각도에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이 설치된 비탈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연결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연결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이 설치된 비탈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1)은, 절토부 비탈면의 원지반을 보강하고, 상기 비탈면으로부터의 토사(土沙) 낙하를 방지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절토부 옹벽 시스템(1)은, 정착부(10), 패널부(20), 지지부(30) 및 제1 연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부(10)는, 상기 원지반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된 채, 인장되어 상기 원지반에 정착될 수 있다.
상기 천공은, 상기 비탈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정착부(10)가 상기 비탈면과 수직하게 배치된 채,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착부(10)가 상기 비탈면과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비탈면에 인장된 채, 정착된 정착부(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패널부(20)는, 상기 비탈면의 전방에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비탈면과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패널부(20)를 관통한 채, 상기 비탈면에 지지되어 상기 패널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패널부(20)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정착부(10)와 제1 각(A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0)가 상기 패널부(20)와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패널부(20)에 대한 지지부(30)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각(A1)은 상기 비탈면의 상기 지면에 대한 경사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화될 수 있는 상기 제1 각(A1)에 따라 상기 지지부(30)와 상기 정착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인 연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0)는, 상기 정착부(10)와 상기 지지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40)는, 상기 비탈면과 대향한 채, 상기 정착부(10)의 끝단이 삽입되는 정착매개부(41) 및 상기 패널부(20)와 대향한 채, 상기 지지부(30)의 끝단이 삽입되는 지지매개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0)는, 일측은 상기 정착부(10)의 끝단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30)의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30)와 상기 정착부(10)를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정착매개부(41) 및 상기 지지매개부(43)는, 상호 형성 각도가 변화되도록 위치 변화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매개부(41)는, 정착쐐기부(411), 정착몸통부(413) 및 정착이동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착쐐기부(411)는, 복수의 제1 쐐기(411a)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S1)은, 상기 정착부(10)가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정착몸통부(413)는, 상기 복수의 제1 쐐기(411a)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쐐기(411a)는 각각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착이동부(415)는, 상기 정착쐐기부(411)와 상기 정착몸통부(413)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착쐐기부(411) 및 상기 정착몸통부(413)의 외주면은, 제1 수나사산(P1)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착이동부(415)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수나나산과 대응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산(P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정착몸통부(413)와 상기 정착쐐기부(411)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착쐐기부(411)는, 상기 복수의 제1 쐐기(411a)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태(도 2의 (a) 참조)에서, 상기 정착이동부(415)에 의해 방사형 내측으로 가압되어, 복수의 제1 쐐기(411a)가 밀착되는 제2 상태(도 2의 (b)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착부(10)는, 상기 정착쐐기부(411)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공간(S1)으로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상기 정착쐐기부(411)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공간(S1)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부(10)는,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쐐기(411a)는, 상기 제1 공간(S1)에 수용된 상기 정착부(10)와의 접촉면에 상기 제1 나사산(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나사대응부(P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대응부(P2)는, 상기 정착부(10)가 상기 제1 공간(S1)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나사산(11)과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착부(10)는 1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쐐기(411a)의 제2 상태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쐐기(411a)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정착쐐기부(411)에 종속되며, 2차적으로 상기 제1 나사산(11)과 제1 나사대응부(P2)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정착쐐기부(411)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매개부(43)는, 지지쐐기부(431), 지지몸통부(433) 및 지지이동부(4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쐐기부(431)는, 복수의 제2 쐐기(431a)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지지부(30)의 출입을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지지몸통부(433)는, 상기 복수의 제2 쐐기(431a)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이동부(435)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기 지지쐐기부(431)와 상기 지지몸통부(433)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쐐기부(431) 및 상기 지지몸통부(433)의 외주면은, 제2 수나사산(Q1)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이동부(435)는,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2 수나사산(Q1)과 대응되는 제2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나사산(Q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지지몸통부(433)와 상기 지지쐐기부(431)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쐐기부(431)는, 상기 복수의 제2 쐐기(431a)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상태(도 2의 (a) 참조)에서, 상기 정착이동부(415)에 의해 방사형 내측으로 가압되어, 복수의 제2 쐐기(431a)가 밀착되는 제4 상태(도 2의 (b)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지지쐐기부(431)가 상기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공간으로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상기 지지쐐기부(431)가 상기 제4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는, 외주면을 따라 제2 나사산(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쐐기(431a)는,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상기 지지부(30)와의 접촉면에 상기 제2 나사산(31)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나사대응부(Q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나사대응부(Q2)는, 상기 지지부(30)가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4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나사산(31)과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0)는 1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2 쐐기(431a)의 제4 상태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쐐기(431a)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지지쐐기부(431)에 종속되며, 2차적으로 상기 제2 나사산(31)과 제2 나사대응부(Q2)의 체결에 의해 상기 지지쐐기부(431)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정착매개부(41)는, 상기 정착몸통부(413)에 연결되며, 제1 관통공(H1)이 형성된 제1 중첩부(4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매개부(43)는, 상기 지지몸통부(433)에 연결되며, 제2 관통공(H2)이 형성된 제2 중첩부(4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0)는, 삽입부(45) 및 이탈방지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5)는, 상기 제1 중첩부(417)와 상기 제2 중첩부(437)가 중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제1 관통공(H1)과 상기 제2 관통공(H2)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47)는, 상기 삽입부(45)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부(45)의 상기 제1 관통공(H1) 및 상기 제2 관통공(H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47)는, 상기 제1 중첩부(417)와 상기 제2 중첩부(437)가 밀착되도록 하는 제5 위치(도 2의 (a) 참조)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중첩부(417)와 상기 제2 중첩부(437)가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제6 위치(도 2의 (b)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착매개부(41)는, 상기 이탈방지부(47)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43)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이탈방지부(47)가 상기 제6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43)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중첩부(437)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1 중첩편(437a) 및 제2-2 중첩편(437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중첩편(437a)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1 관통공(H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2 중첩편(437b)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2 관통공(H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부(417)는, 상기 제2-1 중첩편(437a)과 상기 제2-2 중첩편(437b)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삽입부(45)에 의해 상기 제2-1 중첩편(437a)과 상기 제2-2 중첩편(437b)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5)는, 상기 제1 관통공(H1) 및 상기 제2 관통공(H2)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제1 관통공(H1) 및 상기 제2 관통공(H2)과 작거나 같은 단면적으로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부(417) 및 상기 제2 중첩부(437)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47)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헤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47)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부(417)는, 상기 제2-1 중첩편(437a)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 및 상기 제2-2 중첩편(437b)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향면은, 상기 제1 관통공(H1)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417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제1 관통공(H1)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417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중첩편(437a)은,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대응면에 상기 제1 돌출부(417a)와 대응되는 제1 돌출대응부(438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2 중첩편(437b)은, 상기 제2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대응면에 상기 제2 돌출부(417b)와 대응되는 제2 돌출대응부(438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부(417)는, 상기 제1 돌출부(417a)와 상기 제1 돌출대응부(438a)가 맞물리고, 상기 제2 돌출부(417b)와 상기 제2 돌출대응부(438b)가 맞물리면, 상기 제2 중첩부(437)를 기준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의 연결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1)은, 제2 연결부(50) 및 연결보강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50)는, 상기 원지반에 형성된 다른 천공에 삽입된 제2 정착부(60)(10)와 상기 패널부(20)를 관통한 채, 상기 비탈면에 지지되어 상기 패널부(2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70)(3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보강부(80)는, 상기 제1 연결부(40)와 상기 제2 연결부(5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보강부(80)는, 제3 관통공(H3)이 형성된 제1 보강헤드부(81), 제4 관통공(H4)이 형성된 제2 보강헤드부(82) 및 상기 제1 보강헤드부(81)와 상기 제2 보강헤드부(82)를 연결하는 보강연결부(8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50)는, 상기 제1 보강헤드부(81)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2-1 중첩편(437a)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제3 관통공(H3)을 관통한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45)에 종속되고, 상기 제2 보강헤드부(82)가 상기 제2 연결부(50)에 종속되어 상기 제1 연결부(40)와 상기 제2 연결부(5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 시스템(1)은, 기립보조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립보조부(90)는, 상기 비탈면의 전방에 편평한 지반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20)가 기립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립보조부(90)는, 기립본체부(91) 및 기립고정부(9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립본체부(91)는, 상기 지반에 장착하되, 상측에 상기 패널부(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립고정부(93)는, 상기 기립본체부(91)를 관통한 채, 상기 지반에 정착되어 상기 기립본체부(91)가 상기 지반에 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절토부 옹벽 시스템
10: 정착부
20: 패널부
30: 지지부
40: 제1 연결부
50: 제2 연결부
60: 제2 정착부
70: 제2 지지부
80: 연결보강부
90: 기립보조부
10: 정착부
20: 패널부
30: 지지부
40: 제1 연결부
50: 제2 연결부
60: 제2 정착부
70: 제2 지지부
80: 연결보강부
90: 기립보조부
Claims (9)
- 절토부 비탈면의 원지반을 보강하고, 상기 비탈면으로부터의 토사(土沙) 낙하를 방지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된 채, 인장되어 상기 원지반에 정착되는 정착부;
상기 비탈면의 전방에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비탈면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관통한 채, 상기 비탈면에 지지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정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은, 상기 비탈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정착부가 상기 비탈면과 수직하게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널부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정착부와 제1 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비탈면과 대향한 채, 상기 정착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정착매개부 및 상기 패널부와 대향한 채, 상기 지지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지지매개부를 구비하고,
일측은 상기 정착부의 끝단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정착부를 매개하며,
상기 제1 각은,
상기 비탈면의 상기 지면에 대한 경사도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정착매개부 및 상기 지지매개부는, 상호 형성 각도가 변화되도록 위치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정착매개부는,
복수의 제1 쐐기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정착쐐기부, 상기 복수의 제1 쐐기를 연결하는 정착몸통부 및 상기 정착쐐기부와 상기 정착몸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정착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착쐐기부 및 상기 정착몸통부의 외주면은, 제1 수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착이동부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정착몸통부와 상기 정착쐐기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하고,
상기 정착쐐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쐐기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정착이동부에 의해 방사형 내측으로 가압되어, 복수의 제1 쐐기가 밀착되는 제2 상태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정착부는,
상기 정착쐐기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상기 정착쐐기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고,
상기 지지매개부는,
복수의 제2 쐐기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쐐기부, 상기 복수의 제2 쐐기를 연결하는 지지몸통부 및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기 지지쐐기부와 상기 지지몸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지지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쐐기부 및 상기 지지몸통부의 외주면은, 제2 수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이동부는,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2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지지몸통부와 상기 지지쐐기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 이동하고,
상기 지지쐐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쐐기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상태에서, 상기 정착이동부에 의해 방사형 내측으로 가압되어, 복수의 제2 쐐기가 밀착되는 제4 상태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쐐기부가 상기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공간으로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상기 지지쐐기부가 상기 제4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고,
상기 지지부는, 외주면을 따라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쐐기는,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상기 지지부와의 접촉면에 상기 제2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나사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대응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4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나사산과 맞물리게 되며,
상기 정착매개부는,
상기 정착몸통부에 연결되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중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매개부는,
상기 지지몸통부에 연결되며,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중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중첩부와 상기 제2 중첩부가 중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에 동시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중첩부와 상기 제2 중첩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제5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중첩부와 상기 제2 중첩부가 밀착 해제되도록 하는 제6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정착매개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6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지매개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 중첩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1 중첩편 및 제2-2 중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2-1 중첩편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1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2 중첩편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2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2-1 중첩편과 상기 제2-2 중첩편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삽입부에 의해 상기 제2-1 중첩편과 상기 제2-2 중첩편과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과 작거나 같은 단면적으로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중첩부 및 상기 제2 중첩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헤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되고,
상기 원지반에 형성된 다른 천공에 삽입된 제2 정착부와 상기 패널부를 관통한 채, 상기 비탈면에 지지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보강부는,
제3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보강헤드부, 제4 관통공이 형성된 제2 보강헤드부 및 상기 제1 보강헤드부와 상기 제2 보강헤드부를 연결하는 보강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보강헤드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2-1 중첩편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제3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에 종속되고, 상기 제2 보강헤드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종속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쐐기는,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상기 정착부와의 접촉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나사대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대응부는, 상기 정착부가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2-1 중첩편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 및 상기 제2-2 중첩편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대향면은, 상기 제1 관통공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제1 관통공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중첩편은,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대응면에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1 돌출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중첩편은,
상기 제2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대응면에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2 돌출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대응부가 맞물리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대응부가 맞물리면, 상기 제2 중첩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의 전방에 편평한 지반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가 기립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립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립보조부는,
상기 지반에 정착하되, 상측에 상기 패널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립본체부 및 상기 기립본체부를 관통한 채, 상기 지반에 정착되어 상기 기립본체부가 상기 지반에 장착되도록 하는 기립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669A KR102181163B1 (ko) | 2020-07-15 | 2020-07-15 | 절토부 옹벽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669A KR102181163B1 (ko) | 2020-07-15 | 2020-07-15 | 절토부 옹벽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1163B1 true KR102181163B1 (ko) | 2020-11-20 |
Family
ID=7369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669A KR102181163B1 (ko) | 2020-07-15 | 2020-07-15 | 절토부 옹벽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116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4294A (ko) * | 2006-03-17 | 2007-09-20 | 홍건영 |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
KR20090122056A (ko) * | 2008-05-23 | 2009-11-26 | 우정기업(주) | 난간판 연결부재 |
KR100985817B1 (ko) | 2010-03-05 | 2010-10-08 | (주)미주건설엔지니어링 |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
KR20100110470A (ko) * | 2009-04-03 | 2010-10-13 | 박정식 | 배수기능이 향상된 옹벽 및 옹벽의 시공방법 |
KR101886151B1 (ko) * | 2018-03-19 | 2018-08-07 | 주식회사 동림이엔지 |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2020
- 2020-07-15 KR KR1020200087669A patent/KR102181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4294A (ko) * | 2006-03-17 | 2007-09-20 | 홍건영 |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
KR20090122056A (ko) * | 2008-05-23 | 2009-11-26 | 우정기업(주) | 난간판 연결부재 |
KR20100110470A (ko) * | 2009-04-03 | 2010-10-13 | 박정식 | 배수기능이 향상된 옹벽 및 옹벽의 시공방법 |
KR100985817B1 (ko) | 2010-03-05 | 2010-10-08 | (주)미주건설엔지니어링 |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
KR101886151B1 (ko) * | 2018-03-19 | 2018-08-07 | 주식회사 동림이엔지 |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27133A1 (en) | Retaining engineering structure and design method for stabilizing deep excavations or earth slope instability near existing civil objects | |
US10415241B2 (en) | Monolithic retaining wall | |
US20070196184A1 (en) |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KR20130006420A (ko) |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KR100764135B1 (ko) |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181163B1 (ko) | 절토부 옹벽 시스템 | |
KR20170131604A (ko) | 지주 하단부와 콘크리트 말뚝의 강성연결 구조체 | |
KR102254227B1 (ko) | Pc 말뚝캡이 구비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S58120924A (ja) | 組立式擁壁用ブロツク | |
WO2016136980A1 (ja) | 柱と杭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構造 | |
KR102502190B1 (ko) | 적층 구조식 모듈 옹벽 | |
JP5943202B2 (ja) | 複合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0720065B1 (ko) | 길이 조절용 부재를 구비하는 건축물의 기둥과 파일의 연결구조 | |
KR101265079B1 (ko) |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 |
KR102085723B1 (ko) | 보강토옹벽 보강장치 | |
KR102252011B1 (ko) | 이종강종으로 이루어진 합성 엄지말뚝 | |
KR20200082692A (ko) | 흙막이 벽체용 복합 말뚝 | |
KR102190522B1 (ko) | 전도방지 및 내진 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 |
JP2000328586A (ja) | 土留擁壁 | |
KR102254229B1 (ko) | 결합력이 향상된 조립식 잔교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2004346729A (ja) | 拡幅道路 | |
KR20200006648A (ko) | 토류벽 및 그 시공방법 | |
JP2007277830A (ja) | 芯材、地中連続壁、ソイルセメント壁、地中連続壁杭、ソイルセメント壁杭、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地中構造物、建物の基礎構造 | |
KR102191389B1 (ko) |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 |
JP7112734B2 (ja) | 壁面構築方法および壁面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