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867B1 -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867B1
KR102180867B1 KR1020190022505A KR20190022505A KR102180867B1 KR 102180867 B1 KR102180867 B1 KR 102180867B1 KR 1020190022505 A KR1020190022505 A KR 1020190022505A KR 20190022505 A KR20190022505 A KR 20190022505A KR 102180867 B1 KR102180867 B1 KR 10218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composition
modified
urethane resin
coa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069A (ko
Inventor
박재국
김윤혜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8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기 함량이 3~5 중량%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 내지 25 중량% 및 용제 0.1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7 내지 12 중량%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고형분 50 내지 80 중량% 및 용제 17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중합하여 제조된, 1코트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드 하이브리드가 정교하게 구성되어 있어 PVC 기재와의 밀착력,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체인의 구성에 있어서 변성실리콘이 다관능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결합되어 있어 높은 가교밀도와 우레탄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고탄성 도막을 가지게 되며, 실리콘의 높은 결합력으로 인해 외부의 스트레스에 회복이 가능한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도막은 높은 물성으로 인해 생활소재 및 자동차 내장재에 요구되는 모든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공정을 한번만 거치게 되므로 가죽 표면의 엠보 감촉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공정에 있어서 획기적인 감축을 통해서 생산효율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1 coat coating composition for artificial leather}
본 발명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1코트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틱의 생산량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금속과 비교해서 부식되지 않고 가볍고 착색성형이 가능한 점 등 다수의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품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도장성 및 여타 기능성이 부여될 필요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은 소재의 특성상 약품, 침식, 자외선, 열 등에 의한 변형에 취약한 면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은 사출시 자국, 표면 불량, 색상의 제한 등으로 인하여 표면적 결함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료를 도장하여 플라스틱 소재가 갖는 결함을 보완하고 있다. 하도/중도/상도와 같은 스프레이 페인팅은 위험한 페인트 용제 증발로 작업자의 안정성 문제와 심각한 대기 오염문제 및 배출물에 의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킨다. 고품질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단계 페인트 작업이 필요하고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한 환경 설비의 필요로 고비용이 발생하고, 다양한 패턴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자동차의 고급화에 따라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되는 도료 및 가죽의 소재 등에 관하여 요구되는 물성 및 특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인체와의 접촉이 많은 부품의 경우 대부분 질감이 향상된 질감도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질감도료의 경우 소재와의 부착 및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하도를 도장한 후 질감을 부여할 수 있는 상도를 도장하는 2 코트 1 베이킹 시스템으로 도막을 형성하고 있다. 2 코트 도료의 경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칼라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톱코트 도료 조성물을 차례로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에 따른 공정비용 및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이 과정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및 유해대기물질(Hazardous Air Pollutants, HAPs)의 발생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PVC 기재와의 우수한 밀찰력, 높은 가교밀도를 가지면서, 고탄성 도막이 형성가능하고 경제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1 코트 도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93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드 하이브리드가 정교하게 구성되어 있어 PVC 기재와의 우수한 밀찰력, 높은 가교밀도, 고탄성 도막이 형성가능하고 경제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도막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산기 함량이 3 내지 5 중량%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a)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 내지 25 중량% 및 용제 20 내지 55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b)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7 내지 12 중량%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고형분 50 내지 80 중량% 및 용제 17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중합하여 제조된, 1코트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수산기 함량이 3~5 중량%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a)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5 내지 25 중량% 및 용제 20~55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b)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7 내지 12 중량%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고형분 50 내지 80 중량% 및 용제 17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중합하여 제조된, 1코트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중합 비율은 2~5:1의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제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이소부틸아세테이트(isobut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에틸셀로솔브(ethyl cellosolve),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및 자일렌(x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는 (a)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a)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3-(meta)acryl 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이소프로페녹시실란(3-(meta)acryloxypropyltriisoprophen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 methoxysilane),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 및 비닐트리크로로실란(Vinyltrichlorosilane)로 이루어진 실리콘 모노머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b)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methyl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Glycidylmeth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으로 이루어진 아크릴 모노머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는 자외선 안정제 0.2 내지 2 중량%, 슬립제 0.2 내지 2 중량% 및 촉매 0.01 내지 0.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 ~ 120,000일 수 있다.
수산기 함량이 3~5 중량%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1코트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드 하이브리드가 정교하게 구성되어 있어 PVC 기재와의 밀착력,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체인의 구성에 있어서 변성실리콘이 다관능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결합되어 있어 높은 가교밀도와 우레탄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고탄성 도막을 가지게 되며, 실리콘의 높은 결합력으로 인해 외부의 스트레스에 회복이 가능한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도막은 높은 물성으로 인해 생활소재 및 자동차 내장재에 요구되는 모든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공정을 한번만 거치게 되므로 가죽 표면의 엠보 감촉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공정에 있어서 획기적인 감축을 통해서 생산효율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산기 함량이 3~5 중량%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a)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5 내지 25 중량% 및 용제 20 내지 55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b)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7 내지 12 중량%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고형분 50 내지 80 중량% 및 용제 17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중합하여 제조된, 1코트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1코트(coat) 도료 조성물은 수산기 함량이 3~5 중량%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a)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5 내지 25 중량% 및 용제 20 내지 55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b)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7 내지 12 중량%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고형분 50 내지 80 중량% 및 용제 17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중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도료 조성물 제조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은 2~5:1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코팅된 도막이 찢기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감소되며,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내마모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 내에 포함된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와 경화제에 포함되는 용제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이소부틸아세테이트(isobut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에틸셀로솔브(ethyl cellosolve),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및 자일렌(x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도장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용제의 휘발속도 조절로 도막의 평활성 및 외관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량은 도막의 두께 및 도막 형성 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전체 주제에 대하여 20 내지 55 중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경화제에 대하여 17 내지 4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는 (a)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a)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3-(meta)acryl 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이소프로페녹시실란(3-(meta)acryloxypropyltriisoprophen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 methoxysilane),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 및 비닐트리크로로실란(Vinyltrichlorosilane)로 이루어진 실리콘 모노머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b)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methyl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Glycidylmeth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으로 이루어진 아크릴 모노머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는 자외선 안정제 0.2 내지 2 중량%, 슬립제 0.2 내지 2 중량% 및 촉매 0.01 내지 0.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내광성을 향상시키며, UVA, HALS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주제 전체에 대하여 0.2 내지 2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슬립제는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실리콘계를 사용할 수 있고, 주제 전체에 대하여 0.3 내지 2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0.3 중량%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며, 20 중량% 초과인 경우 재도장시 부착 저항의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주제의 수산기와 경화제의 반응속도를 향상시키며, 주제 전체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주제에 기타 첨가제로 습윤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습윤 첨가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계열의 첨가제로서, 도장시 습윤성과 도막의 레벨링성을 항샹시키며, 주제 전체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료 조성물 제조
부틸 아세테이크 36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1 중량%, 자외선 안정제 2 중량%, 슬립제 0.7 중량%, 촉매 0.2 중량%, 습윤 첨가제 1.1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를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9.6 중량%,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12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고형분 72 중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28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3:1이 되도록 혼합하고 수산기 함량이 3.7 중량 %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9중량%가 되도록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6마이크로 바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코팅을 하고 120도의 건조기에 3분 경화시키고 하루 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다.
<실시예 2>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3:1이 되도록 혼합하고 12마이크로 바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코팅을 하고 120도의 건조기에 3분 경화시키고 하루 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다.
<실시예 3>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4:1이 되도록 혼합하고 12마이크로 바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코팅을 하고 120도의 건조기에 3분 경화시키고 하루 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다.
<실시예 4>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2:1이 되도록 혼합하고 12마이크로 바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코팅을 하고 120도의 건조기에 3분 경화시키고 하루 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다.
<실시예 5>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5:1이 되도록 혼합하고 12마이크로 바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코팅을 하고 120도의 건조기에 3분 경화시키고 하루 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다.
<비교예 1> 도료 조성물 제조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아크릴 전처리를 하고 아크릴 중도코팅, 우레탄을 클리어 코팅하여 3단 처리 과정을 거쳤다. 상기 코팅제는 100도에서 2분간 건조를 진행하고 실온에 하루 정도 동일하게 방치하였다.
<비교예 2>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1:1이 되도록 혼합하고 12마이크로 바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코팅을 하고 120도의 건조기에 3분 경화시키고 하루 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다.
<비교예 3>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6:1이 되도록 혼합하고 12마이크로 바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인조가죽에 코팅을 하고 120도의 건조기에 3분 경화시키고 하루 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다.
<실험예 1> 표면 내구성 및 내마모성 테스트
실시예 1 내지 5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된 샘플을 지름 6cm 원의 크기로 철형을 하고, 태버설비를 이용하여 1000그람에서 4000회 마모테스트를 하고 표면의 내마모성 정도를 표 1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표면 내구성 비교를 위해서 스커핑 테스트를 910그람에서 200회 진행하고 표면에 찢김이나 스크래치 등 상태변화를 실시하고 표 1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등급 외관
5 표면의 손상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4 표면의 손상 흔적은 확인되나, 그 양이 적어서 뚜렷하지 않는다.
3 표면의 손상이 확인되나 심한 정도는 아니다.
2 표면의 손상이 확연히 확인된다.
1 표면 손상이 뚜렷하고 확연히 눈에 띈다.
구분 내구성(스커핑) 내마모성(4,000회)
실시예 1 4 3
실시예 2 5 4
실시예 3 5 4
실시예 4 4 3
실시예 5 4 3
비교예 1 2 3
비교예 2 3 2
비교예 3 2 2
그 결과,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 전처리, 아크릴 중도코팅, 우레탄 클리어 코팅 과정 등 3단 처리 과정을 거친 비교예 1의 경우, 스커핑 테스트에 의해 스크래치가 크게 발생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경우, 4000회 마모테스트를 통한 내마모성 평가 결과, 내마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경우도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모테스트 결과 내마모성 역시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내구성과 내마모성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내마모성과 내구성 평가를 통해, PVC 인조가죽에 코팅된 본 발명의 1코트 도료 조성물이 PVC 기재와 밀착력과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구성하여, 외부의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스크래치 발생이나 광택 저하, 도막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마모성 테스트에 따른 광택도 평가
광택도(단위)
테스트 前 테스트 後
실시예 1 1.12 1.85
실시예 2 1.01 1.23
실시예 3 0.85 1.01
실시예 4 1.38 1.87
실시예 5 0.81 1.44
비교예 1 1.04 8.83
비교예 2 2.13 6.23
비교예 3 0.84 4.28
또한,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 전처리, 아크릴 중도코팅, 우레탄 클리어 코팅 과정 등 3단 처리 과정을 거친 비교예 1의 경우, 마모도 및 스크래치가 증가하여 표면 광택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경우도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스크래치 및 마모에 의해 광택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광택도가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비에 따라 달라지므로 원하는 광택을 위해서는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의 선정이 중요하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경우, 내마모성 테스트 이후에 광택도 값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내마모성 테스트 결과 과도한 스크래치 등으로 인해 광택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도료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드 하이브리드가 정교하게 구성되어 있어 PVC 기재와의 밀착력,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구성하게 되고, 체인의 구성에 있어서 변성실리콘이 다관능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결합되어 있어 높은 가교밀도와 우레탄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고탄성 도막을 가지게 되며, 실리콘의 높은 결합력으로 인해 외부의 스트레스에 회복이 가능한 도막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비교예 1과 달리, 3단계 처리에 의한 코팅이 아니고, 1회의 코팅만으로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코팅 도막을 형성할 수 있어, 공정의 획기적인 감축을 통해 생산효율성 향상을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수산기 함량이 3~5 중량%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인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a)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5 내지 25 중량%, 용제 20 내지 55 중량%, 자외선 안정제 0.2 내지 2 중량%, 슬립제 0.2 내지 2 중량% 및 촉매 0.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b)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7 내지 12 중량%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고형분 50 내지 80 중량% 및 용제 17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중합하여 제조된,
    1코트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중합 비율은 2~5:1의 중량비인 것인, 1코트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NCO) 단량체 및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인, 1코트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이소부틸아세테이트(isobut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에틸셀로솔브(ethyl cellosolve),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및 자일렌(x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1코트 도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1코트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는
    (a)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a)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3-(meta)acryl 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이소프로페녹시실란(3-(meta)acryloxypropyltriisoprophen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 methoxysilane),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 및 비닐트리크로로실란(Vinyltrichlorosilane)로 이루어진 실리콘 모노머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b)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methyl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Glycidylmeth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으로 이루어진 아크릴 모노머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공중합하여 제조된 것인, 1코트 도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20,000인 것인, 1코트 도료 조성물.
KR1020190022505A 2019-02-26 2019-02-26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 KR10218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05A KR102180867B1 (ko) 2019-02-26 2019-02-26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05A KR102180867B1 (ko) 2019-02-26 2019-02-26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69A KR20200104069A (ko) 2020-09-03
KR102180867B1 true KR102180867B1 (ko) 2020-11-19

Family

ID=7245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05A KR102180867B1 (ko) 2019-02-26 2019-02-26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85A (ko) * 2021-07-30 2023-02-07 (주)케이에프엠 이형필름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 이형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합성 피혁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452B2 (ja) * 1998-03-27 2009-07-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KR101131888B1 (ko) 2009-11-27 2012-04-03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플라스틱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7313A (ko) * 2014-04-09 2015-10-20 수산고분자 주식회사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 수분산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04138B1 (ko) * 2014-12-12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1회 도장용 질감도료 조성물
KR20180061667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69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330B1 (ko) 기재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11174393B2 (en) Radiation-curable coating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surface properties of plastics
EP3148763B1 (en) Thermoset in-mold finishing film
US20220220336A1 (en) Multilayer coated substrates
JP2006526688A (ja) 放射線/熱による二重硬化塗料組成物
JP5683599B2 (ja) 良好な貯蔵安定性を有する塗料および該塗料から形成される、良好な耐候性と共に高い耐引掻性を有する塗膜
KR101766013B1 (ko) 고탄성 수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표면처리 방법
JP2007031690A (ja) 塗料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複層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WO2014134025A1 (en) Methods for repairing defects in automotive coatings
US20140272419A1 (en) Heat sensitive substrates coated with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s
KR101853888B1 (ko) 고신율/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EP2298842B1 (en)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formation method using same
KR102180867B1 (ko) 인조가죽용 1코트 도료 조성물
US20050038204A1 (en) Increased pot-life urethane coatings
JP2005042001A (ja) 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KR20150004093A (ko)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이중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JP2024518949A (ja) 多層表面フィルム
JP2000109753A (ja) 2液型塗料組成物
KR20230050643A (ko) Imd 필름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필름
JPH11228719A (ja) 二液型ポリウレタン樹脂塗料組成物で被覆されたアクリル系樹脂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