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197B1 -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 Google Patents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197B1
KR102180197B1 KR1020180073216A KR20180073216A KR102180197B1 KR 102180197 B1 KR102180197 B1 KR 102180197B1 KR 1020180073216 A KR1020180073216 A KR 1020180073216A KR 20180073216 A KR20180073216 A KR 20180073216A KR 102180197 B1 KR102180197 B1 KR 102180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diffuser
stick
cypress oil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931A (ko
Inventor
허진희
이양수
Original Assignee
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희 filed Critical 허진희
Priority to KR102018007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1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n organic compound other than a macromolecular comp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023/0025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containers

Abstract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병목을 형성하고 편백 오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각(角)을 형성하고, 병목의 내측면에 억지 끼움 결합되고, 저장용기의 바닥면까지 삽입되어 삼투압 현상에 의해 편백 오일을 발향하는 스틱부; 및, 스틱부의 일측 종단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홍보 영역을 가지며, 편백 오일의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는 홍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홍보가 용이한 디퓨터는 홍보 영역을 가지고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며, 특히 편백 오일이 저장용기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DIFFUSER FOR PROMOTION}
본 발명은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홍보영역을 가지고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며, 특히 방향제 용액이 저장용기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저는 액상의 향료를 용액에 담은 상태에서 발향 스틱을 꽂아 용기 내의 향료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발향 스틱에 따라 이동하여 외부의 공기와 만나 확산되어 한정된 공간에 향을 발하는 제품으로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극대화하여 상품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646호에서는 목재 심지를 이용한 방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용 목재심지가 끼워진 약제용기는 목재심자와 약제용기가 홀더에 의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제 용액이 목재심지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 상단까지 올라갔다가 약제용기의 외주면으로 흘러 내리게 됨으로써, 방향제 용액의 손실이 심하고, 약제용기의 외주면 및 그 주변의 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퓨저 또는 방향장치는 휴대가 용이하지 않고 용기를 세워 놓는 장식용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는데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646호 (2000.08.10)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병목을 형성하고 편백 오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각(角)을 형성하고, 상기 병목의 내측면에 억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면까지 삽입되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기 편백 오일을 발향하는 스틱부 및; 상기 스틱부의 일측 종단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홍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편백 오일의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는 홍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용기에 탈·부착되는 착탈식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 홀더는 상기 병목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굴곡을 가지며, 상기 저장용기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구비하여 가구, 또는 구조물에 부착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기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내에 추가될 것이다.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홍보 영역을 가지고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며, 특히 편백 오일이 저장용기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집게 형상의 착탈식 홀더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냉/온풍이 토출되는 그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가능한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장용기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착탈식 홀더를 구비하여 가구나 구조물 등에 접착 결합할 수 있어 활용도를 극대화한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홍보 영역을 가지고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며, 특히 편백 오일이 저장용기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집게 형상의 착탈식 홀더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냉/온풍이 토출되는 그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착탈식 홀더를 구비하여 가구나 구조물 등에 접착 결합할 수 있어 디퓨저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틱부에 대한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홍보부에 대한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가 작창된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홀더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틱부에 대한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홍보부에 대한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는 편백 오일(110)을 저장하는 저장용기(120), 저장용기(120)에 삽입되어 편백 오일(110)을 발향하는 스틱부(130), 스틱부(13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홍보 영역을 가지는 홍보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백 오일(110)은 후술되는 추출 과정을 통해 추출된 피톤치드 성분이 60%이상 함유된 편백 오일(110)을 사용할 수 있다.
편백 오일(110)이 추출되는 과정으로, 편백나무 잎을 포함하는 편백나무 원료를 압력탱크 내에 투입하고, 압력탱크에 고압스팀을 2.5~3.0 kgf/cm2의 압력 및 고압공기를 1.1~2.5 kgf/cm2의 압력으로 공급하고, 압력탱크의 내부압력이 1.1~1.5kgf/cm2이고 내부온도가 110~130℃일 때 압력탱크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시킨다. 이 때, 배출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편백 오일(110) 및 편백수를 층분리시켜 각각 추출한다.
즉, 압력탱크에 고압스팀과 고압 공기를 공급하여 편백나무 원료로부터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추출함으로써, 피톤치드 성분이 60% 이상 함유된 편백 오일(110) 및 편백수를 추출할 수 있다.
저장용기(120)는 병목(125)을 형성하고, 편백 오일(110)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용기(120)는 투명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용기(120)는 편백 오일(110)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갈색과 같은 어두운 색의 투명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틱부(130)는 저장용기(120)의 바닥면까지 삽입하여 삼투압 현상에 의해 편백 오일(110)을 발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틱부(130)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틱부(130)는 막대 형상으로 각(角)을 형성할 수 있다. 스틱부(130)는 횡단면이 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스틱부(130)의 횡단면이 삼각 형상일 때,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내측면에 스틱부(130)가 결합된 단면도이고, (b)는 스틱부(130)의 횡단면이 사각 형상일 때,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내측면에 스틱부(130)가 결합된 단면도이고, (c)는 스틱부(130)의 횡단면이 오각 형상일 때,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내측면에 스틱부(130)가 결합된 단면도이고, (d)는 스틱부(130)의 횡단면이 육각 형상일 때,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내측면에 스틱부(130)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스틱부(130)는 저장용기의 병목(125) 내측면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스틱부(130)는 각진 부분이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내측면에 결합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또한, 스틱부(130)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져 편백 오일(110)뿐만 아니라 주변의 수분까지 흡수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틱부(130)는 저장용기(120)와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즉, 스틱부(130)는 저장용기(120)와의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스틱부(130)는 저장용기(120)와 결합된 부분 이외에 간극(135)이 형성될 수 있다.
스틱부(130)는 간극(135)을 통해 삼투압 현상으로 상승된 편백 오일(110)이 다시 흘러 내려 저장용기(120)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디퓨저는 편백 오일(110)이 저장용기(120)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스틱부(130)는 각이 많을수록 간극(135)이 좁아지므로 스틱부(130)의 각은 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의 제조상 편의을 위하여 스틱부(13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홍보부(140)는 스틱부(130)의 일측 종단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승한 편백 오일(110)의 발향 수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스틱부(130)와 홍보부(140)는 나무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가공하거나 또는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여 결합할 수 있다.
홍보부(140)는 홍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홍보 영역은 지자체명, 돌 잔치, 상호명 등의 홍보 문구 또는 축하 문구를 기입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홍보 및 축하 문구는 각인을 통해서 사용자가 손쉽게 기입할 수 있다.
홍보부(140)는 그 형상이 홍보 및 축하 문구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문구가 들어갈 홍보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을 확보하고 구름 모양, 하트 모양, 별 모양, 동그라미 모양, 사각형 모양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홍보부(140)는 지역 명칭과 함께 지역 특산물을 동시에 홍보하는 할 수 있다.
즉, 디퓨저는 편백 오일(110)이 스틱부(130)를 따라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어 홍보부(140)를 통하여 외부 공기에 확산되어 은은한 피톤치드 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퓨저는 홍보 영역을 통해 홍보가 용이하고 심미적 효과가 탁월하며,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며, 특히 편백 오일(110)이 저장용기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가 작창된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디퓨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홍보부(140)와 스틱부(130)가 삽입된 저장용기(120)에 탈·부착할 수 있는 착탈식 홀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홀더(200)는 고정부(210), 그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착탈식 홀더(200)는 나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210)는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외주면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210)의 내측면에는 나사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외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면, 고정부(21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립부(220)는 고정부(2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하며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립부(220)는 한 쌍의 집게 형상을 이루는 종단부에 탄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30)는 중공 형상으로 그립부(220)가 벌어질 때 탄성을 주며 집게가 부서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게 형상의 착탈식 홀더(200)를 결합한 디퓨저는 자동차의 냉/온풍이 토출되는 그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디퓨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홍보부(140)와 스틱부(130)가 삽입된 저장용기(120)에 탈·부착되는 착탈식 홀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홀더(300)는 고정부(310) 및,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착탈식 홀더(300)는 나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탈식 홀더(30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지 않고 신축성이 없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310)는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외주면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310)의 내측면에는 나사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저장용기(120)의 병목(125) 외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면, 고정부(31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고정부(3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굴곡(G)을 가지며 저장용기(120)를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평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320)의 형상은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330)을 구비하여 가구, 또는 구조물에 접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전에는 디퓨저를 책상 위나 테이블 등에 주로 배치하였지만 부주의로 넘어뜨리기가 쉽고, 특히 어린이가 있는 집안에서는 어린이가 발향스틱을 잡아당겨 디퓨저를 쓰러뜨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벽면 또는 가구에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디퓨저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디퓨저 110 : 편백 오일
120 : 저장용기 125 : 병목
130 : 스틱부 135 : 간극
140 : 홍보부 200, 300 : 착탈식 홀더
210, 310 : 고정부 220 : 그립부
230 : 탄성부 320 : 지지부
330 : 접착수단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에 있어서,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병목(125)을 형성하고 편백 오일(110)을 저장하는 저장용기(120)와;
    각(角)을 형성하고, 상기 병목(125)의 내측면에 억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저장용기(120)의 바닥면까지 삽입되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기 편백 오일을 발향하는 스틱부(130)와;
    상기 스틱부(130)의 일측 종단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홍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편백 오일의 발향 수치를 증대시키는 홍보부(140) 및;
    상기 저장용기(120)에 탈·부착되는 착탈식 홀더(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탈식 홀더(300)는,
    상기 병목(125)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310) 및;
    상기 고정부(3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굴곡을 가지며, 상기 저장용기(120)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32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330)을 구비하여 가구, 또는 구조물에 부착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KR1020180073216A 2018-06-26 2018-06-26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KR102180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16A KR102180197B1 (ko) 2018-06-26 2018-06-26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16A KR102180197B1 (ko) 2018-06-26 2018-06-26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31A KR20200000931A (ko) 2020-01-06
KR102180197B1 true KR102180197B1 (ko) 2020-11-18

Family

ID=6915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16A KR102180197B1 (ko) 2018-06-26 2018-06-26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091B1 (ko) 2020-04-03 2022-08-22 이창원 공기흐름을 활용하여 발향이 이루어지는 방향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860B2 (ja) * 2013-10-31 2017-08-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芳香剤用容器
JP2018090275A (ja) * 2016-11-30 2018-06-14 エステー株式会社 揮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646B1 (ko) 1996-12-31 1999-06-15 윤종용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20130083300A (ko) * 2012-01-12 2013-07-22 이용우 발향 스틱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방향용구
KR20140136872A (ko) * 2014-05-09 2014-12-01 (주)비티 조립식 발향스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860B2 (ja) * 2013-10-31 2017-08-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芳香剤用容器
JP2018090275A (ja) * 2016-11-30 2018-06-14 エステー株式会社 揮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31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1431S1 (en) Combination container and wine glass
US2557501A (en) Vaporizer
EP2653171B1 (en) Fragrance bottle
AU2020297624B2 (en) Fragrance bottle with diffuser
KR102180197B1 (ko) 홍보가 용이한 디퓨저
US9254053B2 (en) Promotional coaster
US6347879B1 (en) Votive candle cup to oil lamp converter kit
USD594337S1 (en) Scent wick bottle
US20150117930A1 (en) Cap with snow globe
USD544359S1 (en) Self-supporting liquid container for boxless storage, shipping and display
US664600A (en) Umbrella-holder.
US20180215507A1 (en) Ornamental Clip-On Device
US7255288B2 (en) Aroma therapy for fountain
TWM567028U (zh) Water bottle device
TWI646920B (zh) Water bottle device
KR20180082730A (ko)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CN201836732U (zh) 台灯
CN105715992A (zh) 一种多功能组合式台灯
KR960007291Y1 (ko) 촛대
KR20130119678A (ko) 수분을 공급하는 꽃 케이스
CN214964305U (zh) 一种有夹层的吸管杯
KR200355017Y1 (ko) 부착식 원통형 펜꽂이
US2211746A (en) Handy cleanser can holder
CN206130662U (zh) 一种笔筒式台灯
KR20180009577A (ko) 다목적 디퓨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