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139B1 -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139B1
KR102180139B1 KR1020200095513A KR20200095513A KR102180139B1 KR 102180139 B1 KR102180139 B1 KR 102180139B1 KR 1020200095513 A KR1020200095513 A KR 1020200095513A KR 20200095513 A KR20200095513 A KR 20200095513A KR 102180139 B1 KR102180139 B1 KR 10218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ask
fabric
pai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성
Original Assignee
안승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성 filed Critical 안승성
Priority to KR102020009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139B1/ko
Priority to KR1020200148313A priority patent/KR102415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05Cloth spreading or piling apparatus in view of i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재단용 지그를 포함하는 재단 유닛 상에 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한 쌍의 재단용 지그에 결합되는 재단 금형으로 원단을 열가압하여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형상으로 절단하며 원단의 절단면을 열압착하는 재단 단계,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융착용 지그를 포함하는 융착 유닛 상에 한 쌍의 마스크 본체를 상하 대응되도록 적층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한 쌍의 융착용 지그에 결합되는 융착 금형으로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단부를 열융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METHODE FOR MANUFACTURING FACIAL MASK AND FACIAL MASK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용도와 기능에 따라서 보온용 마스크, 보건용 마스크, 방진마스크, 방독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중 보건용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병균, 먼지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을 말하며, 최근 미세먼지의 증가와 더불어 황사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미세먼지와 황사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술한 마스크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재질이 선택될 수 있으며, 재질에 따라 미세먼지 또는 병균의 필터링 성능, 공기 투과율, 마스크의 내구성에 대한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최근 한번 사용 후 폐기하는 일회용 마스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환경 오염이 야기되고 있어, 다회 사용에도 상술한 마스크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마스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588호(2015.11.20.)
본 발명은 재단 유닛을 이용해 원단을 열가압하여 재단 및 압착하고, 융착 유닛을 이용해 재단된 원단을 열융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재단용 지그를 포함하는 재단 유닛 상에 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한 쌍의 재단용 지그에 결합되는 재단 금형으로 원단을 열가압하여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형상으로 절단하며 원단의 절단면을 열압착하는 재단 단계,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융착용 지그를 포함하는 융착 유닛 상에 한 쌍의 마스크 본체를 상하 대응되도록 적층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한 쌍의 융착용 지그에 결합되는 융착 금형으로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단부를 열융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재단 금형은 한 쌍의 재단용 지그에 결합되어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 금형 및 한 쌍의 재단용 지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원단을 열가압하여 원단에 패턴부를 형성하는 패턴 금형을 포함하고, 재단 단계에서 패턴 금형은 원단의 일면으로부터 인입되는 패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절단 금형은 원단의 절단면을 열압착하여 절단면의 두께를 원단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고, 절단 금형은 마스크 본체의 형상으로 원단을 절단하는 제1 절단 금형 및 마스크 본체에 착용공을 형성하는 제2 절단 금형을 포함하고, 재단 단계에서 제1 절단 금형은 마스크 본체의 형상으로 원단을 절단하고, 제2 절단 금형은 마스크 본체에 착용공을 형성할 수 있다.
패턴 금형은 마스크의 착용자의 안면부 형상에 따라 제1 장력 패턴부를 형성하는 제1 패턴 금형 및 착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장력 패턴부를 형성하는 제2 패턴 금형을 포함하고, 재단 단계에서 제1 패턴 금형은 원단에 제1 장력 패턴부를 형성하고, 제2 패턴 금형은 원단에 착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력 패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재단 유닛은 재단 금형에 발생되는 열이 원단을 따라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단 금형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달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단 유닛은 재단된 원단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열전달 방지부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단은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 한 쌍의 마스크 본체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한 쌍의 마스크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융착부, 착용자가 귀에 걸어 착용 가능하도록 한 쌍의 마스크 본체에 형성되는 착용공,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 및 착용공의 테두리가 열압착되어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 및 착용공의 테두리를 따라 마스크 본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압착부 및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패턴부는 마스크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되고, 패턴부는 착용자의 안면부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제1 장력 패턴부 및 착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장력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는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단 유닛을 이용해 원단을 열가압하여 재단 및 압착하고, 융착 유닛을 이용해 재단된 원단을 열융착하여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를의 평면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의 재단 유닛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의 융착 유닛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A-A선 및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마스크 제조 장치의 살균 유닛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300)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3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재단용 지그(120)를 포함하는 재단 유닛(110) 상에 원단(10)을 배치하는 단계, 한 쌍의 재단용 지그(120)에 결합되는 재단 금형(130)으로 원단(10)을 열가압하여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형상으로 절단하며 원단(10)의 절단면을 열압착하는 재단 단계,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융착용 지그(180)를 포함하는 융착 유닛(170) 상에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를 상하 대응되도록 적층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한 쌍의 융착용 지그(180)에 결합되는 융착 금형(190)으로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단부를 열융착하여 마스크(300)를 제조하는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300)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단 유닛(110)을 이용해 원단(10)을 열가압하여 재단 및 압착하고, 융착 유닛(170)을 이용해 재단된 원단(10)을 열융착하여 마스크(3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서,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 사이에 형성되는 융착부(330), 착용자가 귀에 걸어 착용 가능하도록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에 형성되는 착용공(340),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테두리 및 착용공(340)의 테두리가 열압착되어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테두리 및 착용공(340)의 테두리를 따라 마스크 본체(30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압착부(320) 및 마스크 본체(302)의 일면에 형성되는 패턴부(310)를 포함하는 마스크(300)가 제공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02)는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본체(302)는 착용자의 안면부를 감쌀 수 있도록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착용공(340)에 의해서 착용자의 귀에 걸려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지지될 수 있고,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미세먼지나 황사와 같은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302)는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습식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의 한 종류로서 탄력성 및 향균 기능을 가져 착용자의 안면부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스크(300)에 사용되는 면이나 폴리프로필렌보다 표면이 부드러워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330)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융착부(330)는 후술할 마스크(300) 제조 장치의 융착 유닛(17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단부가 열에 의해 일체로 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융착부(330)는 융착 유닛(170)의 융착 금형(190)에 의해 열가압되어 형성되므로 마스크 본체(30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공(340)은 착용자가 귀에 걸어 착용 가능하도록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에 형성될 수 있다. 착용공(340)은 후술할 마스크(300) 제조 장치의 재단 유닛(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절단 금형(140)에 의한 열가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320)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테두리 및 착용공(340)의 테두리가 열압착되어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테두리 및 착용공(3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30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320)는 마스크 본체(302)의 테두리 부분의 단면을 얇게 하여 마스크 본체(302)의 테두리 부분이 닳아서 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스크(300)의 가용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압착부(320)는 후술할 마스크(300) 제조 방법의 재단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단(10)을 절단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310)는 마스크 본체(30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마스크(300) 제조 장치의 재단 유닛(110)에 포함되는 패턴 금형(1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턴부(310)는 마스크 본체(302)의 일면을 패턴 금형(150)이 열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패턴부(310)는 마스크 본체(302)의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면부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제1 장력 패턴부(312) 및 착용공(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장력 패턴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장력 패턴부(312)는 착용자의 안면부 즉, 코와 입 주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면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마스크 본체(302)의 형상을 지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장력 패턴부(312)는 본 실시예의 마스크(300) 착용시 정면에서 V 형상으로 배치되어 착용자의 얼굴이 보다 작아 보이는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또한, 제2 장력 패턴부(314)는 착용공(34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착용공(340)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공(340) 주변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는 장력을 작용시켜 마스크 본체(30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장력 패턴부(312) 및 제2 장력 패턴부(314)는 패턴 금형(150)으로부터 열가압되어 형성된 것으로, 마스크 본체(302)의 다른 부분보다 밀도가 높아 변형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마스크 본체(302)의 형태 변화에 저항할 수 있는 장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력 패턴부(312) 및 제2 장력 패턴부(314)에 의해서 본 실시예의 마스크(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마스크 본체(302)는 제조 단계에서 처음에는 1.5 내지 1.8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송풍 유닛(230)에 의해 1.35 내지 1.65의 두께로 축소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부(310)는 1.23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302)의 밀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보다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보다 큰 외력에 저항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00)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300) 제조 방법은 간단하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0)을 재단 유닛(110) 상에 배치하는 단계, 원단(10)을 재단하는 단계, 재단된 원단(10)을 융착 유닛(170) 상에 배치하는 단계, 재단된 원단(10)을 융착하여 마스크(300)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마스크(300)를 살균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단계는 마스크(300) 제조 장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처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재단용 지그(120)를 포함하는 재단 유닛(110) 상에 원단(10)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재단용 지그(120)는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재단용 지그(124) 및 하부 재단용 지그(124)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상부 재단용 지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원단(10)은 하부 재단용 지그(1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재단용 지그(120)에 결합되는 재단 금형(130)으로 원단(10)을 열가압하여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형상으로 절단하며 원단(10)의 절단면을 열압착하는 재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재단 금형(130)은 가열 유닛(200)으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원단(10)을 열가압 및 열압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 금형(130)은 한 쌍의 재단용 지그(120)에 결합되어 원단(10)을 절단하는 절단 금형(140) 및 한 쌍의 재단용 지그(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원단(10)을 열가압하여 원단(10)에 패턴부(310)를 형성하는 패턴 금형(1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재단 금형(130)은 재단 단계에서 원단(10)을 절단하고 원단(10)을 절단면을 열압착하는 동시에 패턴 금형(150)은 원단(10)의 일면으로부터 인입되는 패턴부(3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절단 금형(140)은 원단(10)을 절단함과 동시에 원단(10)의 절단면을 열압착하여 절단면의 두께를 원단(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02)의 형상으로 원단(10)을 절단하는 제1 절단 금형(142) 및 마스크 본체(302)에 착용공(340)을 형성하는 제2 절단 금형(14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재단 단계에서 제1 절단 금형(142)은 마스크 본체(302)의 형상으로 원단(10)을 절단하고, 제2 절단 금형(144)은 마스크 본체(302)에 착용공(3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절단과 동시에 마스크 본체(302)의 테두리 및 착용공(340)의 테두리에 상술한 압착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패턴 금형(150)은 마스크(300)의 착용자의 안면부 형상에 따라 제1 장력 패턴부(312)를 형성하는 제1 패턴 금형(152) 및 착용공(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장력 패턴부(314)를 형성하는 제2 패턴 금형(15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재단 단계에서 제1 패턴 금형(152)은 원단(10)에 제1 장력 패턴부(312)를 형성하고, 제2 패턴 금형(154)은 원단(10)에 착용공(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력 패턴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재단 단계를 정리하면 재단 단계는 재단 유닛(11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원단(10)을 좌우 대칭되는 마스크 본체(302)의 형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착용공(340)을 형성, 패턴부(310) 형성, 압착부(320) 형성을 수행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재단 유닛(110)은 175 내지 185℃로 6 내지 9ton의 압력을 이용하여 약 5초간 원단(10)을 가압하여 재단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융착용 지그(180)를 포함하는 융착 유닛(170) 상에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를 상하 대응되도록 적층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마스크 본체(302)를 서로 접촉면의 형상이 대응되도록 적층하여 융착 유닛(17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융착용 지그(180)는 하부 융착용 지그(184) 및 하부 융착용 지그(184)와 상하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상부 융착용 지그(1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단계에서 적층된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는 하부 융착용 지그(18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융착용 지그(180)에 결합되는 융착 금형(190)으로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단부를 열융착하여 마스크(300)를 제조하는 제조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는 일체로 결합되어 마스크(300)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는 융착 유닛(17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융착 유닛(17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융착용 지그(180) 및 융착용 지그(180)에 결합되는 융착 금형(190)을 포함할 수 있다. 융착 유닛(170)에도 상술한 가열 유닛(200)이 배치되어 융착 금형(190)에 열을 제공하여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의 단부를 열융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융착 유닛(170)은 175 내지 180℃로 6 내지 9ton의 압력을 이용하여 약 5초간 한 쌍의 마스크 본체(302)를 가압하여 제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 금형(190)의 폭은 재단 금형(1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절단 유닛 및 융착 유닛(170)은 이동 유닛(210) 및 가압 유닛(220)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이동 유닛(210)은 하부 절단용 지그 및 하부 융착용 지그(184)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하부 절단용 지그 및 하부 융착용 지그(184) 상에 용이하게 원단(10)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유닛(220)은 상부 절단용 지그 및 상부 융착용 지그(182)를 상하 이동시켜 재단 단계 및 제조 단계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 유닛(110)은 재단 금형(130)에 발생되는 열이 원단(10)을 따라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단 금형(130)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달 방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 유닛(170)에도 융착 금형(190) 사이에 열전달 방지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62)는 재단된 원단(10)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열전달 방지부(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열전달 방지부(160)는 원단(10)에 절단 및 융착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열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조 단계 이후에, 마스크(300)를 살균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마스크(300)를 살균하는 단계는 송풍 유닛(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온도 이상의 바람을 발생시켜 마스크(300)를 살균하고 열에 의해 원단(10)의 밀도를 일정량 상승시킬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단계를 수행하는 송풍 유닛(2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내부에 마스크(300)를 저장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회전부(232) 및 회전부(232) 내부에 기설정된 온도 이상의 바람을 순환시켜 마스크(300)를 살균하는 송풍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원단
110: 재단 유닛
120: 재단용 지그
122: 상부 재단용 지그
124: 하부 재단용 지그
130: 재단 금형
140: 절단 금형
142: 제1 절단 금형
144: 제2 절단 금형
150: 패턴 금형
152: 제1 패턴 금형
154: 제2 패턴 금형
160: 열전달 방지부
162: 돌출부
170: 융착 유닛
180: 융착용 지그
182: 상부 융착용 지그
184: 하부 융착용 지그
190: 융착 금형
192: 제1 지지 금형
194: 제2 지지 금형
200: 가열 유닛
210: 이동 유닛
220: 가압 유닛
230: 송풍 유닛
232: 회전부
234: 송풍부
300: 마스크
302: 마스크 본체
310: 패턴부
312: 제1 장력 패턴부
314: 제2 장력 패턴부
320: 압착부
330: 융착부
340: 착용공

Claims (10)

  1.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재단용 지그를 포함하는 재단 유닛 상에 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재단용 지그에 결합되는 재단 금형으로 상기 원단을 열가압하여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형상으로 절단하며 상기 원단의 절단면을 열압착하는 재단 단계;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융착용 지그를 포함하는 융착 유닛 상에 상기 한 쌍의 마스크 본체를 상하 대응되도록 적층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융착용 지그에 결합되는 융착 금형으로 상기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단부를 열융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 금형은,
    상기 한 쌍의 재단용 지그에 결합되어 상기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 금형; 및
    상기 한 쌍의 재단용 지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원단을 열가압하여 상기 원단에 패턴부를 형성하는 패턴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재단 단계에서,
    상기 패턴 금형은 상기 원단의 일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금형은 상기 원단의 절단면을 열압착하여 절단면의 두께를 상기 원단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절단 금형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형상으로 상기 원단을 절단하는 제1 절단 금형;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착용공을 형성하는 제2 절단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재단 단계에서,
    상기 제1 절단 금형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형상으로 상기 원단을 절단하고, 상기 제2 절단 금형은 상기 마스크 본체에 착용공을 형성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금형은,
    상기 마스크의 착용자의 안면부 형상에 따라 제1 장력 패턴부를 형성하는 제1 패턴 금형; 및
    상기 착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장력 패턴부를 형성하는 제2 패턴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재단 단계에서,
    상기 제1 패턴 금형은 상기 원단에 상기 제1 장력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패턴 금형은 상기 원단에 상기 착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장력 패턴부를 형성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 유닛은 상기 재단 금형에 발생되는 열이 상기 원단을 따라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재단 금형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달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 유닛은 상기 재단된 원단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상기 열전달 방지부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제조 방법.
  8.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마스크 본체;
    상기 한 쌍의 마스크 본체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마스크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융착부;
    착용자가 귀에 걸어 착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마스크 본체에 형성되는 착용공;
    상기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 및 상기 착용공의 테두리가 열압착되어 상기 한 쌍의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 및 상기 착용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압착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착용자의 안면부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제1 장력 패턴부; 및
    상기 착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장력 패턴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KR1020200095513A 2020-07-30 2020-07-30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KR10218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513A KR102180139B1 (ko) 2020-07-30 2020-07-30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KR1020200148313A KR102415656B1 (ko) 2020-07-30 2020-11-09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513A KR102180139B1 (ko) 2020-07-30 2020-07-30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313A Division KR102415656B1 (ko) 2020-07-30 2020-11-09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139B1 true KR102180139B1 (ko) 2020-11-17

Family

ID=736424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513A KR102180139B1 (ko) 2020-07-30 2020-07-30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KR1020200148313A KR102415656B1 (ko) 2020-07-30 2020-11-09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313A KR102415656B1 (ko) 2020-07-30 2020-11-09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01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4674A (zh) * 2021-11-06 2021-12-31 盐城方天无纺制品有限公司 一种操作简便的口罩生产加工用压平装置
KR20220078051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기능성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20078052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기능성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20150520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코티 살균챔버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588B1 (ko) 2015-07-31 2015-11-20 김재본 위생 패션마스크 제조방법
KR20160000517U (ko) * 2014-08-05 2016-02-15 박주환 신체 보호용 마스크
JP2020045598A (ja) *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白鳩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6773A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517U (ko) * 2014-08-05 2016-02-15 박주환 신체 보호용 마스크
KR101567588B1 (ko) 2015-07-31 2015-11-20 김재본 위생 패션마스크 제조방법
JP2020045598A (ja) *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白鳩 マスク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51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기능성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20078052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기능성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546543B1 (ko) * 2020-12-03 2023-06-22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기능성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546538B1 (ko) * 2020-12-03 2023-06-22 주식회사 주원이앤에스 기능성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20150520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코티 살균챔버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장치
KR102561684B1 (ko) * 2021-05-04 2023-08-01 주식회사 코티 살균챔버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장치
CN113854674A (zh) * 2021-11-06 2021-12-31 盐城方天无纺制品有限公司 一种操作简便的口罩生产加工用压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656B1 (ko) 2022-06-30
KR20220015286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139B1 (ko)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KR101985567B1 (ko)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EP1924329B1 (en) Respirator having preloaded nose clip
US20120180795A1 (en) Two Sided Pad
CN105473189A (zh) 个人呼吸防护装置
JP2018538450A (ja) フェイスマスク製造工程においてノーズワイヤを切断し配置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9116118A1 (ja) 化粧用マスク
KR102594720B1 (ko) 마스크
US20160143766A1 (en) Head Gear Assembly and Method
JP5346573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19502833A (ja) 非金属製ノーズ部材を備えたフェイス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749686U (zh) 一种医用防护眼罩
KR20170011410A (ko) 위생 마스크
JP2017159011A (ja) おむつ
KR20230007099A (ko)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CN212088238U (zh) 一种新型口罩
KR102226952B1 (ko)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22038772A (ja) マスク
KR20170005734A (ko) 일회용 방독 마스크
KR102389891B1 (ko) 의료용 또는 보건용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3638B1 (ko) 마스크 제조방법
KR100465987B1 (ko) 일회용 청정마스크
KR102648765B1 (ko) 제트폴드타입 접이식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TW202308724A (zh) 口罩
KR20230131624A (ko) 다중 필터를 갖는 엠보싱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