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697B1 -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697B1
KR102179697B1 KR1020190088223A KR20190088223A KR102179697B1 KR 102179697 B1 KR102179697 B1 KR 102179697B1 KR 1020190088223 A KR1020190088223 A KR 1020190088223A KR 20190088223 A KR20190088223 A KR 20190088223A KR 102179697 B1 KR102179697 B1 KR 10217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storage unit
dust
water
charcoa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영관
Original Assignee
송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관 filed Critical 송영관
Priority to KR102019008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6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coal fire storing box comprising: at least one storing unit which inclu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charcoal fire container inside; a door which opens and closes one surface of an accommodating unit; and a water storing unit which is positioned in a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stores water to adsorb a suspended material in the storing unit. The storing unit includes a net-shaped bottom plate which supports the charcoal fire container at a bottom and allows dus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o fall.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wetting of charcoal fire.

Description

숯불보관함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Charcoal storage box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본 발명은, 고기 따위를 익히거가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숯불로부터 발생하는 재와 그을음과 같은 분진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숯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coal fire storage box capable of safely storing charcoal fire used when cooking or cooking meat, or effectively adsorbing dust such as ash and soo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통상적으로, 숯불로 고기를 익히거나 구우면, 숯불에서 나오는 복사열이 고기 겉면에 얇은 막을 만들어 육즙을 가두어, 숯불로 구운 고기가 가장 육즙이 많고 부드럽다.Typically, when meat is cooked or grilled over charcoal fire, the radiant heat from the charcoal fire creates a thin fil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at, traps the juice, and the meat grilled over charcoal is the most juicy and tender.

또한, 숯불은 가스불에 비해 약 4배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발산하는데,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은 고기의 표면을 빠르고 균일하게 구워 풍미를 잃지 않게 하고, 고기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육즙의 손실을 줄이고 고기의 식감을 좋게 한다.In addition, charcoal fires emit about four times more infrared or far-infrared rays than gas fires. Infrared or far-infrared rays burn the surface of meat quickly and evenly so that it does not lose its flavor and cooks the outside and inside of meat at the same time. Reduces the loss of juice and improves the texture of the meat.

위와 같은 장점 때문에, 고기를 익히거나 구울 때 숯불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Because of the above advantages, charcoal fire is widely used when cooking or grilling meat.

그러나 한번 연소된 숯불은 완전 연소가 될 때까지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 한번 연소된 숯불을 임시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However, since charcoal burned once can be recycled until it is completely burned, the need for a storage box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charcoal burned once for recycling is increasing.

그러나 숯불은 연소시 발생되는 재와 그을음과 같은 분진들은, 주변 공기를 오염시켜 식당 등의 환경을 나쁘게 하고,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숯불의 재활용을 위해 임시보관할 때 상기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착하고, 나아가 숯불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숯불보관함에 대한 새로운 기술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since charcoal fires cause many problems, such as ash and soot, which ar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pollute the surrounding air, deteriorate the environment of restaurants, etc., and caus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they must be temporarily stored for recycling of charcoal fires. In this case,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new technology for a charcoal storage box to effectively adsorb the dust and further prevent a fire caused by charcoal fire.

KR 20-1997-0000345 A1KR 20-1997-0000345 A1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된 숯불로부터 발생된 분진을 하부에 저수된 물에 흡착시켜 부유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숯불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coal storage box in which dus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stored therein is not allowed to float by adsorbing to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part, thereby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air or not having a harmful effect on the human bod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숯불용기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수납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 내의 부유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해 물을 저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저면에서 상기 숯불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낙하 가능하도록 형성된 망상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storage unit having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harcoal fire container therein,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located under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And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in order to adsorb floating substances in the storage unit, and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net-shaped bottom plate formed to support the charcoal fire container from a bottom surface and allow dus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o fall. Provide a charcoal fire storage box.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진을 거르기 위해 형성된 망상의 거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판의 매쉬 크기가 상기 바닥판의 매쉬 크기보다 작아서, 큰 크기의 분진을 회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reservoir and includes a network filter plate formed to filter the dust, wherein the mesh size of the filter plate is smaller than the mesh size of the bottom plate, so that a large size of dust is You can make it recoverabl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일측 상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통풍구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 하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2 통풍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분진을 상기 저수부로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perforated first vent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and a second vent that ha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he By inducing a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in the receiving part by ai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s, the dust may be guided to the reservoi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내부 천장에 수직하게 매달리도록 설치된 복수의 격벽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격벽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되어 부유하는 분진의 이동을 가로막아 상기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하되, 상기 복수 격벽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분화하는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nstalled to be vertically suspended from the interior ceiling of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partition walls are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oating dust to fall, The heights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not all formed to be the same, so that dust that differentiates from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o different heights may fall.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해 형성되는 대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installed to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that blocks the flow of ai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s, and the convective flow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v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may have at least one slit through which internal air can flow in and out so as not to interfer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수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저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상기 숯불보관함을 형성하는 어느 면보다도 열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공냉식으로 상기 저수부 내 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한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teria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leg supporting the water reservoir so that the water reservoir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is a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any surface forming the charcoal fire storage box. Consisting of, it is possible to induce a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by the first and second vents by maintaining a low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reservoir in an air-cooled manner by the air flowing between the leg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구리,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may be made of a material of copper, aluminum alloy, stainless alloy,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숯불보관함은, 내부에 보관된 숯불로부터 발생된 분진을 하부에 저수된 물에 흡착시켜 부유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charcoal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urrounding air from being polluted or adversely affecting the human body by adsorbing dus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stored therein to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portion so as not to be suspended.

또한, 크기가 큰 분진이 하부에 저수된 물에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걸러내어, 분진이 물에 낙하함으로써 튀는 물에 의해 숯불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lter out large-sized dust so that it does not fall directly into the water stored at the bottom, so that the charcoal fire can be prevented from getting wet by splashing water when the dust falls into the water.

또한, 숯불보관함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통풍구에 의해 숯불보관함 내부는 자연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분진을 효과적으로 저수된 물에 낙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natural convection occurs inside the charcoal storage box by ventilation opening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dust can be effectively dropped into the stored water.

또한, 수납부 내상부에 위치한 격벽을 이용하여 숯불보관함 내 분진을 효과적으로 저수된 물에 낙하시킬 수 있고, 나아가 격벽에 슬릿을 형성하여 숯불보관함 내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partition wall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unit, dust in the charcoal storage box can be effectively dropped into the stored water, and further, a slit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ir flow in the charcoal storage box.

또한, 저수부의 바닥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열 전도도가 높은 소재 또는 형태를 구현하여, 상기 숯불보관함 내 자연 대류 현상을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from the floor and implementing a material or shap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natural convection in the charcoal fire storage box may be promo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에 결벽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harcoal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plate of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lt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 flow inside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installation of a wall in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harcoal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unit" and "uni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a distinct meaning or ro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harcoal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은, 숯불을 담는 숯불용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110, 120)와, 상기 수납부(110, 120)의 일 면을 개폐하는 도어(111, 122)와, 상기 수납부(110, 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납부(110, 120) 내의 부유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해 물을 저수하는 저수부(130)를 포함하여, 고기 따위를 익히거가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숯불로부터 발생하는 재와 그을음과 같은 분진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torage unit 110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charcoal fire container (not shown) containing charcoal fire. 120), the doors 111 and 122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and the floating material in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located below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Including a water storage unit 130 that stores water to adsorb it, the charcoal used when cooking or roasting meat can be safely stored and recycled, as well as dust such as ash and soo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To be able to adsorb them effectively.

다만, 도면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숯불보관함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essential, a charcoal storage box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at can be implemented.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수납부(110, 120)는 숯불이 담긴 숯불용기(미도시)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숯불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are for storing a charcoal fire container (not shown) containing charcoal fire, and may hav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harcoal fire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은 수납부(110, 12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고, 수납부(110, 12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수납부(110, 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charcoal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unit 110 and 120,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110 and 120,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110 and 120 , As shown in Figure 1, it may b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납부, 즉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가 적층된 형태임을 가정하기로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for easy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has two storage unit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units 110 , 120) is assumed to be a stacked form, but a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hereto.

수납부(110, 12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불용기의 용이한 출납을 위해 일면이 방형(方形)인 육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is a hexahedron having a square shape for easy in/out of the charcoal fire container.

이에 따라, 수납부(110, 120)는 일 면에 개폐가능한 도어(11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1, 122)의 배치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최상부에 위치한 수납부(110)는 상면에 도어(111, 12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않은 수납부(110)는 전면에 도어(111, 12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may include doors 111 and 12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one surfac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doors 111 and 1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most receiving unit 110 has the doors 111 and 122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other receiving unit 110 is the front door It is preferred that (111, 122) is located.

상면에 위치한 제1 도어(111)는 제1 도어손잡이(113)에 의해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밀어냄으로써 상면후방에 위치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고, 제1 도어(111)에 의해 개방된 제1 수납부(110)에는 내부에 숯불용기가 인출입될 수 있다.The first door 11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ivoting based on a hinge locat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by pulling upward or pushing downward by the first door handle 113, and is opened by the first door 111 The charcoal container may be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storage unit 110.

이와 다르게 전면에 위치한 제2 도어(122)는 제2 도어손잡이(123)에 의해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밀어냄으로써 전면하방에 위치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고, 제2 도어(122)에 의해 개방된 제2 수납부(120)에는 내부에 숯불용기가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도어(122)는 서랍처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제2 수납부(120)의 일 면이 개폐될 수도 있다.Unlike this, the second door 122 located in the fron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ivoting on the basis of a hinge located below the front by pulling down or pushing it up by the second door handle 123. The charcoal container may be drawn in and out of the second storage unit 120 opened by the inside.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door 122 may slide forward or rearward like a drawer to open and close one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unit 12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 120)는 저면에 숯불용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숯불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아래에 위치한 저수부(130)로 낙하할 수 있도록 망(網)상의 바닥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the charcoal container on the bottom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allow the dus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container to fall into the reservoir 130 located below ( A bottom plate 115 may be includ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plate of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10, 120)의 바닥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망으로 이루어져 분진이 아래로 낙하될 수 있고, 낙하한 분진은 숯불보관함(100)의 하부에 위치한 저수부(130)로 유도되어 저수된 물에 흡착될 수 있다. 이렇게 저수부(130)에 저수된 물에 흡착된 분진은 더 이상 숯불보관함(100) 내부 및/또는 외부로 부유하지 않아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0, 120) is made of a net as described above, and dust can fall down, and the fallen dust is a storage unit located under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It can be led to 130 and adsorbed to the stored water. In this way, the dust adsorbed b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may no longer float inside and/or outside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 air or adversely affect the human body.

이때, 망상의 바닥판(115)의 메쉬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후술하는 거름판(140)의 메쉬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쉬의 크기가 커서 메쉬가 숯불보관함(100) 내 공기의 유동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고, 비교적 큰 크기의 분진도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esh size of the reticulated bottom plate 1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filter plate 14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it is desirable that the mesh size is large so that the mes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ability of the air i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as well as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can easily fall.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판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filt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거름판(140)은 저수부(130)의 상부, 구체적인 예로 수납부(110, 120)와 저수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수납부(110, 120) 내 수용된 숯불용기로부터 발행하여 저수부(130)로 낙하하는 분진 중 비교적 크기가 큰 분진을 거를 수 있다.The filter plate 140 shown in FIG. 3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for example, between 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and the storage unit 130, and is a charcoal fir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Among the dusts issued from and falling into the water storage unit 130,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can be filtered.

거름판(1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판틀(141)과 그 내측에 형성된 거름망(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거름망(142)은 비교적 크기가 큰 분진이 저수부(130)로 낙하하지 않도록 걸러내어, 크기가 큰 분진이 저수부(130)에 저수된 물로 직접 낙하하지 않고 차단하기 때문에, 저수된 물로부터 튀어오른 물방울에 의해 숯불보관함(100) 내부, 특히 숯불용기 내 숯이 젖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ilter plate 140 may be made of a filter plate frame 141 and a filter screen 142 formed on the inside thereof, and the filter screen 142 is a relatively large-sized dust to the reservoir 130. Since it is filtered so that it does not fall, large-sized dust does not fall directly into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and blocks it, so that the inside of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especially the charcoal in the charcoal container, 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it from getting wet.

이때, 거름망(142)의 메쉬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115)의 메쉬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142)의 메쉬 크기가 작더라도 이는 숯불보관함(100) 내 공기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숯불보관함(100) 내 공기 유동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판(140) 위에 배치된 수납부(110, 120) 내부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mesh size of the sieve 14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mesh size of the bottom plate 115,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mesh size of the sieve 142 is small, this does not affect the air flowability i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This is because the air flowability i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relates 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s 110 and 120 disposed on the filter plate 140, as shown in FIG. 4.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110, 120) 내부에 자연 대류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외기가 유출입되는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수납부(110, 120)에만 위치할 수 있다.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nd second vents 112 and 121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in and out in order to generate a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in 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are provided only in 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Can be located.

이러한 거름판(140)은 전방에 설치된 손잡이 따위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될 수 있고, 작업자는 거름판(140)을 인출하여 거름판(140)에 의해 걸러진 분진을 쓰레기통에 털어 쉽게 버릴 수 있다.The filter plate 140 can slide forward by a handle installed in the front to be withdrawn, and the operator can easily discard the dust filtered by the filter plate 140 by pulling out the filter plate 140 in the trash can. hav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 120)는 일측 상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통풍구(112)와, 수납부(110, 120)의 일측 하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2 통풍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vent 112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and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A plurality of perforated second vents 121 may be further included to enable outflow and outflow.

구체적으로, 제1 수납부(110)가 제2 수납부(120) 위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 제1 통풍구(112)는 상기 제1 수납부(110)에, 그리고 제2 통풍구(121)는 상기 제2 수납부(120)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storage unit 110 is stacked on the second storage unit 120, the first ventilation hole 112 is in the first storage unit 110,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21 is It is form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 각각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는, 각 수납부(110, 120)에 수용되는 숯불용기의 용기하부 높이에 형성되어, 숯불용기 내 숯불 열기에 의해 각 수납부(110, 120) 내 공기가 상승할 때 그 아래부분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110 and 1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5.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are formed at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f the charcoal container accommodated in each of the receiving parts 110 and 120, and each receiving part 110 is formed by heating the charcoal fire in the charcoal container. 120) When the internal air rises, it is desirable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lower par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 flow inside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되, 외기가 숯불보관함(10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각 수납부(110, 120) 하부, 즉 각 수납부(110, 120)에 수납된 숯불용기의 용기높이 미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해 유입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부(110, 120) 내부의 공기는, 도 4에 도시한 방향으로 자연 대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outside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the lower portions of 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that is, the storage units 110 , 120) may be formed below the container height of the charcoal container. By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in this way,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may naturally convectively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4.

이렇게 수납부(110, 120) 내부의 공기가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에 의해 자연 대류되기 때문에, 숯불보관함(100) 내 발생되어 대류 흐름에 따라 부유하는 분진은 저수부(130)에 저수된 물로 유도되어, 숯불보관함(100) 내부는 물론이고 그 주변에 까지도 분진이 부유되는 것을 차단하여 분진에 의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air inside the storage units 110 and 120 is naturally convective by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dust generated i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and floating according to the convective flow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 it is guided to the water stored i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as well as in the vicinity of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to block the floating of dust,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air by the dust.

다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통풍구(112) 외측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풍구(112)를 통해 외기를 숯불보관함(100)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해 모터 따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제2 통풍구(121) 외측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통풍구(121)를 통해 숯불보관함(100) 내기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모터 따위에 회전하는 제2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ventilation hole 112 is located in front of the outside, and rotates by a motor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112. 1 A fan (not shown) may be included, and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outside o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21, and a motor to draw the inside of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21 It may include a second fan (not shown) to rotate.

제1 및 제2 팬을 이용하여, 숯불보관함(100) 내상부에서 유입된 외기는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내하부로 유도될 수 있으며, 공기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숯불보관함(100) 내 부유하는 분진은 관성에 의해 저수부(130) 내 저수된 물로 유도될 수 있다.Using the first and second fans,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inner upper part of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can be forcibly guided to the inner and lower parts of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by external force, and dust floating i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air Silver may be guided to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130 by inerti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납부(110, 120)는 수납부(110, 120)의 내부 천장에 수직하게 매달리도록 설치된 복수의 격벽(117a~117c)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installed to be vertically suspended from the inner ceiling of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에 결벽의 설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installation of a wall in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17a~117c)은 수납부(110, 120) 내상부, 구체적으로 천장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격벽(117a~117c)의 설치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부유하는 분진을 가로막음으로써, 부유하는 분진을 저수부(130) 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ar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s 110 and 120, specifically the ceiling, and are not parallel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By blocking the floating dust, the floating dust can be dropped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수납부(110, 120) 내 격벽(117a~117c)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격벽(117a~117c)은 서로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격벽(117a~117c)이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h1~h3)가 상이하도록, 다시 말해 복수 격벽(117a~117c)의 높이(h1~h3)가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in the receiving portions 110 and 12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but preferabl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 I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s h1 to h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117a to 117c are different, that is, the heights h1 to h3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are not the same.

이렇게 서로 다른 높이의 격벽(117a~117c)이 수납부(110, 120)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수납부(110, 120) 내 부유하는 분진의 높이와 무관하게 숯불용기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분화하는 분진을 저수부(130)로 낙하시킬 수 있다.When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of different height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they are divided into different heights from the charcoal container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dust floating in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Dust may fall into the water storage unit 13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격벽(117a~117c)의 설치 방향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에 의해 형성되는 숯불보관함(100) 내 자연 대류의 방향을 고려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natural convection in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that blocks the flow of ai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다만, 복수의 격벽(117a~117c)은 수납부(110, 120) 내 자연 대류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납부(110, 120) 내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지 않도록 격벽(117a~117c)은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1~S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can block the flow of air naturally convective in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low of air in the receiving units 110 and 120 is reduc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are formed with at least one slit S1 to S6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and out so as not to block them.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격벽(117a~117c)에 형성된 슬릿(S1~S6)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size, and number of the slits (S1 to S6) formed in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an example, the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S. 6(a) to 6(c). I can.

또한, 격벽(117a~117c)의 높이에 따라, 높이(h1)가 낮은 격벽(117a)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 형태의 슬릿(S1~S3)만 형성되고, 그 다음 높은 높이(h2)의 격벽(117b)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태의 슬릿(S4~S6)만 형성되며, 높이(h3)가 가장 높은 격벽(117c)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 형태의 슬릿(S1~S3)와 함께 홈 형태의 슬릿(S4~S6)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the partition wall 117a having a low height h1 is formed with only the slits S1 to S3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as shown in FIG. 6(a), and then As shown in Fig. 6(b), the partition wall 117b of the high height h2 is formed with only groove-shaped slits S4 to S6, and the partition wall 117c having the highest height h3 is shown in Fig. 6(c). As shown in ), slits S4 to S6 in a groove shape may be formed together with slits S1 to S3 in the form of through holes.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릿(S1~S6)이 형성된 격벽(117a~117c)은,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형성되는 자연 대류 흐름에 의해 부유하는 분진을 차단하여 거름판(140)으로 낙하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류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artition walls 117a to 117c in which slits (S1 to S6)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natural convection flow formed by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s (112, 121). It is possible to block floating dust and fall to the filter plate 140,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convective flow.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harcoal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보관함(100)의 하부에는 저수부(130)가 배치되되, 저수부(130)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저수부(13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151~154)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 water storage unit 130 is disposed under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storage unit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upporting leg (151-154).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저수부(130)는 다리(151~154)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공냉식으로 저수부(130) 내 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숯불보관함(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저수부(130)의 온도를 공냉식으로 낮춤으로써, 제1 및 제2 통풍구(112, 121)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촉진시켜 수납부(110, 120) 내 자연 대류 현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water storage unit 130 spaced apart from the floor may maintain a low temperature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in an air-cooled manner by air flowing between the legs 151 to 154. In this way,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unit 13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by air-cool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112 and 121 is promoted, and the interior of the storage unit 110 and 120 It can activate natural convection.

이때, 저수부(130)의 바닥면(160)은 숯불보관함(100)을 형성하는 어느 면보다도 열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151~154)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한 냉각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160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any surface forming the charcoal storage box 100, thereby increasing cooling efficiency by air flowing through the legs 151 to 154. It is desirable.

따라서, 저수부(130)의 바닥면(16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열 전도성이 높은 구리, 구리보다 열 전도성이 낮지만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합금, 물에 대한 내부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160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pper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 aluminum alloy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copper but having a lighter weight, a stainless alloy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to water, or It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of these materials.

다만,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저수부(130)의 바닥면(160)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요철(凹凸)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냉각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However, although not shown, the bottom surface 160 of the water reservoir 1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oling fins protruding to have a shape of an uneven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side air. hav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수부(130)의 외측 저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드레인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저수부(130) 내 저장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rain valve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therein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and the user can open the drain valve to remov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It can be easily discharged.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수부(13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함(1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저수함(131)은 서랍 따위와 같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개폐 가능하여, 사용자는 저수함(131)을 전방으로 인출시킴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물을 버리거나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30 may accommodate a storage box 131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the storage box 131 slides forward or backward, such as a drawer, to open and close As a result, the user can discard or replace the water stored therein by pulling the reservoir 131 forwar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100: 숯불보관함 110: 제1 수납부
111: 제1 도어 112: 제1 통풍구
113: 제1 도어손잡이 115: 바닥판
117a~117c: 격벽 120: 제2 수납부
121: 제2 통풍구 122: 제2 도어
123: 제2 도어손잡이 130: 저수부
131; 저수함 140: 거름판
141: 거름판틀 142: 거름망
151~154: 다리 160: 바닥면
S1~S6: 슬릿
100: charcoal storage box 110: first storage unit
111: first door 112: first vent
113: first door handle 115: bottom plate
117a~117c: bulkhead 120: second storage unit
121: second vent 122: second door
123: second door handle 130: reservoir
131; Reservoir 140: filter plate
141: strainer 142: strainer
151~154: leg 160: bottom surface
S1~S6: Slit

Claims (7)

숯불용기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수납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 내의 부유물질을 흡착시키기 위해 물을 저수하는 저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저면에서 상기 숯불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낙하 가능하도록 형성된 망상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납부의 일측 상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1 통풍구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 하부에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다수 타공 형성된 제2 통풍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분진을 상기 저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납부의 내부 천장에 수직하게 매달리도록 설치된 복수의 격벽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격벽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발생되어 부유하는 분진의 이동을 가로막아 상기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하되, 상기 복수 격벽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분화하는 분진을 낙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를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해 형성되는 대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At least one storage unit having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herein;
A door opening and closing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water storage unit located under the storage unit and storing water to adsorb the floating material in the storage unit;
Including,
The rece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net-shaped bottom plate formed to support the charcoal container at the bottom and allow dust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o fall,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erforated first vent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o allow air to flow out and out of the storage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vent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o allow air to flow out and o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inducing a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in the receiving part by air flowing in and out through, inducing the dust to the reservoi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nstalled to be vertically suspended from the interior ceiling of the receiving unit, wherein the partition walls are generated from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oating dust to drop the dust, but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t is formed so as not to be all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to allow dust that differentiates to different heights from the charcoal fire container to fall,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installed so as to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that obstructs the flow of ai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partitions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s of the charcoal fir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lit is formed through which internal air can flow o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진을 거르기 위해 형성된 망상의 거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판의 매쉬 크기가 상기 바닥판의 매쉬 크기보다 작아서, 큰 크기의 분진을 회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It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reservoir and comprises a network filter plate formed to filter the dust,
Charcoal storage 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size of the filter plate is smaller than the mesh size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large size of dust can be recov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저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상기 숯불보관함을 형성하는 어느 면보다도 열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공냉식으로 상기 저수부 내 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풍구에 의한 자연 대류 현상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leg for supporting the water reservoi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reservoi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any surface forming the charcoal storage box, and by air-cooling by air flowing between the leg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is kept low, and the first and A charcoal fir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nducing natural convection by the second v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은, 구리,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6,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a charcoal fir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of copper, aluminum alloy, stainless alloy, or a combination thereof.
KR1020190088223A 2019-07-22 2019-07-22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KR102179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3A KR102179697B1 (en) 2019-07-22 2019-07-22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3A KR102179697B1 (en) 2019-07-22 2019-07-22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697B1 true KR102179697B1 (en) 2020-11-17

Family

ID=7364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23A KR102179697B1 (en) 2019-07-22 2019-07-22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69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45U (en) 1995-06-16 1997-01-21 김재완 Charcoal storage furnace
KR200309608Y1 (en) * 2003-01-17 2003-04-08 이승규 Charcoal fire ignition device
KR100945716B1 (en) * 2009-10-19 2010-03-05 임재규 Apparatus for setting light to charcoal
KR101134364B1 (en) * 2011-05-30 2012-04-09 신정호 Apparatus for lighting charcoal
KR20160000212U (en) * 2014-07-10 2016-01-20 임영일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charcoal
EP3367857A1 (en) * 2015-10-30 2018-09-05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ingredients with hot air and fluid introduced thereinto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45U (en) 1995-06-16 1997-01-21 김재완 Charcoal storage furnace
KR200309608Y1 (en) * 2003-01-17 2003-04-08 이승규 Charcoal fire ignition device
KR100945716B1 (en) * 2009-10-19 2010-03-05 임재규 Apparatus for setting light to charcoal
KR101134364B1 (en) * 2011-05-30 2012-04-09 신정호 Apparatus for lighting charcoal
KR20160000212U (en) * 2014-07-10 2016-01-20 임영일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charcoal
EP3367857A1 (en) * 2015-10-30 2018-09-05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ingredients with hot air and fluid introduced therein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0379B (en) Air fryer
RU2737519C2 (en) Air fryer
US10694892B2 (en) Internal chimney system for grills and smokers
EP3003105B1 (en) Air-based fryer pan
US6732637B2 (en) Forced convection and radiant heat cooking
US2902026A (en) Portable barbecue pits
KR102306328B1 (en) Vertical grill with external drip tray module
US5577490A (en) Exhaust hood for a plurality of diverse heating or cooking devices
US20090320882A1 (en) Barbecue smoker
KR20130004314A (en) Improved vertical grill
US2124837A (en) Broiler for use by campers
KR20080024948A (en) Grill configuration having a forced air curtain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KR101269786B1 (en) a charcoal grill apparatus
KR102179697B1 (en) Apparatus for storing burning charcoal
KR101042079B1 (en) Roaster of a charcoal fire
US3263596A (en) Filtered deep fryer
CN206026097U (en) Air is complained and quarrel loudly and separator
KR200459644Y1 (en) meat roaster
US9689575B2 (en) Indoor grill
TWM511213U (en) Eco-friendly oven
CA3108117A1 (en) Smoker device
KR102208632B1 (en) Air circulation type roast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0196698Y1 (en) Charcoal roaster
KR101493896B1 (en) A charcoal roaster
CN210019038U (en) Smokeless self-service barbecue dining table and smokeless barbecue system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