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402B1 -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 Google Patents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402B1
KR102179402B1 KR1020200020348A KR20200020348A KR102179402B1 KR 102179402 B1 KR102179402 B1 KR 102179402B1 KR 1020200020348 A KR1020200020348 A KR 1020200020348A KR 20200020348 A KR20200020348 A KR 20200020348A KR 102179402 B1 KR102179402 B1 KR 10217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frame
drilling
assembly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2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어셈블리로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에 제1 시추 어셈블리와 제2 시추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시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부터,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및 지질 조사 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PORTABLE DRI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및 지질 조사 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질조사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조사작업이 야외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그 목적이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탐사장비나 조사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지반조사는 지반을 구성하는 지층 및 토층의 형성, 지하수의 상태, 각 지층 및 토층의 성상을 알아내어 그 안에 계획하는 구조물의 설계 및 공사 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하는 조사를 의미한다.
이러한 지반조사의 목적은 구조물 건설공사 현장의 지질구조 및 지층의 상태, 지반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조물의 최적 설계를 위한 지반공학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고,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지반공학 분야의 종합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특히, 지반 조사로 알아내고자 하는 것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번째는 지질구조와 지형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로, 토목 지질 기술자가 맡는다.
두번째는 지반의 층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있다.
지반의 구성, 암반층 깊이, 지하수 깊이 등을 알아내는 단계이며, 이 과정에서 시추(boring), 사운딩(sounding), 보아홀(borehole), 기타 물리 탐사법이 이용된다.
세번째는 흙의 기본 물성(비중, 입도 분포, 연경도, 함수비)을 알아내는 시험으로, 교란 시료(disturbed soil)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
네번째는 흙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내는 시험이다.
불교란 시료(undisturbed soil)를 얻어 단위 중량, 전단 강도, 압축성, 투수성을 조사하게 된다.
또한 현장에서 원위치 시험(베인 시험, 표준 관입 시험, 콘 관입 시험, 공내 재하시험 등)을 실시하기도 하는데 이는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더라도 완전히 교란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실시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등록특허 제10-1591285호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질조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질조사방법"(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이 조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정리하며 분석하기 위한 관련 기술은 무수히 연구 개발되고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질조사를 실제로 실시하기 위한 시추장비는 대부분 굴삭기나 시추장비 등 대규모의 장치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조사 결과를 빨리 얻고자 하며, 환경 훼손을 최소화해야 하는 협소한 장소나 용지 등에서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분명한 한계가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5912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및 지질 조사 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최소한의 인원으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조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으로 구동되어 상기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시추 어셈블리와 별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 또는 수동으로 구동되어 상기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를 매설시키는 해머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와, 상기 드릴비트와 별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를 매설시키는 해머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드릴비트와 상기 해머에 유체압을 전달하는 유체압 공급원을 포함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1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운반수단과, 상기 제2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2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2 운반수단과, 상기 제3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3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3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수직한 코어편과, 상기 코어편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시추 어셈블리 또는 상기 제2 시추 어셈블리의 상하 변위를 안내하는 안내편과, 상기 코어편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어편과 직교하는 보강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코어편 또는 상기 안내편의 하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전방 지지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전방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전방 지지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후방 지지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후방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후방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시추 어셈블리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1 유체모터와, 상기 제1 유체모터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1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드릴비트는 상기 제1 유체모터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시추 어셈블리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2 유체모터와, 상기 제2 유체모터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2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머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유체모터의 유체압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시추용 로드의 상단부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추용 로드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추용 콘(con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1 운반 패널과, 상기 제1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1 걸이 벨트와, 상기 제1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를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받침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시추용 로드 또는 상기 드릴비트는 상기 제1 받침 패널을 관통하여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2 운반 패널과, 상기 제2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2 걸이 벨트와, 상기 제2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시추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시추 어셈블리를 받침 지지하는 제2 받침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3 운반 패널과, 상기 제3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3 걸이 벨트와, 상기 제3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유체압 공급원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유닛을 받침 지지하는 제3 받침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으로 구동되어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 및 제1 시추 어셈블리와 별개로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 또는 수동으로 구동되어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를 매설시키는 해머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설치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지질 조사 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와, 드릴비트와 별개로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를 매설시키는 해머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드릴비트와 해머에 유체압을 전달하는 유체압 공급원을 포함하는 제3 유닛; 및 제1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1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운반수단과, 제2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2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2 운반수단과, 제3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3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3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대규모의 시추장비와 중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로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최소한의 인원으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조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레임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수직한 코어편과, 코어편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시추 어셈블리 또는 제2 시추 어셈블리의 상하 변위를 안내하는 안내편과, 코어편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코어편과 직교하는 보강편을 포함하며, 지지 어셈블리는 코어편 또는 안내편의 하단부 근방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높낮이 조절 구조의 확보를 위하여 장치 설치에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는,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을 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전방 지지대와,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전방 타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을 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전방 지지대와,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을 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후방 지지대와,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후방 타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을 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후방 지지대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구조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시추 어셈블리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1 유체모터와, 제1 유체모터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제1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1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며, 드릴비트는 제1 유체모터에 탈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조사의 자유도를 높이고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다양한 조사 결과를 풍부하게 도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시추 어셈블리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2 유체모터와, 제2 유체모터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제2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2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며, 해머는 제2 지지 프레임에서 제2 유체모터의 유체압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시추용 로드의 상단부에 충격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조사를 위한 시추 작업에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조사 작업 및 데이터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시추용 로드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추용 콘(cone)을 더 구비함으로써, 수납 및 보관에 편의를 제공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신속한 조사 준비를 완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1 운반 패널과, 제1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1 걸이 벨트와, 제1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를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 어셈블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받침 패널을 포함하며, 시추용 로드 또는 드릴비트는 제1 받침 패널을 관통하여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시추장비와 굴삭기 등 중량물에 규모가 큰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현장까지 직접 운반하거나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휴대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제2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2 운반 패널과, 제2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2 걸이 벨트와, 제2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추 어셈블리와 제2 시추 어셈블리를 받침 지지하는 제2 받침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시추장비와 굴삭기 등 중량물에 규모가 큰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현장까지 직접 운반하거나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휴대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제3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3 운반 패널과, 제3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3 걸이 벨트와, 제3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유체압 공급원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받침 지지하는 제3 받침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시추장비와 굴삭기 등 중량물에 규모가 큰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현장까지 직접 운반하거나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휴대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1(a) 및 도 2(a)는 결합전 상태를, 도 1(b) 및 도 2(b)는 결합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 중 메인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제1 시추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제2 시추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 및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제2 시추 어셈블리에 의하여 매설되는 시추용 로드의 하단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1(a) 및 도 2(a)는 결합전 상태를, 도 1(b) 및 도 2(b)는 결합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 중 메인 프레임(11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제1 시추 어셈블리(21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제2 시추 어셈블리(220)의 결합 구조 및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제2 시추 어셈블리(220)에 의하여 매설되는 시추용 로드(230)의 하단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4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어셈블리(120)로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110)에 제1 시추 어셈블리(210)와 제2 시추 어셈블리(22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시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메인 프레임(110)은 시추 대상면(이하 미도시)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 어셈블리(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메인 프레임(110)을 받침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시추 어셈블리(210)는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으로 구동되어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210d)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제1 시추 어셈블리(210)와 별개로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 또는 수동으로 구동되어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230)를 매설시키는 해머(220h)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과 지지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과, 제1, 2 시추 어셈블리(210, 22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과, 제2 유닛(200)에 유체압을 전달하는 제3 유닛(300)과, 이러한 제1, 2, 3 유닛(100, 200, 300)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한 제4 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메인 프레임(110)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제2 유닛(200)은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210d)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210)와, 드릴비트(210d)와 별개로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230)를 매설시키는 해머(220h)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드릴비트(210d)와 해머(220h)에 유체압을 전달하는 유체압 공급원(300h)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4 유닛(400)은 제1 유닛(100)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1 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운반수단(410)과, 제2 유닛(200)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2 유닛(200)의 일측에 구비된 제2 운반수단(420)과, 제3 유닛(300)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3 유닛(300)의 일측에 구비된 제3 운반수단(430)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메인 프레임(110)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수직한 코어편(111)과, 코어편(11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시추 어셈블리(210) 또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의 상하 변위를 안내하는 안내편(112)과, 코어편(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코어편(111)과 직교하는 보강편(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지지 어셈블리(120)는 코어편(111) 또는 안내편(112)의 하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11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어편(111)을 구성하는 것으로, 시추 대상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하부 지지편(111d)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은, 코어편(111)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지지편(111d)의 상단부에 탈착 결합되는 상부 지지편(111u)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은, 안내편(112)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지지편(111d)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시추 어셈블리(210) 또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의 상하 변위를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11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은, 안내편(112)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부 지지편(111u)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시추 어셈블리(210) 또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의 상하 변위를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112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은, 보강편(113)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지지편(111d)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하부 지지편(111d)과 직교하는 하부 리브(11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은, 보강편(113)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부 지지편(111u)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부 지지편(111u)과 직교하는 상부 리브(113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가이드(112d)와 상부 가이드(112u)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하부 리브(113d)와 상부 리드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은, 하부 지지편(111d)과 상부 지지편(111u) 상호간의 탈착 결합을 위하여, 도 4와 같이 하부 가이드(112d) 각각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112dg)과, 결합홈(112dg)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부 가이드(112u) 각각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결합블록(112ub)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110)은, 결합블록(112ub)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대 형상의 삽입 사면(112ubs)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삽입 사면(112ubs)은 결합홈(112dg)에 원활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 지지편(111d)과 상부 지지편(111u) 상호간의 탈착 결합을 위하여, 하부 가이드(112d) 각각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결합블록과, 결합블록(112ub)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부 가이드(112u) 각각의 하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지 어셈블리(120)는,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리고, 지지 어셈블리(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전방 지지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어셈블리(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전방 타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전방 지지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어셈블리(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후방 지지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어셈블리(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후방 타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후방 지지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방 지지대(121)와 제2 전방 지지대(122)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양측에 대하여 회동(도 3의 원호 형상 화살표 참조) 가능하며, 제1 후방 지지대(123)와 제2 후방 지지대(124)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양측에 대하여 회동(도 3의 원호 형상 화살표 참조) 가능하다.
이때, 제1 전방 지지대(121)와 제2 전방 지지대(122)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회동 절첩 가능하며, 제1 후방 지지대(123)와 제2 후방 지지대(124)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회동 절첩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후방 지지대(123)와 제2 후방 지지대(124)는, 절첩후 부피의 최소화를 위하여, 회동 절첩된 제1 전방 지지대(121)와 제2 전방 지지대(122)의 외측면에, 회동하여 겹쳐져 절첩되도록 한다.
한편, 지지 어셈블리(120)는, 시추 대상면에 대한 더욱 확실한 안착 고정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전방 지지대(121)의 단부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제1 전방 고정봉(121f)과, 제1 전방 고정봉(121f)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에 접촉되는 제1 전방 고정 패드(121p)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어셈블리(120)는, 제2 전방 지지대(122)의 단부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제2 전방 고정봉(122f)과, 제2 전방 고정봉(122f)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에 접촉되는 제2 전방 고정 패드(122p)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어셈블리(120)는, 제1 후방 지지대(123)의 단부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제1 후방 고정봉(123f)과, 제1 후방 고정봉(123f)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에 접촉되는 제1 후방 고정 패드(123p)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어셈블리(120)는, 제2 후방 지지대(124)의 단부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제2 후방 고정봉(124f)과, 제2 후방 고정봉(124f)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에 접촉되는 제2 후방 고정 패드(124p)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시추 어셈블리(210)는,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1 유체모터(211)와, 제1 유체모터(211)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212)과, 제1 지지 프레임(212)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1 승강 수단(2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드릴비트(210d)는 제1 유체모터(211)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시추 어셈블리(210)는, 제1 지지 프레임(212)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유체모터(211)를 받침 지지하는 제1 설치편(212t)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시추 어셈블리(210)는, 제1 지지 프레임(212)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설치편(212t)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승강 지지편(212e)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추 어셈블리(210)는, 제1 승강 수단(213)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승강 지지편(212e)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승강 롤러(213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승강 롤러(213r) 사이에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 가이드(112d)와 상부 가이드(112u)가 접촉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아울러, 하부 가이드(112d)와 상부 가이드(112u)의 상하 방향 양측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제1 승강 롤러(213r)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마찰발생 패드(112f, 이하 도 3 및 도 4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2 유체모터(221)와, 제2 유체모터(221)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222)과, 제2 지지 프레임(222)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2 승강 수단(22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머(220h)는 제2 지지 프레임(222)에서 제2 유체모터(221)의 유체압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시추용 로드(230)의 상단부에 충격을 가하게 될 것이다.
이때,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제2 지지 프레임(222)을 구성하는 것으로,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일측에 제2 유체모터(221)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설치편(222t)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제2 지지 프레임(222)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설치편(222t)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승강 지지편(222e)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제2 지지 프레임(222)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설치편(222t) 하부측에 설치되어 한 쌍의 제2 설치편(222t)을 연결하는 받침편(222s)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시추용 로드(230)의 상단부가 받침편(222s)의 상면에 노출되게 받침편(222s)에 관통 형성되는 로드안내 홀(222sh)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받침편(222s)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로드안내 홀(222sh)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해머(220h)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해머안내 봉(222sr)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해머(220h)와 연결되고, 정, 역회전 가능한 제2 유체모터(221)의 구동축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해머(220h)를 승강시키는 자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제2 승강 수단(223)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승강 지지편(222e)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승강 롤러(223r)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승강 롤러(223r) 사이에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 가이드(112d)와 상부 가이드(112u)가 접촉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4)는, 제2 유체모터(221)의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 스프라켓(224m)과, 한 쌍의 제2 설치편(222t)중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 스프라켓(224s)과, 구동 스프라켓(224m)과 종동 스프라켓(224s)을 연결하며, 해머(220h)와 연결되는 승강 체인(224c)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유체압 공급원(300h)이 고장났거나 비상시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해머(220h)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머(220h)와 연결된 승강 와이어(226)를 권취 또는 권취 해제시켜 해머(220h)를 승강시키는 수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5)는,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윈치 브라켓(225b)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5)는, 위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승강 와이어(226)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윈치 스풀(225s)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5)는, 윈치 스풀(225s)을 회전시키도록 윈치 스풀(225s)의 일측에 장착되는 윈치 레버(225e)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5)는, 윈치 레버(225e)의 단부에 직교되게 구비되어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윈치 손잡이(225g)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수동 구동전달 어셈블리(225)는,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승강 와이어(226)를 안내하는 가이드 호이스트(225t)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시추용 로드(230)가 시추 대상면에 원활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도 8과 같이 시추용 로드(23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추용 콘(231, drilling cone)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운반수단(410)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1 운반 패널(4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운반수단(410)은, 제1 운반 패널(411)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1 걸이 벨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운반수단(410)은, 제1 운반 패널(41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를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 어셈블리(1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받침 패널(4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추용 로드(230) 또는 드릴비트(210d)는 제1 받침 패널(413)을 관통하여 안내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운반수단(410)은, 제1 받침 패널(413)에 구비되어 시추용 로드(230) 또는 드릴비트(210d)의 관통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디스크(413d, 이하 도 1 및 도 2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운반수단(410)은, 제1 받침 패널(413)의 상면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지지 어셈블리(120)를 구성하는 제1 전방 지지대(121) 및 제2 전방 지지대(12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회동축(4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운반수단(410)은, 제1 받침 패널(413)의 상면 후방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지지 어셈블리(120)를 구성하는 제1 후방 지지대(123) 및 제2 후방 지지대(12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회동축(415)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운반수단(420)은, 도 9와 같이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2 운반 패널(4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운반수단(420)은, 제2 운반 패널(421)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2 걸이 벨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운반수단(420)은, 제2 운반 패널(42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추 어셈블리(210)와 제2 시추 어셈블리(220)를 받침 지지하는 제2 받침 패널(4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운반수단(420)은, 제1 시추 어셈블리(210)에 구비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제1 승강 롤러(213r)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받침 패널(42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블록(424)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운반수단(420)은, 제2 시추 어셈블리(220)에 구비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제2 승강 롤러(223r)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받침 패널(42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블록(425)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운반수단(420)은, 제2 운반 패널(42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상하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 지지하는 제2 배면 프레임(426)과, 제2 배면 프레임(426)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2 받침 패널(423)을 고정 지지하는 제2 받침 프레임(427)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운반수단(430)은, 도 9와 같이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3 운반 패널(4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운반수단(430)은, 제3 운반 패널(431)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3 걸이 벨트(4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운반수단(430)은, 제3 운반 패널(43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유체압 공급원(300h)을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받침 지지하는 제3 받침 패널(4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운반수단(430)은, 제3 운반 패널(43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상하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 지지하는 제3 배면 프레임(436)과, 제3 배면 프레임(436)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3 받침 패널(433)을 고정 지지하는 제3 받침 프레임(437)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제3 운반 패널(431)의 전면(前面) 상측에 구비되어 공구 또는 용품을 수납 가능한 수납 박스(310)와, 수납 박스(310)에 수용되어 유압 공급원의 가동 또는 가동 정지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이하 미도시)와, 컨트롤 박스와 연결되어 수납 박스(310)의 외측으로부터 노출되며 컨트롤 박스의 온오프 제어를 실시하는 스위치 레버(3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설치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작업자는 도 1(a) 및 도 2(a)와 같이 제1, 2, 3 운반수단(410, 420, 430)에 의하여 직접 어깨에 매고 이동하거나 차량에 실어 운반해온 각 유닛(100, 200, 300)들을 시추 대상면 부근에 내려놓고, 도 3과 같이 제1 운반수단(410)에 의하여 등지게 겹쳐져 실려온 코어편(111)의 상, 하부 지지편(111u, 111d)을 상호 일렬로 세워 도 1(b) 및 도 2(b)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을 형성한다.
이후, 작업자는 메인 프레임(110) 하부측의 제1, 2 전방 지지대(121, 122)와 제1, 2 후방 지지대(123, 124)를 펼쳐서 세우고, 제1 시추 어셈블리(210) 또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를 선택적으로 메인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편(112)을 따라 위치 조정한 후 시추 작업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메인 프레임(110)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120);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으로 구동되어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210d)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210); 및 제1 시추 어셈블리(210)와 별개로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체압 또는 수동으로 구동되어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230)를 매설시키는 해머(220h)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설치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지질 조사 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메인 프레임(110)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210d)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210)와, 드릴비트(210d)와 별개로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230)를 매설시키는 해머(220h)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드릴비트(210d)와 해머(220h)에 유체압을 전달하는 유체압 공급원(300h)을 포함하는 제3 유닛(300); 및 제1 유닛(100)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1 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운반수단(410)과, 제2 유닛(200)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2 유닛(200)의 일측에 구비된 제2 운반수단(420)과, 제3 유닛(300)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3 유닛(300)의 일측에 구비된 제3 운반수단(430)을 포함하는 제4 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대규모의 시추장비와 중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로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최소한의 인원으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조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레임(110)은,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수직한 코어편(111)과, 코어편(11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시추 어셈블리(210) 또는 제2 시추 어셈블리(220)의 상하 변위를 안내하는 안내편(112)과, 코어편(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코어편(111)과 직교하는 보강편(113)을 포함하며, 지지 어셈블리(120)는 코어편(111) 또는 안내편(112)의 하단부 근방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높낮이 조절 구조의 확보를 위하여 장치 설치에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전방 지지대(121)와,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전방 타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전방 지지대(122)와,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후방 지지대(123)와,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 후방 타측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후방 지지대(124)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구조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시추 어셈블리(210)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1 유체모터(211)와, 제1 유체모터(211)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212)과, 제1 지지 프레임(212)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1 승강 수단(213)을 더 포함하며, 드릴비트(210d)는 제1 유체모터(211)에 탈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조사의 자유도를 높이고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다양한 조사 결과를 풍부하게 도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시추 어셈블리(220)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2 유체모터(221)와, 제2 유체모터(221)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222)과, 제2 지지 프레임(222)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2 승강 수단(223)을 더 포함하며, 해머(220h)는 제2 지지 프레임(222)에서 제2 유체모터(221)의 유체압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시추용 로드(230)의 상단부에 충격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조사를 위한 시추 작업에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조사 작업 및 데이터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시추용 로드(23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추용 콘(231)을 더 구비함으로써, 수납 및 보관에 편의를 제공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신속한 조사 준비를 완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운반수단(410)은, 작업자의 배부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1 운반 패널(411)과, 제1 운반 패널(411)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1 걸이 벨트(412)와, 제1 운반 패널(41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부를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 어셈블리(1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받침 패널(413)을 포함하며, 시추용 로드(230) 또는 드릴비트(210d)는 제1 받침 패널(413)을 관통하여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시추장비와 굴삭기 등 중량물에 규모가 큰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현장까지 직접 운반하거나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휴대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제2 운반수단(420)은, 작업자의 배부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2 운반 패널(421)과, 제2 운반 패널(421)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2 걸이 벨트(422)와, 제2 운반 패널(42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추 어셈블리(210)와 제2 시추 어셈블리(220)를 받침 지지하는 제2 받침 패널(423)을 포함함으로써, 시추장비와 굴삭기 등 중량물에 규모가 큰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현장까지 직접 운반하거나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휴대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제3 운반수단(430)은, 작업자의 배부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3 운반 패널(431)과, 제3 운반 패널(431)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작업자의 견부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3 걸이 벨트(432)와, 제3 운반 패널(43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유체압 공급원(300h)을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받침 지지하는 제3 받침 패널(433)을 포함함으로써, 시추장비와 굴삭기 등 중량물에 규모가 큰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현장까지 직접 운반하거나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휴대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및 지질 조사 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메인 프레임
111...코어편
111d...하부 지지편
111u...상부 지지편
112...안내편
112d...하부 가이드
112dg...결합홈
112f...마찰발생 패드
112u...상부 가이드
112ub...결합블록
112ubs...삽입 사면
113...보강편
113d...하부 리브
113u...상부 리브
120...지지 어셈블리
121...제1 전방 지지대
121f...제1 전방 고정봉
121p...제1 전방 고정 패드
122...제2 전방 지지대
122f...제2 전방 고정봉
122p...제2 전방 고정 패드
123...제1 후방 지지대
123f...제1 후방 고정봉
123p...제1 후방 고정 패드
124...제2 후방 지지대
124f...제2 후방 고정봉
124p...제2 후방 고정 패드
200...제2 유닛
210...제1 시추 어셈블리
210d...드릴비트
211...제1 유체모터
212...제1 지지 프레임
212e...제1 승강 지지편
212t...제1 설치편
213...제1 승강 수단
213r...제1 승강 롤러
220...제2 시추 어셈블리
220h...해머
221...제2 유체모터
222...제2 지지 프레임
222e...제2 승강 지지편
222s...받침편
222sh...로드안내 홀
222sr...해머안내 봉
222t...제2 설치편
223...제2 승강 수단
223r...제2 승강 롤러
224...자동 구동전달 어셈블리
224c...승강 체인
224m...구동 스프라켓
224s...종동 스프라켓
225...수동 구동전달 어셈블리
225b...윈치 브라켓
225e...윈치 레버
225g...윈치 손잡이
225s...윈치 스풀
225t...가이드 호이스트
226...승강 와이어
230...시추용 로드
300...제3 유닛
300h...유체압 공급원
310...수납 박스
320...스위치 레버
400...제4 유닛
410...제1 운반수단
411...제1 운반 패널
412...제1 걸이 벨트
413...제1 받침 패널
413d...가이드 디스크
414...제1 회동축
415...제2 회동축
420...제2 운반수단
421...제2 운반 패널
422...제2 걸이 벨트
423...제2 받침 패널
424...제1 고정 블록
425...제2 고정 블록
426...제2 배면 프레임
427...제2 받침 프레임
430...제3 운반수단
431...제3 운반 패널
432...제3 걸이 벨트
433...제3 받침 패널
436...제3 배면 프레임
437...제3 받침 프레임

Claims (10)

  1. 삭제
  2.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시추 대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시추 대상면을 굴착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제1 시추 어셈블리와, 상기 드릴비트와 별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시추용 로드를 매설시키는 해머를 포함하는 제2 시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드릴비트와 상기 해머에 유체압을 전달하는 유체압 공급원을 포함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1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운반수단과, 상기 제2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2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2 운반수단과, 상기 제3 유닛을 휴대 및 운반 가능하게 제3 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3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1 운반 패널과,
    상기 제1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1 걸이 벨트와,
    상기 제1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를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받침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시추용 로드 또는 상기 드릴비트는 상기 제1 받침 패널을 관통하여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시추 대상면에 대하여 수직한 코어편과,
    상기 코어편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시추 어셈블리 또는 상기 제2 시추 어셈블리의 상하 변위를 안내하는 안내편과,
    상기 코어편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어편과 직교하는 보강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코어편 또는 상기 안내편의 하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전방 지지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전방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전방 지지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후방 일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1 후방 지지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후방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후방 타측에서 받침 지지하는 제2 후방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추 어셈블리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1 유체모터와,
    상기 제1 유체모터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1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드릴비트는 상기 제1 유체모터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추 어셈블리는,
    유체압으로 가동되는 제2 유체모터와,
    상기 제2 유체모터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 가능한 제2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머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유체모터의 유체압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시추용 로드의 상단부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추용 로드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추용 콘(con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운반수단은,
    작업자의 배부(背部)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제2 운반 패널과,
    상기 제2 운반 패널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작업자의 견부(肩部)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제2 걸이 벨트와,
    상기 제2 운반 패널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시추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시추 어셈블리를 받침 지지하는 제2 받침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10. 삭제
KR1020200020348A 2020-02-19 2020-02-19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KR102179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348A KR102179402B1 (ko) 2020-02-19 2020-02-19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348A KR102179402B1 (ko) 2020-02-19 2020-02-19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402B1 true KR102179402B1 (ko) 2020-11-16

Family

ID=7367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348A KR102179402B1 (ko) 2020-02-19 2020-02-19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4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988A (en) * 1977-12-05 1979-07-24 Hart Ronald D Portable earth core sampling machine
US4476940A (en) * 1982-04-26 1984-10-16 Pdr Manufacturing Corporation Portable drilling apparatus
US4585080A (en) * 1985-02-04 1986-04-29 Bender Calvin P Portable rotary earth drilling apparatus
JP2008223324A (ja) * 2007-03-13 2008-09-25 Karuto Kk 試錐装置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位置決め用筒状部材と固定用筒状部材
KR101591285B1 (ko) 2015-08-27 2016-0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질조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질조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988A (en) * 1977-12-05 1979-07-24 Hart Ronald D Portable earth core sampling machine
US4476940A (en) * 1982-04-26 1984-10-16 Pdr Manufacturing Corporation Portable drilling apparatus
US4585080A (en) * 1985-02-04 1986-04-29 Bender Calvin P Portable rotary earth drilling apparatus
JP2008223324A (ja) * 2007-03-13 2008-09-25 Karuto Kk 試錐装置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位置決め用筒状部材と固定用筒状部材
KR101591285B1 (ko) 2015-08-27 2016-0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질조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질조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9833C2 (ru) Скважи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управляемые по радиальному положению,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4654324B2 (ja) 水底削岩システム及び水底下方の地層を削岩する方法
CA270852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auxiliary holes
US11255138B2 (en) Core tube displacer for long reach drilling machines
NO345446B1 (no) Borekjerneretningsmetoder
KR20160095938A (ko) 파이프형 터널의 지중굴착장치
KR102179402B1 (ko) 비탈면 조사점검을 위한 휴대용 시추장치
US10876363B2 (en) Negative angle capable blasthole drilling mast
TWI513893B (zh) 用於製造和測量鑽孔的方法和裝置
JP4317600B2 (ja) ロータリー式サンプリング法による試料採取方法
CN112424425B (zh) 用于钻孔机的锚固套件
US5129764A (en) Device to feed reinforcement rods
AU2009251160B2 (en) An excavation machine with a pivotable kelly bar
JP7359344B2 (ja) 削孔作業車及び削孔方法
US9797199B1 (en) High speed precision guide device for creating holes for piles or other support members
AU2019280082A1 (en) Drilling and boring system for diamond drilling
JP3103341B2 (ja) 掘削装置
JP2673982B2 (ja) 杭打装置
CN117513989B (zh) 穿越软土和下层岩土的超长灌注桩成孔设备及方法
JP3061575B2 (ja) 孔掘削装置
JP7472732B2 (ja) 標準貫入試験装置、及び標準貫入試験方法
JP2022125602A (ja) 地盤と連結することで施工性と安全性を高めたボーリング機械
NO347421B1 (en) A deep-sea underwater drilling system for drilling and core sampling on a seabed
KR101665618B1 (ko) 시추 자세가 향상된 시추기, 이를 이용한 시추 시스템 및 시추 방법
AU2021221784A1 (en) Feeding Unit for a Logg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