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56B1 - 배터리 차단 유닛 - Google Patents

배터리 차단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56B1
KR102179356B1 KR1020180171590A KR20180171590A KR102179356B1 KR 102179356 B1 KR102179356 B1 KR 102179356B1 KR 1020180171590 A KR1020180171590 A KR 1020180171590A KR 20180171590 A KR20180171590 A KR 20180171590A KR 102179356 B1 KR102179356 B1 KR 10217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stening
main body
hoo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753A (ko
Inventor
전태현
정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차단 유닛은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연결버스바; 및 상기 설치공간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와 체결되는 상측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커버는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커버와, 상기 본체에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상기 버스바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리 및 리워토 작업성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동시에 체결부의 이탈 및 쇼트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제품 신뢰성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차단 유닛{BATTERY DISCONNECTED UNIT}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을 모터 및 고전압 시스템에 연결/차단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자동차, 수소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은 고전압의 배터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배터리와 모터 및 고전압 시스템을 적절하게 연결/차단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에는 배터리 차단 유닛(Battery Disconnected Unit, BDU)를 배터리와 모터 사이에 배치하여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모터에 구비되는 인버터로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배터리 차단 유닛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버스바가 설치되며, 버스바에 수분, 불순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변부품과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를 구비한다.
다만, 커버는 본체에 체결 고정되면서 수리 및 리워크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커버와 본체 결합 부분이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충격 등에 의해 이탈되면서 내구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의 하측이 그래도 노출되어 냉각수가 누출되는 경우 본체에 인서트 사출된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쇼트 현상이 발생되는 위험성이 그대로 방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배터리 차단 유닛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측커버의 일부가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방지가이드와 하측커버를 구비하여 보다 향상되 내구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배터리 차단 유닛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연결버스바; 및 상기 설치공간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와 체결되는 상측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커버는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커버와, 상기 본체에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상기 버스바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를 보호하는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개폐되도록, 걸이단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말단에 상기 걸이단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가 형성된 제1 걸림부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의 일 측에서 상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2 커버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상기 제1 걸림부는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체결을 해지하는 그립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측면이 밀폐되도록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하측커버; 및 상기 하측커버가 상기 본체에 체결되도록,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후크가 형성된 제2 걸림부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본체 및 상기 하측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상기 제2 걸림부는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각 상기 제2 체결부는 제2 걸이단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에 상기 제2 후크가 걸림 고정되는 제1 연결상태와, 지지단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에 상기 제2 후크가 걸림 고정되는 제2 연결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체결되되, 상기 제1,2 연결상태를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배터리 차단 유닛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된 제2 커버는 구비하여 수리 및 리워크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상측커버를 결합한 상태로 보관 및 운반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일정 이상의 제품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2 커버부가 본체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에는 제1 고정부와 제1 걸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가이드가 형성되어, 제1 체결부가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진동/충격에 따른 내구성을 보다 향상 시킨다.
또한 본체의 하측면이 밀폐되도록 체결되는 하측커버를 더 구비하여, 냉각수 누출 등에 따라 쇼트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하고, 제품 신뢰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킨다.
이때 본체와 하측커버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체결부는 제1,2 연결상태를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내구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배터리 차단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제2 커버의 개폐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하측커버가 분리된 배터리 상태의 또 다른 방향 사시도.
도 6은 도 1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1 체결부의 체결 방법 및 해지 방법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제2 체결부의 제1,2 연결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배터리 차단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제2 커버의 개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하측커버가 분리된 배터리 상태의 또 다른 방향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체결부의 체결 방법 및 해지 방법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제2 체결부의 제1,2 연결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차단 유닛(100)은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111)이 형성된 본체(110), 상기 설치공간(111)에 설치되고,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21)가 형성된 연결버스바(120) 및 상기 설치공간(111)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110)와 체결되는 상측커버(130)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커버(130)는 상기 본체(110)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커버(131)와, 상기 본체(110)에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132)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132)의 개방에 의해 상기 버스바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배터리 차단 유닛(100)은 상기 제2 커버(132)가 상기 본체(110)에서 개폐되도록, 제1 걸이단(1511)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151)와, 말단에 상기 제1 걸이단(1511)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후크(1521)가 형성된 제1 걸림부(152)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150) 및 상기 제1 걸림부(152)의 일 측에서 상기 제1 후크(1521)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가이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측면이 밀폐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체결되는 하측커버(160) 및 상기 하측커버(160)가 상기 본체(110)에 체결되도록, 제2 고정부(171)와, 상기 제2 고정부(171)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후크(1721)가 형성된 제2 걸림부(172)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체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차단 유닛(100)은 EV 릴레이, 레지스터, 전류센서, 버스바, 퓨즈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배터리에서 이상 전압이 발생되면 인버터로 인가되지 않도록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체(110)는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111)이 형성되고, 설치공간(111)에는 상기한 전장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배치되며, 여러 전장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볼트/너트가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볼트/너트를 미리 설계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의 하측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되고, 개방부(112)를 통해 볼트/너트가 노출된다.
연결버스바(120)는 설치공간(111)에 설치되는 여러 버스바 중 하나로,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로 정의한다. 따라서 연결버스바(120)의 일 단에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21)가 형성되고, 회로 구성을 위해 연결버스바(120)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121)는 각 연결버스바(120)의 일 단에 형성되되 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연결홀(122)이 형성되어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연결버스바(120)는 각각 서로 다른 전장부품과 연결되되 연결부(121)가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설치공간(111)의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부(121)는 설치공간(111)의 내측에서 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연결버스바(120)는 외부 장치와의 용이한 연결을 위해 연결부(121)가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배치위치에 따라 절곡된다.
상측커버(130)는 본체(110)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커버(131)와 본체(110)에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132)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설치공간(111)에 설치된 전장부품에 수분, 불순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변 부품과의 쇼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공간(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본체(110)와 체결 고정된다. 이때 제2 커버(132)의 개폐를 위해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2) 사이에는 힌지부(133)가 더 형성된다.
제1 커버(131)는 설치 이후 별도의 리워크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전장부품을 덮도록 설치공간(111)의 일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본체(110)에 체결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체결 구조는 하측커버(160)와 본체(110)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17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제1 커버(131)와 본체(110)의 결합 부분 즉, 맞닿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 구조에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되는 제2 체결부(170)의 구체적인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다만 상측커버(130)와 하측커버(160)의 목적이 다른 점, 상측커버(130)와 본체(110)는 설치공간(111)의 밀폐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 수리 등 경우에 따라 상측커버(130)(제1 커버(131)도 포함된다.)의 분리가 필요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측커버(130)와 본체(110)의 체결 구조는 분리가 보다 용이한 제2 체결부(170)의 제2 연결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버(132)는 설치 이후 리워크 작업이 필수적인 전장부품을 덮도록 설치공간(111)의 타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설치공간(111)이 개폐되도록 본체(11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132)는 연결버스바(120)가 설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설치공간(111)의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되고, 제1 커버(131)가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부(133)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설치공간(111)을 개폐한다.
또한 제2 커버(132)의 일 측에는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연결부(121) 보호를 위해 연결부(1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보호부(1321)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1321)는 연결부(121)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생산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결부(121)의 자체 파손 가능성을 현저히 절감시키고, 연결부(121)와 외부 장치의 연결 부분을 보호하여 일정 이상의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커버(132) 개방 시에는 설치공간(111)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버스바(120)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2 커버(132) 폐쇄 시에는 연결부(121)를 제외한 연결버스바(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관 및 운반 시에는 제2 커버(132)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여 내부 전장부품을 보호하고, 연결부(121)와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후처리 공정 시에는 제2 커버(132)를 개방하여 연결 부분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차단 유닛(100)은 연결부(121)가 위치에 대응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132)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결 작업 시 연결 부분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제품 신뢰성을 제공한다.
힌지부(133)는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2)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커버(131)가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제2 커버(132)가 힌지부(133)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설치공간(111)이 게폐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힌지부(133)는 회전 중심축이 되는 고정된 축부와 축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일측이 개방된 결합부로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부(133)는 결합부의 개방된 일 측에서 축부로 끼움 결합되고, 축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부가 이동되며 제2 커버(132)가 회동 개폐되도록 한다. 이때 축부는 제1 커버(131) 및 제2 커버(132)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형성되면, 결합부는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다. 일 예의 힌지부(133)에서는 제1 커버(131)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축부가 형성되고, 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같은 방향으로 개방된 2개의 결합부가 제2 커버(132)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힌지부(133)를 형성한다.
제1 체결부(150)는 제1 걸이단(1511)이 형성된 제1 고정부(151)와 제1 걸이단(1511)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후크(1521)가 형성된 제1 걸림부(152)로 형성되어, 제2 커버(132)가 본체(110)에서 개폐되도록 한다. 이때 제1 고정부(151)가 본체(110) 및 제2 커버(13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제1 걸림부(152)는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체결부(150)는 제1 고정부(151)에서 연장되어 제1 고정부(151)를 제1 걸이단(1511)과 제1 후크(1521)의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립부(153)가 더 형성되어, 제2 커버(132)를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의 제1 체결부(150)는 제1 고정부(151)가 제2 커버(132)의 일 측면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미리 설계된 위치에 요입되어 제1 걸이단(1511)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그립부(153)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걸림부(152)는 제1 고정부(151)의 위치에 대응하여 본체(110)의 일 측면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말 단에는 제1 걸이단(1511)이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후크(15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결합부는 본체(110)와 상측커버(130)의 결합에 의해 제1 고정부(151)의 외측면에 제1 후크(1521)가 접촉되고 이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미리 설계된 위치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걸이단(1511)에 제1 후크(1521)가 걸림 고정되면서 체결된다.
이때 제1 걸이단(1511)과 제1 후크(152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고정부(151)는 제1 걸림부(152) 측으로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립부(153)는 외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제1 걸이단(1511)과 제1 후크(1521)의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체결부(150)를 해지되도록 한다.
방지가이드(140)는 제1 걸림부(152)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1 후크(1521)의 이탈을 방지하여, 제1 고정부(151)와 제1 걸림부(152)의 체결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충격 등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
일 예의 방지가이드(140)는 제2 커버(132)에서 연장되어 제1 체결부(150)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제1 체결부(150)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걸림부(152)가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정도를 제한하여 진동/충격 등에 의해 제1 후크(1521)가 제1 걸이단(15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제1 체결부(150)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배터리 차단 유닛(100)의 제1 체결부(150)는 외측으로 형성되되 방지가이드(140)에 의해 외부로 제1 걸이단(1511)과 제1 후크(1521)의 체결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생산 및 사용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동시에,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체결 부분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그립부(153)를 더 구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1 체결부(150)의 해지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하측커버(160)는 본체(110)의 하측에 체결 고정되어 본체(110)의 하측면을 밀폐한다. 본체(110)는 설치공간(111)에 다양한 전장부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너트가 다수 인서트되어 사출된다. 이때 각 전장부품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너트는 미리 설계된 위치에서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체(110) 하측에는 볼트/너트가 노출되는 개방부(1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측커버(160)는 본체(110)의 하측을 밀폐하여, 배터리 차단 유닛(100)이 설치된 이 후 냉각수가 누출되거나 본체(110)가 변형되는 경우 개방부(112)를 통해 노출된 볼트/너트와 발생될 수 있는 쇼트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하측커버(160)는 본체(110)의 하측면 전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측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체결부(170)는 제2 고정부(171)와, 제2 고정부(171)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후크(1721)가 형성된 제2 걸림부(172)로 형성되어, 하측커버(160)가 본체(110)의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체결부(170)는 제2 고정부(171)가 본체(110) 및 하측커버(16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제2 걸림부(172)는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체결부(170)의 제2 고정부(171)에는 제2 걸이단(1711a) 또는 지지단(1711b)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제1,2 연결상태의 제2 체결부(17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170)는 제2 고정부(171)에 형성된 지지단(1711b)과 제2 후크(1721)가 걸림 고정되는 제1 연결상태와 제2 고정부(171)에 형성된 제2 걸이단(1711a)과 제2 후크(1721)가 걸림 고정되는 제2 연결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체결되되,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2 연결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이때 제1 연결상태는 지지단(1711b)이 제2 걸림부(172)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2 후크(1721)가 체결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연결상태의 제2 체결부(170) 보다 향상된 체결력을 제공한다.
일 예의 제2 체결부(170)는 배터리 차단 유닛(100)의 외주면을 따라 본체(110)의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단(1711b)이 형성된 제2 고정부(171)에 하측커버(16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걸림부(172)가 삽입되어 지지단(1711b)의 일 단에 제2 후크(1721)가 걸림 고정되는 제1 연결상태로 체결되는 복수의 제2 체결부(170)가 형성되되, 연결부(121)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걸림부(172)의 제2 후크(1721)가 하측커버(16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 고정부(171)의 제2 걸이단(1711a)에 걸림 고정되는 제2 연결상태로 체결되는 하나의 제2 체결부(170)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차단 유닛(100)은 상측커버(130)와 본체(110)의 체결 구조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제2 연결상태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170)를 사용하고, 하측커버(160)와 본체(110) 체결 시에는 하측면의 밀폐를 위하여 제1 연결상태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170)를 사용하되 필요에 따라 제2 연결상태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17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차단 유닛(100)은 서로 다른 제1,2 연결상태를 갖는 제2 체결부(170)를 구비하여, 사출 형성 시 금형에서 완성 제품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하는 동시에, 체결력이 서로 다른 제1,2 연결상태를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목적에 부합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100)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0 배터리 차단 유닛
110 본체 111 설치공간 112 개방부
120 연결버스바 121 연결부 122 연결홀
130 상측커버 131 제1 커버 132 제2 커버
1321 보호부 133 힌지부 140 방지가이드
150 제1 체결부 151 제1 고정부 1511 제1 걸이단
152 제1 걸림부 1521 제1 후크 153 그립부
160 하측커버
170 제2 체결부 171 제2 고정부 1711a 제2 걸이단
1711b 지지단 172 제2 걸림부 1721 제2 후크

Claims (6)

  1.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본체;
    제1 걸이단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말단에 상기 제1 걸이단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후크가 형성된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걸림부의 체결을 해지하는 그립부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후크가 형성된 제2 걸림부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체결부;
    복수의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되, 개폐되도록 상기 제1 커버에 힌지로 연결된 제2 커버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상측커버; 및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2 커버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상기 제1 걸림부는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본체 및 상기 제1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상기 제2 걸림부는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를 보호하는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의 일 측에서 상기 제1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면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 체결 고정되는 하측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본체 및 상기 하측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상기 제2 걸림부는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하측커버는
    지지단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에 상기 제2 후크가 걸림 고정되는 상기 제2 체결부의 제1 연결상태와 제2 걸이단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에 상기 제2 후크가 걸림 고정되는 상기 제2 체결부의 제2 연결상태를 모두 포함하여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KR1020180171590A 2018-12-28 2018-12-28 배터리 차단 유닛 KR10217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90A KR102179356B1 (ko) 2018-12-28 2018-12-28 배터리 차단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90A KR102179356B1 (ko) 2018-12-28 2018-12-28 배터리 차단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53A KR20200081753A (ko) 2020-07-08
KR102179356B1 true KR102179356B1 (ko) 2020-11-16

Family

ID=7160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590A KR102179356B1 (ko) 2018-12-28 2018-12-28 배터리 차단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1691B (zh) * 2021-12-01 2023-02-10 赣州市潜行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机器人电池快速拆装结构
CN115579594B (zh) * 2022-12-07 2023-03-31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Bdu箱体、bdu单元及pack箱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437A (ja) * 2009-09-07 2011-03-24 Yazaki Corp カバーのヒンジ開閉構造
JP2013178969A (ja) * 2012-02-28 2013-09-09 Yazaki Corp バスバーモジュールのケースを覆う絶縁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213Y1 (ko) * 2007-08-16 2009-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437A (ja) * 2009-09-07 2011-03-24 Yazaki Corp カバーのヒンジ開閉構造
JP2013178969A (ja) * 2012-02-28 2013-09-09 Yazaki Corp バスバーモジュールのケースを覆う絶縁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53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356B1 (ko) 배터리 차단 유닛
US10003157B2 (en) Service plug unit, device unit, and power cutting-off system for electric car comprising same
US9812685B2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US8466586B2 (en) High-voltage terminal assembly with integral high-voltage interlock
JP5045340B2 (ja) 電気自動車
US20140062493A1 (en) High voltag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US20140062418A1 (en) Safety apparatus for battery module of electric vehicle
KR102610042B1 (ko) 전기차용 통합 고전압 정션 유니트
CN1725414A (zh) 电路断开组件
US10497920B2 (en) Battery system
JP6582327B2 (ja) 電動車両
JP6037098B2 (ja) 電池パックの注水構造
WO1994026559A1 (en) Battery safety unit and method
JP5459551B2 (ja) 高電圧部品の保安構造
US20130004810A1 (en) Battery cell protection device of eco-friendly vehicle
KR102083651B1 (ko) 차량 엔진 구획부 안에 구성 요소들을 배치 및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
KR20180078778A (ko) 배터리셀 모듈의 버스바 고정 구조
US20160164055A1 (en) Structure for mounting battery on vehicle
KR102616880B1 (ko) 버스바 분산 전력감지모듈이 내장된 전기차 전력분배장치
KR102662704B1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 장치
KR101262815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퓨즈
CN116053709A (zh) 蓄电装置
KR20140020499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보호 방법
JP2014101037A (ja) 車両のバッテリパック保護構造
KR20130003574A (ko) 차량의 배터리팩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