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915B1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915B1
KR102178915B1 KR1020140000164A KR20140000164A KR102178915B1 KR 102178915 B1 KR102178915 B1 KR 102178915B1 KR 1020140000164 A KR1020140000164 A KR 1020140000164A KR 20140000164 A KR20140000164 A KR 20140000164A KR 102178915 B1 KR102178915 B1 KR 10217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lder member
disposed
coil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0730A (en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915B1/en
Publication of KR2015008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7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패턴코일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상기 패턴코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홀더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과 홀더부재의 하측 사이에 복수 개가 개재되어 상기 홀더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패턴코일과 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틸팅 및 쉬프팅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base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n which a pattern coil is installed; A holder member in which a magnet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coil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lder member, wherein the holder member is tilted and shifted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pattern coil and the magnet. It can be installed to enable movement.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module.

초소형, 저전력 소모를 위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었던 VCM 등의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이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Camera modules for ultra-compact and low power consumption are difficult to apply technologies such as VCM, which have been used in conventional camera modules,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에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떨림 방지 수단을 추가적으로 카메라 모듈에 설치하는 카메라 모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amera module mounted on a small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smartphone, the camera module may be frequently shocked during use, and the camera module may be slightly shaken due to the user's hand shaking while shooting. In view of this point, 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a camera module in which a means for preventing hand shake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camera module is required.

이러한 손떨림 방지를 위한 카메라모듈은 X, Y축으로 손떨림을 보정하는데, 이렇게 x, y축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움직이는 경우, 이때 스프링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for preventing hand shake corrects hand shake in the X and Y axes. When the camera module is supported and moved by the spring in the x and y axes, the spring deformation may occur at this time.

본 실시예는 부품가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향상된 손떨림 방지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camera module having an improve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that can reduce component cost and improve reliability.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패턴코일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상기 패턴코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홀더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과 홀더부재의 하측 사이에 복수 개가 개재되어 상기 홀더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패턴코일과 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틸팅 및 쉬프팅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base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n which a pattern coil is installed; A holder member in which a magnet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coil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lder member, wherein the holder member is tilted and shifted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pattern coil and the magnet. It can be installed to enable movement.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과 상기 홀더부재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포켓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il spring may be installed in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form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상기 제 1 및 제 2 포켓부는 상기 베이스와 홀더부재의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와 홀더부재의 측벽면에 개구부를 가지질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side the base and the holder member, or may have openings on side walls of the base and the holder member.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와 홀더부재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압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se and the holder member, and may be assembled in a compressed state through the opening.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및 홀더부재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il spring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two corners of the base and holder member.

일 예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및 홀더부재 각각의 중심에 대해 대각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 및 홀더부재의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il spring may be installed diagonally to the center of each of the base and holder member, or may be installed at four corners of the base and holder member.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스틸,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may be made of any one of steel, rubber, and silicone.

상기 패턴코일은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The pattern coil may be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installed above the base.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코일유닛이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 매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이 설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홀더부재와 연결되는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상기 렌즈의 광축과 평행하게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e holder member includes a bobbin in which a coil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and a lens barrel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are installed is installed; And a lower and upper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holder member, wherein the bobbin moves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to implement an auto-focusing function.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손떨림 보정장치의 구조를 개선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image stabilization device is improved so that a coil spring that can be configured inexpensively can be use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코일 스프링은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반복적인 사용 시에도 항상 안정적인 손떨림 보정장치의 동작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since the coil spring has a simple structure and high reliability, it is possible to always provide a stable operation of the image stabilization device even in repeated us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배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and 4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membe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5 and 6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배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S. 3 and 4 schematically illustrate an elastic membe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5 and 6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rrangement positions of elastic member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베이스(20), 홀더부재(30), 보빈(40), 및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10, a base 20, a holder member 30, a bobbin 40, and a housing 50.

인쇄회로기판(10)은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0 is mounted with the image sensor 11, and may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베이스(2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센서(11)를 마주보는 면에 적외선 차단 필터(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는 홀더부재(30)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후술할 회로기판(25) 및 패턴코일(26)이 결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image sensor 11, and an infrared cut filter 21 may be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image sensor 11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he base 20 ma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30, and the circuit board 25 and the pattern coil 26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mbined or disposed.

베이스(2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서리 부분에 지지기둥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지지기둥은 상기 베이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지지기둥의 구성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20)는 회로기판(25)과 패턴코일(26) 등이 상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구조가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20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if necessary, a support pillar may protrude from a corner portion, and the support pillar may protrude above the base or protrude downward from the base. 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omit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column if necessary. The base 20 may have a seating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circuit board 25 and the pattern coil 26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회로기판(25)은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드라이버 IC, 컨덴서 등의 소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 받아 홀더부재(30) 및 보빈(40)에 배치된 후술할 상부 탄성부재(42) 및 또는 패턴코일(26)에 전달하여 코일(43)과 회로기판(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25 may be provided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device components such as a driver IC and a capacitor may be mounted therein, and are disposed on the holder member 30 and the bobbin 40 by receiving power. The coil 43 and the circuit board 2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ransmitting to the upper elastic member 42 and/or the pattern coil 26 to be performed.

패턴코일(26)은 상기 회로기판(25) 표면에 적층 형성되거나,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4개의 상호 대칭되는 크기의 자기장 형성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코일(26)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자기장 형성 영역을 구성하여, 홀더부재(3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마그네트(31)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부재(30)는 패턴코일(26)에 인가되는 전원 제어를 통해 광축에 대하여 틸팅 및/또는 쉬프팅 제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한다.The pattern coil 26 may be stack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5 or may be directly formed, and may constitute four magnetic field formation regions of mutually symmetrical sizes. The pattern coil 26 may form a magnetic field forming region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perform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magnet 31 installed on the side or corner of the holder member 30. Accordingly, the holder member 30 may control tilting and/or shifting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through power control applied to the pattern coil 26.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홀더부재(3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1과 같이 모서리 부분에 복수 개의 마그네트(31)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4개의 각 면에 평평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31)들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주보는 마그네트(31)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holder member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magnets 31 may be installed at the corners as shown in FIG. 1. 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a flat shape on each of the four surfaces. In this case, the magnets 31 may be formed in siz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magnets 31 facing each othe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재(30)는 상기 패턴코일(26)과 마그네트(31)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틸팅 및/또는 쉬프팅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회로기판(25)의 상측에 배치된 패턴코일(26)이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경우, 상기 마그네트(31)역시 이에 대응되는 위치인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소정의 전원이 상기 회로기판(25)을 통해 패턴코일(26)에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트(31)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홀더부재(30)는 각각의 패턴코일(26)에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이미지 센서(11)의 센서면에 평행한 x, y 축 방향으로 쉬프팅 제어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만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x, y 축 방향에 수직한 z 축 방향으로 틸팅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패턴코일(26)과 마그네트(31)의 설치 위치는 4군대의 모서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홀더부재(30)의 측벽면 등으로 이동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member 30 may be installed to enable a tilting and/or shifting movement by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pattern coil 26 and the magnet 31. 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the pattern coil 26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it board 25 is disposed at the corner portion, the magnet 31 may also be installed at the corner portion corresponding thereto. Then, when a predetermined power is applied to the pattern coil 26 through the circuit board 25,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magnet 31 may be formed. Then, the holder member 30 may be controlled to be shifted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parallel to the senso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11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each pattern coil 26, and only one of them may rise. Alternatively, tilting may be controlled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and y-axis directions while descending.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attern coil 26 and the magnet 31 is not limited to the corners of the 4th Army, and although not shown, it is moved to the side wall of the holder member 30 according to design needs. It is also possible to be placed.

홀더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면이 얇은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후술할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41)(42)가 설치되어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보빈(40)의 광축(z축) 방향 왕복 이동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holder member 3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provided in a frame shape with a thin slope, and lower and upper elastic members 41 and 42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t can elastically support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obbin 40 install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in the optical axis (z-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재(30)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20)에 코일 스프링(100)에 의해 지지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의 상부면은 하우징(50)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측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탄성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측면에 있는 상부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4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탄성부재(42)는 상기 홀더부재(30)와 하우징(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상기 하부 탄성부재(41)는 상기 홀더부재(30)와 베이스(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때 측면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100)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측면 스프링이 상기 홀더부재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홀더부재의 모서리에 와이어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홀더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며, 상기 코일(43)에 전원을 인가할수 있다. 상기 측면스프링은 상기 홀더부재의 4개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의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30 may be coupled to the base 2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00 so as to be movable. In addition, moveme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may be regulated by the housing 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lder member is formed by a side elastic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fixed to the base member. Can be supported. In addition, the side elastic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member to apply power to the coil 43. At this time, the upper elastic member 4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member 30 and the housing 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41 is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member 30 and the base 20 Can be. In this case, the side elastic member may be a coil spring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side spring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lder member, or a wire member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holder member. The holder member is supported against the base, and power can be applied to the coil 43. The side spring may be disposed on four side surfaces of the holder member, and the wire member may be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holder member.

한편, 상기 상부 탄성부재(4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부 탄성부재(42)를 2분할 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를 상기 보빈(40)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유닛(43)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상부 탄성부재(42)는 서로 대칭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42 may have a structure divided into two as shown in FIG. 1. That is, by dividing the upper elastic member 42 into two, each of them receives pow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and transmits it to the coil unit 43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40. At this time, the divided upper elastic members 42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each other.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탄성부재(42) 대신 하부 탄성부재(41)를 2분할된 구조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아 보빈(40)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유닛(43)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41 is divided into two instead of the upper elastic member 42, and a coil unit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40 by receiving power of different polarities ( 43).

보빈(40)은 상기 홀더부재(30)의 내부 공간에 광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40)은 상기 마그네트(31)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코일유닛(43)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유닛(43)은 상기 보빈(40)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을 직접 보빈(40)의 외주면에 권선할 수도 있다.The bobbin 40 may be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member 30. The bobbin 40 may have a coil unit 43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40 to enabl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magnet 31. On the other hand, the coil unit 43 may be provided as a ring-shaped coil block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il may be wound direct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40. .

상기 보빈(4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보빈(4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배럴이 상기 보빈(4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bobbin 40 may include a lens barrel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The lens barrel may be formed to be screwed into the bobbin 40. 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the lens barrel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40 by a method other than screwing, or the one or more lense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without a lens barrel. . The lens may be configured as one sheet,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상기 보빈(40)의 하부는 상기 하부 탄성부재(41)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42)와 연결되어, 이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축 방향 왕복이동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41)(42)는 일단은 상기 홀더부재(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빈(40)의 상부 및 하부면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보빈(40)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왕복 이동할 때, 상기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41)(42)가 홀더부재(30)의 고정위치를 중심으로 캔틸레버 운동을 하면서, 상기 보빈(40)을 탄력 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lastic member 41, and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42, there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axial reciprocating movement. That is, the lower and upper elastic members 41 and 42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4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obbin 40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lower and upper elastic members 41 and 42 perform cantilever movement around the fixed position of the holder member 30, and the The bobbin 4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하우징(50)은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부재(30)를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재(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재(30)가 사각형이면, 상기 하우징(50)도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50)의 네 모서리(corner)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각진 모서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하우징(50)은 판재를 밴딩 하거나 프레스 가공을 통해 구부려서 형성되므로, 각각의 모서리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The housing 50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member 30 so as to wrap all of the holder member 30. That is, as shown, if the holder member 30 is a square, the housing 50 may also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Alternatively, four corners of the housing 50 may be provided in a rounded shap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orm an angled corner, but since the housing 50 is formed by bending a plate material or bending it through press processing, a round portion is generally formed at each corner.

코일 스프링(100)은 도 2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의 상측과 홀더부재(30)의 하측 사이에 복수 개가 개재되어 상기 홀더부재(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coil springs 1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 and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member 30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lder member 30.

일 예로, 상기 코일 스프링(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의 상부면과 상기 홀더부재(3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포켓부(210)(220)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il spring 100 includes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30 ( It may be installed on 210 and 220.

상기 제 1 및 제 2 포켓부(210)(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와 홀더부재(30)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오목한 부분에 상기 코일 스프링(100)을 개재한 상태로 베이스(20)와 홀더부재(30)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홀더부재(30)는 베이스(20)와 일정 거리 이격 된 상태가 초기 위치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패턴코일(26)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홀더부재(30)의 위치는 가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한 제 1 및 제 2 포켓부(210)(220)를 구성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포켓부(210)(220)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100)이 가이드 되어, 코일 스프링(100)의 신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210 and 22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ward of a surface facing each other of the base 20 and the holder member 30.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base 20 and the holder member 30 can be assembled with the coil spring 100 interposed in the concave portion. At this time, the holder member 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ase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comes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holder member 30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power applied to the pattern coil 26. Can be. When the concav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210 and 220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il spring 100 is guid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210 and 220, It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 direction of (100).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포켓부(210)(220)는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와 홀더부재(30)의 측벽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이 오픈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100)은 그 길이를 베이스(20)와 홀더부재(30)의 이격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조립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하여 베이스(20)와 홀더부재(30)의 측면을 통해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베이스(20)와 홀더부재(30)의 조립을 선행한 후에 코일 스프링(100)을 삽입 결합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210 and 220 form openings on the side walls of the base 20 and the holder member 30, and are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open openings. It is also possible to become. In this case, the coil spring 1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se 20 and the holder member 30, and compresses the base 20 and the holder member as shown in FIG.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ide of the 30. In this case,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3, the coil spring 100 is inserted and coupled after the base 20 and the holder member 30 are assembled, so that the assembling property can be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10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재(30)의 4개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재(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에 2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홀더부재(30)의 4개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코일 스프링(100)은 홀더부재(30)의 틸팅 및 쉬프팅 움직임 후에, 초기 상태로 원상 복귀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Meanwhile, a plurality of coil spring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of the holder member 30 as shown in FIG. 5.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it is also possible that two are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lder member 30.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installed on four surfaces of the holder member 30 or on two surfaces facing each other. Since the coil spring 100 plays a rol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tilting and shifting movement of the holder member 30,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in a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시프트 방식으로서, 렌즈의 움직임을 통해 오토 포커싱(AF) 및 손떨림 보정(OIS)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때,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비한 홀더부재(3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00)을 설치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100)에 의해 홀더부재(30)의 틸팅 및 쉬프팅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코일 스프링(100)은 제조 비용은 절감하면서 신뢰성은 높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mera modu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lens shift method,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auto focusing (AF) and camera shake correction (OIS) through movement of the lens. At this time, when a coil spring 100 that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30 having an auto-focusing function is installed, tilting and shifting of the holder member 30 by the coil spring 100 Can support movement flexibly. In particular, the coil spring 100 can provide a camera module having high reliability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

즉, 코일 스프링(100)의 경우, 부품의 물류이동성이 양호하며, 조립 공정 중 작업자의 취급 부주의로 인해 변형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조립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oil spring 100, the logistics mobility of the parts is good, and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due to careless handling of the operato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is small, so that the occurrence of assembly failure of the camera module can be minimized.

또한, 코일 스프링(100)은 제조 원가가 매우 저렴하면서도 반복적인 사용 시에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시에도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100 has a very low manufacturing cost and can maintain high reliability even when used repeatedly, so that the camera module's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100)을 베이스(20)와 홀더부재(30) 사이에 개재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 스프링(100)을 대체한 다른 종류의 탄성부재가 치환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코일 스프링(100)을 대신하도록 와이어 스프링, 측면 판스프링이나, 길이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다른 재료를 이용한 탄성부재 등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il spring 100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o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oil spring 100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20 and the holder member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il spring 100 is replaced. Other types of elastic members may be substituted and used. For example, the coil spring 100 may be replaced with a wire spring, a side plate spring, or an elastic member using another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such as silicone, rubber, etc.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는, 상기 코일 스프링(100)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틸 재질은 물론, 상기한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재질로 구성되되, 코일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il spring 100 may be made of not only a commonly used steel material, but also other types of materials capable of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as the above-described rubber and silicon, but may be provided to have a coil shape. .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인쇄회로기판 11; 이미지 센서
20; 베이스 21; 적외선 차단 필터
25; 회로기판 26; 패턴코일
30; 홀더부재 31; 마그네트
40; 보빈 41; 하부 탄성부재
42; 상부 탄성부재 43; 코일유닛
50; 하우징 100; 코일 스프링
10; Printed circuit board 11; Image sensor
20; Base 21; Infrared cut filter
25; Circuit board 26; Pattern coil
30; Holder member 31; Magnet
40; Bobbin 41; Lower elastic member
42; Upper elastic member 43; Coil unit
50; Housing 100; Coil spring

Claims (13)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홀더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제2코일; 및
상기 홀더부재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배치되는 제1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배치되는 제2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포켓부와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제2포켓부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bas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holder member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in the holder member;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magnet disposed on the holder member and facing the first coil;
A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And a coil spring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base includes a first pocke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one end of the coil spring disposed,
The holder member includes a second pocke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nd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disposed,
A camera module in which the first pocket portion of the base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of the holder member overla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켓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포켓부의 상기 돌기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ocket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spring overlaps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ocket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켓부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포켓부의 상기 돌기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ocket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spring overlaps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켓부와 상기 제2포켓부 각각은 외측면이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오픈되고,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has an outer surface op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camera module in which a separation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s smaller than a length of the coil spr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to the first coil, the holder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홀더부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의 전자지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2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 또는 상기 광축 방향과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holder member,
The elastic member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by an electronic intellectual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coil and the magnet,
The coil spring supports movement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holder member o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coil and the magnet. 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4개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코일 스프링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il spring includes four coil springs,
Each of the four coil springs is a camera module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코너와 제2코너와, 상기 제1코너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코너와, 상기 제2코너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코너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코너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코너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il spring includes two coil sp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ase includes a first corner and a second corner, a third corner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rner, and a fourth corner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corner,
Any one of the two coil springs is disposed in the first corner of the base,
The other of the two coil springs is a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스틸, 고무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il spring is a camera module formed of any one of steel, rubber, and silicon.
제1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장치.A portab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홀더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제2코일; 및
상기 홀더부재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배치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홈과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제2홈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bas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holder member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in the holder member;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magnet disposed on the holder member and facing the first coil;
A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And a coil spring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base includes a first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coil spring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s disposed,
The holder member includes a second groove form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disposed,
The camera module wherein the first groove of the base and the second groove of the holder member overla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홈의 내측면과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제2홈의 내측면과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spring overlaps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of the bas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spring overlaps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of the holder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to the first coil, the holder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camera module in which a separation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s smaller than a length of the coil spr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KR1020140000164A 2014-01-02 2014-01-02 Camera module KR102178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64A KR102178915B1 (en) 2014-01-02 2014-01-02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64A KR102178915B1 (en) 2014-01-02 2014-01-02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30A KR20150080730A (en) 2015-07-10
KR102178915B1 true KR102178915B1 (en) 2020-11-13

Family

ID=5379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164A KR102178915B1 (en) 2014-01-02 2014-01-02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9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27A1 (en) * 2015-07-29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24129B1 (en) * 2016-02-15 2023-04-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Heating device f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12217964A (en) * 2019-07-11 2021-01-12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Support,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547A (en) * 2008-06-02 2009-12-07 (주)나노지피 Auto-focusing camera device for communication machine
KR101610324B1 (en) * 2009-09-14 2016-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1221316B1 (en) * 2011-05-30 2013-02-12 주식회사 엠씨넥스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30A (en) 201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207B1 (en) Combined plate spring and camera lens module capable of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the same
US11604365B2 (en) Lens moving apparatus
JP6166756B2 (en) Lens drive device
CN112198739B (en) Lens moving device
JP6080321B2 (en) Lens drive device
KR101498356B1 (en) Lens actuator
US9772506B2 (en) Configuration of flexible connections used in a lens driving module
KR101668720B1 (en) Camera lens module
KR101730268B1 (en) Camera module
KR102164907B1 (en) Camera module
KR102595265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78915B1 (en) Camera module
KR102483450B1 (en) Dual camera module
KR101666087B1 (en) Camera lens module
KR20170086927A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388119B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KR20170109767A (en) Lens driving device
KR101694881B1 (en) Camera lens module
KR102522630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652007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132518A (en)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95803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691161B1 (en) Camera lens module
KR102217569B1 (en) Camera module
KR20200097234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