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784B1 -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 Google Patents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784B1
KR102178784B1 KR1020180086660A KR20180086660A KR102178784B1 KR 102178784 B1 KR102178784 B1 KR 102178784B1 KR 1020180086660 A KR1020180086660 A KR 1020180086660A KR 20180086660 A KR20180086660 A KR 20180086660A KR 102178784 B1 KR102178784 B1 KR 10217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tank
pip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782A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김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근 filed Critical 김홍근
Priority to KR102018008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7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소의 제약조건과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는 사육생물이 사육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조, 수조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조를 흐르는 용수의 회류를 유도하고,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에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와류 발생을 차단하는 복수의 격벽을 구비하는 수직 격벽,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기 위해 고정지지대를 고정하고, 일부가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 끝단에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조를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의 컨넥터, 수조로 용수를 유입하는 유입부 및 수조의 하부에 퇴적된 오염물질 및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Multi-layer multi-stage water circulating tank}
본 발명은 회류식 사육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육수조 내부를 흐르는 용수의 와류를 제거하여 오염물질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사육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에서 건물 또는 건축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통제된 시설 내에서 층별, 수조별 다양한 해양생물을 양식하는 개념의 복합빌딩양식이 등장하고 있다.
복합빌딩양식은 바다로부터 떨어진 육상에서 IT를 양식기술에 접목하여 자동화, 무인화를 통해 다양한 사육생물을 대량으로 양식하는 기술로써, 층별, 수조별 개별관리가 가능하여, 질병 예방 및 확산 방지가 용이하다. 또한 어종 생육에 따른 크기별 분리 입식이 가능하며, 생산성 향상과 출하시기 등의 조절이 가능하여 양식 어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복합빌딩양식은 상술된 장점과 더불어 다층 적층구조로 인해 수조 중앙부에 발생되는 하중 문제 및 오염물질 배출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사육용수의 오염으로 사육생물들이 폐사하거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조에 많은 하단보강 구조물을 설치하여 수조 중앙부에 발생되는 하중 문제를 개선하고, 사육용수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며 사육용수의 수질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수조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켜 수조의 적층을 어렵게 하였고, 주기적인 사육용수의 교체로 인해 많은 유지보수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게 하였다.
따라서, 수조의 구조를 간단하여 수조의 적층을 쉽게 하면서 오염물질의 배출이 원활히 진행시켜 복합빌딩양식의 상용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97889호(2014.05.1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조 내부를 흐르는 용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와류 발생을 방지하고, 오염물질의 배출을 개선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층 적층구조에서 발생되는 수조 중앙부의 하중을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오염물질을 원활하게 사육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용수의 수위를 간단한 구조로 조절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는, 사육생물이 사육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조를 흐르는 용수의 회류를 유도하고, 상기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에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와류 발생을 차단하는 복수의 격벽을 구비하는 수직 격벽, 상기 수조를 다층으로 적층하기 위해 고정지지대를 고정하고, 일부가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 끝단에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조를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의 컨넥터, 상기 수조로 상기 용수를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퇴적된 오염물질 및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조는, 내벽에 형성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층이 더 설치되도록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층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구는, 상기 회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기역자 형상 중 수직 형상에 형성되어 상기 용수를 상기 수조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조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염물질 및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유입되는 제1 배출관, 상기 제1 배출관과 연결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울기가 조절되는 기울기관, 상기 기울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염물질 및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관 및 상기 제1 배출관과 상기 기울기관의 일단 및 상기 기울기관의 타단과 상기 제2 배출관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기울기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용수 수위를 조절하는 조인트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가 다단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인 경우, 상기 배출부는, 각 수조와 연결된 조인트밸브를 조절하여 수조별 용수 수위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는 수조 내부를 흐르는 용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에 복수의 관통구를 형성하여 와류 발생을 방지하고, 용수를 수조의 상중하로 유입시켜 오염물질의 배출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원통형 컨넥터를 수조에 구비시켜 와류 발생 및 용수의 원활한 유도를 하고, 다층 적층구조의 수조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지지대를 삽입 고정하여 수조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수조 바닥에 설치하고, 수조 내부의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용수의 수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관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격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및 고정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B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수조에 대한 수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관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3(a)은 관통구의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된 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은 관통구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100)(이하, 회류식 사육수조라 함)는 수조 내부를 흐르는 용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에 복수의 관통구를 형성하여 와류 발생을 방지한다. 회류식 사육수조(100)는 용수를 수조의 상중하로 유입시켜 오염물질의 배출을 개선한다. 회류식 사육수조(100)는 복수의 원통형 컨넥터를 수조에 구비시켜 와류 발생 및 용수의 원활한 유도를 하고, 다층 적층구조의 수조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지지대를 삽입 고정하여 하중을 최소화한다. 회류식 사육수조(100)는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수조 바닥에 설치하고, 수조 내부의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용수의 수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회류식 사육수조(1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조(10), 유입부(30), 수직 격벽(50), 복수의 컨넥터(63) 및 배출부(70)를 포함한다.
수조(10)는 사육생물이 사육되는 공간으로써,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층 또는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육생물은 물고기, 전복, 해삼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는 일정한 길이, 넓이 및 깊이를 가진다. 수조(10)의 하부는 수조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대는 기둥형, 아치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조(10)는 내벽에 복수의 걸림턱(11)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1)은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조(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층(미도시)이 더 설치되도록 설치되는 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걸림턱(11)을 이용하여 수조(10)를 다층으로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수조(10)에서 다양한 종류의 사육생물을 사육할 수 있다. 여기서, 층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물망,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30)는 용수의 흐름이 시작되는 수조(10)의 영역에 설치되고, 수조(10)로 용수를 유입한다. 여기서, 용수는 사육생물이 사육되는데 필요한 물을 의미한다. 유입부(30)는 용수가 일정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용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부(30)는 용수를 수조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로 유입시켜 용수의 순환이 상부 또는 중앙부에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부(30)는 수조(10)의 구조 및 크기에 맞게 용수의 유입량을 상중하로 분배하여 유입시킬 수 있다.
수직 격벽(50)은 수조(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용수의 회류를 유도한다. 수직 격벽(50)은 복수의 격벽(51, 53)을 구비한다. 복수의 격벽(51, 53)은 각각의 격벽 중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에 복수의 관통구(61)가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구(61)는 용수가 회류되면서 발생되는 와류를 미연에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바람직하게는 회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즉,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구(61)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짐으로써, 본 발명은 용수의 회류를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와류를 차단하여 용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와류 발생 지역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깨끗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회류식 사육수조(100)가 제1 격벽(51) 및 제2 격벽(53)을 구비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조(1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격벽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컨넥터(63)는 수조(10)를 다층으로 적층하기 위해 고정지지대(67)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컨넥터(63)는 수조(10)의 테두리 및 내부에 설치된다. 수조(1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일부 컨넥터(63)는 수조(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수조의 테두리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고정지지대(67)가 지지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한다. 수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머지 일부 컨넥터(63)는 복수의 격벽(51, 53) 중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 끝단에 설치된다. 이때, 컨넥터(63)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조(100)를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컨넥터(63)는 용수가 원활하게 회류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컨넥터(63)는 수조(100)가 다층 구조인 경우, 수조 중앙부를 고정지지대(67)로 고정 지지하여 다층 구조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넥터(63) 및 고정지지대(67)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70)는 수조(10)의 하부와 연결되어 수조(10)의 하부에 퇴적된 오염물질 및 용수를 배출한다. 즉, 배출부(70)는 용수의 흐름이 끝나는 수조(10)의 바닥면과 연결됨에 따라 퇴적된 오염물질이 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70)는 배출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용수의 수위를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격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 격벽(50)은 다단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 격벽(50)은 수조(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설치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격벽은 제1 슬라이딩 격벽(55), 제2 슬라이딩 격벽(57) 및 제3 슬라이딩 격벽(59)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슬라이딩 격벽(59)은 슬라이딩 격벽 중 크기가 가장 크고, 수조(10)와 고정된다. 제2 슬라이딩 격벽(57)은 제3 슬라이딩 격벽(59)이 슬라이딩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3 슬라이딩 격벽(59)에 삽입되거나, 제3 슬라이딩 격벽(59)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조절을 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딩 격벽(57)과 제3 슬라이딩 격벽(59)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 격벽(57)이 제3 슬라이딩 격벽(59)에 완전히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제1 슬라이딩 격벽(55)은 제2 슬라이딩 격벽(57)이 슬라이딩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 격벽(57)에 삽입되거나, 제2 슬라이딩 격벽(57)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조절을 한다. 여기서, 제1 슬라이딩 격벽(55)과 제2 슬라이딩 격벽(57)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제1 슬라이딩 격벽(55)이 제2 슬라이딩 격벽(55)에 완전히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3단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딩 격벽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조(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슬라이딩 격벽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및 고정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컨넥터(63)는 수조(10)가 다층 구조인 경우 수조(10)와 고정지지대(67) 사이를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컨넥터(63)는 지지부재(65)를 포함한다. 지지부재(65)는 컨넥터(63) 내부에 수평 방향인 격벽 형태로 형성된다. 컨넥터(63)는 지지부재(65)를 통해 상하로 삽입되는 고정지지대(67)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수조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컨넥터(63)는 상부에 위치하는 수조와 연결된 상부 고정지지대(67) 및 지면과 맞대면서 수조 전체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지지대(67)가 서로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고정지지대(67)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층 구조에서 수조 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입부(30)는 유입관(31) 및 복수의 유입구(33)를 포함한다.
유입관(31)은 용수를 수조(10)에 유입하는 관으로,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아 수조(10)로 유입시킨다. 유입관(31)은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유입관(31)은 용수로 인해 녹이 슬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입구(33)는 유입관(31)의 기역자 형상 중 수직 형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유입구(33)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수조(10)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로 용수가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복수의 유입구(33)는 용수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크기의 구멍으로 형성되거나, 수조의 구조 및 크기에 맞게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입구(33)는 수조(10)의 상부 또는 중앙부에 편중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하부에도 용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에 퇴적된 오염물질이 용수의 흐름을 따라 배출부(70)로 이동하여 사용자는 유지보수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입구(33)는 유입관(31)의 기역자 형상 중 수직 형상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게 형성되어 하부에 퇴적되는 오염물질이 원활히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B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수조에 대한 수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은 일반적인 용수 수위일 경우의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은 용수 수위를 낮은 경우의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c)은 기울기관이 기울어지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출부(70)는 제1 배출관(71), 조인트밸브(73), 기울기관(75) 및 제2 배출관(77)을 포함한다.
제1 배출관(71)은 수조(10)의 하부와 연결되고, 오염물질 및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유입된다. 제1 배출관(71)은 수조(10)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제1 배출관(71)은 니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울기관(75)은 제1 배출관(71)과 연결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울기가 조절된다. 즉, 기울기관(75)은 변형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울기관(75)은 제1 배출관(71)으로부터 유입된 오염물질과 용수를 통과시킨다.
제2 배출관(77)은 기울기관(75)과 연결되고, 오염물질과 용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2 배출관(77)은 정화 시설이 구비된 외부와 연결되며,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일정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조인트밸브(73)는 제1 배출관(71)과 기울기관(75)의 일단 및 기울기관(75)의 타탄과 제2 배출관(77)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조인트밸브(73)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기울기관(75)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조인트밸브(73)는 제1 배출관(71)과 기울기관(75) 및 기울기관(75)과 제2 배출관(77)을 서로 연결해주는 동시에, 기울기관(75)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제2 배출관(7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배출관(71)과 연결된 조인트밸브(73)를 중심축으로 제2 배출관(75)과 연결된 조인트밸브(7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배출관(75)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수조(10)의 용수 수위는 제2 배출관(77)의 높이와 상관관계를 가진다. 즉, 제2 배출관(77)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가 수조(10)의 용수 수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조(10)의 용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 배출관(77)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특징을 이용하여 조인트밸브(73) 및 기울기관(75)을 구비하여 쉽게 제2 배출관(7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수 수위 C가 너무 높아 용수 수위 D로 높이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인트밸브(73)를 회전시켜 기울기관(75)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2 배출관(77)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수 수위 C는 자연스럽게 제2 배출관(77)의 높이인 용수 수위 D로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조(10)의 용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용수의 유입량 조절, 배출량 조절 등과 같은 정밀한 작업 없이, 조인트밸브(73)를 회전시켜 기울기관(75)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용수 수위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조(10)가 다단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인 경우, 본 발명은 각 수조(10a, 10b, 10c)와 연결된 조인트밸브(73a, 73b, 73c)를 각각 조절하여 수조별 용수 수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수조(10a)의 수위를 1m로 조절하고, 제2 수조(10b)의 수위를 1.5m로 조절하며, 제3 수조(10c)의 수위를 1m로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 없이 조인트밸브(73a, 73b, 73c)의 조작만으로 각 수조(10a, 10b, 10c)에 맞는 수위를 개별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때, 각 수조(10a, 10b, 10c)의 제2 배출관(77a, 77b, 77c)은 통합 배출관(79)과 연결되어 오염물질 및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통합 배출관(79)은 외부에 설치된 집수관과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수조
11: 걸림턱
30: 유입부
31: 유입구
50: 수직 격벽
51: 제1 격벽
53: 제2 격벽
55: 제1 슬라이딩 격벽
57: 제2 슬라이딩 격벽
59: 제3 슬라이딩 격벽
61: 관통구
63: 컨넥터
65: 지지부재
67: 고정지지대
70: 배출부
71: 제1 배출관
73: 조인트밸브
75: 기울기관
77: 제2 배출관
79: 통합 배출관
100: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Claims (6)

  1. 사육생물이 사육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조를 흐르는 용수의 회류를 유도하고, 상기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에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와류 발생을 차단하는 복수의 격벽을 구비하는 수직 격벽;
    상기 수조를 다층으로 적층하기 위해 고정지지대를 고정하고, 일부가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용수가 회류되는 방향의 벽면 끝단에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조를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의 컨넥터;
    상기 수조로 상기 용수를 유입하는 유입부;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퇴적된 오염물질 및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조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염물질 및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유입되는 제1 배출관;
    상기 제1 배출관과 연결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울기가 조절되는 기울기관;
    상기 기울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염물질 및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관; 및
    상기 제1 배출관과 상기 기울기관의 일단 및 상기 기울기관의 타단과 상기 제2 배출관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기울기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용수 수위를 조절하는 조인트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내벽에 형성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층이 더 설치되도록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층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구는,
    상기 회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기역자 형상 중 수직 형상에 형성되어 상기 용수를 상기 수조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유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가 다단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인 경우, 상기 배출부는,
    각 수조와 연결된 조인트밸브를 조절하여 수조별 용수 수위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KR1020180086660A 2018-07-25 2018-07-25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KR102178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60A KR102178784B1 (ko) 2018-07-25 2018-07-25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60A KR102178784B1 (ko) 2018-07-25 2018-07-25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82A KR20200011782A (ko) 2020-02-04
KR102178784B1 true KR102178784B1 (ko) 2020-11-13

Family

ID=6957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60A KR102178784B1 (ko) 2018-07-25 2018-07-25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42B1 (ko) * 2020-12-18 2021-11-02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개폐형 배수 파이프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수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13B1 (ko) 2007-11-12 2008-04-11 김용대 꽃게 공식 방지 및 양식 장치
KR101185863B1 (ko) * 2011-03-24 2012-09-27 대한민국 양식빌딩용 다단원형수조
KR101660867B1 (ko) 2015-12-28 2016-09-28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빌딩형 어류양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89B1 (ko) 2012-08-27 2014-05-21 전라남도 회류식 다층 복합양식수조
KR101413324B1 (ko) * 2012-08-27 2014-07-02 전라남도 해조류 종묘생산용 트랙형 수평식 유수수조
KR20160089151A (ko) * 2015-01-19 2016-07-27 송경숙 전복양식용 수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13B1 (ko) 2007-11-12 2008-04-11 김용대 꽃게 공식 방지 및 양식 장치
KR101185863B1 (ko) * 2011-03-24 2012-09-27 대한민국 양식빌딩용 다단원형수조
KR101660867B1 (ko) 2015-12-28 2016-09-28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빌딩형 어류양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82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407B1 (ko) 수경재배 유닛 및 시스템
US9167803B2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KR101206491B1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KR102178784B1 (ko)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US11684046B2 (en) Aquaculture cage comprising a main chamber and a peripheral ring chamber
US4950396A (en) Biological sewage treatment plant
CN107410160A (zh) 智能控制循环水处理利用集成系统
CN106900631A (zh) 一种流动活水循环养殖系统
EP1020408A1 (en) Clean water system and its structure
JP6108644B1 (ja) 上向流式沈降分離装置
WO2003064290A1 (en) Liquid reservoir tank with multiple partition walls
KR101572984B1 (ko) 슈퍼 에어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운드형 양식장
EP0850882B1 (e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utilizing microorganisms
CN105357959A (zh) 用于养殖的双重水槽及设置于其的空气提升装置
AU2020354808B2 (en) Water culture block
JP3930880B2 (ja) 循環濾過式養殖装置
JP6624467B2 (ja) 養鰻設備
JP4791608B1 (ja) 仔魚育成材及び浮上槽
CN220674856U (zh) 一种分区养鱼池
KR20230095235A (ko) 사이펀 현상을 이용한 에너지 자립형 수류순환장치
KR102235843B1 (ko) 수경 재배 장치
JP2926057B1 (ja) 多段式の養殖水槽
JP6805417B2 (ja) 水処理装置
KR100556218B1 (ko) 어패류 육성 수조 및 입체형 전복집 그리고 전복 육성시스템
KR101841354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구비한 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